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448A -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448A
KR20220061448A KR1020200147439A KR20200147439A KR20220061448A KR 20220061448 A KR20220061448 A KR 20220061448A KR 1020200147439 A KR1020200147439 A KR 1020200147439A KR 20200147439 A KR20200147439 A KR 20200147439A KR 20220061448 A KR20220061448 A KR 20220061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window
hin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예솔
박건후
Original Assignee
박예솔
박건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예솔, 박건후 filed Critical 박예솔
Priority to KR1020200147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448A/ko
Publication of KR20220061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격자구조로 결합시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에 힌지(40)의 일측 고정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를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하고 타측 가동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는 개폐창(30)에 설치된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11)에서 개폐창(30)이 힌지(40)의 힌지축(4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Conbination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windows installed on curtain wall}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격자구조로 결합시켜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을 설치하기 위한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커튼 월의 수직 및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창틀의 수직 프레임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힌지의 일측 고정부재를 결합시키고 힌지의 타측 가동부재를 개폐창의 창문 프레임에 결합시켜 개폐창의 개방각도를 수평으로 최대한 확보하고 개폐작동과 환기를 원활케 하며 힌지와 고정 및 창문 프레임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개폐창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 월(Curtain wall)은 구조물의 주체인 기둥과 보의 골조로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풍압,지진 등의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에서 단순히 공간을 막는 커튼 역할만 하는 비내력 칸막이벽으로 유닛 월,스틱 월 및 윈도우 월방식 등이 있다.
상기한 커튼 월은 건축구조물에 채광과 환기를 목적으로 시공되고 전면창문에는 기밀,단열 및 방음기능을 갖추면서 실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설치된 개폐창의 하부가 실내로부터 실외측으로 경사면(약 40-60도 정도)을 이루면서 여닫는 구조의 프로젝트 창이 시공되고 있다.
상기 프로젝트 창은 알루미늄 소재로 성형된 창틀과 창문의 접촉부위에 가스켓을 적용하여 단열성과 방음성이 우수하고 배수기능를 구비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면서 외관의 심미감을 구현시키는 장점은 있으나 건축구조물의 실내공기를 환기 시키기 위한 개폐창으로 프로젝트 창을 적용하여 창의 개폐범위가 한정되어 환기기능을 수행하기 어렵고 환기성능의 저하로 개폐창을 수평방향으로 최대 180도 범위까지 개방시킬 수 있는 개폐창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수평방향 개폐창은 창틀과 개폐문을 연결하는 힌지가 창문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성과 결합구조가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종래의 커튼 월에 적용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78296호(경첩),공개특허 제10-2018-0060117호(연속기어경첩을 구비한 창호 시스템) 및 등록특허 제10-1264081호(창호용 경첩) 등이 제시되었습니다.
상기 첫 번째 등록실용신안은 제1단위경첩 연결부의 외주면에 나사 형성된 결합공이 사선방향으로 90°내지 120°범위 내에 다수개 형성되고 결합공에는 제2단위경첩의 회전 반경을 제어하는 스토퍼가 결합되며 스토퍼의 일측은 나사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고무 및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두 번째 공개특허는 창틀프레임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성형한 수평리브의 끝에 원호의 일부 구간을 따라 배열되게 고정기어가 형성되고 창틀프레임에 상응하여 여닫게 되는 창문프레임의 상단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수직리브를 형성하되 그 수직리브의 끝에 고정기어와 대칭을 이루면서 맞물리게 가동기어가 형성되며 고정기어와 가동기어의 상부 외측에 상호 일체로 구속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기어를 기점으로 가동기어를 회동 가능하게 너클부를 구비한 클램프가 결합되며 수평리브의 상부에 클램프를 은폐되게 하는 프로파일 형태의 커버부재가 결합되어 있되 창문프레임에 구비된 수직리브의 외측에 상단부가 커버부재의 끝에 밀착되면서 배수통로를 확보되게 외장패널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세 번째 등록특허는 고정편은 힌지와 일단이 연결되어 창틀의 끝단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과 제1고정편의 타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창틀의 측면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회전편은 힌지와 일단이 연결되어 창문 끝단의 돌출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1회전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고정편 또는 회전편에는 처짐방지수단을 구비한 구조이다.
