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509A - 차량용 테일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일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509A
KR20220060509A KR1020220050546A KR20220050546A KR20220060509A KR 20220060509 A KR20220060509 A KR 20220060509A KR 1020220050546 A KR1020220050546 A KR 1020220050546A KR 20220050546 A KR20220050546 A KR 20220050546A KR 20220060509 A KR20220060509 A KR 20220060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xel
vehicle
tail lamp
pixe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679B1 (ko
Inventor
주재영
오재용
조홍현
염등원
김종국
손권욱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50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6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0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using luminous text or symbol displays in or on the vehicle, e.g. static tex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60Q1/0094Arrangement of electronic circuits separated from the light source, e.g. mounting of housings for starter circuits for discharg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expressing greetings, gratitude or emo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20Multi-color single source or LED matrix, e.g. yellow blinker and red brake lamp generated by single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테일램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고, 개별 LED 칩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들의 경계선을 제어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 시점에서 볼 때 자연스러운 배광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테일램프{TAIL LAMP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일램프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테일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다보면 여러가지 운행상황에 따라 앞차를 추월하여 앞지르기를 한다거나 어떤 양보를 받을 때 뒷차량에 감사의 표시를 하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기타 초보운전표시나 여러가지 상황에 대한 의사표시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운전자의 의사표시는 상황에 따라 오해를 일으킬 소자가 많아 운전자의 의사표시를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차량 후방 메시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의사 전달 표시를 위한 차량 후방 메시지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가 운전 상황에 맞게 사전에 입력해 둔 글자를 차량의 운행 상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표시하고, 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운전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의사 전달을 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방 메시지 전달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종래 기술인 "자동차의 다기능 의사표시 장치(출원번호:20-1996-0058358)" 는 표시할 메시지를 입력시키고, 표시할 메시지를 출력하는 KEY 매트릭스를 필요로 한다.
상기 의사 표시장치는 운전자가 KEY 매트릭스를 눌러 대응되는 메시지를 내부 메모리에서 찾아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로, KEY 매트릭스라는 많은 수의 버튼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 의사 표시장치는 미리 설정된 단어중에서 운전자가 해당 단어를 미리 찾아 설정하고 주행하게 되지만, 운전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설정된 단어를 손쉽게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10409호에는 차량 운전자의 스마트 기기와 차량의 테일램프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상황에 따라 차내에서 설정된 단어를 신속하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테일램프는 설정된 단어의 신속한 변경을 위한 구성과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지만, 개별 LED 칩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들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이 광학적으로나 기구적인 구성에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광을 좁게 출력해야만 하여 광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광이 형성되는 영역과 배광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 사이에서 컷-오프(Cut-Off)가 급격하게 이루어져 조명에 의한 밝고 어두운 상태가 극명하게 대비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 시점에서 볼 때 부자연스러운 배광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공개실용신공보 공개번호 제20-1998-045218호(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다기능 의사표시장치) 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10409호(발명의 명칭: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차량용 테일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차량용 테일램프로서, 차량의 테일램프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운전 상황에 따라 설정한 출력 대상 정보(P)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수신된 출력 대상 정보(P)가 임의의 배광 패턴으로 점등되도록 디스플레이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대상 정보(P)를 임의의 패턴으로 점등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M ×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부와, 개별 픽셀부에 I × J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 모듈부와, 개별 픽셀 모듈부에 2 × 2 형태로 배열된 보조 픽셀 모듈부인 3개의 픽셀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픽셀부와, 픽셀 모듈부와, 보조 픽셀 모듈부의 개별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P)가 형성되는 배광 영역과 형성되지 않는 배광 영역 사이의 컷-오프에 의한 경계선의 명암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픽셀부를 횡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픽셀부는 M' × N' 크기의 매트릭스를 단위 섹션으로 하는 적어도 3개의 섹션(S1, S2, S3)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LED 칩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들의 경계선을 제어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 시점에서 볼 때 자연스러운 