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453A -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 - Google Patents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453A
KR20220060453A KR1020210047316A KR20210047316A KR20220060453A KR 20220060453 A KR20220060453 A KR 20220060453A KR 1020210047316 A KR1020210047316 A KR 1020210047316A KR 20210047316 A KR20210047316 A KR 20210047316A KR 20220060453 A KR20220060453 A KR 2022006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
bar
bars
stove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순
이명수
Original Assignee
민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순 filed Critical 민경순
Publication of KR2022006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23B1/22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using travelling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06Travelling-grates with the bars movable relatively to one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7/00Details of grates
    • F23H17/06Provision for vertical adjustment of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개시된 펠릿난로용 연소장치는,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연소실과, 연소실의 배출개구부 상측에 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이격거리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로스톨바와, 상부로스톨바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부로스톨바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하부로스톨바와,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이로써, 연소될 펠릿의 크기에 맞게 고정된 로스톨바를 구비한 종래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에서는 특정한 크기의 펠릿만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크기의 펠릿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COMBUSTION APPARATUS FOR PELLET STOVE AND PELLET STOVE WITH THIS}
본 발명은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펠릿의 크기별로 최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기름, 가스, 및 전기 등을 이용한 다양한 난로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난방하고 있다. 상기한 난방용 난로는 실내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고유가 등에 의해 난방비용이 비싸지게 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특히, 기름을 연료로 하는 난방용 난로는 연소가스로 인해 대기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근래에 와서는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 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원기둥 모양으로 압출하는 방법으로 가공되는 목재펠릿(wood pellets)을 대체 에너지로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펠릿난로가 제조되고 있다.
종래의 펠릿난로에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펠릿은 비교적 작은 크기로서, 직경은 08∼15cm, 길이는 2∼4cm 정도의 크기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펠릿난로의 연소부에서 목재펠릿이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동시 연소가 잘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펠릿난료의 연소기에 설치되는 로스톨은 대부분 목재펠릿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소공이 형성되어 있는 단층 구조로 형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93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연소구 내부에 경사 가이드 망체를 일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341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깔대기 타입의 펠릿연소구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729126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연소판이 돔(dome) 형상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연소부에 설치되어 목재펠릿 연료를 받쳐주는 로스톨에는 작은 크기로 제조된 목재펠릿이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는 통풍구 또는 연소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단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펠릿목재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완전 연소된 재와 함께 배출 처리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펠릿난로에 사용되고 있는 연소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펠릿난로의 연소기(10)는 연소기본체(11)의 연소부(12) 내부에는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펠릿(미도시)의 직경 및 크기(길이)보다 작은 간격(d)이 형성되도록 전,후 또는 좌,우 수평방향을 향해 복수의 로스톨바(13)가 일정간격으로 횡설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소기본체(11)의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복수의 공기유입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연소기본체(11)의 바닥에는 재배출부(15)가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펠릿난로에 설치되는 연소기본체(11)의 내부인 연소부(12)에는 연료인 목재펠릿(미도시)을 받쳐주는 복수의 로스톨바(13)가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횡설되는 단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13) 위에서 연소하게 되는 목재펠릿(미도시)은 복수의 로스톨바(13) 위에 투입될 때에는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13)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복수의 로스톨바(13) 밑으로 빠지지 않고 그 위에서 연소하게 되지만,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점차로 작아지게 되면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채 재와 같이 로스톨바(13) 밑으로 빠지게 되며, 이 같이 재와 같이 로스톨바(13) 밑으로 빠지게 되는 목재펠릿은 완전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 연소된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왜냐하면,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설치되는 단층 구조로 된 복수의 로스톨바(13)들은 사이사이에 형성된 간격(d)으로는 연료인 목재펠릿(미도시)이 연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지만, 