상기 첫 번째 등록실용신안은 제1,제2 단위경첩을 각각의 연결부로 결합시키고 제1경첩의 연결부에 결합공을 다수 형성하여 스톱퍼를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제2단위경첩의 회전 반경을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일반적인 경첩에 문의 개방각도 만을 제어하는데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두 번째 공개특허는 수평리브와 수직리브에 각각 고정기어와 가동기어를 설치하고 클램프로 결합된 구조로 창문의 개폐작동을 기어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구조이나 상기 고정기어와 가동기어가 맞물려 반복작동되면서 각 기어에 맞물린 치차가 유격이 발생하여 창틀과 창문의 기밀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창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세 번째 등록특허는 고정편의 제1,제2경첩돌기를 창틀의 제1,제2돌기홈에 삽입하고 그 외부 공간에 별도의 보강봉을 추가로 끼워서 결합시키고 회전편의 제3경첩돌기는 창문의 제3돌기홈에 삽입하고 창문돌기홈은 창문의 끝단 창문돌기에 삽입하여 형성되는 창호용 경첩으로 각각의 돌기홈에 돌기를 삽입시키고 돌기의 남은 공간에 보강봉을 삽입시키는 구조로 시공이 불편하고 장기간 반복 작동으로 보강봉이 탈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고정편과 회전편을 창문과 창틀에 별도로 볼팅시켜 고정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출된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커튼 월에 설치된 수직방향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창을 개방각도가 자유로운 개폐창(수평방향)으로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수직프레임과 개패창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이드에 힌지의 고정,가동부재의 돌조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볼트로 고정시키므로 개폐창의 수평방향 개방각도를 자유롭게 하고 개폐창의 장시간 반복 개폐작동으로 힌지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개폐창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에 힌지의 일측 고정부재 상에 일방향 돌조를 삽입,결합시켜 볼트로 고정하고 타측 가동부재 상에 일방향 돌조는 개폐창에 설치된 창문 프레임의 가이드에 삽입,결합시켜 볼트로 고정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에서 개폐창이 힌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의 가이드와 창문 프레임의 가이드에 힌지의 일방향 돌조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볼트로 각각 고정시킨 후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절곡부와 수평부에서 볼트로 각각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에 이차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존 수직방향 개폐구조의 프로젝트 창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는 커튼 월의 개폐창으로 변경하기 위한 결합구조로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창문 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에 일방향 돌조,고정,가동부재,절곡부 및 수평부가 형성된 힌지를 적용하고 볼트로 고정하여 개폐창의 개방각도를 자유롭게하며 실내,외 공기의 환기를 원활하게 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의 가이드에 힌지의 일방향 돌조를 슬라이딩 삽입 및 볼트로 고정시켜서 결합하므로 개폐창의 장시간 반복 개폐작동으로 힌지의 체결력이 저하되어 개폐창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과 현장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의 가이드에 힌지를 견고하게 결합이 가능케 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동구조 개념도
도 3 은 본 발명의 부분 결합구조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 힌지의 고정부재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 힌지의 가동부재 상세도
이하 발명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커튼 월의 수직프레임의 고정 프레임과 개폐창의 창문 프레임 사이에 힌지로 결합시킨 구조를 도시하였고,도 2 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따른 작동구조 개념도로 수직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된 개폐창이 수평방향으로 개폐작동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며,도 3 은 본 발명의 부분 결합구조 예시도로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 사이에 힌지로 연결,결합시키는 구조를 도시하였고,도 4,5 는 본 발명 힌지의 고정부재 및 가동부재 상세도로 힌지축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가동부재의 각 구조(일방향 돌조,절곡부,수평부 등)를 도시하였다.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을 격자구조로 결합시켜 시공되는 커튼 월에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개폐창(30)을 수직프레임(10)에 힌지(40)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에 힌지(40)의 일측 고정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를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하고 타측 가동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는 개폐창(30)에 설치된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11)에서 개폐창(30)이 힌지(40)의 힌지축(4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기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와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힌지(40)의 일방향 돌조(42)(42')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볼트(43)(43')로 각각 고정시킨 후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1')의 절곡부(45)와 수평부(45')에서 볼트(46)(46')로 각각 고정 프레임(11)과 창문 프레임(31)에 이차 고정시킨 것이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1')는 타측 고정 프레임,(13)은 고정 프레임 결합 플레이트,(33)은 창문 프레임 결합 플레이트,(50)(50')는 복층유리,(51)은 아존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을 일방향 돌조,고정,가동부재,절곡부 및 수평부가 형성된 힌지로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을 힌지결합시켜 수평방향 개폐작동을 자유롭게 하여 원활한 환기가 가능케 하고 고정 프레임과 창문 프레임에 일방향 돌조를 슬라이딩 결합 및 볼팅과 절곡부 및 수평부에서 이차적인 볼팅으로 힌지의 체결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며 개폐창의 처짐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개폐창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이 격자구조로 결합 시공되는 커튼월에서 수직프레임(10)에 고정 프레임 결합 플레이트(13)와 함께 설치된 고정 프레임(11)과 개폐창(30)에 창문 프레임 결합 플레이트(33)와 함께 설치된 창문 프레임(31) 사이에 힌지(40)를 연결체로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개폐창(30)의 결합구조는 도 3 내지 도 5 와 같이 힌지축(44)의 일측에 절곡부(45)가 형성된 고정부재(41)와 타측에 수평부(45)가 형성된 가동부재(41')로 형성되고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1')의 각 선단 외측에 일방향 돌조(42)(42')가 형성된 힌지(40)로 상기 고정 프레임(11)과 창문 프레임(31)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에 힌지(40)의 일측 일방향 돌조(41)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고정시킬 위치를 결정한 후 볼트(43)로 고정부재(41)에서 고정 프레임(11)쪽으로 볼팅시켜 일차 고정하고 고정부재(41)의 절곡부(45)에서 볼트(46)로 고정 프레임(11)쪽으로 볼팅시켜 이차 고정시킨다.
