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536A -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 Google Patents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536A
KR20220060536A KR1020227009015A KR20227009015A KR20220060536A KR 20220060536 A KR20220060536 A KR 20220060536A KR 1020227009015 A KR1020227009015 A KR 1020227009015A KR 20227009015 A KR20227009015 A KR 20227009015A KR 20220060536 A KR20220060536 A KR 20220060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lever
wedge
chamber system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뤼디거 보르처트
Original Assignee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6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5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00Breech mechanisms, e.g. locks
    • F41A3/02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 F41A3/10Block action, i.e. the main breech opening movement being transverse to the barrel axis with sliding breech-block, e.g. ver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42Safeties for locking the breech-block or bolt in a safety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Confectio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지 포지션에서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40)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20)을 구비하는 약실 시스템(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실 시스템은,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약실 쐐기(1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피스(120), 상기 베이스 피스(14)에 부착된 약실 메커니즘(100), 및 가이드 요소(110, 110')를 가지고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가이드 피스(105)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요소(110, 110')는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요소(114)를 가지고,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상기 구동 요소(1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레버 메커니즘(150)을 가지고,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과 연결되는 로킹 레버(161)를 가지고,
상기 약실 쐐기(14)는 상기 로킹 레버(161)에 의하여 상기 개방 포지션에서 잠길 수 있다.

Description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본 발명은 휴지 포지션(a rest position)에서 반동 포지션(a recoil position)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무기 배럴(barrel)용 약실 시스템(breech system)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약실 시스템은 베이스 피스(base piece), 특히 배럴 구경 축(barrel bore axis)에 대하여 가로로(transversely) 폐쇄 및 개방 포지션(a closed and open position)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약실 쐐기(breech wedge), 상기 베이스 피스에 부착되는 약실 매커니즘(breech mechanism), 및 가이드 요소를 가지고 크래들(cradle)에 고정되는 가이드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요소는 상기 약실 메커니즘을 구동하는 구동 요소를 가지고, 상기 약실 메커니즘은 상기 구동 요소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레버 메커니즘(a lever mechanism)을 가진다.
DE 10 2004 052 550 A1에는 배럴 무기를 위한 쐐기 약실블록(breechblock)이 알려져 있다. 쐐기 약실블록은 상기 무기 배럴의 구경 축에 대하여 수직인 아래방향으로 열릴 수 있는 약실 쐐기를 가진다.
DE 198 04 653 A1는 충격 하중(impact loads)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부 드라이브(external drive)에 의해 약실을 배타적으로 열고 닫는 쐐기 약실블록를 가지는 대구경(large-caliber) 배럴 무기용 무기 배럴 약실블록(weapon barrel breechblock)을 개시한다.
DE 198 23 785 A1는 크래들에 고정된 오프너 레버에 의해 그리고 크래들에 고정된 외부 드라이브를 통해 외부 구동으로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대구경 배럴 무기용 수직 쐐기 약실블록(a vertical wedge breechblock)을 개시한다.
DE 10 2009 037 899 A1는 후방의 무기 배럴에 연결된 베이스 피스를 가지는 배럴 무기용 쐐기 약실블록을 개시한다. 쐐기 약실블록은 무기가 장전되어 있을 때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복수 개의 블로킹(blocking) 요소를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약실 쐐기는 카트리지(cartridge)를 로딩하기 위한 래머(rammer)가 블로킹 요소를 쐐기 약실블록을 막는 포지션으로 유지하는 동안에는 개방 포지션으로 유지된다.
DE 10 2010 015 570 A1 와 DE 101 46 423 A1는 각각 쐐기 약실블록을 가지는 배럴을 구비한 배럴 무기(barrelled weapon)를 개시한다. 쐐기 약실블록은 약실 메커니즘을 통하여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는 약실 쐐기와 베이스 피스를 가진다.
이동 가능한 요소들을 가지는 스프링 장착 제어 유닛(spring loaded control unit)이 크래들 상에 배열되어 있고, 요소들은 발사 이후에 베이스 피스가 이러한 요소들이 접촉할 정도까지 전진하였을 때 베이스 피스 상의 약실 메커니즘을 구동시킨다.
DE 10 2010 015569 A1는 쐐기 약실블록을 가지는 배럴 무기와 관련된다. 쐐기 약실블록이 개방되고 폐쇄될 수 있음을 통한 약실 메커니즘이 쐐기 약실블럭의 베이스 피스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요소는 크래들에 고정되는 방식(cradle-fixed manner)으로 배럴 무기의 크래들에 배열되어 있고, 가이드 요소를 통하여 약실 메커니즘의 레버는 약실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하여 구동될 수 있다. 쐐기 약실블록이 발사 이후에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면, 가이드 요소는 수동으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미 알려진 무기 배럴 클로저(closures)는 발사와 분리된 수동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오프너 레버(opener lever) 또는 폐쇄 레버(closing lever)를 가진다: 이들은 분리되어 구동된다.