연료인 목재펠릿이 단층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스톨바(13) 위에서 연소됨에 따라 크기가 점차로 작아지게 될 때에는 작아진 목재펠릿이 복수의 로스톨바(13)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을 통해 밑으로 빠지게 되며, 이 경우 연소기(10)의 연소부(12)에서 일부 연소된 목재펠릿이 복수의 로스톨바(13)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을 통해 연소부(12)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재배출공(15)으로 재와 같이 떨어지게 되며, 연소부(12) 하측의 재배출부(15)으로 떨어진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채 일부 연소된 목재펠릿은 더 이상 연소하지 못하고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전 연소하지 아니한 목재펠릿의 일부가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될 경우에는 연료인 목재펠릿이 낭비되고, 이러한 낭비로 인해 에너지자원의 손실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로스톨바가 고정되어 위치됨에 따라 크기가 다양한 펠릿을 사용하지 못하고 특정 크기의 펠릿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341호 (고안의 명칭 : 펠릿난로, 2015. 02. 16.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93호 (고안의 명칭 : 펠릿난로, 2016. 11. 22. 공고)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26호 (발명의 명칭 :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2017. 04. 0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목재펠릿난로의 연소장치에서 펠릿으로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공급하면서 연소공간을 확장시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재펠릿을 이용한 난로의 연소장치에서 로스톨바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펠릿의 크기에 맞게 연소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펠릿난로용 연소장치는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배출개구부 상측에, 상기 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이격거리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로스톨바;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로스톨바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하부로스톨바; 및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부로스톨바와 접하여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 및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승강 이동 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배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부로스톨바와 각각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접면부;가 다단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에는, 회전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부로스톨바와 접하여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부;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및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조절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부과 함께 상기 조절캠부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절캠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캠브라켓;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구동축부를 상기 회전지지부 또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멈춤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는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배출개구부 상측에, 상기 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이격거리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로스톨바;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하부로스톨바;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연소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상부로스톨바와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는 가림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는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및 상측에 상기 연소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난로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펠릿난로는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다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다리는, 다리회동축부를 매개로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다리부재; 및 상기 회동다리부재에 형성되는 경사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다리부재의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회동다리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경사지지부재가 상기 난로본체에 지지되면, 상기 회동다리부재는 상기 다리회동축부로부터 상기 난로본체의 외측으로 경사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는,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다리접이홈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다리부재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 및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이홈부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1경사지지부; 및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2경사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동다리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제2회동다리는 상기 접이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동다리는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 외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2경사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제1경사지지부가 적층 지지된다.
