KR20120115835A -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5835A
KR20120115835A KR1020110033389A KR20110033389A KR20120115835A KR 20120115835 A KR20120115835 A KR 20120115835A KR 1020110033389 A KR1020110033389 A KR 1020110033389A KR 20110033389 A KR20110033389 A KR 20110033389A KR 20120115835 A KR20120115835 A KR 2012011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condary battery
vacuum
sensor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3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857B1 (ko
Inventor
고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스디엔에이
Priority to KR1020110033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885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28Leak testing of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배터리 케이스의 밀봉상태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챔버 내의 진공 환경에서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누액을 검출하는 간단한 방식의 새로운 기밀검사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밀봉상태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등 리크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 및 검사 방식을 단순화하여 전체적인 리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진공 조건하에서의 리크 검사시 배터리에서 누출되는 유기용제 가스의 검출에 적합한 반도체 센서를 적용하고, 또 급격한 압력으로부터 반도체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센서 하우징을 적용함으로써, 반도체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국 배터리 누액 판정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차전지의 리크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Leak inspection devic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배터리 케이스의 밀봉상태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컴퓨터 및 이동통신기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재충전이 가능한 경량, 대용량의 전원공급수단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전해액을 이온화시키고 전극 간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전원을 충전하여 방전시키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지들을 대부분 이차전지라 한다.
보통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외관상으로는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각형 이차전지는 통상 정극과 세퍼레이터 및 부극을 함께 권취한 후, 압착하여서 만든 전극부를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고, 그 케이스의 상부에 안전 밴트(vent)와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용접하며, 상기 전해액 주입구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다음에 밀봉한 형태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이차전지는 정극과 부극의 사이에 주입된 전해액으로부터 이온이 발생하여 전극 간에 이동하므로 기전력을 발생시키고, 그 작용에 의해 충ㆍ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따라서, 이차전지는 충ㆍ방전 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전해액의 손실을 방지하고, 또 내압 발생을 고려하여 전해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형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이차전지에서 케이스의 기밀 불량에 의해 전해액이 누출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불량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제조공정 라인에서 누액 검사를 수행하게 되며, 보통 케이스에 용접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의 용접부위를 X-ray 혹은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X-ray 검사의 경우 공정 및 설비가 복잡하여 실현성이 떨어지고, 육안 검사는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공개번호 특2001-0011231호, 특2003-0049130호 등에서는 케이스의 내부에 He 가스나 N2 가스를 주입하고, He 가스나 N2 가스 검출센서로 He 가스나 N2 가스의 검출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이차전지의 리크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 가스나 센서의 가격이 비싸서 경제적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또 전해액이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밀검사를 수행하는 관계로 실제 필드에 적용되는 경우 여전히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챔버 내의 진공 환경에서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누액을 검출하는 간단한 방식의 새로운 기밀검사 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밀봉상태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등 리크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장치의 구조 및 검사 방식을 단순화하여 전체적인 리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 조건하에서의 리크 검사시 배터리에서 누출되는 유기용제 가스의 검출에 적합한 반도체 센서를 적용하고, 또 급격한 압력으로부터 반도체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센서 하우징을 적용함으로써, 반도체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국 배터리 누액 판정의 정밀도 및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이차전지의 리크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를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리크 검사장치는 진공 방식의 챔버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밀봉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부 챔버와 검사대상물, 예를 들면 다수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가 수용되는 하부 챔버로 구성되고 상하부 챔버 간의 구획 벽에는 다수의 센서 및 첵 