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0116A -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0116A
KR20220060116A KR1020200145688A KR20200145688A KR20220060116A KR 20220060116 A KR20220060116 A KR 20220060116A KR 1020200145688 A KR1020200145688 A KR 1020200145688A KR 20200145688 A KR20200145688 A KR 20200145688A KR 20220060116 A KR20220060116 A KR 2022006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agricultural vehicle
electronic device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5916B1 (ko
Inventor
김용현
손승락
송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긴트
Priority to KR102020014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16B1/ko
Priority to US18/251,137 priority patent/US20240001940A1/en
Priority to PCT/KR2021/004663 priority patent/WO2022097852A1/ko
Priority to US17/346,598 priority patent/US20220139121A1/en
Publication of KR2022006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A01B69/008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세서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과, 상기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농사용 차량에 관한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서버와,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는 구매자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주행공간 범위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농사용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주행공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driving of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란, 자동차와 무선통신을 결합한 차량 무선인터넷 서비스이다. 서비스 형태에 따라 자동차에서 뉴스 수신, 주식투자,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호텔예약, 팩시밀리 송수신, 게임, 차량 사고 및 도난 등 다양한서비스가 가능하여, 최근 텔레매틱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여,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시간적, 공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 상기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농사용 차량에 관한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는 구매자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주행공간 범위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농사용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주행공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의 표시 장치는,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초하여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은, 상기 지도 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공간 이탈 알림을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가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농사용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는, 상기 농사용 차량을 주행시킬 시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범위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농사용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것에 응답하여 시동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농사용 차량이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시동이 걸리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시간 범위 외에서 시동이 걸리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이탈 알림을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시간적 또는 공간적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사용 차량이 지정된 시간 또는 공간 내에서 주행하는지 여부를 모니터하여, 농사용 차량의 정상 주행 여부, 또는 도난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조직도(200) 및 관리자 계정(A1, A2, A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S1)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고객관리를 위한 시스템(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매자 전자장치(50)의 화면(S2, S3)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에서 농사용 차량(10)을 무인으로 주행시키는 경우의 신호 흐름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전자장치(50)에서 차량(10)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전자장치(50)에 표시되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화면(S4)의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구성 요소, 블록, 모듈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구성 요소, 블록, 모듈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구성요소, 블록, 모듈들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블록, 모듈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100)은, 단말기(11)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10), 서버(20), 구매자 전자장치(50), 및/또는 판매자 전자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 구매자 전자장치(50), 서버(20), 판매자 전자장치(3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농사용 차량(10)은 예를 들면 트랙터 등의 농기계일 수 있다. 농사용 차량(10)은 무인으로(즉, 운전자 없이) 주행할 수도 있으며, 운전자의 제어에 기초하여 주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11)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로서, 농사용 차량(10)에 장착 또는 설치된다. 단말기(11)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2), 프로세서(12)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3), 및 서버(20) 등의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단말기(11)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10)에 대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버(20)는 통신모듈(21)을 포함하여, 통신모듈(21)을 통해 농사용 차량(10)(예: 농사용 차량(10)의 단말기(11))과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서버(20)는 판매자 전자장치(30)와도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25)을 저장하는 메모리(23)를 포함한다. 서버(20)의 프로세서(22)는, 프로그램(25)을 실행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2)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메모리(23)(예: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고,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메모리(23)(예: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서버(20)는 예를 들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판매자 전자장치(30)는 농사용 차량(10)을 판매하는 판매자 측의 전자장치다. 