본 발명의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에 의하면, 연소장치의 결합 관계를 통해 연소될 펠릿의 크기에 맞게 고정된 로스톨바를 구비한 종래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에서는 특정한 크기의 펠릿만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크기의 펠릿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홀부를 통해 연소되는 펠릿으로 산소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이동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연소공간을 조절하고,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이동이 가능하므로,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펠릿이 로스톨바 사이로 떨어져 배출되지 않게 되어 펠릿을 보다 오랫동안 연소시킬 수 있고,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재를 이용한 작동플레이트의 승강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한 작동으로 사용될 펠릿의 크기에 맞게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를 통해 하부로스톨바의 개별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면부의 결합 관계에 따라 펠릿의 크기에 맞게 복수의 단계별로 하부로스톨바를 승강시킬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펠릿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절캠부를 이용한 작동플레이트의 승강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가 더욱 편리한 작동으로 사용될 펠릿의 크기에 맞게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캠브라켓을 통해 조절캠의 회전에 대응하여 작동플레이트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조절캠과 작동플레이트의 결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멈춤부재를 통해 조절캠부의 회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상부로스톨바와 하부로스톨바의 간격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림날개를 통해 연소실의 외부로 돌출된 로스톨바의 단부를 가려 주변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한편,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로스톨바와 연소실의 결합 관계를 명확하게 하며, 로스톨바가 해당 설치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방식의 작동플레이트를 통해 로스톨바를 다단으로 형성하여 로스톨바에서 수평이격거리와 경사간격을 다양화하고, 연소되지 않은 펠릿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펠릿난로의 결합 관계를 통해 펠릿난로 주변의 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다리의 결합 관계를 통해 바닥에서 펠릿난로를 안정되게 설치하고, 펠릿난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펠릿난로의 사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다리의 상세 결합 관계를 통해 결합다리의 펼침 상태에서 결합다리의 경사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고, 결합다리의 접힘 상태에서 난로본체의 하부를 미려하게 마감하며, 펠릿난로의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로스톨바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확대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를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 구비된 연소장치에서 하부로스톨바의 상승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와, 난로본체(200)를 포함하고, 결합다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난로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내부의 펠릿이 연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에서 펠릿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는 난로본체(200)에 전달되므로, 연소장치(100)와 난로본체(200)에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의 주변을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연소실(110)과,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구동모듈(140)을 포함하고, 가림날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110)은 상방이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115)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다른 표현으로, 연소실(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중공의 함체이고, 내부에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연소실(110)의 측벽에는 상부로스톨바(120, 160) 및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설치되는 상부설치공(111, 117) 및 하부설치공(112, 118)이 형성된다. 상부설치공(111, 117)은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수평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연소실(110)의 측벽에 복수 개가 설치되고, 하부설치공(112, 118)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수평 배치 형태에 대응하여 연소실(110)의 측벽에서 상부설치공(111, 117)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연소실(110)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상부설치공(111, 117) 사이에 하부설치공(112, 118)이 배치되어 지그재그 형태를 나타낸다. 상부설치공(111, 117)에는 상부로스톨바(120, 160)가 삽입 지지되고, 하부설치공(112, 118)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 이동 가능하므로, 상부설치공(111, 117)은 상부로스톨바(120, 160)가 삽입 지지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하부설치공(112, 118)은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부설치공(111, 117)은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설치되고, 하부설치공(112, 118)은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설치공(111, 117)은 2단으로 형성되어 제1-1설치공(111)과, 제1-1설치공(111)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2설치공(117)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부설치공(112, 118)은 2단으로 형성되어 제1-1설치공(111)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1설치공(112)과, 제1-2설치공(117)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2설치공(118)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소실(110)의 측벽에는 연소실(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유입홀부(113)가 형성된다.
연소실(110)의 상방은 개구됨에 따라 연소실(110)의 상부에는 투입개구부(114)가 형성된다.
연소실(110)의 하부에는 난로본체(200)와의 연통을 위해 배출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난로본체(200)에 안정되게 전달되도록 한다.
연소실(110)의 측벽에는 구동모듈(140)의 구동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6)가 형성된다. 회전지지부(116)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연소실(110)의 측벽에 돌출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110a는 연소실(110)에 펠릿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이고, 미설명부호 110a-1은 투입호퍼(110a)를 연소실(110)의 투입개구부(114)에 연결시키는 연소그릴이다. 연소그릴(110a-1)에는 그릴홀부가 관통 형성되어 공기가 연소실(110)의 내부로 안정되게 유입되도록 한다.