상기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힌지(40)의 타측 일방향 돌조(41')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고정시킬 위치를 결정한 후 볼트(43')로 가동부재(41)에서 창문 프레임(31)쪽으로 볼팅시켜 일차 고정하고 가동부재(41')의 수평부(45')에서 볼트(46')로 창문 프레임(31)쪽으로 볼팅시켜 이차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힌지(40)를 매개로 고정 프레임(11)과 창문 프레임(31)을 결합시켜 도 2 와 같이 개폐창(30)을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개방 및 폐쇄작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수직프레임 11: 고정 프레임
12: 가이드 20: 수평프레임
30: 개폐창 31: 창문 프레임
32: 가이드 40: 힌지
41,41': 고정,가동부재 42,42': 일방향 돌조
43,43',46,46': 볼트 44: 힌지축
45,45': 절곡부,수평부

Claims (2)

  1. 수직프레임(10)과 수평프레임(20)을 격자구조로 결합시켜 시공되는 커튼 월에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개폐창(30)을 수직프레임(10)에 힌지(40)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설치된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에 힌지(40)의 일측 고정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를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하고 타측 가동부재(41') 상에 일방향 돌조(42')는 개폐창(30)에 설치된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삽입,결합시켜 볼트(43')로 고정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11)에서 개폐창(30)이 힌지(40)의 힌지축(44)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1)의 가이드(12)와 창문 프레임(31)의 가이드(32)에 힌지(40)의 일방향 돌조(42)(42')를 슬라이딩 삽입시켜 위치를 결정하고 볼트(43)(43')로 각각 고정시킨 후 고정부재(41)와 가동부재(41')의 절곡부(45)와 수평부(45')에서 볼트(46)(46')로 각각 고정 프레임(11)과 창문 프레임(31)에 이차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KR1020200147439A 2020-11-06 2020-11-06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KR20220061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39A KR20220061448A (ko) 2020-11-06 2020-11-06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439A KR20220061448A (ko) 2020-11-06 2020-11-06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448A true KR20220061448A (ko) 2022-05-13

Family

ID=8158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439A KR20220061448A (ko) 2020-11-06 2020-11-06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223B1 (ko) * 2023-08-22 2024-04-18 주식회사 지원이앤에스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223B1 (ko) * 2023-08-22 2024-04-18 주식회사 지원이앤에스 구조적 안전성이 증대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903Y1 (ko) 옆 바깥열기형 여닫이 창호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20061448A (ko) 커튼 월에 설치되는 개폐창의 결합구조
KR20110133693A (ko)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RU2581561C1 (ru) Окно с функцией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KR101354665B1 (ko)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200465152Y1 (ko) 프레임 미노출형 개폐식 창호
KR101769180B1 (ko) 창호 구조보강용 수직부재
KR102527301B1 (ko) 환기창용 경첩의 구조
KR100943028B1 (ko) 기어방식을 이용한 창호 여닫이 구조
KR102232521B1 (ko) 힌지도어
US8641102B2 (en) Multistage lock
KR10239886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경첩구조
JP6647928B2 (ja) 建具
JP7403694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KR200382777Y1 (ko) 레일 보수용 보강문틀 구조
JP2024056354A (ja) 改装建具
JP6675034B2 (ja) 建具
KR20100119590A (ko) 창호의 힌지 결합구조
JP7403692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KR102558132B1 (ko) 물넘침 방지를 위한 창틀의 분리형 레일
JP7475233B2 (ja) 建具
CN216588353U (zh) 一种新型上悬窗
KR102025185B1 (ko) 연동 도어 장착용 도어 수직 프레임
JP3222806B2 (ja) 建具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