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148B1 -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148B1
KR102321148B1 KR1020190155791A KR20190155791A KR102321148B1 KR 102321148 B1 KR102321148 B1 KR 102321148B1 KR 1020190155791 A KR1020190155791 A KR 1020190155791A KR 20190155791 A KR20190155791 A KR 20190155791A KR 102321148 B1 KR102321148 B1 KR 102321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e
vehicle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491A (ko
Inventor
조성훈
Original Assignee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훈 filed Critical 조성훈
Priority to KR1020190155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6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encryption of the key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매 사이트에 등록된 중고차 매물시 중고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허위 매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매 차량에 연결되어 상기 매매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제공 단말;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매매 유효성을 체크하고,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기초로 매매 정보와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는 매매 관리 서버; 및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정보를 조회하고, 특정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특정 매매 차량의 차대번호를 전송하는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FALSE OFFERINGS OF USED CAR}
본 발명은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매 사이트에 등록된 중고차를 매매할 때 중고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허위 매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자동차의 사용 가능 연한이 증가함에 따라 중고 자동차의 성능도 신차와 크게 다를 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나아가 신규 자동차 구입에 따른 비용 증가 부담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고차를 구입하려는 인구가 점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는 바, 이에 따라 중고 자동차 매매 시장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중고 자동차 구매자의 증가에 따라 각 지역마다 일정 규모의 중고 자동차 매매 센터가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이와 같은 단위 중고 자동차 매매 센터가 다수 운집하여 중고 자동차 매매단지를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고, 인터넷을 통한 물품 구매의 편리함이 향상됨에 따라 중고 자동차 매매를 위한 인터넷 사이트의 개설과 인터넷을 통한 중고 자동차 구매 방식도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중고차 매매 프로세스는, 구매자가 딜러 혹은 중고 자동차 중개 사무소에서 수집 및 입력한 데이터에 의존해야 하므로, 중고차 구매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중고차 매매 프로세스는, 중고차 매물 등록 과정에서 딜러가 중고차에 대한 정보와 가격 등을 허위로 기재하여 구매자를 현혹시킨 후 구매자가 중고 자동차 매매 센터에 방문하면 구매자가 사고자 하는 중고차가 없거나 다른 중고차를 추천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구매자가 헛걸음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중고차를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구매자와 판매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되, 온라인을 통해서도 객관적으로 차량의 존재 여부를 확인 및 표시하여 중고차의 허위 매물을 방지하며 중고차 거래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중고차 거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0641호는 중고차 매매 시장에 전시되어 있는 매물 차량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고객 및 딜러가 데이터 베이스화 되어있는 차량 정보에 대한 실시간 조회, 딜러와의 즉시 상담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중고차 매매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0641호(2009.01.08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매매 사이트에 등록된 중고차의 매물 거래시 중고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허위 매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딜러가 입력한 중고차 정보와 중고차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GPS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온라인에 공개하여 중고차 매매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고차 각각에 설치되는 GPS 단말의 위치 누적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중고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중고차에 GPS 단말이 설치된 후 분리하면 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중고차의 허위 매물을 방지할 수 있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매매 차량에 연결되어 상기 매매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제공 단말;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매매 유효성을 체크하고,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기초로 매매 정보와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는 매매 관리 서버; 및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정보를 조회하고, 특정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특정 매매 차량의 차대번호를 전송하는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매매 차량에 상기 위치 제공 단말이 설치된 인증 이미지를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공 단말은 해당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이전에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매매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경고 신호에 대응하는 중단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연관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매매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중단 이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면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및 차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한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매매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매매 정보, 및 상기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근 암호화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상기 누적 위치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누적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보다 낮으면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제한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위치 정보에 포함된 예외 위치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매매 정보, 및 상기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정된 접근 암호화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매매 사이트에 등록된 중고차의 매물 거래시 중고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허위 매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딜러가 입력한 중고차 정보와 중고차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GPS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이를 온라인에 공개하여 중고차 매매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고차 각각에 설치되는 GPS 단말의 위치 누적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중고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중고차에 