상부로스톨바(120, 160)는 연소실(110)의 배출개구부(115) 상측에 위치하게 상부설치공(111, 117)에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상호 간 수평이격거리(S1, S3)는 펠릿의 직경(D)보다 크게 세팅되므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에 펠릿이 삽입 가능하고, 한 쌍의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에서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의해 지지되어 펠릿이 연소실(11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수평이격거리(S1, S3)는 상호 인접한 두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중심 사이의 간격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부로스톨바(120, 160)에서 좌측의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우측단부와 우측의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좌측단부 사이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부로스톨바(120, 160)는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상부설치공(111, 117)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로스톨바(120, 160)는 2단으로 형성되어 제1-1로스톨바(120)와, 제1-1로스톨바(12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2로스톨바(160)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수평이격거리(S1, S3)에 대하여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1로스톨바(120) 사이의 간격은 제1이격거리(S1)로 나타내고,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제1-2로스톨바(160) 사이의 간격은 제2이격거리(S3)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2이격거리(S3)는 제1이격거리(S1)와 같거나 짧게 형성되어 제1-1로스톨바(120) 및 제2-1로스톨바(130)로부터 떨어지는 펠릿을 한번 더 잡아서 연소시킬 수 있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된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승강 이동된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에서 하부에 배치되게 하부설치공(112, 118)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때,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이웃하는 상측 상부로스톨바(120, 160)와의 수직이격거리(S2, S4)는 펠릿의 직경(D)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하므로, 한 쌍의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에 삽입된 펠릿은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지지되어 펠릿이 연소실(110)의 하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부로스톨바(120, 160) 위로 공급되는 펠릿이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로 떨어지면서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의해 지지되므로, 연소되는 펠릿으로 산소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연소실(110)의 공간을 상대적으로 확장시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펠릿이 로스톨바 사이로 떨어져 배출되지 않게 되어 펠릿을 보다 오랫동안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수직이격거리(S2, S4)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상단부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하단부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을 나타낼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되는 하부설치공(112, 118)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2단으로 형성되어 제1-1로스톨바(12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1로스톨바(130)와, 제1-2로스톨바(160)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2로스톨바(170)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수직이격거리(S2, S4)에 대하여 상호 이격된 제1-1로스톨바(120)와 제2-1로스톨바(130) 사이의 간격은 제1경사간격(S2)으로 나타내고, 상호 이격된 제1-2로스톨바(160)와 제2-2로스톨바(170) 사이의 간격은 제2경사간격(S4)으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제2경사간격(S4)은 제1경사간격(S2)보다 짧게 형성되어 연소되는 펠릿이 배출개구부(115) 쪽으로 낙하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2로스톨바(170)를 구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141)의 가압부(141a)의 상대적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양단부는 각각 작동플레이트(141)의 상단부에 적층되는 형태로 작동플레이트(141)에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펠릿의 크기(D)에 따라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승강하므로,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 사이의 수직이격거리(S2, S4)가 조정될 수 있다. 즉, 펠릿의 크기(D)가 작은 경우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수직이격거리(S2, S4)를 줄이고 펠릿이 큰 경우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직이격거리(S2, S4)를 늘려서 안정적으로 펠릿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연소실(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하부설치공(112, 118)은 연소실(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동모듈(140)은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작동플레이트(141)와, 구동축부(142)와, 조절구동부(143)와, 조절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플레이트(141)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하측에서 접하여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승강 이동시킨다. 작동플레이트(141)에는 복수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접하여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41a)가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대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된다. 작동플레이트(141)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배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복수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각각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부(141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41a)에는 작동플레이트(141)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승강 이동될 때,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경사부가 형성된다.
승강되는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하부설치공(112, 11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승강 이동하게 되고,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승강 이동에 따라 수직이격거리(S2, S4)를 조절하게 된다.
즉, 도 4와 도 5에서는 수직이격거리(S2, S4)인 제1경사간격(S2)과 제2경사간격(S4)이 길어서 직경(D)이 큰 펠릿을 사용하고, 상황에 따라 펠릿의 직경이 작은 것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작동플레이트(141)를 이동시켜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수직이격거리(S2, S4)인 제1경사간격(S2)과 제2경사간격(S4)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시예에서 경사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경사부는 후술하는 접면부(141a-1, 141a-2, 141a-3)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히 도출될 수 있다. 그러면, 작동플레이트(141)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2단으로 형성되므로, 작동플레이트(141)는 상단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인 제2-1로스톨바(130)를 승강 이동시키는 상부플레이트(141-1)와, 하단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인 제2-2로스톨바(170)를 승강 이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141-2)와,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제2-1로스톨바(130)의 일측과 한 쌍의 제2-2로스톨바(170)의 일측을 일체로 상호 연결시키는 이음플레이트(141-3)와, 한 쌍의 제2-1로스톨바(130)의 타측과 한 쌍의 제2-2로스톨바(170)의 타측을 각각 일체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결합브라켓(14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플레이트(141-1)와 하부플레이트(141-2)에는 각각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대응하여 가압부(141a)가 형성된다.