판매자 전자장치(3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판매자 전자장치(30)는 서버(20) 등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31),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32), 프로세서(32) 등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 전자장치(30)는 표시장치(36)와 입력장치(37)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6)는 판매자 전자장치(30)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장치(36)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입력장치(37)는, 판매자 전자장치(3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2))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장치(37)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단말기(11)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10)을 구매한 구매자의 전자장치로,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시스템(100)은 단말기(11), 서버(20), 판매자 전자장치(30), 구매자 전자장치(50)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농사용 차량(10), 단말기(11), 서버(20), 구매자 전자장치(50), 및 판매자 전자장치(30) 각각에는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매자 전자장치(30)는, 농사용 차량(10)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 농사용 차량(10)에 대한 정보, 및 단말기(11)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가 농사용 차량(10)을 구매할 경우, 판매자는 판매자 전자장치(30)에 차량(10)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 차량(10)에 대한 정보, 및 차량(10)에 설치된 단말기(11)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판매자 전자장치(30)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차량(10)의 구매자에 대한 정보, 농사용 차량(10)에 대한 정보, 및 차량(10)에 설치된 단말기(11)에 대한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메모리(23)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자에 대한 정보는, 구매자의 이름, 나이,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가 판매자 전자장치(30)에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20)는 판매자 전자장치(30)로부터 전송된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여 구매자의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구매자의 계정은 예를 들면 구매자의 이름, 나이, 연락처 등을 연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사용 차량(10)에 대한 정보는,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와 농사용 차량(10)의 식별정보(예: 차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는 구매자가 구매한 농사용 차량(10)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전자장치(30)에 입력함으로써, 차량(10)에 대한 정보를 구매자의 계정과 연계하여 서버(20)에 등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에 대한 정보는, 차량(10)에 장착되어 있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일련번호일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는 구매자의 계정과 연계하여 단말기(11)에 대한 정보를 판매자 전자장치(30)에 입력함으로써, 단말기(11)를 서버(20)에 등록할 수 있다.
판매자 전자장치(30)에 의해 구매자의 계정 등록 및 차량(10)과 단말기(11)의 등록이 완료되면, 구매자는 구매자 전자장치(50)(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또는 단말기(11)를 통해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자신의 차량(10)을 조회할 수 있고,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의 계정을 저장하고 관리할 뿐만 아니라,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관리자의 계정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의 프로세서(22)는, 관리자 계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프로그램(25)을 통해 복수의 관리자들의 조직도를 관리할 수 있고, 조직 내의 신규 관리자 계정을 발급 및 관리할 수 있고, 상기 계정들의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조직도(200) 및 관리자 계정(A1, A2, A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위한 최상위 관리자 계정(A1)이 사전에 서버(20)의 프로그램(25)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서버(20)는, 최상위 관리자 계정(A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지역 본부들에 대한 조직도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최상위 관리자 계정(A1)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지역 본부의 관리자 계정(A2)을 발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상위 관리자 계정(A1)에는 지역 본부들에 대한 조직도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과, 각 지역 본부의 관리자 계정(A2)을 발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서버(20)는, 지역 본부 관리자 계정(A2)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지역에 속한 대리점을 조직도(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각 지역 본부 관리자 계정(A2)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 대리점의 관리자 계정(A3)을 발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역 본부 관리자 계정(A2)에는 지역에 속한 대리점을 조직도(200)에 등록할 수 있는 권한과, 각 대리점의 관리자 계정(A3)을 발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최상위 관리자 계정(A1), 지역 본부 관리자 계정(A2), 및 대리점 관리자 계정(A3)을 포함하는 관리자 계정들은, 조직에 포함된 다양한 계정들(예: 판매자 계정, 서비스담당자 계정)의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S1)이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조직에 포함되는 서비스담당자는, 전자장치의 화면(S1)을 통해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의 프로그램(25)은, 단말기를 장착한 농사용 차량의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그램(25)의 실행에 기초하여, 서비스담당자의 전자장치에는 화면(S1)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비스담당자 계정은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관리하는 화면(S1)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다.
서비스담당자는 전자장치를 통해 서비스담당자 계정에 접속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11)가 장착된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모델 정보는,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명, 마력, 출시연도, 출고가, 및/또는 변속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모델 정보는, 농사용 차량(10)의 사진 및/또는 상세설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담당자는 화면(S1)을 통해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입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는, 서비스담당자 계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는 단말기(11)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로서, 차량(10)의 모델명, 마력, 출시연도, 출고가, 변속 타입, 사진, 및 상세설명 중 하나 이상을 서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의 단말기(11)로부터 농사용 차량(10)의 CAN (Controller Area Network) 데이터(즉, CAN ID)와 고장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으로부터 수신된 CAN 데이터 및 고장 코드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에서 교체 또는 점검의 대상이 되는 소모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마다 CAN ID, 고장 코드, 및 교체 대상 소모품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별 수집데이터가 무엇인지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는 모델별 수집데이터로서, 모델마다 CAN ID들의 목록, 고장 코드들의 목록, 및 교체 대상 소모품들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담당자는 전자장치를 통해 서비스담당자 계정에 접속하여,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별 수집데이터가 무엇인지 입력할 수 있다. 서비스담당자는,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별 수집데이터로서 CAN ID들의 목록, 고장 코드들의 목록, 교체 대상 소모품들의 목록을 입력할 수 있다.