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 챔버와, 상기 상부 챔버측과 하부 챔버측에 각각 구비되는 감압 배기 밸브 및 대기 개방 밸브와, 상기 감압 배기 밸브와 연결되어 챔버 내부에 진공을 조성하는 진공 펌프와, 상기 상하부 챔버 내의 압력에 따라 진공 펌프와 밸브류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검출값을 입력받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간에 압력차를 조성하고, 이때의 압력차에 따른 전해액 가스의 이동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검사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가스의 유무를 검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의 경우, 유기용제 가스 검출에 적합한 반도체 형식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 내부와 하부 챔버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가스 유입통로와, 상기 가스 유입통로에 대해 방향이 꺽이면서 하우징 내부와 상부 챔버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가스 배출통로를 가지면서 구획 벽에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급격한 압력변화로부터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챔버는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공정라인상에서 승강 실린더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하여, 검사를 위한 검사대상물 정지시 하강하여 폐쇄상태가 되고, 검사 후 검사대상물 이동시 상승하여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연계 구성함으로써, 이차전지 제조 공정과 연속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진공 방식의 챔버를 이용하는 간단한 장치 및 방식으로 배터리 누액을 검출함으로써, 이차전지의 밀봉 상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등 리크 검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장치의 구조 및 검사 방식이 단순하여 전체적인 리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가격이 싸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유기용제 가스에 매우 잘 적응하는 최적의 반도체 센서를 채용함으로써, 센서 검출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챔버 내의 급격한 압력변화로부터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센서 하우징을 채용함으로써, 센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이차전지의 제조를 위한 공정라인상에 누액 검사 공정의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공정과 누액 검사 공정을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는 등 누액 검사 공정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제조공정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서 센서 및 센서 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서 센서의 배치분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가 설치되는 공정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서 제어신호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크 검사장치는 이차전지, 즉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검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검사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가스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무엇보다도 전해질이 기화되어 일어나는 유기용제 가스이다.
유기용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렌 카보네이트, 메틸렌가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계열의 화학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리크 검사장치는 유기용제 가스를 반도체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으로, 특히 진공 펌프를 사용한 챔버 간의 감압 방식을 적용하여, 밀봉 상태가 완전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 누출되는 배터리 누액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해액이 누출되는 구멍은 약 20㎛ 이하이기 때문에 전해액 점도에 의해서 막혀 대기압 상태에서는 검출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진공 펌프에 의해 감압(300?600 Torr)하여 막혀 있던 전해액이 뚫려 지면서 전해액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고, 이때의 배출되는 가스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아래쪽이 개방되고 내부는 수평의 구획 벽(12)에 의해 상부 챔버(10)와 하부 챔버(11)로 구분되어 있는 진공 챔버(15)가 마련되고, 상기 진공 챔버(15)의 구획 벽(12)에는 가스의 검출을 위한 다수의 센서(13)와 챔버 간의 선택적인 공기유동을 위한 다수의 첵 밸브(14)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챔버(11)는 검사대상물, 예를 들면 다수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가 수용되는 챔버이고, 상기 상부 챔버(10)는 하부 챔버와의 압력차를 조성할 수 있는 독립된 챔버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첵 밸브(14)는 상부 챔버(10)와 하부 챔버(11)의 압력차를 만들어 누액 누설시 감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첵 밸브(14)의 경우에는 일방향으로만 공기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즉 하부 챔버(11)쪽에서 상부 챔버(10)쪽으로만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의미하지만, 후수하는 제어부(도 5에서 도면부호 19)에 의해 폐쇄도 가능한 밸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챔버(10)의 일측에는 감압 배기 밸브(16)가 설치되며, 이때의 감압 배기 밸브(16)는 후술하는 진공 펌프(도 5에서 도면부호 18)측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 펌프(18)의 작동에 의해 상부 챔버(10)는 물론 하부 챔버(11) 전체에 걸쳐 진공이 조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챔버(11)의 일측에는, 실질적으로는 챔버의 하부에서 챔버와 함께 밀폐가능한 하부 챔버(11)를 조성하는 트레이 안착프레임(24)의 일측에는 대기 개방 밸브(17)가 설치되며, 이때의 대기 개방 밸브(17)는 제어부(19)에 의해 개폐 제어되면서 챔버 내의 진공 조성시 닫히게 되고, 검사 후 개방되면서 하부 챔버(11)의 내부를 대기압 상태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상부 챔버(10)와 하부 챔버(11) 간의 경계를 이루는 구획 벽(12)상에 구비되는 센서(13)는 유기용제 가스의 검출에 적합한 반도체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진다.
