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001B1 -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001B1
KR101262001B1 KR1020100121188A KR20100121188A KR101262001B1 KR 101262001 B1 KR101262001 B1 KR 101262001B1 KR 1020100121188 A KR1020100121188 A KR 1020100121188A KR 20100121188 A KR20100121188 A KR 20100121188A KR 101262001 B1 KR101262001 B1 KR 10126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ion layer
gas diffusion
fuel cell
unit
inspectio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766A (ko
Inventor
안상열
이근제
홍보기
안병기
이성근
임태원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0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가스확산층 검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스확산층 부품의 품질 특성을 사전에 신속하게 검수함으로써, 불량 부품 투입을 사전에 차단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가스확산층 검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양산 조립 공정중, 기체확산층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과정 이전에 기체확산층의 치수, 두께, 전기전도도, 무게, 휨강도 특성 등과 같은 물성을 동시에 측정하여, 물성 측정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양품 판정된 기체확산층만을 스택 조립 공정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Device for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of GDL for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전지 스택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스확산층 부품의 품질 특성을 사전에 신속하게 검수함으로써, 불량 부품 투입을 사전에 차단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fuel cell)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반응가스(수소 및 공기중 산소)의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면서 반응 생성물인 열과 전기 에너지를 얻는 장치를 말하고, 이러한 연료전지를 구성하는 각 셀들을 수백 개 이상 적층시킨 것을 연료전지 스택이라 한다.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각 셀 단위 구성을 보면, 고분자 전해질 막을 중심으로 그 양편에 공기극인 캐소드(Cathode) 및 연료극인 애노드(Anode)가 형성된 막전극 접합체(MEA), 캐소드 및 애노드의 바깥쪽에 차례로 적층되는 기체확산층 및 가스켓을 갖는 분리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기체확산층은 미세기공층과 거대기공지지체 등으로 구성되어,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 표면에 각각 산화극 및 환원극을 위해 도포된 촉매층의 외표면에 접착된 후, 반응 기체인 수소 및 공기(산소) 공급,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자 이동, 반응 생성수를 배출시켜 연료전지 셀(Cell)내 물 범람 현상을 최소화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체확산층의 분리판 채널로의 침투현상이 발생하면 반응 기체 및 생성수 등의 물질전달에 필요한 채널 공간이 부족해지고, 기체확산층과 분리판 리브(Rib) 또는 랜드(Land) 및 고분자 전해질 막-전극 접합체와의 접촉 저항이 증가할 수 있어 연료전지 셀 성능 저하의 큰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체확산층의 굽힘 강성(Bending Stiffness)을 비롯하여, 두께, 전기저항, 차압 특성 등과 같은 물성을 미리 평가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갖는 기체확산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종래기술의 일례로서, 국내특허공개번호 20110-01102358에는 모터 및 로드가 구동함과 함께 상부 지그가 하강하여 기체확산층 시편을 압력 조절 가능하게 가압하여, 기체확산층 시편의 두께 변화를 측정하고, 이와 동시에 밀리오옴미터와 차압측정계로 구성된 컨트롤 박스에 의하여 저항 측정과 차압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체확산층(GDL)의 두께, 전기저항, 차압 특성 평가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한 기체확산층 물성 평가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기체확산층 물성 평가 장치는 기체확산층(GDL)의 기초 연구 물성 평가 장치로는 적합하지만, 양산을 위한 자동화 검수 장비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장치는 기체확산층의 물성 평가 시간이 기체확산층 1장당 1시간 이상 소요됨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의 1기 당 수백 장의 기체확산층이 투입되는 점을 고려하면 양산을 위한 실제 자동화 대면적 기체확산층 검수 장비에 부적합하고, 또한 실제 연료전지 스택의 양산에 필요한 기체확산층의 주요 물성치 평가 항목과는 매우 상이하여 양산 장비로 적용하는데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전지 스택의 양산 조립 공정중, 기체확산층을 공급하는 부품 공급 과정 이전에 기체확산층의 치수, 두께, 전기전도도, 무게, 휨강도 특성 등과 같은 물성을 동시에 측정하여, 물성 측정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양품 