서버(20)는 농사용 차량의 모델 정보와 모델별 수집데이터를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서버(20)는, 구매자가 농사용 차량(10)을 구매할 때 판매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판매된 농사용 차량(10)의 모델 정보(예: 모델명)와 식별정보(예: 차대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델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력, 출시연도, 출고가, 변속 타입, 사진, 및 상세설명 중 하나 이상과 연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델 정보는 서비스담당자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에 기초하여 서버(20)는 프로그램(25)을 통해, 차량(10)에 대한 정보로 차량을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매자 또는 구매자는, 전자장치에서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에 대한 정보(예: 식별정보, 모델 정보)로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저장에 기초하여 서버(20)는 프로그램(25)을 통해, 텔레매틱스 단말기(11)를 장착한 차량 모델의 판매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농사용 차량(10)의 판매량에 대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모델명에 따라, 구매자의 지역에 따라, 구매자의 연령에 따라, 농사용 차량(10)의 마력에 따라, 판매된 농사용 차량(10)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판매자 또는 구매자는, 전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통계를 볼 수 있다.
한편, 판매자또는 서비스담당자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를 통해, 각 농사용 차량(10)의 이력(예: 생산일, 출하일, 판매일, 판매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이력은 서버(20)의 메모리(23)에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저장에 기초하여 서버(20)는 프로그램(25)을 통해 각 농사용 차량(10)의 이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매자 또는 구매자는, 전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농사용 차량(10)의 이력 정보(예: 생산일, 출하일, 판매일, 판매처)를 열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의 고객관리를 위한 시스템(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고객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1)를 장착한 농사용 차량(10)을 구매한 구매자를 지칭한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객관리 시스템(300)은, 서비스담당자의 전자장치(40), 서버(20), 및 구매자 전자장치(50)를 포함한다. 서비스담당자의 전자장치(40)와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예를 들면, 컴퓨터 장치, 태블릿,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담당자는 전자장치(40)를 통해, 농사용 차량(10) 또는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관한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를 업로드할 수 있다. 서비스담당자의 전자장치(40)를 통해 입력된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는, 서버(2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가 저장되면, 서버(20)는 구매자 전자장치(50)로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에 관한) 푸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담당자는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를 업로드할 때 다양한 필터를 적용하여, 푸시 알림을 수신할 구매자 전자장치(50)를 특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담당자는, 농사용 차량(10)의 구매일, 농사용 차량(10)의 모델명 등에 따라 필터를 지정하여 공지사항 또는 설문조사를 업로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매자 전자장치(50)의 화면(S2, S3)을 나타낸다. 화면 S2, S3은 텔레매틱스 서비스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예시로, 구매자 전자장치(50)에 표시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 전자장치(50)의 화면(S2, S3)을 통해, 보유한 차량(10)의 전체 목록 및 각 차량(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는 화면(S2, S3)을 통해, 각 차량(10)의 상태로서 각 차량(10)의 위치, 시동 여부,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농사용 차량(10)의 단말기(11)는 GPS를 통해 수집된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서버(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의 시동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서버(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예: 고장 코드)를 서버(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장 코드가 발생하는 것에 기초하여 단말기(11)는 고장 코드를 서버(20)에 업로드할 수 있다.
서버(20)에 업로드된 상태 정보(예: 위치정보, 시동 여부, 고장코드)에 기초하여 구매자 전자장치(50)는 텔레매틱스 서비스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화면 S2, S3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서비스에서 농사용 차량(10)을 무인으로 주행시키는 경우의 신호 흐름의 예이다. 구체적으로, 단말기(11)를 장착한 차량(10)의 무인 주행을 위해, 원격으로 시동을 제어하는 신호 흐름의 예이다.