또한, 작동플레이트(141)는 조절캠부(14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캠브라켓(14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브라켓(141b)은 한 쌍의 결합브라켓(141-4)에서 각각 돌출 형성된다. 캠브라켓(141b)에는 조절캠부(144)가 삽입 지지되는 캠지지홈부가 함몰 형성되어 캠브라켓(141b)에서 조절캠부(144)가 안정되게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구동축부(142)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지지부(116)에 함몰 형성되는 축지지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어 구동축부(14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조절구동부(143)는 구동축부(142)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롤러 타입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는 마찰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을 원활하게 하고,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절구동부(143)는 조절캠부(144)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레버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캠부(144)는 회전 중심이 조절캠부(144)의 외접원 중심에서 이격된 형태를 나타내므로, 이러한 이격 상태에 따라 작동플레이트(141)의 슬라이드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동모듈(140)은 구동축부(142)를 회전지지부(116) 또는 작동플레이트(14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멈춤부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멈춤부재(146)는 구동축부(142)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내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동축부를(142) 회전지지부(116) 또는 작동플레이트(14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가림날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림날개(180)는 연소실(11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림날개(18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양단부에 대응하여 연소실(11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림날개(180)는 연소실(110)에서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노출 여부를 선택한다.
가림날개(18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가리기 위한 가림부(181)와, 가림부(181)의 양단부에서 연장되어 날개축부(183)를 매개로 연소실(110)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브라켓(1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림날개(180)가 회전되어 연소실(110)의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연소실(110)의 측벽에서 노출되고, 가림날개(180)가 회전되어 연소실(110)의 측벽과 가림부(181)가 마주보게 되면, 가림부(181)를 통해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가릴 수 있다.
난로본체(200)는 상측에 연소장치(100)가 설치된다. 난로본체(200)는 연소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난로본체(200)는 상측에 연소장치(100)가 설치되고,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의 난로바디(210)를 포함하고, 난로바디(210)에 삽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소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재가 수용되는 수용서랍(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난로바디(210)의 상면에는 연소실(110)의 배출개구부(115)와 연통되는 통과개구부(211)가 개구되어 연소실(110)에서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간편하게 난로바디(210)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난로바디(210)의 측벽에는 투시부(212)가 구비되어 난로바디(210)의 외측에서 난로바디(210)의 내부 상태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난로바디(210)의 하면에는 다리접이홈부(213)가 함몰 형성되므로, 결합다리(230)가 접힘 상태에서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수용서랍(220)은 난로바디(21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서랍홀부에 끼움 결합된다.
수용서랍(220)에는 재수용홈부가 함몰 형성되어 연소실(110)로부터 전달되는 재를 간편하게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재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결합다리(230)는 난로본체(200)의 하부에 결합된다. 결합다리(230)는 다리회동축부(233)를 매개로 난로본체(20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다리부재(231)와, 회동다리부재(231)에 형성되는 경사지지부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다리부재(231)의 펼침 동작에 따라 회동다리부재(231)가 회전되어 경사지지부재(232)가 난로본체(200)에 지지되면, 회동다리부재(231)는 다리회동축부(233)로부터 난로본체(200)의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어 바닥을 기준으로 난로본체(20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난로본체(200)의 하부에 함몰 형성된 다리접이홈부(213)에 대응하여 회동다리부재(231)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난로본체(200)의 하부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다리접이홈부(213)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지지부재(232)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1경사지지부와,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2경사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다리부재(231)의 접힘 동작에 따라 회동다리부재(231)가 회전되면, 제2회동다리는 다리접이홈부(213)에 삽입되고, 제1회동다리는 난로본체(200)의 하부 외측면에 지지되며, 제2경사지지부의 하부에 제1경사지지부가 적층 지지되어 난로본체(200)의 하부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와, 난로본체(200)를 포함하고, 결합다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난로본체(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내부의 펠릿이 연소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에서 펠릿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는 난로본체(200)에 전달되므로, 연소장치(100)와 난로본체(200)에서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의 주변을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에서 난로본체(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난로본체(2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난로본체(200)에는 연도가 구비되어 난로바디(210) 내부의 연기를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연소실(110)과,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구동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소실(110)은 상방이 개방되어 투입개구부(114)가 형성되고, 연소실(110)의 하부에는 연소된 펠릿재가 배출되는 배출개구부(115)가 형성된다. 