판정된 기체확산층만을 스택 조립 공정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한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급된 기체확산층을 안착 고정시키는 동시에 기체확산층의 무게 및 휨 강도를 측정하는 하부 검수 지그부와; 하부 검수 지그부의 상부쪽에 이격 배치되되,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검수 지그부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의 치수 및 표면 오염을 판정하는 다수개의 비젼 검수부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측정부와; 기체확산층의 양품 및 불량품을 판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는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부품인 기체확산층을 검수 위치로 자동 공급하는 기체확산층 자동공급수단과, 기체확산층의 양품 판정후에 불량 판정된 것을 취출시키는 취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하부 검수 지그부는: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기체확산층의 중앙부 저면을 받쳐주는 중앙 지지대와;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사이드 지지대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에 대한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을 고정하는 사이드 지지대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확산층의 처짐량을 감지하는 위치센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체확산층의 처짐량 측정중, 상부 검수 지그부가 기체확산층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중 어느 하나가 기체확산층을 받쳐주는 동시에 다른 하나 및 중앙 지지대가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두께 측정부는 상부 검수 지그부의 상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가 기체확산층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될 때, 수 ㎛ ~ 수백 ㎛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두께측정센서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전기전도도 측정부는 상부 검수 지그부의 상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가 기체확산층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될 때, 수십 mΩ­㎠ 이하 범위의 비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비전기저항계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체확산층에 대한 물성치 즉, 치수, 표면 오염도, 두께전기전도도, 무게, 휨강도 등을 한꺼번에 측정하여, 기체확산층의 양품 판정을 위한 사전 검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기체확산층의 (치수/표면 오염도)→(두께/전기전도도)→(무게/휨강도) 검수 과정이 하나의 장소에서 미차를 두고 3단계로 진행되어, 기체확산층에 대한 검수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약 1분 이내/기체확산층 1매당 예상).
또한, 여러가지 물성을 하나의 장치에서 측정함에 따라, 기존에 여러 개로 분할된 검수 장치 6대를 1대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설치 공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및 방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연료전지 스택은 전해질막의 양면에 캐소드 및 애노드 촉매층이 접합된 막-전극 접합체(MEA), 각 촉매층의 바깥쪽에 적층 부착되는 기체확산층, 그리고 기체확산층의 바깥쪽에 적층되는 분리판 등으로 이루어진 셀이 수 백장 이상 적층된 구조로 제작된다.
이러한 연료전지 스택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스택 제작 이전에 막-전극 어셈블리와 기체확산층을 접합하여 5층 구조로 만드는데, 이때 양품 기준을 통과한 기체확산층만을 투입해야 연료전지의 성능과 품질 안정화를 이룰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스택의 제작시, 양품 기준을 벗어난 기체확산층 부품이 투입될 경우, 스택의 출력성능 및 내구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연료전지 스택을 탑재한 차량의 운행 시, 수백 장의 기체확산층중 단 한 장의 부품 불량으로도 차량 운행이 정지(Shut down)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양품의 기체확산층만을 투입해서 스택을 제작해야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구성품인 기체확산층에 대한 양품 판정을 정확하게 내리면서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는, 기체확산층에 대한 여러 물성치( 치수, 표면 오염도, 두께전기전도도, 무게, 휨강도)를 한꺼번에 측정하여, 기체확산층의 양품 판정을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검수 장치는 기체확산층(110)을 검수 위치로 자동 공급하는 기체확산층 자동공급수단(42)과, 자동공급수단(42)으로부터 공급된 기체확산층(110)을 안착 고정시키는 동시에 기체확산층의 무게 및 휨 강도를 측정하는 하부 검수 지그부(20)와, 하부 검수 지그부(20)의 상부쪽에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검수 지그부(30)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의 치수 및 표면 오염을 판정하는 다수개의 비젼 