게다가, 이미 알려진 무기 배럴 클로저로는 약실 쐐기의 완전 개방 및 폐쇄 포지션 사이의 중간 포지션은 불가능하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구동되는 클로저는 그들이 완전히 전진되었을 때만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제연기(smoke evacuators)는 최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이로부터 착안하여, 본 발명은 개방 포지션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약실 시스템을 생성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약실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 특정 종속항의 내용은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이다.
본 명세서 내에 기재되어 있음.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을 가지는 배럴 무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10a는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가 있는 베이스 피스 개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0b는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가 있는 베이스 피스 개구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11a는 베이스 피스의 바닥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약실 쐐기는 폐쇄 포지션에 있다.
도11b는 베이스 피스의 바닥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약실 쐐기는 개방 포지션에 있다.
도12는 전방 움직임과 관련한 이젝터 레버의 각도 및 오프너 레버의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표이다.
도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실(breech) 시스템은 휴지 포지션(rest position)에서 반동 포지션(recoil position)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특히 크래들(cradle)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barrel)에 제공된다;
약실 시스템은 특히 휴지 포지션에서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을 가지는 배럴 무기(barrelled weapon)를 위하여 제공되고,
상기 약실 시스템은 특히 무기 배럴의 배럴 구경 축(barrel bore axis)에 대하여 가로로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약실 쐐기(breech wedge which)를 가지는 베이스 피스(base piece), 베이스 피스에 부착되는 약실 메커니즘(breech mechanism), 및 가이드 요소를 가지고 크래들에 고정되는 가이드 피스(guide piece)를 포함하고, 가이드 요소는 약실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를 가지고, 약실 메커니즘은 구동 요소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레버 메커니즘(lever mechanism)을 가진다.
약실 메커니즘은 레버 메커니즘과 연결되는(coupled to) 로킹 레버(locking lever)를 가지고, 약실 쐐기는 로킹 레버(locking lever)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잠길(locked)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지 포지션에서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 및 크래들을 가지는 배럴 무기는, 후술할 바와 같이 디벨롭되는(developed) 적어도 하나의 약실 시스템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약실 쐐기는 약실 메커니즘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무기의 장전(loading)과 약실의 폐쇄(closing)는 분리될(decoupled) 수 있다. 따라서 약실 쐐기는 장전 및 비장전(unloading)과 독립적으로 개방되어 유지될 수 있다.
약실 쐐기가 개방 포지션에서 잠겨 있기 때문에, 약실 쐐기의 폐쇄와 베이스 피스의 전진 및 그 위에 위치되는 약실 메커니즘과의 분리가 달성된다. 이로써 개방 후의 약실 쐐기가 로킹 레버를 가지는 약실 메커니즘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잠기는 것이 달성된다.
약실의 구동, 특히 약실의 개방은, 크래들에 고정된 구동 요소에 의하여 수행된다. 연속되는 발사(continuous firing)와 함께, 약실이 로킹 레버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잠길 수 있도록 약실은 레버 메커니즘에 의하여 구동됨과 동시에 구동 요소에 의하여 개방된다.
전진 이동을 이용하여, 약실 쐐기의 빠르고 신속한 개방이 가능하다.
약실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무기 배럴 약실이다.
약실 시스템의 일 개량 실시예에서, 걸쇠 폴(detent pawl)과 연결된 언로킹 메커니즘(unlocking mechanism)을 통하여 로킹 레버에 의해 언록될(unlocked) 수 있고, 로킹 레버와 상호작용하는 걸쇠 폴을 가지는 약실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 피스의 전방 포지션과 독립적으로 쐐기(wedge)를 언로킹(unlocking)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언로킹은 베이스 피스 및 무기 배럴 등 무기의 반동 질량의 포지션(position)과 독립적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는 로딩(loading) 과정이 완전히 끝날때까지, 카트리지(cartridge)의 실제 로딩 과정동안 약실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약실 쐐기는 언로킹 메커니즘이 작동될 때 까지는 다시 닫히지 않는다.
이는 특히 자동 로더(automatic loader)가 있는 배럴 무기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데, 자동 로더의 일 부분이 언로킹을 구동할 수 있고 따라서 약실 쐐기의 폐쇄를 구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결과적으로 무기 배럴 상에 배열된 제연기(smoke evacuator) 또한 향상된 효과를 달성한다.