유기용제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격이 싸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무엇보다도 유기용제에 매우 잘 반응하는 반도체식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센서(13)의 경우, 신뢰성을 갖고 동작하기 위해서는 급격한 압력을 피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센서(13)의 경우에는 급격한 압력변화를 피하기 위하여 센서 하우징으로 센서 접촉부분을 감싸주고, 또 공기흐름을 직선 방향이 아닌 경로를 바꿔 급격한 압력으로부터 센서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챔버(15)의 구획 벽(12)에 설치되면서 하우징 캡(20a)과 하우징 몸체(20b)로 구성되는 센서 하우징(20)이 마련되고, 이러한 센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센서(13)가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센서 하우징(20)의 하우징 몸체(20b)에는 하우징 내부와 하부 챔버(11)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수직의 가스 유입통로(21)가 형성되고, 이때의 가스 유입통로(21)에 대해 방향이 꺽이면서, 예를 들면 수직의 가스 유입통로(21)에 대해 90°방향이 꺽이면서 하우징 내부와 상부 챔버(10)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수평의 가스 배출통로(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 챔버(11)측으로부터 가스 유입통로(21)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가스는 90°방향을 꺽어 옆쪽의 가스 배출통로(22)를 통해 상부 챔버(10)측으로 빠져나가는 흐름을 보이게 되므로, 센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13)는 급격한 압력변화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센서(13)는 트레이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를 균형있게 감시하기 위하여 다수 개가 구획 벽(12)의 전체 면적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트레이에 탑재되어 있는 배터리 셀의 수량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수의 센서(13)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 내에 약 256개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 총 9개의 센서(13)를 설치하되, 사각의 면적을 갖는 구획 벽(12)의 전체 면적에서 격자형 배치구조를 이루면 균형있게 설치함으로써, 1개의 센서(13)가 약 30개의 배터리 셀을 감지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256개의 배터리 셀 중 어느 셀에서 누액이 방출됐는지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첵 밸브(14)의 경우에도 센서(13)들 사이사이에 위치되면서 4개가 격자형 배치 구조를 이루며 설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13)에는 아날로그 증폭회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어부(19)까지 노이즈없이 신호를 보낼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진공 챔버(15)의 내부에 진공을 조성하는 수단으로 진공 펌프(18)가 마련된다.
상기 진공 펌프(18)는 상부 챔버(10)에 있는 감압 배기 밸브(16)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챔버 내부에 진공을 조성하는 수단으로서, 제어부(19)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이러한 진공 펌프(18)는 오일증기의 역류 방지를 위하여 오일 펌프 대신에 건식 진공 펌프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공 챔버(15) 내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2개의 압력계(25a,25b)가 구비되는데, 하나의 압력계(25a)는 상부 챔버(10)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압력계(25b)는 하부 챔버(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압력계(25a,25b)가 검출한 상부 챔버(10)의 압력값과 하부 챔버(11)의 압력값은 제어부(19)측으로 제공된다.
또한, 챔버 내의 진공 조성을 위해 액추에이터 및 밸브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19)가 마련된다.