검수부(32)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34)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측정부(36)와, 각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기체확산층(110)의 양품 및 불량품을 판정하는 제어부(40)와, 기체확산층(110)의 양품 판정후에 불량 판정된 것을 취출시키는 취출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검수 지그부(20)는 자동공급수단(42)으로부터 공급된 기체확산층(11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3개의 파트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 검수 지그부(20)의 중앙부쪽에는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기체확산층(110)의 중앙부 저면을 받쳐주는 중앙 지지대(22)가 배치되고, 양측부에는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사이드 지지대(24)에 배치되며, 특히 각 사이드 지지대(24)에는 기체확산층(110)에 대한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이 고정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형 무게 로드셀(26)을 고정하는 사이드 지지대(24) 또는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8)을 고정하는 사이드 지지대(24)에는 기체확산층(110)의 처짐량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25)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일 구성중 소정 면적의 지그판(38)이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지그판(38)의 각 모서리 위치에 비젼 카메라와 같은 비젼 검수부(32)가 장착되어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기체확산층(110)의 전체 치수 및 표면을 촬영하고, 그 영상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40)에서 기체확산층(110)의 치수 및 표면 오염도를 판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다른 구성으로서, 지그판(38)의 상면 중앙 영역에 두께 측정부(34)가 장착되는 바, 이 두께 측정부(34)는 수 ㎛ ~ 수백 ㎛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두께측정센서로 채택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지그판(38)이 기체확산층(110)을 일정 압력으로 밀착할 때, 기체확산층의 두께를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또 다른 구성으로서, 지그판(38)의 상면에서 두께 측정부(34)와 인접한 위치에 전기전도도 측정부(36)가 장착되는 바, 이 전기전도도 측정부(36)는 수십 mΩ­㎠ 이하 범위의 비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비전기저항계로 채택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지그판(38)이 기체확산층(110)을 일정 압력으로 밀착할 때, 기체확산층의 전기전도도를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공급수단(42)는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로봇 등을 이용하여 기체확산층을 하부 검수 지그부(20)로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취출부(44)도 컨베이어 벨트 또는 이송로봇 등을 이용하여 하부 검수 지그부(2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을 기반으로 진행되는 발명의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기체확산층의 물성 측정 과정은 치수/표면 오염도, 두께/전기전도도, 무게/휨강도 측정 등이 한꺼번에 진행되되, 미차를 두고 총 3단계로 진행된다.
기체확산층의 치수 및 표면 오염도(도 1 참조)
먼저, 자동공급수단(42)으로부터 기체확산층(110)이 공급되어 하부 검수 지그부(20)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22) 및 사이드 지지대(24)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검수 지그부(20)의 위쪽에 배치된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비젼 검수부(32, 예를 들어, 비젼 카메라)에서 기체확산층(110)을 촬영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에서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기체확산층의 가로 및 세로 크기를 산출하는 등 기체확산층의 치수를 계산하는 동시에 설계된 치수와 비교하여, 동일하면 양품 판정을 내리고, 동일하지 않으면 불량품 판정을 내리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에서 영상신호를 기반으로 기체확산층의 표면에 오염물질이 쌓이는 등의 오염도를 계측하는 동시에 설계된 기준 오염도와 비교하여, 기준 오염도 이내이면 양품 판정을 내리고, 기준 오염도를 벗어나면 불량품 판정을 내리게 된다.
이후, 양품 판정된 기체확산층은 스택 조립 공정으로 이송되고, 불량품 판정인 경우에는 제어부(40)의 신호를 받은 취출부(44)의 작동에 의하여 제거된다.
기체확산층의 두께 및 전기전도도(도 2참조)
자동공급수단(42)으로부터 기체확산층(110)이 공급되어 하부 검수 지그부(20)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22) 및 사이드 지지대(24)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지그판(38)이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하강하여 기체확산층(110)에 밀착된다.
즉, 상기 지그판(38)이 기체확산층(110)에 대하여 2∼5 N/㎠ 범위의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는 상태에서 기체확산층의 두께와 비전기저항값에 대한 양불판정 과정이 진행된다.