약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언로킹 메커니즘이 베이스 피스 개구(base piece opening)에 배치된 언로킹 캠(unlocking cam)과 연결되는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언로킹 캠은 카트리지 로딩 헤드(cartridge loading head), 로딩 트레이(loading tray), 또는 램 헤드(ram head)와 같은 자동 로더의 부분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로딩 헤드, 로딩 트레이, 또는 램 헤드와 같은 자동 로더의 부분에 의한 로딩 과정과 독립적으로 언로킹 메커니즘이 구동될 수 있음이 달성된다. 언로킹 메커니즘은 카트리지를 로딩한 직후에 언록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 로더가 약실로부터 제거된 후에 언록된다.
언로킹 메커니즘이 구동된 결과로써 언로킹 캠이 구동되고 실제 로딩 과정 이후에 자동 로더의 부분이 후퇴할때까지 약실 쐐기는 다시 폐쇄되지 않고, 이것이 걸쇠 폴로부터 로킹 레버를 언록(unlock)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걸쇠 폴에 의하여 로킹 레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로킹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회전된다(rotated).
대안적으로, 언로킹은 또한 카트리지 로딩 헤드의 전진/로딩 이동에서의(forward/loading movement) 로딩 프로세스 동안 발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로킹 레버가 걸쇠 폴로부터 분리되고 약실 쐐기를 폐쇄할 수 있도록, 로딩 과정 중의 전진 움직임이 레버에 의하여 걸쇠 폴 또는 로킹 레버를 구동할 경우, 이젝터(ejector) 레버를 사용한 언로킹이 추가로 발생될 수 있다.
약실 쐐기는 바람직하게는 개방 포지션에 걸리고, 이를 위해 로킹 레버는 걸쇠 폴을 통해 복귀 스프링(return spring)에 의해 회전되어 블록된다(blocked).
약실 시스템의 일 개량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actuating element)와 상호작용하는 폴딩 레버(a folding lever)를 포함하는 레버 메커니즘이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따라서 레버 메커니즘은 구동 방향으로 구동 요소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고 폴딩 레버는 구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폴딩 레버는 구동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여기서, 무기가 전진할 때 구동 캠(actuating cam)이 레버 메커니즘을 구동하는 것이 달성되고, 따라서 약실 쐐기는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개방 포지션 내에서 잠길(locked) 수 있다. 한편, 무기 반동 중, 폴딩 클로저(folding closure)는 폴딩됨으로써 레버 메커니즘의 구동이 방지된다.
나아가, 약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 피스는,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에 고정된 가이드 피스가 장착된 베어링(bea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크래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베이스 피스의 장착을 달성할 수 있다. 크래들에 고정된 가이드 피스는 크래들과 베이스 피스 사이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따라서 베이스 피스는 크래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축방향 이동은 가능하다.
일 개량 실시예에서, 약실 시스템은 톱니 랙(a toothed rack)을 가질 수 있고, 레버 메커니즘은 토글 레버(a toggle lever)를 포함할 수 있는데, 토글 레버는 커플러(a coupler), 토글 조인트(a toggle joint), 및 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레버의 일 단부는 톱니 랙과 연결되고 레버의 일 단부는 토글 레버의 토글 조인트를 통해서 로킹 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약실 메커니즘은 기어 휠(gear wheel)을 가지는 오프너 샤프트(opener shaft)를 포함할 수 있는데, 기어 휠은 톱니 랙과 맞물릴 수 있다. 기어 휠은 오프너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지 않게(nonrotatably) 배치된다.
약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오프너 샤프트는 약실 쐐기와 상호작용하는 오프너 레버를 가질 수 있는데, 따라서 약실 쐐기는 오프너 레버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오프너 레버는 오프너 샤프트에 고정되도록 연결되고, 따라서 약실 쐐기는 오프너 샤프트를 돌림으로써 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약실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 요소는 배럴 무기가 전진할 때 레버 메커니즘과 소통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따라서 약실 쐐기는 그것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톱니 랙, 기어 휠, 오프너 샤프트, 및 오프너 레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나아가, 톱니 랙은, 상기 약실 쐐기가 그것의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 개방 포지션 내에서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특히 상기 톱니 랙에 배치되는 쐐기 폐쇄 스프링(wedge closing spring)과 연결될 수 있다.