연소실(110)에는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연소실(110)의 측벽에는 상부로스톨바(120, 160) 및 하부로소톨바가 설치되는 상부설치공(111, 117) 및 하부설치공(112, 118)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소실(1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소실(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로스톨바(120, 160)는 연소실(110)의 배출개구부(115) 상측에 위치하게 상부설치공(111, 117)에 복수 개가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로스톨바(120, 160) 상호 간 수평이격거리(S1, S3)는 펠릿의 직경(D)보다 크게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상부로스톨바(120, 160)의 사이 하부에 배치되게 하부설치공(112, 118)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이때,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이웃하는 상측 상부로스톨바(120, 160)와의 수직이격거리(S2, S4)는 펠릿의 직경(D)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로스톨바(120, 160) 위로 공급되는 펠릿이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로 떨어지면서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연소되는 펠릿으로 산소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지고, 공간을 상대적으로 확장시켜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충분히 연소되지 않은 펠릿이 로스톨바 사이로 떨어져 배출되지 않게 되어 펠릿을 보다 오랫동안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소실(110)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펠릿의 크기(D)에 따라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승하강되게 함으로써,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 사이의 수직이격거리(S2, S4)가 조정될 수 있다. 즉, 펠릿의 크기(D)가 작은 경우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수직이격거리(S2, S4)를 줄이고, 펠릿의 크기(D)가 큰 경우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직이격거리(S2, S4)를 늘려서 안정적으로 펠릿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연소실(110)의 측벽에 형성되는 하부설치공(112, 118)은 상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한다.
구동모듈(140)은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작동플레이트(141)와, 레버부재(145)를 포함한다.
작동플레이트(141)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하측에서 접하여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선택적으로 승강 이동시킨다. 작동플레이트(141)에는 복수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접하여 상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41a)가 각각 복수개 형성된다. 작동플레이트(141)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배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복수의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각각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부(141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141a)에는 작동플레이트(141)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연장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른 접면부(141a-1, 141a-2, 141a-3)가 복수 개 다단으로 형성된다. 가압부(141a)에는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접면부(141a-1, 141a-2, 141a-3)가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면부(141a-1, 141a-2, 141a-3)는 해당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단계별로 지지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직이격거리(S2, S4)가 넓은 상태에서 작동플레이트(141)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면, 그에 따라 복수개의 가압부(141a)가 이동되면서 다단의 높이로 형성되는 접면부(141a-1, 141a-2, 141a-3)가 제일 낮은 접면부(141a-1)에서 제일 높은 접면부(141a-3)가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가압하면서 상승시킨다.
상승되는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 하부설치공(112, 11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면서 수직이격거리(S2, S4)가 짧아 지게 된다.
즉, 도 11의 상태에서는 수직이격거리(S2, S4)가 길어서 직경(D)이 큰 펠릿을 사용하고, 상황에 따라 펠릿의 직경(D)이 작은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작동플레이트(141)를 이동시켜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상방으로 가압하여 상승시켜 결과적으로 수직이격거리(S2, S4)를 줄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된 접면부(141a-1, 141a-2, 141a-3)는 삼단의 높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다른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히 도출될 수 있다.
레버부재(145)는 작동플레이트(141)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현시킨다.