배광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모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모듈부의 보조 픽셀 모듈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디스플레이부 광원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 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디스플레이부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모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 예에 따른 픽셀 모듈부의 보조 픽셀 모듈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의 디스플레이부 광원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테일램프(100)는 차량(20)에 설치되고, 데이터 통신부(110)와, 제어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이동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출력 대상 정보(P)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와이파아(Wifi), 지그비, NFC 등의 무선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1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0)는 데이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출력 대상 정보(P)를 임의의 패턴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가능한 복수의 픽셀부(131)가 M ×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픽셀부(131)는 I × J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픽셀 모듈부(131a)를 단위 모듈로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픽셀 모듈부(131a)는 보조 픽셀 모듈부(132), 제1 보조 픽셀 모듈부(132a), 제2 보조 픽셀 모듈부(132b), 제3 보조 픽셀 모듈부(132c)가 2 × 2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픽셀부(131)는 2 × 2 매트릭스로 배치된 보조 픽셀 모듈부(132, 132a, 132b, 132c)로 구성된 픽셀 모듈부(131a)와, 상기 픽셀 모듈부(131a)가 I × J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부(131)와, 상기 픽셀부(131)가 M ×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표시되는 출력 대상 정보(P)를 표시할 때, 픽셀 모듈부(131)와 제1 픽셀 모듈부(131a')의 보조 픽셀 모듈부(132, 132a'), 제1 보조 픽셀 모듈부(132a, 132a'), 제2 보조 픽셀 모듈부(132b, 132b'), 제3 보조 픽셀 모듈부(132c, 132c')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출력 대상 정보(P)가 부드러운 패턴을 형성하며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 픽셀 모듈부(132), 제1 보조 픽셀 모듈부(132a), 제2 보조 픽셀 모듈부(132b), 제3 보조 픽셀 모듈부(132c)는 10㎛ ~ 200㎛ 크기의 μLED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μLED는 가로 또는 세로 중 한변의 길이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픽셀 모듈부(132), 제1 보조 픽셀 모듈부(132a), 제2 보조 픽셀 모듈부(132b), 제3 보조 픽셀 모듈부(132c)는 가로 또는 세로 중 한변의 길이가 0.5㎜ ~ 0.1㎜로 구성된 미니 LED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픽셀부(131)를 횡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으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픽셀부(131)를 준선(R)을 통해 일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다수의 섹션(S1, S2, S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섹션(S1, S2, S3)은 픽셀부(131)를 M' × N' 크기의 매트릭스를 단위 섹션으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여러가지 다양한 배광 패턴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 픽셀 모듈부(132)는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133)과, 상기 광원(133)에서 입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일정 배광각을 형성하며 출력하도록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계(134)와, 상기 광학계(134)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균일하게 확산시켜 출력하는 확산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133)은 일정 파장 범위의 빛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청색을 출력하는 LE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133)은 가로 또는 세로 중 한변의 길이가 0.5㎜ ~ 0.1㎜로 구성된 미니 LED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크기의 LED 또는 LED 어레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원(133)은 상부에 청색 빛에 여기되어 백색, 적색, 황색 등의 색상이 출력되도록 각각 형광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의 제어를 통해 개별 온/오프됨으로써, 다양한 배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운전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고, 개별 LED 칩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들의 경계선을 제어함으로써, 후방 차량의 운전자 시점에서 볼 때 자연스러운 배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이동 단말
20 : 차량
100 : 테일 램프
110 : 데이터 통신부
120 : 제어부
130, 130' : 디스플레이부
131 : 픽셀부
131a : 픽셀 모듈부
131a' : 제1 픽셀 모듈부
132, 132' : 보조 픽셀 모듈부
132a, 132a' : 제1 보조 픽셀 모듈부
132b, 132b' : 제2 보조 픽셀 모듈부
132c, 132c' : 제3 보조 픽셀 모듈부
133 : 광원
134 : 광학계;
135 : 확산부

Claims (2)

  1. 차량(20)의 테일램프(100)에 설치되고, 이동 단말(10)로부터 사용자가 운전 상황에 따라 설정한 출력 대상 정보(P)를 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110);
    상기 수신된 출력 대상 정보(P)가 임의의 배광 패턴으로 점등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20); 및
    상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출력 대상 정보(P)를 임의의 패턴으로 점등하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M × N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부(131)와, 개별 픽셀부(131)에 I × J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픽셀 모듈부(131a)와, 개별 픽셀 모듈부(131a)에 2 × 2 형태로 배열된 보조 픽셀 모듈부(132, 132a, 132b, 132c)인 3개 픽셀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0)는 픽셀부(131)와, 픽셀 모듈부(131a)와, 보조 픽셀 모듈부(132, 132a, 132b, 132c)의 개별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출력 대상 정보(P)가 형성되는 배광 영역과 형성되지 않는 배광 영역 사이의 컷-오프에 의한 경계선의 명암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픽셀부(131)를 횡방향으로 긴 장방형상으로 배치하되,
    상기 픽셀부(131)는 M' × N' 크기의 매트릭스를 단위 섹션으로 하는 적어도 3개의 섹션(S1, S2, S3)으로 구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일램프.