이때의 제어부(19)는 압력계(25a,25b)측에서 입력되는 검출값 등을 기초로 하여 후술하는 승강 실린더(23), 진공 펌프(18), 밸브류(14,16,16)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컨트롤러이고, 또 센서(13)의 검출값을 입력받아 리크 여부를 판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차전지 제조공정과 연계가 가능한 리크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진공 챔버(15)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위한 수단으로 승강 실린더(23)가 마련되고, 이때의 승강 실린더(23)는 프레임 구조물(미도시)상에 지지되면서 그 로드를 통해 진공 챔버(15)의 상부에 연결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에 따라, 검사대상물인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가 진공 챔버(15)의 하부, 즉 트레이 안착프레임(24)상에 위치되면 승강 실린더(23)의 하강 작동에 의해 진공 챔버(15)가 하강함과 더불어, 챔버 하단이 트레이 안착프레임(24)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하부 챔버(11)와 아래쪽의 트레이 안착프레임(24)이 함께 조성하는 내부 공간이 밀폐된 상태가 되고, 다시 말해 트레이가 폐쇄된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게 되고, 또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승강 실린더(23)의 상승 작동에 의해 진공 챔버(15)가 상승하면서 트레이 주변이 개방되므로서, 검사를 마친 트레이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리크 검사장치는 이차전지를 위한 공정라인과 연계되면서 설치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차전지 제조 공정상에서 조립 공정과 화성 공정 사이에 크리닝 공정과 누액 검사 공정이 마련되고, 이렇게 마련되는 누액 검사 공정에 리크 검사장치가 설치되어, 조립 공정을 마친 배터리 셀에 대한 누액 검사 공정이 연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즉, 조립 공정에서 화성 공정에 이르는 동안 크리닝 공정과 누액 검사 공정을 추가하고, 크리닝 공정에서는 크리닝 헤드 유니트(100)를 컨베이어(110) 위에 설치하면서 배터리 셀이 들어 있는 트레이(120)를 저속으로 이동시키며, 누액 검사 공정에서는 트레이(120)를 진공 챔버(15) 안으로 이동시켜 누액 검사를 실시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크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 누액을 검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에서 제어신호 및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이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120)가 진공 챔버(13)의 하부에 위치되면, 승강 실린더(23)의 작동을 통해 진공 챔버(13)를 하강시켜서, 트레이(12)의 주변을 하부 챔버(11)에 의해 밀폐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 배기 밸브(16)와 첵 밸브(14)는 Open, 대기 개방 밸브(17)는 Close 시킨다.
다음, 진공 펌프(18)를 작동시켜 진공 챔버(13) 내의 공기를 감압시킨다.
이때, 상부 챔버(10)와 하부 챔버(11) 간의 압력차가 약 100 Torr 정도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하부 챔버(11)의 압력을 검사하여 -500 Torr 이하이면 첵 밸브(14)를 Close 시킨 다음, 상부 챔버(10)의 압력을 검사하여 -600 Torr 이하이면 진공 펌프(18)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와 함께 감압 배기 밸브(16)를 Close 시킨다.
결국, 상부 챔버(10)와 하부 챔버(11)는 약 100 Torr 정도의 압력차가 유지되며, 이때의 압력차에 의해 하부 챔버(11)의 공기(가스 포함)가 센서(13)를 경유하여 상부 챔버(10)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이때의 센서(13)의 출력이 제어부(19)로 입력되므로, 배터리 누액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 검사 완료 후(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의 압력이 같아진 시점), 대기 개방 밸브(17)를 Open 하여 챔버 내의 진공 압력을 대기압과 같게 맞춘다.
이렇게 챔버 내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지면 승강 실린더(23)를 작동시켜 챔버를 개방하고, 트레이를 이동시킨다.