레버부재(145)는 연소실(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레버지지축(145-1)과, 레버지지축(14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이음레버(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축이음레버(145-2)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 형성되는 장홀부(145-3)가 관통 형성된다. 장홀부(145-3)에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브라켓을 연결하는 구동축부(142)가 삽입된다. 구동축부(142)는 장홀부(14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홀부(14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레버부재(145)는 축이음레버(145-2)에서 연장되는 파지레버(1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레버(145-4)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축이음레버(145-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레버부재(145)를 당기면, 작동플레이트(141)가 도 12 상태로 승강 이동되면서 고단으로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상승되고, 레버부재(145)를 밀면, 작동플레이트(141)가 도 11의 상태로 승강 이동되면서 저단으로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하강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각각 2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연소실(110)에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의하여 펠릿이 지지되면서 연소되게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펠릿의 크기(D)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부재(145)를 작동시키면,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수직이격거리(S2, S4)를 조정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수직이격거리(S2, S4)가 길어지게 되어 직경(D)이 큰 펠릿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수직이격거리(S2, S4)가 짧아지게 되어 직경(D)이 작은 펠릿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될 펠릿의 크기(D)에 따라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그에 맞게 위치 조절하여 사용하고, 펠릿이 연소되면서 작아지게 되면,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상부로스톨바(120, 160) 사이의 수직이격거리(S2, S4) 사이로 낙하하게 되는데, 하부에 위치하는 제1-2로스톨바(160)와 제2-2로스톨바(170)에 의하여 다시 한번 더 잡아져서 배출개구부(115)로 배출되기 전에 연소가 지속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펠릿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재는 연소실(11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개구부(115)를 통하여 난로본체(200)의 수용서랍(220)에 수용되고, 난로바디(210)로부터 수용서랍(220)을 분리하여 재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펠릿난로용 연소장치(100)는 연소실(110)과,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와, 구동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소실(110)과,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그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구동모듈(140)은 하부로스톨바(130, 170)에 접하여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141)와, 작동플레이트(141)를 승강 이동시키는 레버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작동플레이트(141)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하부로스톨바(130, 170)가 수직으로 승강 이동되는 구조인 반면,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작동플레이트(141)는 수직으로 승강 이동하면서 직접적으로 하부로스톨바(130, 170)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작동플레이트(141)의 승강 이동은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어, 상부로스톨바(120, 160)와 하부로스톨바(130, 170)의 수직이격거리(S2, S4)를 펠릿의 크기(D)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닌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항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종래의 연소기 11: 연소기본체 12: 연소부
13: 로스톨바 14: 공기유입부 15: 재배출부
100 : 연소장치 110a-1: 연소그릴 110a: 투입호퍼
110 : 연소실 111: 제1-1설치공 112: 제2-1설치공
113: 공기유입홀부 114: 투입개구부 115: 배출개구부
116: 회전지지부 117: 제1-2설치공 118: 제2-2설치공
120: 제1-1로스톨바 130: 제2-1로스톨바 140: 구동모듈
141: 작동플레이트 141a: 가압부 141b: 캠브라켓
141a-1, 141a-2, 141a-3: 접면부 141-1: 상부브라켓
141-2: 하부브라켓 141-3: 이음브라켓 141-4: 결합브라켓
142: 구동축부 143: 조절구동부 144: 조절캠부
145: 레버부재 145-1: 레버지지축 145-2: 축이음레버
145-3: 장홀부 145-4: 파지레버 146: 멈춤부재
160: 제1-2로스톨바 170: 제2-2로스톨바 180: 가림날개
181: 가림부 182: 날개브라켓 183: 날개축부
200: 난로본체 210: 난로바디 211: 통과개구부
212: 투시부 213: 다리접이홈부 220: 수용서랍
230: 결합다리 231: 회동다리부재 232: 경사지지부재
233: 다리회동축부

Claims (15)

  1.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배출개구부 상측에, 상기 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이격거리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로스톨바;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로스톨바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하부로스톨바; 및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부로스톨바와 접하여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 및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승강 이동 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배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상기 복수의 하부로스톨바와 각각 접하여 가압하는 가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접면부;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에는, 회전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하부로스톨바와 접하여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작동플레이트;
