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1308A -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1308A
KR20220061308A KR1020200146757A KR20200146757A KR20220061308A KR 20220061308 A KR20220061308 A KR 20220061308A KR 1020200146757 A KR1020200146757 A KR 1020200146757A KR 20200146757 A KR20200146757 A KR 20200146757A KR 20220061308 A KR20220061308 A KR 2022006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ccupant
seat
sign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원
Original Assignee
이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원 filed Critical 이규원
Priority to KR102020014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1308A/ko
Publication of KR2022006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33Seats; Arm rests; Head 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1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orce or pressur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1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통학차량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시에 통학차량에 탑승한 유아동의 착석 상태에 대해 파악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고,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시트를 구비하는 의자부; 의자부와 결합하고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탑승자의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밸트부; 시트와 안전밸트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부; 및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의자부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 또는 탑승자의 안전밸트부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SAFETY DEVICE FOR SCHOOL VEHICLES}
본 발명은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학차량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시에 통학차량에 탑승한 유아동의 착석 상태에 대해 파악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림이법이 시행되면서 차량 안전장치에 대한 관심이 크게 생겼고 정부에서도 공모를 통해 안전장치를 찾았지만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안전장치는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통학차량에서는 주행 중과 정차 시 모두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현재 사용 중인 제품들은 위 두 상황을 모두에 적용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3851호(발명의 명칭: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에서는, 통학차량의 시동 오프 시 기설정된 제1 시간동안 지연 후 작동하는 경보기; 통학차량의 시동 오프 시 작동하여 통학차량 내 탑승자를 감지하고, 탑승자 감지 시 상기 경보기의 작동을 위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센서; 통학차량의 뒷좌석 측에 설치되고, 통학차량의 시동 오프 시 눌려질 경우 상기 제1 시간동안 지연 후 작동하는 상기 경보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작동을 기설정된 제2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경보지연 스위치; 및 턴 오프 시 상기 경보기, 상기 동작감지센서 및 통학차량의 엔진시동 키 스위치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경보기, 상기 동작감지센서 및 상기 엔진시동 키 스위치와 전원 간의 연결을 차단하고, 턴 온 시 상기 전원을 연결하는 경보기 및 시동차단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5385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통학차량의 주행 중 또는 정차 시에 통학차량에 탑승한 유아동의 착석 상태에 대해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고, 상기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시트를 구비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와 결합하고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탑승자의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밸트부; 상기 시트와 상기 안전밸트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의자부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착석 여부 또는 상기 탑승자의 상기 안전밸트부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의자부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트부는, 밸트의 형상으로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밸트와 제2밸트, 상기 제1밸트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인입되는 인입체를 가지고 상기 제1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인입체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자성체의 자성을 감지하는 자성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에 착석 시 상기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상기 판단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판단 신호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부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체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외부의 통신망인 외부통신망을 통해 상기 판단 신호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통학용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 시 모든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의 안전한 착석 및 착용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들을 인솔하는 인솔자뿐만 아니라, 외부의 전자기기로 차량 내부의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에 대한 다각적 확인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밸트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신호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화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 장치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밸트부(200)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고,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시트(120)를 구비하는 의자부(100); 의자부(100)와 결합하고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탑승자의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밸트부(200); 시트(120)와 안전밸트부(2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신부(3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신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부; 및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의자부(100)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 또는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승자는 통학용으로 이용되는 차량에 탑승하는 유아 또는 영아일 수 있다. 그리고, 차량에는 이와 같은 탑승자 외에 탑승자들을 관리하는 인솔자와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시에, 탑승자인 유아 또는 영아가 각자의 의자(좌석)에 안전하게 착석되어 있는 것을 즉각적이며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부(10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탑승자가 앉는 부위인 시트(120) 및, 탑승자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13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의 이용 빈도는 낮으나 머리를 기댈 수 있는 머리받이(140)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시트(120)는, 탑승자가 시트(120)에 착석 시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110)를 구비할 수 있다. 