폐쇄 쐐기 스프링(closing wedge spring)은 폐쇄 포지션에서 개방 포지션으로 이동될 때 약실 쐐기의 속도를 늦추고, 개방 포지션에서 에너지를 저장한다. 쐐기가 언록되면, 쐐기 폐쇄 스프링(wedge closing spring)은 쐐기가 개방 포지션에서 폐쇄 포지션으로 이동되는 에너지를 제공한다.
나아가, 약실 시스템은 드라이브(drive)와 가이드 요소 사이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현하도록 형성된 드라이브, 특히 선형 드라이브(linear drive)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구동 요소는 드라이브에 의하여 레버 메커니즘에 대하여 제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약실 메커니즘을 구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약실 쐐기는 무기의 전진 또는 반동과 독립적으로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약실 시스템의 약실 쐐기는 드라이브에 의하여 휴지 포지션에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나아가, 약실 쐐기는 드라이브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산 사이의 중간 포지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포지션은 어떠한 안전 문제도 초래하지 않고 접근될 수 있다.
제연기(smoke evacuator)에 의한 향상된 제연(smoke evacuation)은 이러한 방식으로 보장될 수 있다.
드라이브와 구동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발사로 인하여 약실 쐐기가 개방되자마자 그들이 자동으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드라이브에 의한 약실 구동은 따라서 반동 질량(recoiling mass)의 전방 움직임(forward motion)과 분리된다.
따라서, 구동 요소와 드라이브의 원하지 않은 중간 포지션이 위험한 작동 상태로이어지거나 약실 동작에 데미지(damage)를 주지 않는다.
또한, 오직 하나의 드라이브가 개방 및 폐쇄 기능을 위하여 설계되는 것은 유리하다. 게다가, 발사 이후 약실을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전진 포지션에서의 개방, 요구에 의한 폐쇄 및 개방, 및/또는 발사 후 폐쇄 포지션의 유지 등 약실 쐐기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필수적인 기능들은 하나의 드라이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드라이브는 약실 쐐기가 구동 캠에 의하여 개방되고 드라이브에 의하여 개방 및/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구동 캠은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브와 관련하여 스프링-장착 및/또는 댐핑될(damped) 수 있다. 스프링 및/또는 댐퍼(damper)는 여기서 적절한 포지션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인장 스프링(pretensioned spring)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로서, 최대 힘(maximum forces)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약한 상용 드라이브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 요소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캐리지(guide carriage)로 설계될 수 있고, 가이드 캐리지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형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프로파일(guide profile) 상에 장착된 가이드 캐리지를 사용함으로써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캐리지의 포지션은 드라이브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경우, 저장 스프링(storage spring)의 도움으로 전달가능한 힘(transmittable force)이 제한된다. 리프팅 메커니즘(lifting mechanism)이 구동되는 구동 캠은 가이드 캐리지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가이드 요소는, 구동 요소와 함께 가이드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프로파일은 베이스 피스 상에 직접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사용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을 가지는 배럴 무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이다.
도10a는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가 있는 베이스 피스 개구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0b는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가 있는 베이스 피스 개구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11a는 베이스 피스의 바닥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약실 쐐기는 폐쇄 포지션에 있다.
도11b는 베이스 피스의 바닥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약실 쐐기는 개방 포지션에 있다.
도12는 전방 움직임과 관련한 이젝터 레버의 각도 및 오프너 레버의 각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표이다.
도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을 가지는 배럴 무기(1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실 시스템(10)에 더하여, 배럴 무기(1)는 크래들(40) 및 크래들(40)에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 무기 배럴(20)를 포함한다. 무기 배럴(20)은 크래들(40)에 장착됨으로써, 휴지 포지션과 반동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 피스(12)를 가지는 약실 시스템(10)은 무기 배럴(20)의 단부에 배치된다. 총구(muzzle) 브레이크(30) 및 레큐퍼레이터(recuperators)는 베이스 피스(12)와 크래들(40)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약실 시스템(10)은 크래들(40)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20)을 위하여 제공됨으로써, 휴지 포지션으로부터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약실 시스템(10)은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약실 쐐기(1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피스(12), 베이스 피스(12)에 부착되는 약실 메커니즘(100), 및 가이드 요소(110)를 가지고 크래들에 고정되는 가이드 피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8에서 분명히 확인할 수 있고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가이드 요소(110)는 약실 메커니즘(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요소(114)를 가진다. 약실 메커니즘(100)은 구동 요소(1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레버 메커니즘(150)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나아가, 약실 메커니즘(100)은 레버 메커니즘(150)과 연결되는 로킹 레버(161)를 포함하고, 약실 쐐기(14)는 로킹 레버(161)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잠길 수 있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확대된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베이스 피스(12)는 크래들에 고정된 가이드 피스(105)가 장착된 베어링(16)을 포함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약실 시스템(10)은 특히 선형 드라이브(linear drive)로 설계되는 드라이브(drive)(130)를 가진다. 드라이브(130)는 레버 메커니즘(150)에 대하여 제 포지션에서 구동 요소(1140)의 축방향 이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110)는, 가이드 요소(11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캐리지(110)로 설계될 수 있다. 가이드 캐리지(110)는 가이드 피스(105)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다.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3은 약실 시스템(10)의 바닥면을 나타낸다.