이때, 누액 검출여부에 따라서 불량품과 정품을 구분하여 트레이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진공 방식의 챔버를 이용하는 보다 간단한 장비에 의하여 정밀한 이차전지의 밀봉 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 누액 판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 배터리 누액을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상부 챔버 11 : 하부 챔버
12 : 구획 벽 13 : 센서
14 : 첵 밸브 15 : 진공 챔버
16 : 감압 배기 밸브 17 : 대기 개방 밸브
18 : 진공 펌프 19 : 제어부
20 : 센서 하우징 20a : 하우징 캡
20b : 하우징 몸체 21 : 가스 유입통로
22 : 가스 배출통로 23 : 승강 실린더
24 : 트레이 안착프레임 25a,25b : 압력계

Claims (6)

  1. 진공 방식의 챔버를 이용하여 이차전지의 밀봉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로서,
    상부 챔버(10)와 검사대상물이 수용되는 하부 챔버(11)로 구성되고 상하부 챔버(10,11) 간의 구획 벽(12)에는 다수의 센서(13) 및 첵 밸브(14)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 챔버(15);
    상기 상부 챔버(10)측과 하부 챔버(11)측에 각각 구비되는 감압 배기 밸브(16) 및 대기 개방 밸브(17);
    상기 감압 배기 밸브(16)와 연결되어 챔버 내부에 진공을 조성하는 진공 펌프(18);
    상기 상하부 챔버(10,11) 내의 압력에 따라 진공 펌프(18)와 밸브류(14,16,17)의 작동을 제어하며 센서(13)로부터 제공되는 검출값을 입력받는 제어부(19);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챔버와 하부 챔버 간에 압력차를 조성하고, 이때의 압력차에 따른 전해액 가스의 이동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검사대상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액 가스의 유무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13)는 구획 벽(12)에 설치되는 센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20)은 하우징 내부와 하부 챔버(11)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가스 유입통로(21)와, 상기 가스 유입통로(21)에 대해 방향이 꺽이면서 하우징 내부와 상부 챔버(10)의 공간을 연통시켜주는 가스 배출통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13)는 유기용제 가스 검출에 적합한 반도체 형식의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챔버(15)는 승강 실린더(23)에 의해 상승 및 하강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공정라인상에 위치되어, 검사를 위한 검사대상물 정지시 하강하여 폐쇄상태가 되고, 검사 후 검사대상물 이동시 상승하여 개방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물은 다수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차전지 제조 공정에서 조립 공정과 화성 공정 사이에 크리닝 공정과 누액 검사 공정이 마련되고, 상기 누액 검사 공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KR1020110033389A 2011-04-11 2011-04-11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KR101198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89A KR101198857B1 (ko) 2011-04-11 2011-04-11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3389A KR101198857B1 (ko) 2011-04-11 2011-04-11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5835A true KR20120115835A (ko) 2012-10-19
KR101198857B1 KR101198857B1 (ko) 2012-11-07

Family

ID=47284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3389A KR101198857B1 (ko) 2011-04-11 2011-04-11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8857B1 (ko)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59B1 (ko) * 2012-06-22 2013-07-31 성진정밀(주) 리크 테스터
CN103234714A (zh) * 2013-03-22 2013-08-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大容量动力锂离子防爆阀密封性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03471842A (zh) * 2013-10-14 2013-12-25 东莞市贝尔试验设备有限公司 一种高精度电池泄压安全试验装置
KR20160098774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 방법
KR20160143038A (ko) 2015-06-04 2016-12-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70042973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셀의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CN107452902A (zh) * 2017-08-16 2017-12-08 中原工学院 极柱同侧设置的可拆卸可即时采气分析的可充锂离子电池
CN108444650A (zh) * 2018-06-15 2018-08-24 深圳前海久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半自动电池漏液检测设备
JP2019009049A (ja) * 2017-06-27 2019-01-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池セル