KR1020220050546A 2020-06-30 2022-04-25 차량용 테일램프 KR10245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46A KR102455679B1 (ko) 2020-06-30 2022-04-25 차량용 테일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50A KR20220016312A (ko) 2020-06-30 2020-06-30 차량용 테일램프
KR1020220050546A KR102455679B1 (ko) 2020-06-30 2022-04-25 차량용 테일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50A Division KR20220016312A (ko) 2020-06-30 2020-06-30 차량용 테일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509A true KR20220060509A (ko) 2022-05-11
KR102455679B1 KR102455679B1 (ko) 2022-10-19

Family

ID=802661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50A KR20220016312A (ko) 2020-06-30 2020-06-30 차량용 테일램프
KR1020220050546A KR102455679B1 (ko) 2020-06-30 2022-04-25 차량용 테일램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50A KR20220016312A (ko) 2020-06-30 2020-06-30 차량용 테일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163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18U (ko)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다기능 의사표시장치
KR101514252B1 (ko) * 2014-01-16 2015-04-23 (주)애드트로닉 실시간으로 출력상태 확인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키패드를 갖는 전방 노출형 단면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101610409B1 (ko) 2010-11-17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
KR20170039687A (ko) * 2014-07-31 2017-04-11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높은 수의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컬러 무기 led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218U (ko)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다기능 의사표시장치
KR101610409B1 (ko) 2010-11-17 201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차량 외장램프 점등 제어 시스템 및 차량 경고음 제어 시스템
KR101514252B1 (ko) * 2014-01-16 2015-04-23 (주)애드트로닉 실시간으로 출력상태 확인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키패드를 갖는 전방 노출형 단면 엘이디 전광판 시스템
KR20170039687A (ko) * 2014-07-31 2017-04-11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높은 수의 픽셀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컬러 무기 led 디스플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312A (ko) 2022-02-09
KR102455679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8704B2 (en) Vehicle lighting display system
US20140063359A1 (en) Sectional Dynamic-Driving Backlight Module and Head-up Display Device Thereof
CN108870307B (zh) 具有图像投影装置和显示器的发光装置
US20200101893A1 (en) Individualizable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US20050162090A1 (en) Illuminated display having two single-colored light sources
US10589662B2 (en) Adjusting system for a vehicle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djusting system
CN107921908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装置
KR102455679B1 (ko) 차량용 테일램프
CN111251985A (zh) 一种后车远光关闭提醒系统、方法及车辆
CN108205221A (zh) 显示设备、具有其的车辆及其控制方法
US11255507B2 (en) Lamp apparatus
CN109291850B (zh) 车辆用灯具
WO2017067393A1 (zh) 车载液晶显示装置和制造方法以及车辆
KR20200084384A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
JP7453806B2 (ja) 車両用ランプ
CN111301276A (zh) 一种多发光样式信号显示系统、方法及车辆
JP2001347886A (ja) 車両用led一体型リアランプ
GB2590447A (en) Dynamic light animation using fibre optics and a projector
JP2019059387A (ja) 照明システム及び移動体
US11788705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s having a matrix assembly forming a subarea of linear light assembly
KR102635890B1 (ko) 안전 메시지 전송을 위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US11946612B2 (en) Hybrid surface element lighting apparatus with multiple illumination functions
JP2019133520A (ja) 信号機
US20220186904A1 (en) Vehicle lamp
JP2001242840A (ja) 液晶表示モジュールのカラーバック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