약실 메커니즘(100)은 기어 휠(122)과 함께 오프너 샤프트(120)를 가지고, 기어 휠(122)은 약실 메커니즘(100)의 톱니 랙(140)과 맞물린다. 오프너 샤프트(120)는 베어링(124)를 통하여 베이스 피스(12)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오프너 레버(126)를 가진다. 오프너 샤프트(120)는 기어 휠을 통해 구동될(driven) 수 있다.
오프너 샤프트(120)는 약실 쐐기(14)와 상호작용하는 오프너 레버(126)를 가지고, 따라서 약실 쐐기(14)는 오프너 레버(126)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프너 레버(126)는 오프너 샤프트(120)에 회전 불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도3은 폐쇄 포지션의 약실 쐐기(14)를 도시한다. 개방을 위하여, 약실 쐐기(14)는 이 폐쇄 포지션에서 개방 포지션으로 아래로 이동된다.
톱니 랙(140)은 톱니 랙(140)에 배치되는 쐐기 폐쇄 스프링(142)에 연결된다. 개방 포지션에서, 약실 쐐기(14)는 쐐기 폐쇄 스프링(120)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으로부터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 인장될(pretensioned) 수 있다.
약실 시스템(10)은 추가적으로 약실 시스템(10)으로부터 카트리지 케이스(cartridge cases) 또는 카트리지 베이스(cartridge bases)를 추출(extract)하기 위한 이젝터 시스템(ejector system)(200)을 가질 수 있다. 이젝터 시스템(200)은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232) 및 이젝터(232)를 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 레버(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레버(234)는 오프너 샤프트(120)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이젝터 시스템(200)은 오프너 레버(120)의 회전 움직임을 이젝터 레버(234)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요소(240)를 가진다.
전달 요소(240)는 오프너 샤프트(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차축(axle)(243)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차축(243)은 상응되는 베어링과 함께 베이스 피스(12)의 바닥면에 부착되고, 차축(243)을 지지한다.
오프너 레버(126)와의 접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롤러(contact roller)는 전달 요소(240)의 일 단부(241a)에 배치된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롤러(244)는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 레버(234)와의 접촉을 위하여 전달 요소(240)의 일 단부(241a)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롤러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롤러(244)는 공통 제2 차축(a common second axle)(246) 상에 배치된다.
이젝터 시스템(230)은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 레버(234)에 대하여 전달 요소(240)를 인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인장 요소(250)를 가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인장 요소(250)는 전달 요소(240)의 제2 단부(241b)에 배치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전달 요소(240)는 레버(lever)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 단부(241a)는 차축(246)이 배치되는 두개의 포크 모양(fork-like)의 돌출부(projections)를 가진다. 제2 단부(241b)는 전달 요소(240)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제1 단부(241a)로부터 멀어지는 각도를 이룬다.
각각에 대하여 제2 접촉 롤러(244)가 형성되어 있는 두개의 이젝터 레버(234)가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4에 따르면, 약실 메커니즘(100)은 토글 레버(toggle lever)(151)를 포함하는 레버 메커니즘(150) 및 톱니 랙(140)을 가진다.
토글 레버(151)는 커플러(coupler)(152) 및 레버(154)를 가진다. 레버(154)의 일 단부는 톱니 랙(toothed rack)(140)과 연결되고, 레버(154)의 일 단부는 토글 레버(151)의 토글 조인트(toggle joint)(153)를 통하여 로킹 레버(161)에 연결되고, 이는 예컨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약실 메커니즘(100)은 로킹 레버(161)와 상호작용하는 걸쇠 폴(detent pawl)(160)을 가진다. 걸쇠 폴(160)은, 걸쇠 폴(160)과 연결된 언로킹 메커니즘(162)을 통하여 로킹 레버(161)에 의하여 언록(unlock)될 수 있다.