시트(120)는, 내부에 중량센서(110)가 설치되고 탑승자가 착석하는 방석(122) 및, 방석(122)을 지지하는 시트본체(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중량센서(110)는 방석(1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시트(120)는 방석(122)과 시트본체(121)가 일체화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중량센서(110)는 착석하는 탑승자에 인접하도록 시트(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량센서(110)가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중량 감지에 대한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탑승자가 시트(120)에 착석하게 되면 탑승자에 의한 압력이 중량센서(110)에 전달되고 중량센서(110)는 탑승자의 착석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송신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밸트부(200)는, 밸트의 형상으로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밸트(231)와 제2밸트(232), 제1밸트(231)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 및 제1결합부(210)에 인입되는 인입체(221)를 가지고 제1결합부(21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밸트(231)의 일단은 제1결합부(210)와 결합되고 제1밸트(231)의 타단은 의자부(100)의 등받이(130)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밸트(232)의 일단은 제2결합부(220)와 결합되고 제2밸트(232)의 타단은 의자부(100)의 등받이(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부(210)의 내부에는 인입체(221)와 대응되는 형상의 공간으로써 인입공간(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인입체(221)가 인입공간(212)으로 인입됨으로써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체결되어 탑승자의 상체가 등받이(130)에 고정될 수 있다. 인입체(221)에는 홀의 형상인 결합홀(221a)이 형성되고, 인입공간(212)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형상의 결합체(2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체(213)는 결합체(213) 표면에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제1결합부(210)의 벽체로 인입되고 외력 해제 시 다시 인입공간(212)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형상이 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210)에 구비된 버튼(214)을 누르는 경우에도 결합체(213)가 제1결합부(210)의 벽체로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의 체결 시, 인입체(221)의 표면 압력에 의해 제1결합부(210)의 벽체로 인입되었던 결합체(213)가 다시 돌출되어 결합홀(221a)에 끼워짐으로써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안정적으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인입체(221)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2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210)는, 자성체(222)의 자성을 감지하는 자성센서(21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성체(222)는 3차원 입체 형상인 자석으로 형성되어 인입체(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자성체(222)는, 인입체(221)에서 제1결합부(210) 방향의 말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인입체(221)는 자성체(222)가 끼워맞춤되어 고정되게 하는 홀 또는 홈인 자성체고정부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인 자성체(222)가 인입체(221)의 말단에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의 체결 시 자성센서(211)와 자성체(222)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자성센서(211)에 의한 자성체(222)의 자기력 측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인입체(221)의 표면에 자성물질이 코팅되어 자성을 띄는 코팅층의 형상으로 자성체(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인입공간(212)은 인입체(221)에 코팅층이 형성된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성체(222)가 인입체(221) 표면 상 코팅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자성물질의 양 증가로 자성밀도가 증대되어 자성센서(211)에 의한 자기력 측정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자성체(222)가 형성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인입체(221) 자체가 자성의 띄는 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인입체(221)에 의한 자기력을 생성될 수도 있다.
탑승자가 시트(120)에 착석한 후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체결시키면, 자성센서(211)에 의해 자성체(222)의 자기력이 감지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자성센서(211)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의 체결을 감지하여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에 대한 신호를 송신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의자부(100)에 설치되는 송신부(300)는 시트(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시트본체(1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부(300)가 시트본체(121)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도 송신부(300)가 보호될 수 있으며, 차량 외부 또는 의자부(100)에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송신부(300)는 중량센서(110) 또는 자성센서(211)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받아 수신부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는 복수 개의 송신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송신부(300)의 신호를 분리하여 정보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부(300)로부터 수신부로 전달되는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신호부(400)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정보처리부로부터 판단 신호를 전달받고, 판단 신호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가 의자부(100)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광신호부(400)는 차량의 운전석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운전자와 인솔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에 용이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정보처리부는 차량의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광신호부(400)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체(4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광신호부(400)는 조명체(410)가 배치되어 고정되는 판상의 베이스(4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체(410)의 색상이 가변하면서 복수 개의 의자부(100)와 안전밸트부(200) 각각에 대한 탑승자의 착석 여부 또는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의자부(100)와 안전밸트부(200)가 결합된 의자모듈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 조명체(410)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조명체(410)는 어느 하나의 의자모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의자모듈에 대한 정보 파악의 용이성을 위해 각각의 의자모듈의 배치에 대응되게 조명체(410)가 배치되어 광신호부(400)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체(410)는 LED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써, 조명체(410)는 녹색, 청색, 적색 및 황색 각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체(410)가 녹색 광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과 안전밸트부(200) 착용이 수행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조명체(410)가 청색 광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의자부(100)에 착석한 탑승자가 없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체(410)가 적색 광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체결되었으나,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이며, 영유아인 탑승자가 좌석에서 이탈된 위험 상황으로써 확인이 필요한 상황일 수 있다. 