S101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구매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S102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외부(구매자)로부터, 원격지의 차량(10)에 시동을 걸기 위한 시동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구매자는 프로그램의 화면에 표시된, 보유한 농사용 차량의 전체 목록 중에서 일 차량을 선택하고, 선택된 차량에 대한 시동 입력을 가할 수 있다.
S103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서버(20)에게 시동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50)는, 시동을 위해 선택된 차량의 단말기(11)의 식별정보와 함께 시동 명령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104에서 서버(20)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따라 시동 명령을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11)에게 전달할 수 있다.
S105에서 단말기(11)는 서버(20)로부터 전달받은 시동 명령에 따라, 농사용 차량(10)의 시동을 시도할 수 있다.
S106에서 단말기(11)는 시동의 시도에 따른 응답을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시동에 실패한 경우, 단말기(11)는 실패 응답을 서버(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실패 응답을 구매자 전자장치(50)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 기초하여 구매자 전자장치(50)에는 시동 실패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1)는 차량(10)의 시동 실패 원인을 식별하여 실패 원인 코드를 포함하는 실패 응답을 서버(20)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구매자 전자장치(50)에는 시동 실패 원인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시동에 성공한 경우, 단말기(11)는 성공 응답을 서버(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는 성공 응답을 구매자 전자장치(50)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 기초하여 구매자 전자장치(50)에는 시동 성공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차량(10)의 원격 시동이 성공하여 차량(10)에 시동이 걸려있는 동안에, 단말기(11)는 실시간 정보를 서버(20)에게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S107). 실시간 정보는 예를 들면 차량(10)의 엔진 RPM, 유온(oil temperature), 냉각수 온도, 차량(10)의 속도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108에서 서버(20)는 단말기(11)와 연계된 구매자 계정을 식별하여, 상기 실시간 정보를 구매자 전자장치(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기초하여, 구매자 전자장치(50)에는 상기 실시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매자 전자장치(50)에서 차량(10)에 관한 실시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컨대, 농사용 차량(10)이 무인으로 주행하는 경우, 즉 농사용 차량(10)의 구매자(소유자)가 농사용 차량(10)과 원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의 신호 흐름도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S201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농사용 차량(10)을 주행시킬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외부로부터(구매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농사용 차량(10)을 주행시킬 공간 범위, 즉 지오펜스(geo-fence)를 지정하는 입력일 수 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구매자(소유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매자 전자장치(50)에 표시되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화면(S4)의 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화면(S4)에 표시되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통해, 하나 이상의 농사용 차량들의 주행공간 범위(R)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행공간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은,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 상에서 셋 이상의 지점들을 선택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S202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입력받은 주행공간 범위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203에서 서버(20)는 농사용 차량별 주행공간 범위 데이터를 메모리(23)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구매자가 둘 이상의 농사용 차량들을 소유한 경우, 구매자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에 둘 이상의 농사용 차량들을 각각 등록할 수 있고, 농사용 차량마다 주행공간 범위를 각각 지정할 수 있다. 구매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제1 농사용 차량의 제1 주행공간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과, 제2 농사용 차량의 제2 주행공간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는 제1 농사용 차량의 데이터와 제1 주행공간 범위 데이터를 매치하여 저장하고, 제2 농사용 차량의 데이터와 제2 주행공간 범위 데이터를 매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주행공간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한다.
S204에서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수신할 수 있다.