도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에서, 레버 메커니즘(150)이 폴딩 레버(folding lever)(156)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레버 메커니즘(150)은 구동 방향으로 폴딩 레버(156)를 통해 구동 요소(1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폴딩 레버(156)는 구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114)는 배럴 무기(1)가 전진할 때 레버 메커니즘(150)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따라서 약실 쐐기(14)는 그것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적어도 톱니 랙(140), 기어 휠(122), 오프너 샤프트(122), 및 오프너 레버(126)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도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의 추가적인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고, 베이스 피스(12)의 부분이 단면에 나타나 있고, 상기 부분은 베이스 피스 개구(13)가 위치되는 베이스 피스(12)의 후방 영역에 연결 요소(164) 및 언로킹 메커니즘(162)에 의하여 걸쇠 폴(160)을 연결한다.
도10a 및 도10b는 각각, 개방 카트리지 챔버(open cartridge chamber)(11)와 함께개방 포지션의 약실 쐐기(14)와 함께하는 베이스 피스 개구(13)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약실 쐐기(14)는 개방 포지션에 있고 이젝터(232)는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도11b는 카트리지 베이스 또는 카트리지 케이스가 배출된 이후의 이젝터(236)를 도시한다. 언로킹 메커니즘(162)은 베이스 피스 개구(13)에 배치된 언로킹 캠(168)과 연결된다.
도11a는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이젝터 시스템(ejector system)(20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고, 약실 쐐기(14)는 폐쇄 포지션에 있다. 도11b는 도11a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이젝터 시스템(200)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나타내고, 약실 쐐기(14)는 개방 포지션에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이젝터 레버(137)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롤러(244)와 영구적으로 접촉되는 호형(arc-shaped)의 접촉 표면(238)을 가지는 제1 레버 암(arm)(236)을 가진다.
나아가, 이젝터 레버(137)는 제2 레버 암을 가진다. 제2 레버 암은 이젝터(137)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 레버 암(236) 상의 접촉 표면(238)은 대체로 오목하게(concave) 형성됨으로써, 오프닝 레버(126)의 회전 운동의 회전 각도에 대한 이젝터 레버(127)의 회전 운동의 회전 각도는 약실 시스템(10)의 개방 동안 점진적인 특성(progressive characteristic)을 묘사(describes)한다.
오프너 레버(126)는, 약실 시스템(10)의 개방 포지션에 있어서 제1 접촉 롤러와 접촉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고, 제1 접촉 롤러는 개방의 과정(in the course of the opening process)에서 오프너 레버(126)와 접촉될 수 있다.
도11a 및 도11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프너 레버(126)는 접촉 표면(223)을 가지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제1 접촉 롤러와 접촉될 수 있다. 오프너 레버(126)의 접촉 표면(223)은 대체로 평평할 수 있다.
도12는 전방 움직임에 대한 이젝터 레버(127)의 회전의 각도 및 오프너 레버(126)의 회전의 각도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표이다. 표에 따르면, 전방 움직임에 대하여 오프너 샤프트(20)의 회전 각도가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이젝터(232)의 회전 각도는 점진적인 특성을 묘사한다.
도1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요소는 가이드 프로파일(guide profile)(110')로 형성된다. 가이드 프로파일(110')은 구동 요소(114)를 직접적으로 포함한다. 가이드 프로파일(110')은 베이스 피스(12)상에 직접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크래들 배럴 상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약실 시스템(10)의 약실 메커니즘(100)의 추가적인 개략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요소(114)는 가이드 프로파일(110')의 부분이다. 이 경우의 구동 요소는 가이드 프로파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로 형성된다.
구동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부 상에서 크래들에 고정된 선형 드라이브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힘을 제한하는 스프링 요소(a force-limiting spring element)가 개시된다.