CN109596272A (zh) * 2019-01-30 2019-04-09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电芯漏液检测设备
KR101981048B1 (ko) * 2017-12-26 2019-05-22 (주)동희산업 차량용 배터리케이스의 리크테스트장치
CN110608861A (zh) * 2019-09-10 2019-12-24 深圳市誉辰自动化设备有限公司 软包电池密封性检测方法及装置
KR102169036B1 (ko) * 2020-03-19 2020-10-23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이차전지 셀에 대한 내압 측정 장치
CN112105904A (zh) * 2018-05-11 2020-12-18 马波斯S.P.A.公司 用于对电池单元进行泄漏测试的方法和相关的泄漏测试系统
CN112133564A (zh) * 2020-09-25 2020-12-25 扬州升阳电子有限公司 一种防漏电的带有防误触接线端子的固态电容器
WO2022025688A1 (ko) 2020-07-29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모듈 어셈블리용 가스탐지장치 및 가스탐지 방법
KR102390992B1 (ko) * 2021-10-14 2022-04-27 (주)티톱이앤지 이차전지 전해액의 누출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의 누출 검사방법
CN114518202A (zh) * 2022-01-24 2022-05-20 威胜集团有限公司 液态电池检测装置
CN114964643A (zh) * 2022-01-06 2022-08-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检漏方法、控制器和二次电池检漏系统
KR20220135373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의 전해액 누액 검출장치
KR102454249B1 (ko) * 2022-04-29 2022-10-17 주식회사 파인텍 이차전지 캔 리크 검사장치
KR102469953B1 (ko) * 2022-07-29 2022-11-23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전해액이 주입된 배터리의 voc 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20230004050A (ko) * 2021-06-30 2023-01-06 한국기계연구원 반복 충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방법
KR102487786B1 (ko) * 2022-10-28 2023-01-12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진공챔버를 이용한 배터리의 voc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WO2023085523A1 (ko) * 2021-11-10 2023-05-19 (주)엔에스 이차전지 제조 장치 및 그의 이차전지 리크 검사 방법
CN116929668A (zh) * 2023-09-19 2023-10-24 南方科技大学 一种用于检测液流电池隔膜的检测装置及检测处理方法
CN117249945A (zh) * 2023-11-20 2023-12-19 福建祥鑫新能源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池托盘密封性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105B1 (ko) * 2013-10-16 2018-04-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누설감지 가능한 이차전지용 가압장치
KR102273782B1 (ko) * 2018-03-13 202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리크 검사 방법
DE202023102567U1 (de) 2023-05-11 2023-05-26 Mafu Robotics GmbH Vorrichtung zur Dichteprüfung von elektrochemischen Zell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0315B2 (ja) 2004-12-17 2009-07-2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ガスリーク評価装置
JP4843947B2 (ja) 2005-01-19 2011-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及び、気密検査装置
JP4571194B2 (ja) 2008-01-30 2010-10-27 行政院原子能委員会核能研究所 Sofcバッテリパック用封止材の高温漏れ検出装置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559B1 (ko) * 2012-06-22 2013-07-31 성진정밀(주) 리크 테스터
CN103234714A (zh) * 2013-03-22 2013-08-0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大容量动力锂离子防爆阀密封性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CN103471842A (zh) * 2013-10-14 2013-12-25 东莞市贝尔试验设备有限公司 一种高精度电池泄压安全试验装置
KR20160098774A (ko) * 2015-02-11 2016-08-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 방법
KR20160143038A (ko) 2015-06-04 2016-12-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KR20170042973A (ko) * 2015-10-12 2017-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전지셀의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JP2019009049A (ja) * 2017-06-27 2019-01-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電池セル
CN107452902A (zh) * 2017-08-16 2017-12-08 中原工学院 极柱同侧设置的可拆卸可即时采气分析的可充锂离子电池
KR101981048B1 (ko) * 2017-12-26 2019-05-22 (주)동희산업 차량용 배터리케이스의 리크테스트장치
CN112105904A (zh) * 2018-05-11 2020-12-18 马波斯S.P.A.公司 用于对电池单元进行泄漏测试的方法和相关的泄漏测试系统