S205에서 단말기(11)는 위치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11)는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주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의 시동이 꺼져 있는 동안에도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206에서 서버(20)는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농사용 차량(10)이 농사용 차량(10)과 관련하여 지정된 주행공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모니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는 단말기(11)의 식별정보와 함께 위치정보를 서버(20)로 송신하고, 서버(20)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11)와 관련하여 저장된 주행공간 범위 데이터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주행공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경우, S207에서 서버(20)는 공간 이탈 알림을 구매자 전자장치(50)(예: 스마트폰)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공간 이탈 알림은 예컨대 푸시 알림일 수 있다. S208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수신한 공간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전자장치(50)는 공간 이탈 알림을 표시하거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만약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서버(20)는 알림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경우 모두, 서버(20)는 계속적으로 단말기(11)(또는 농사용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S205 및 S206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전자장치(50)는, 도 9의 화면(S4)와 같이,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에서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전자장치(50)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지도에 진입하는 구매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서버(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현재 시점의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의 화면 데이터를 구매자 전자장치(50)로 송신할 수 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상기 화면 데이터에 기초하여, 농사용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S4)와 같이,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행공간 범위(R) 및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도는 주행공간 범위(R)를 하이라이트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는 원하는 공간범위 내에서만 농사용 차량(10)이 무인 주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시스템의 동작을 통해, 구매자는 농사용 차량(10)의 도난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차량(10)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은,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를 벗어나면, 서버(20)와 단말기(11)의 제어에 의해 시동이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초하여, 차량(10)의 경적 또는 부저를 울리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공간 범위를 이탈한 차량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비상등을 켜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은 설정된 주행공간 범위를 벗어나면, 서버(20)와 단말기(11)의 제어에 의해 비상등이 켜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공간 범위를 이탈한 차량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0은 예컨대, 농사용 차량(10)이 무인으로 주행하는 경우, 즉 농사용 차량(10)의 구매자(소유자)가 농사용 차량(10)과 원격으로 떨어진 상태에서의 신호 흐름도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S301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농사용 차량(10)을 주행시킬 시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외부로부터(구매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은, 농사용 차량(10)을 주행시킬 시간 범위, 즉 타임펜스(time-fence)를 지정하는 입력일 수 있다. 구매자 전자장치(50)는 구매자(소유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02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입력받은 시간 범위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303에서 서버는 농사용 차량별 시간 범위 데이터를 메모리(23)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구매자가 둘 이상의 농사용 차량들을 소유한 경우, 구매자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에 둘 이상의 농사용 차량들을 각각 등록할 수 있고, 농사용 차량마다 시간 범위를 각각 지정할 수 있다. 구매자는 프로그램을 통해, 제1 농사용 차량의 제1 시간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과, 제2 농사용 차량의 제2 시간 범위를 지정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는 제1 농사용 차량의 데이터와 제1 시간 범위 데이터를 매치하여 저장하고, 제2 농사용 차량의 데이터와 제2 시간 범위 데이터를 매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시간 범위 내에서 주행하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기술한다.
S304에서 단말기(11)는 농사용 차량(10)에 시동이 걸리는 것에 응답하여, 시동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S305에서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으로부터 시동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농사용 차량(10)과 관련하여 지정된 시간 범위 외의 시간에 시동이 걸린 것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11)는 단말기(11)의 식별정보와 함께 시동 정보를 서버(20)로 송신하고, 서버(20)는 수신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11)와 관련하여 저장된 시간 범위 데이터를 확인하고, 현재 시점이 상기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시간 범위 외에서 시동이 걸리는 경우, S306에서 서버(20)는 이탈 알림을 구매자 전자장치(50)(예: 스마트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탈 알림은 예컨대 푸시 알림일 수 있다. S307에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수신한 이탈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자 전자장치(50)는, 이탈 알림을 표시하거나, 알림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이탈 알림은, 설정된 시간(즉, 타임펜스) 외에서 시동이 걸린 것임을 알려줄 수 있다.