1: 배럴 무기
10: 약실 시스템
12: 베이스 피스
13: 베이스 피스 개구
14: 약실 쐐기
16: 베어링
20: 무기 배럴
23: 오프너 레버 접촉 표면
30: 총구 브레이크
40: 크래들
100: 약실 메커니즘
105: 가이드 피스
110: 가이드 캐리지
110': 가이드 프로파일
112: 저장 스프링
114: 구동 요소
114': 구동 요소
120: 오프너 샤프트
122: 기어 휠
124: 오프너 샤프트의 베어링
126: 오프너 레버
127: 이젝터 레버
130: 드라이브
140: 톱니 랙
142: 쐐기 폐쇄 스프링
150: 레버 메커니즘
151: 토글 레버
152: 커플러
153: 토글 조인트
154: 레버
156: 폴딩 레버
158: 롤러
160: 걸쇠 폴
161: 로킹 레버
162: 언로킹 메커니즘
163: 반동 스프링
164: 커넥팅 요소
165: 로킹 레버 장력 스프링
166: 커플링 요소
168: 언로킹 캠
200: 이젝터 시스템
223: 오프너 레버의 접촉 표면
232: 이젝터
236: 레버 암
238: 접촉 표면
240: 전달 요소
241a: 제1 단부
234: 제1 차축
244: 제2 접촉 롤러
246: 제2 차축
250: 인장 요소

Claims (14)

  1. 휴지 포지션에서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40)에 장착되는 무기 배럴(20)을 위한 약실 시스템에 있어서,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약실 쐐기(14)를 포함하는 베이스 피스(12),
    상기 베이스 피스(12)에 부착되는 약실 메커니즘(100) 및
    가이드 요소(110, 110')를 가지고 상기 크래들에 고정되는 가이드 피스(105)
    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요소(110, 110')는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요소(1140)를 가지고,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상기 구동 요소(11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는 레버 메커니즘(150)을 가지고,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과 연결된 로킹 레버(161)를 가지고, 상기 약실 쐐기(14)는 상기 로킹 레버(161)에 의하여 개방 포지션에서 잠길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실 시스템(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걸쇠 폴(160)과 연결된 언로킹 메커니즘(162)을 통해 상기 로킹 레버(161)에 의하여 언록될 수 있고 상기 로킹 레버(161)와 상호작용하는 상기 걸쇠 폴(160)을 가지는,
    약실 시스템(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 메커니즘(162)은 상기 베이스 피스 개구(13)에 배치된 언로킹 캠(168)에 연결된,
    약실 시스템(1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은 폴딩 레버(156)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은 상기 구동 요소(114)에 의하여 구동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폴딩 레버(156)는 상기 구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는,
    약실 시스템(1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피스(12)는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크래들에 고정된 상기 가이드 피스(105)가 장착되는 베어링(16)을 포함하는,
    약실 시스템(1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톱니 랙(140)을 가지고,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은 토글 레버(151)를 포함하고,
    상기 토글 레버(151)는 커플러(152), 레버(154) 및 토글 조인트(153)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154)의 일 단부는 상기 톱니 랙(140)과 연결되고 상기 레버(154)의 일 단부는 상기 토글 레버(151)의 상기 토글 조인트(153)를 통하여 상기 로킹 레버(161)에 연결되는,
    약실 시스템(1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메커니즘(100)은 기어 휠(122)을 가지는 오프너 샤프트(120)를 가지고, 상기 기어 휠(122)는 상기 톱니 랙(140)과 맞물리는,
    약실 시스템(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너 샤프트(120)는 약실 쐐기(14)와 상호작용하는 오프너 레버(126)를 가짐으로써 상기 약실 쐐기(14)는 상기 오프너 레버(126)에 의하여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약실 시스템(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쐐기(14)가 상기 폐쇄 및 개방 포지션 사이에서 그것에 의하여 움직여질 수 있도록, 특히 적어도 상기 톱니 랙(140), 상기 기어 휠(122), 상기 오프너 샤프트(122), 및 상기 오프너 레버(126)와 가동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 요소(114)는 상기 배럴 무기(1)가 전진할 때 상기 레버 메커니즘(150)과 상호작용하도록 설계된,
    약실 시스템(10).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 랙(140)은, 상기 약실 쐐기(140)가 그것의 폐쇄 포지션의 방향으로 상기 개방 포지션 내에서 인장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특히 상기 톱니 랙(140)에 배치되는 쐐기 폐쇄 스프링(142)과 연결되는,
    약실 시스템(1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약실 시스템(10)은 특히 선형 드라이브인 드라이브(130)를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브는 레버 메커니즘(150)에 대한 상기 구동 요소(114)의 축방향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약실 시스템(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110, 110')는 상기 가이드 요소(11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된 가이드 캐리지(110)로 설계되고, 상기 가이드 캐리지(110)는 가이드 피스(105)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약실 시스템(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요소(110, 110')는 상기 구동 요소(114)와 함께 가이드 프로파일(110')로 설계되고, 상기 가이드 프로파일(110')은 상기 베이스 피스(12) 상에 직접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약실 시스템(10).
  14. 휴지 포지션에서 반동 포지션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크래들(40) 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약실 시스템(10)을 포함하는,
    무기 배럴(20) 및 크래들(40)을 가지는 배럴 무기(10).