CN108444650A (zh) * 2018-06-15 2018-08-24 深圳前海久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半自动电池漏液检测设备
CN109596272A (zh) * 2019-01-30 2019-04-09 惠州市德赛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电芯漏液检测设备
CN110608861A (zh) * 2019-09-10 2019-12-24 深圳市誉辰自动化设备有限公司 软包电池密封性检测方法及装置
KR102169036B1 (ko) * 2020-03-19 2020-10-23 주식회사 와이에이치티 이차전지 셀에 대한 내압 측정 장치
KR20220014567A (ko) 2020-07-29 2022-02-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모듈 어셈블리용 가스탐지장치 및 가스탐지 방법
WO2022025688A1 (ko) 2020-07-29 2022-02-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모듈 어셈블리용 가스탐지장치 및 가스탐지 방법
CN112133564A (zh) * 2020-09-25 2020-12-25 扬州升阳电子有限公司 一种防漏电的带有防误触接线端子的固态电容器
KR20220135373A (ko) * 2021-03-30 2022-10-07 주식회사 민테크 배터리의 전해액 누액 검출장치
KR20230004050A (ko) * 2021-06-30 2023-01-06 한국기계연구원 반복 충격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 시험방법
KR102390992B1 (ko) * 2021-10-14 2022-04-27 (주)티톱이앤지 이차전지 전해액의 누출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의 누출 검사방법
WO2023063586A1 (ko) * 2021-10-14 2023-04-20 (주)티톱이앤지 이차전지 전해액의 누출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해액의 누출 검사방법
WO2023085523A1 (ko) * 2021-11-10 2023-05-19 (주)엔에스 이차전지 제조 장치 및 그의 이차전지 리크 검사 방법
CN114964643A (zh) * 2022-01-06 2022-08-30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检漏方法、控制器和二次电池检漏系统
CN114518202A (zh) * 2022-01-24 2022-05-20 威胜集团有限公司 液态电池检测装置
KR102454249B1 (ko) * 2022-04-29 2022-10-17 주식회사 파인텍 이차전지 캔 리크 검사장치
KR102469953B1 (ko) * 2022-07-29 2022-11-23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전해액이 주입된 배터리의 voc 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2487786B1 (ko) * 2022-10-28 2023-01-12 주식회사 메타덱스터 진공챔버를 이용한 배터리의 voc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N116929668A (zh) * 2023-09-19 2023-10-24 南方科技大学 一种用于检测液流电池隔膜的检测装置及检测处理方法
CN116929668B (zh) * 2023-09-19 2023-12-15 南方科技大学 一种用于检测液流电池隔膜的检测装置及检测处理方法
CN117249945A (zh) * 2023-11-20 2023-12-19 福建祥鑫新能源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池托盘密封性检测装置
CN117249945B (zh) * 2023-11-20 2024-01-26 福建祥鑫新能源汽车配件制造有限公司 一种电池托盘密封性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8857B1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857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KR102273782B1 (ko) 배터리 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리크 검사 방법
US968018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led battery
KR101691754B1 (ko) 전지 제조 방법
KR101634310B1 (ko) 소형 2차 전지 가스추출 시스템
KR101726337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US20180217020A1 (en) Sensor unit and airtightness inspection device
KR102381108B1 (ko) 이차 전지의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CN207881911U (zh) 燃料电池极板的气密性检测装置
CN102297752A (zh) 一种电池壳体测漏设备及测漏方法
WO2022227907A1 (zh) 箱体的检漏方法及检漏系统
JP2009026569A (ja) 密閉型電池の気密検査方法及び密閉型電池
KR102092270B1 (ko) 파우치형 전지셀의 리크 검출장치 및 방법
KR101843708B1 (ko) 배터리 누액 검사장치
KR20180111122A (ko) 이차전지의 리크검사시스템
KR101848105B1 (ko) 누설감지 가능한 이차전지용 가압장치
KR100537603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102487786B1 (ko) 진공챔버를 이용한 배터리의 voc누출가스 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0416784B1 (ko) 이차전지의 리크 검사장치 및 방법
CN106568554B (zh) 一种检测动力电池系统状态的方法
KR101719408B1 (ko)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용 지그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불량 검출 방법
CN209979183U (zh) 电池密封性检测装置
CN115824521A (zh) 密封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583409B1 (ko) 캡어세이 리크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75969A (ko) 이차전지용 리크 검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