    상기 회전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부;
    상기 구동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절구동부; 및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조절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부과 함께 상기 조절캠부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수평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절캠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캠브라켓;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구동축부를 상기 회전지지부 또는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멈춤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8.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출개구부가 형성되며, 펠릿이 수용되어 연소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연소실;
    상기 연소실의 배출개구부 상측에, 상기 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이격거리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는 상부로스톨바;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상부로스톨바의 사이에 위치되게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하부로스톨바;
    상기 하부로스톨바를 승강 이동시키는 구동모듈; 및
    상기 연소실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상기 상부로스톨바와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노출 여부를 선택하는 가림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9.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하부로스톨바의 승강 높이를 다단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소장치; 및
    상측에 상기 연소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되는 재와 열과 연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난로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결합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다리는,
    다리회동축부를 매개로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다리부재; 및
    상기 회동다리부재에 형성되는 경사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다리부재의 펼침 동작에 따라 상기 회동다리부재가 회전되어 상기 경사지지부재가 상기 난로본체에 지지되면, 상기 회동다리부재는 상기 다리회동축부로부터 상기 난로본체의 외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에는,
    바닥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다리접이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다리부재는,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 및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이홈부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지지부재는,
    한 쌍의 제1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1경사지지부; 및
    한 쌍의 제2회동다리를 연결시키는 제2경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다리부재의 접힘 동작에 따라 상기 회동다리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제2회동다리는 상기 접이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회동다리는 상기 난로본체의 하부 외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2경사지지부의 하부에 상기 제1경사지지부가 적층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KR1020210047316A 2020-11-04 2021-04-12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 KR20220060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5704 2020-11-04
KR1020200145704 2020-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453A true KR20220060453A (ko) 2022-05-11

Family

ID=8160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316A KR20220060453A (ko) 2020-11-04 2021-04-12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045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41Y1 (ko) 2014-03-14 2015-02-16 박종철 펠릿난로
KR200481893Y1 (ko) 2015-06-05 2016-11-22 김영수 펠릿 난로
KR101729126B1 (ko) 2016-12-21 2017-04-24 조무구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341Y1 (ko) 2014-03-14 2015-02-16 박종철 펠릿난로
KR200481893Y1 (ko) 2015-06-05 2016-11-22 김영수 펠릿 난로
KR101729126B1 (ko) 2016-12-21 2017-04-24 조무구 펠릿난로용 연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4879A1 (en) Pellet burning fire pit
US11953198B2 (en) Non-gas fire pit
US11092342B2 (en) Non-gas fire pit
US10508814B2 (en) Biomass pellet stove
US20200305642A1 (en) Fluid optimization mechanisms for cooking devices
US11051655B2 (en) Table having a heating appliance
KR10132494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방장치
KR102265314B1 (ko) 캠핑용 우드 스토브
KR20220060453A (ko) 펠릿난로용 연소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펠릿난로
KR101670628B1 (ko) 급속 가열 및 화력 조절이 가능한 구이 화덕
CN103388840B (zh) 无烟火炉
CN205338707U (zh) 折叠式烧烤炉
KR102365135B1 (ko) 열 분산 화로
CN202012953U (zh) 燃气烤肉灶
JP3164498U (ja) 料理用ストーブ
US10168053B2 (en) Combustion apparatus for both firewood and pellet fuel
KR101861205B1 (ko) 고형연료 난로
KR102602031B1 (ko) 화로대 상부구조
KR101446278B1 (ko) 휴대가 가능한 발열장치
CN214856162U (zh) 一种轻便可移动的炉体及烤炉
KR102528094B1 (ko) 캠핑 난로용 연소기
CN220958546U (zh) 一种可实现烘烤功能的燃气灶
CN215112746U (zh) 一种兼容两种不同燃料的底座及烤炉
CN218295800U (zh) 便携式户外无烟柴火炉
KR200362245Y1 (ko) 숯불 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