KR1020227009015A 2019-08-20 2020-07-23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KR202200605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22290.7 2019-08-20
DE102019122290.7A DE102019122290B3 (de) 2019-08-20 2019-08-20 Verschlusssystem und Rohrwaffe
PCT/EP2020/070777 WO2021032401A1 (de) 2019-08-20 2020-07-23 Verschlusssystem und rohrwaff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36A true KR20220060536A (ko) 2022-05-11

Family

ID=7183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015A KR20220060536A (ko) 2019-08-20 2020-07-23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80758B2 (ko)
EP (1) EP4018149A1 (ko)
JP (1) JP2022545444A (ko)
KR (1) KR20220060536A (ko)
DE (1) DE102019122290B3 (ko)
IL (1) IL290721B2 (ko)
WO (1) WO202103240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34972A (en) * 1946-01-31 1948-01-27 Fred A Vick Recoil operated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breechblock mechanism
US3362292A (en) * 1966-09-21 1968-01-09 Army Usa Short recoil breech actuating mechanism
DE3142457A1 (de) * 1981-10-27 1983-05-05 Wegmann & Co, 3500 Kassel Einrichtung zum automatischen oeffnen des verschlusskeils an einer halbautomatischen waffenanlage
DE3839496A1 (de) * 1988-11-23 1990-05-31 Rheinmetall Gmbh Sperrvorrichtung zur unterbrechung der verschlusskeilschliessbewegung
DE3914538A1 (de) * 1989-05-02 1990-11-08 Rheinmetall Gmbh Bodenstueck eines waffenrohres mit einem fremdantrieb und einer sicherungsvorrichtung zum oeffnen eines verschlusskeiles
US5589656A (en) * 1996-02-12 1996-12-3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plit wedge/breechblock and sealing means for gun
GB2327115B (en) * 1997-07-09 2001-06-06 Rheinmetall Ind Ag Transverse action breech block for a weapon
DE19823785C2 (de) * 1998-05-28 2003-03-20 Rheinmetall W & M Gmbh Vertikalkeilverschluß für eine großkalibrige Waffe
DE19804653C2 (de) * 1998-02-06 2001-03-08 Rheinmetall W & M Gmbh Großkalibrige Waffe
DE10146423A1 (de) * 2001-09-20 2003-04-17 Rheinmetall W & M Gmbh Waffe
DE102004052550A1 (de) * 2004-10-29 2006-05-04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Keilverschluß für eine Rohrwaffe
DE102009037899A1 (de) * 2009-08-19 2011-02-24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Keilverschluss einer Rohrwaffe
DE102010015570B3 (de) * 2010-04-19 2011-06-01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Rohrwaffe
DE102010015569A1 (de) * 2010-04-19 2011-10-2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Rohrwaffe
US8857308B1 (en) * 2013-02-21 2014-10-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Cannon breechblock insert assembly
RU2678934C1 (ru) * 2018-04-17 2019-02-0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Завод N9" (АО "Завод N9") Затвор артиллерийского оруди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90721B2 (en) 2023-12-01
DE102019122290B3 (de) 2021-02-25
US20220170707A1 (en) 2022-06-02
IL290721A (en) 2022-04-01
WO2021032401A1 (de) 2021-02-25
EP4018149A1 (de) 2022-06-29
IL290721B1 (en) 2023-08-01
US11680758B2 (en) 2023-06-20
JP2022545444A (ja)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45561B1 (en) Firearm with an improved breech bolt assembly
US5581046A (en) Hand-held firearm with recoil attenuation
EP3044533B1 (en) Firing blocker mechanism for firearm
RU2671596C1 (ru) Самозарядное ружье
CA2745450C (en) Drive and quick stop for a weapon with preferably linear breech or ammunition feed
US6345460B2 (en) Short bolt rifle
US20090064556A1 (en) Slide retraction levers for use with firearms
US8042450B2 (en) Safety apparatus for firearms
US4621445A (en) Weapon with locking trigger
JPS6329200B2 (ko)
US11473863B2 (en) Receivers for self-loading firearms and self-loading firearms equipped with receivers
IL293044A (en) Weapon system anvil and weapon system with anvil
AU2020318421A1 (en) Weapon system and breechblock
KR20220060536A (ko) 약실 시스템 및 배럴 무기
US20090120276A1 (en) Self-Powered Impulse Averaging Recoil Operated Machine Gun With A Rotary Lock Bolt Driven By Bimodal Cams
EP1003007B1 (fr) Mécanisme de mise à feu pour armes à feu
EP2372294B1 (en) Firing mechanism for a sporting rifle
US7854082B2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rolling block firearms
CA3144808A1 (en) Weapon system
CA3007879A1 (en) Cocking device for a firing pin and weapon comprising said cocking device
US5700967A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a self-loading weapon
RU233023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тпирания затвора оружия
WO2023001701A1 (en) A self-loading firearm comprising a bolt lock
ZA200501825B (en) Device for locking a closure in a repeating wea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