만약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시동이 걸리는 경우, 서버(20)는 알림을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시동이 걸리는 경우와 시간 범위 외에서 시동이 걸리는 경우 모두, 서버(20)는 계속적으로 단말기(11)(또는 농사용 차량(10))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전자장치(50)는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에서 농사용 차량(10)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매자는, 농사용 차량(10)이 어디에 위치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설정된 시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차량(10)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은, 설정된 시간 범위를 벗어나면, 서버(20)와 단말기(11)의 제어에 의해 시동이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시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초하여, 차량(10)의 경적 또는 부저를 울리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시간 범위를 이탈하여 주행되는 차량은 경적 또는 부저을 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는 농사용 차량(10)이 시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초하여, 차량(10)의 비상등을 켜는 제어 신호를 단말기(11)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은 설정된 시간 범위를 벗어서 주행되면, 비상등이 켜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시간 범위를 이탈한 차량이 쉽게 발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프로세서와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장착된 농사용 차량;
    상기 단말기와 통신 연결되며 상기 농사용 차량에 관한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서버; 및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실행되는 구매자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주행공간 범위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농사용 차량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주행공간 범위 내인지 여부를 모니터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의 표시 장치는,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의 실행에 기초하여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주행공간 범위에 대한 입력은, 상기 지도 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을 선택하는 입력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공간 이탈 알림을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주행공간 범위 외에 위치하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상기 농사용 차량의 시동을 오프시키는 제어 신호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가 상기 텔레매틱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농사용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의 화면 데이터를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는, 상기 농사용 차량을 주행시킬 시간 범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시간 범위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농사용 차량에 시동이 걸리는 것에 응답하여 시동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농사용 차량이 상기 시간 범위 내에서 시동이 걸리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농사용 차량이 상기 시간 범위 외에서 시동이 걸리는 것을 식별함에 응답하여 이탈 알림을 상기 구매자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KR1020200145688A 2020-11-04 2020-11-04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88A KR102415916B1 (ko) 2020-11-04 2020-11-04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8/251,137 US20240001940A1 (en) 2020-11-04 2021-04-13 Agricultural vehicl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PCT/KR2021/004663 WO2022097852A1 (ko) 2020-11-04 2021-04-13 농사용 차량의 관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7/346,598 US20220139121A1 (en) 2020-11-04 2021-06-14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88A KR102415916B1 (ko) 2020-11-04 2020-11-04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16A true KR20220060116A (ko) 2022-05-11
KR102415916B1 KR102415916B1 (ko) 2022-07-05

Family

ID=8160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688A KR102415916B1 (ko) 2020-11-04 2020-11-04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875A (ko) * 2009-04-29 2010-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0307A (ko) * 2010-11-10 201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원격 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5576A (ko) * 2015-10-19 2017-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80068733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오펜스 예외 목적지 설정 및 해제 시스템 및 방법
JP2019040635A (ja) * 2014-02-06 2019-03-1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監視システム
KR20190120571A (ko) * 2018-04-16 2019-10-24 이용우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JP2020115108A (ja) * 2019-01-18 2020-07-3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基準局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8875A (ko) * 2009-04-29 2010-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50307A (ko) * 2010-11-10 2012-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원격 운행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40635A (ja) * 2014-02-06 2019-03-1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監視システム
KR20170045576A (ko) * 2015-10-19 2017-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20180068733A (ko) * 2016-12-14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오펜스 예외 목적지 설정 및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20571A (ko) * 2018-04-16 2019-10-24 이용우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JP2020115108A (ja) * 2019-01-18 2020-07-30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基準局表示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916B1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2679B2 (en) Wireless remote asset tracking system and method
CN104036359B (zh) 车队管理系统
AU2019236612B2 (en) System for managing vehicle information displayed on a plurality of vehicles
TWI237758B (en) Remote monitoring, configuring, programming and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s and vehicle components
JP3834463B2 (ja) 車載故障警報通報システム
US9092822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parking behavior of a vehicle
US20160238406A1 (en) Refrigerated transport container wireless remote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80121903A1 (en) Smart transport solution
US201902950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management
US20170262820A1 (en) Smart transport solution
US20110279283A1 (en) Product Tracking and Alert System
JP2008108107A (ja) 作業機械管理システム
KR102321148B1 (ko)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KR102354078B1 (ko) 농사용 차량에 대한 사용 권한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139121A1 (en)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15916B1 (ko)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13062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低電圧警告方法
KR20090000641A (ko) 중고차 매매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415915B1 (ko) 농사용 차량의 고장 시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37126B1 (ko) 농사용 차량 또는 그 부품의 수명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8589A (ko) 설치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10082207A1 (en) Intelligent vehicle hotspot
US202300421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564778B1 (ko) 차량 및 차량 관리 센터의 연동 시스템
KR20190118143A (ko) 차량 및 차량 관리 센터의 연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