또한, 조명체(410)가 황색 광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은 감지되나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분리된 상태로써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일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의자부(100)와 안전밸트부(200)에 있어서, 중량센서(110)와 자성센서(211) 각각으로부 신호가 발생되어 정보처리부로 전달되는 경우, 정보처리부는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과 안전밸트부(200) 착용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 판단 신호를 광신호부(400)로 전달하여, 조명체(410)에서 녹색 광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중량센서(110)와 자성센서(211) 모두로부터 신호 전달이 없는 경우, 정보처리부는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과 안전밸트부(200) 착용이 수행되지 않아 탑승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 신호를 광신호부(400)로 전달하여, 조명체(410)에서 청색 광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자성센서(211)에서는 신호가 발생되고 중량센서(110)에서는 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자성센서(211)의 신호만 정보처리부로 전달되는 경우, 정보처리부는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은 있으나 탑승자가 의자부(100)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한 판단 신호를 광신호부(400)로 전달하여, 조명체(410)에서 적색 광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중량센서(110)에서는 신호가 발생되고 자성센서(211)에서는 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중량센서(110)의 신호만 정보처리부로 전달되는 경우, 정보처리부는 탑승자의 의자부(100) 착석은 있으나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은 수행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판단 신호를 광신호부(400)로 전달하여, 조명체(410)에서 황색 광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색상에 의한 정보 표시는 임의적인 것으로써, 각각의 정보를 표시하는 색상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초기 화면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화면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부는, 외부의 통신망인 외부통신망을 통해 판단 신호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신호를 전달받은 전자기기에는 판단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고 할 수 있다)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등 정보를 화면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에서 앱을 실행시키면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초기 화면에서 바로가기 버튼(510)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주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주요 화면에서는 각각의 의자모듈에 대한 의자이미지(520)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의자이미지(520)에는 상기된 조명체(410)에 표시된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표시됨으로써, 전자기기의 사용자(운전자, 인솔자, 그 외 탑승자의 학부모 등 기타 사용자)는 의자이미지(520)의 색상 변화를 통해 차량 내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의자이미지(520)를 확인하여 탑승자의 시트(120) 착석 여부와 탑승자의 안전밸트부(200) 착용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통학용 차량의 주행 또는 정지 시 모든 상황에 있어서 탑승자의 안전한 착석 및 착용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 확보가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들을 인솔하는 인솔자뿐만 아니라, 외부의 전자기기로 차량 내부의 안전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에 대한 다각적 확인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의자부 110 : 중량센서
120 : 시트 121 : 시트본체
122 : 방석 130 : 등받이
140 : 머리받이 200 : 안전밸트부
210 : 제1결합부 211 : 자성센서
212 : 인입공간 213 : 결합체
214 : 버튼 220 : 제2결합부
221 : 인입체 221a : 결합홀
222 : 자성체 231 : 제1밸트
232 : 제2밸트 300 : 송신부
400 : 광신호부 410 : 조명체
420 : 베이스 510 : 바로가기 버튼
520 : 의자이미지

Claims (8)

  1.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착석하고, 상기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시트를 구비하는 의자부;
    상기 의자부와 결합하고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탑승자의 착용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안전밸트부;
    상기 시트와 상기 안전밸트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송신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송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의자부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착석 여부 또는 상기 탑승자의 상기 안전밸트부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신호를 생성하는 정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의자부에 대한 상기 탑승자의 착석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트부는,
    밸트의 형상으로 상기 탑승자의 신체 일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밸트와 제2밸트,
    상기 제1밸트의 말단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인입되는 인입체를 가지고 상기 제1결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입체는 자성을 가진 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자성체의 자성을 감지하는 자성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에 착석 시 상기 탑승자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로부터 상기 판단 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판단 신호에 따라 광 신호를 생성하는 광신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부는, 광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부는, 외부의 통신망인 외부통신망을 통해 상기 판단 신호를 외부의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KR1020200146757A 2020-11-05 2020-11-05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KR202200613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7A KR20220061308A (ko) 2020-11-05 2020-11-05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757A KR20220061308A (ko) 2020-11-05 2020-11-05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308A true KR20220061308A (ko) 2022-05-13

Family

ID=815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757A KR20220061308A (ko) 2020-11-05 2020-11-05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13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851A (ko) 2018-11-09 2020-05-19 박현근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851A (ko) 2018-11-09 2020-05-19 박현근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73928B (zh) 车辆用警示装置
KR20180068146A (ko) 차량의 승하차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10391972B1 (en) Seat assembly, seatbelt security system, and method
ATE382515T1 (de) Sicherheitsgurt-warnvorrichtung
FR2865174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utilisation de ceintures de securite et procede associe
JP6078032B2 (ja) 車載用警告装置
US20140104053A1 (en) Vehicle occupancy and restraint status indication and driver distraction system
KR102467293B1 (ko) 장착 표시 기능이 구비된 아동용 안전시트 및 그 장착 표시 방법
KR101740508B1 (ko) 안전벨트 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JP3819292B2 (ja) 人物状態判別装置
US11562636B2 (en) Child safety seat check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checking method
US20180272894A1 (en) Vehicle occupancy alert system and method
KR20220061308A (ko) 통학 차량용 안전 장치
CN203427747U (zh) 安全带未系提醒系统及具其的车辆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JP2019069725A (ja) 乗り物用搭乗者シートベルト着用検知システム
WO2014054135A1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209126689U (zh) 一种大型客车安全带智能监测装置
KR20200066266A (ko) 차량 하차 확인 장치, 이를 이용한 차량 하차 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7898436B2 (en) On-vehicle position detection system
KR102407775B1 (ko)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KR102232189B1 (ko) 유아 탑승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아 탑승 알림 방법
US20110282543A1 (en) Seat bel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30015054A (ko) 사고방지용 터치패드가 장착된 차량
CN108944782A (zh) 用以侦测安全带组合状态的提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