위와 같이, 기체확산층이 눌린 상태에서, 수 ㎛ ~ 수백 ㎛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두께측정센서로 채택된 두께측정부(34)에서 기체확산층에 대한 두께를 센싱하여 제어부(40)에 그 센싱 신호를 전송하고, 동시에 수십 mΩ­㎠ 이하 범위의 비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비전기저항계로 채택된 전기전도도 측정부(36)에서 기체확산층에 대한 비전기저항을 센싱하여 제어부(40)에 그 센싱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에서 기체확산층의 두께 센싱 신호 및 비전기저항 센싱 신호를 설계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내이면 양품 판정을 내리고, 기준값을 벗어나면 불량품 판정을 내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양품 판정된 기체확산층은 스택 조립 공정으로 이송되고, 불량품 판정인 경우에는 제어부(40)의 신호를 받은 취출부(44)의 작동에 의하여 제거된다.
기체확산층의 무게 및 휨강도(도 3a 및 도 3b 참조)
기체확산층(110)이 하부 검수 지그부(20)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22) 및 사이드 지지대(24)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기체확산층에 대한 무게가 측정된다.
먼저, 상기 기체확산층(110)을 받쳐주고 있던 중앙 지지대(22)가 승하강 구동수단에 의하여 하강하여 중앙 지지대(22)가 기체확산층(110)과 비접촉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제1 및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은 기체확산층(110)을 계속 받쳐주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에서 기체확산층(110)의 무게(측정단위: <수 g)를 측정하여, 그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고, 연이어 제어부(40)에서 기체확산층의 무게 센싱 신호를 설계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내이면 양품 판정을 내리고, 기준값을 벗어나면 불량품 판정을 내리게 된다.
반면, 상기 기체확산층에 대한 휨강도 측정은 기체확산층(110)이 하부 검수 지그부(20)를 구성하는 중앙 지지대(22) 및 사이드 지지대(24)의 상면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지그판(38)이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하강하여 기체확산층(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때,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가 기체확산층(110)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중 어느 하나가 기체확산층(110)을 받쳐주는 동시에 다른 하나 및 중앙 지지대(22)가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면, 기체확산층(110)의 일측단만이 고정되어 타측단부가 밑으로 처지게 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을 고정시키고 있는 사이드 지지대(24)의 위치센서(25)에서 기체확산층(110)의 처짐량을 센싱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4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위치 센서(25)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에서 처짐량 대비 기체확산층의 휨강도(측정단위: 수 N㎟∼수십 N㎟)를 계산하여, 기준값 이내이면 양품 판정을 내리고, 기준값을 벗어나면 불량품 판정을 내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양품 판정된 기체확산층은 스택 조립 공정으로 이송되고, 불량품 판정인 경우에는 제어부(40)의 신호를 받은 취출부(44)의 작동에 의하여 제거된다.
110 : 기체확산층 20 : 하부 검수 지그부
22 : 중앙 지지대 24 : 사이드 지지대
25 : 위치센서 26 : 제1 고정형 무게 로드셀
28 :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 30 : 상부 검수 지그부
32 : 비젼 검수부 34 : 두께 측정부
36 : 전기전도도 측정부 38 : 지그판
40 : 제어부 42 : 자동공급수단
44 : 취출부 50: 승하강 구동수단

Claims (7)

  1. 공급된 기체확산층(110)을 안착 고정시키는 동시에 기체확산층의 무게 및 휨 강도를 측정하는 하부 검수 지그부(20)와;
    하부 검수 지그부(20)의 상부쪽에 이격 배치되되,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 검수 지그부(30)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의 치수 및 표면 오염을 판정하는 다수개의 비젼 검수부(32)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부(34)와;
    상기 상부 검수 지그부(30)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에 대한 전기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측정부(36)와;
    기체확산층(110)의 양품 및 불량품을 판정하는 제어부(4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연료전지 스택을 구성하는 부품인 기체확산층(110)을 검수 위치로 자동 공급하는 기체확산층 자동공급수단(42)과, 기체확산층(110)의 양품 판정후에 불량 판정된 것을 취출시키는 취출부(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검수 지그부(20)는: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기체확산층(110)의 중앙부 저면을 받쳐주는 중앙 지지대(22)와;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사이드 지지대(24)에 장착되어 기체확산층(110)에 대한 무게를 측정하는 제1 및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을 고정하는 사이드 지지대(24)중 어느 하나에는 기체확산층(110)의 처짐량을 감지하는 위치센서(2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체확산층(110)의 처짐량 측정중, 상부 검수 지그부(30)가 기체확산층(110)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고정형 무게 로드셀(26,28)중 어느 하나가 기체확산층(110)을 받쳐주는 동시에 다른 하나 및 중앙 지지대(22)가 승하강 구동수단(50)에 의하여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두께 측정부(34)는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상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30)가 기체확산층(110)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될 때, 수 ㎛ ~ 수백 ㎛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두께측정센서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도 측정부(36)는 상부 검수 지그부(30)의 상면 중앙 영역에 장착되어, 상부 검수 지그부(30)가 기체확산층(110)에 일정 압력으로 밀착될 때, 수십 mΩ­㎠ 이하 범위의 비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비전기저항계로 채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KR1020100121188A 2010-12-01 2010-12-01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KR10126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88A KR101262001B1 (ko) 2010-12-01 2010-12-01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188A KR101262001B1 (ko) 2010-12-01 2010-12-01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766A KR20120059766A (ko) 2012-06-11
KR101262001B1 true KR101262001B1 (ko) 2013-05-08

Family

ID=4661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188A KR101262001B1 (ko) 2010-12-01 2010-12-01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67A (ko) * 2016-03-04 2017-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gdl 커팅시스템 및 커팅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860B1 (ko) * 2012-12-24 2014-05-27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가스켓 접착력 검사장치
CN110548701B (zh) * 2019-09-12 2021-09-03 江苏硕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空心电抗器的质量检测装置及质量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16B1 (ko) 2007-12-11 2009-06-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에서 쓰이는 기체확산층의 압력에 따른 길이,저항, 차압 등을 측정하는 물성평가장치
KR100972956B1 (ko) 2010-05-04 2010-07-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품질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16B1 (ko) 2007-12-11 2009-06-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에서 쓰이는 기체확산층의 압력에 따른 길이,저항, 차압 등을 측정하는 물성평가장치
KR100972956B1 (ko) 2010-05-04 2010-07-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품질 검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3567A (ko) * 2016-03-04 2017-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의 gdl 커팅시스템 및 커팅방법
KR101896320B1 (ko) 2016-03-04 2018-09-07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연료전지의 gdl 커팅시스템
US10786867B2 (en) 2016-03-04 2020-09-29 Kia Motors Corporation GDL cutting system of fuel cell and cu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766A (ko) 2012-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516B1 (ko)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검사장치
US96537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s of fuel cell membrane-electrode assembly
US20130269436A1 (en) Flaw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uel Cell Components
KR101262001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 장치
KR100972956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품질 검사 장치
KR20180111122A (ko) 이차전지의 리크검사시스템
KR101290559B1 (ko) 리크 테스터
KR101394722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굽힘강성 비파괴 간접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27166B1 (ko) 연료전지의 막-전극 어셈블리 품질검사시스템 및 품질검사방법
KR20160022027A (ko) 수소센서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결함 검사 장치
KR20200144938A (ko) 연료전지 인라인 검사 방법
KR101405770B1 (ko) 접착 방지 효과가 우수한 연료전지용 금속 분리판의 자동 검수 장치 및 그 자동 검수 방법
US83146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amining ion-conductive electrolyte membrane
KR20100075294A (ko) 고전압을 이용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셀 결함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US7475600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lastic member quality
KR101666566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품질 자동 검사장치
KR20090047841A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테스트 장비 및 방법
US20210305602A1 (en) Method for inspecting gas leak from fuel cell stack
US11404710B2 (en) Assembled portion of a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s for inspecting the same
KR20120075229A (ko) 평판형 시편의 형상측정방법 및 형상측정장치
JP4918274B2 (ja) 燃料電池セル及び水電解セルの製造方法、並びに、セル構造体
KR101398860B1 (ko) 연료전지용 가스켓 접착력 검사장치
US11527769B2 (en) Method for inspecting gas leak from fuel cell stack
KR102153596B1 (ko)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검수장치 및 방법
JP4960903B2 (ja) 積層体の検査方法、検査装置及び検査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