GPS 단말이 설치된 후 분리하면 이에 대한 이력 정보를 저장하여 중고차의 허위 매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매매 관리 서버에서 위치 제공 단말의 전원 공급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매매 관리 서버에서 위치 제공 단말의 전원 공급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100)은 위치 제공 단말(110), 매매 관리 서버(120), 구매자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판매자 단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제공 단말(1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해당하는 것으로, 매매 차량(10)에 1:1로 연결되어 매매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단말을 다른 단말과 식별할 수 있는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매매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이고, 단말 고유 식별 코드는 위치 제공 단말(110)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 정보로, 시리얼 번호,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치 제공 단말(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매매 관리 서버(12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매매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매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에 설치 여부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가 결정될 수 있다. 위치 제공 단말(110)은 케이블 선을 이용한 유선 연결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 연결을 통해 매매 차량(10)에 설치되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이 온(ON)되고, 매매 차량(10)으로부터 분리되면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과 연결되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단계 S310 및 S320),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매매 차량(10)의 매매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330 및 S340).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의 매매 이전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즉 매매 차량(10)으로부터 분리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매매 관리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S350). 경고 신호는 위치 제공 단말(110)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분리된 날짜와 시간,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및 매매 차량에 대한 차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과 연결되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단계 S410 및 S420),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매매 차량(10)의 매매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430 및 S440).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 이전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다시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50 및 S460). 이는 위치 제공 단말(110)을 매매 차량(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다른 위치 제공 단말(110)을 잘못 연결하거나 설치자의 부주의로 인해 연결이 끊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위치 제공 단말에서 전원 공급의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과 연결되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단계 S510 및 S520),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매매 차량(10)의 매매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S530 및 S540).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매매 이전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횟수를 카운팅하고(단계 S550), 카운팅되는 값이 기 설정된 기준 카운팅 값을 초과하면 접근 금지 락이 설정되어 매매 관리 서버(120)에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단계 S560 및 S570).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관리 서버(120)를 통해 매매 유효성이 검증되면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 정보와 함께 다른 매매 차량(10)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접근 암호화가 설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매매 유효성은 해당 위치 제공 단말(110)이 다른 매매 차량(10)에서 중복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는지, 실제로 매매 차량(10)에 설치되어 있는지,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위치에 위치 제공 단말(110)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한 검증이며, 매매 관리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검증될 수 있다.
위치 제공 단말(110)은 매매 차량(10)이 매매되면 접근 암호화가 해제되어 다른 매매 차량(10)에 재사용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위치 제공 단말(110), 구매자 단말(130), 및 판매자 단말(14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매 관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30)에 설치되는 구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 및 판매자 단말(140)에 설치되는 판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할 수 있으며, 중고차의 매매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매매 관리 서버에서 위치 제공 단말의 전원 공급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 차량(10)으로부터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 위치 제공 단말(110)에서 생성되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610), 경고 신호에 대응하는 중단 이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620). 중단 이력 데이터는 위치 제공 단말(110)이 매매 차량(10)으로부터 분리된 날짜와 시간,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및 매매 차량에 대한 차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중단 이력 데이터를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연관하여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단계 S630), 구매자 단말(130)로부터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매매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중단 이력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S640 및 S65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의 매매 관리 서버에서 위치 제공 단말의 전원 공급 중단 여부에 따라 수행되는 이벤트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7을 참조하면 매매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제공 단말(110)에서 생성되는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710), 경고 신호의 생성 원인을 질의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 S720), 생성된 질의 메시지를 판매자 단말(140)에 푸시할 수 있다(단계 S730). 매매 관리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40)로부터 경고 신호의 생성 원인에 대한 메시지와 증빙 데이터를 수신하고(단계 S740), 메시지와 증빙 데이터를 분석하여 경고 신호의 생성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750). 매매 관리 서버(120)는 경고 신호의 생성에 대한 타당성 여부에 따라 위치 제공 단말(110)에 접근 금지 락을 설정하여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친 후 위치 제공 단말(110)을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760).
매매 관리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40)로부터 매매 차량(10)에 대한 차량 정보와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면 매매 차량(10)과 위치 제공 단말(110)의 매매 유효성을 체크할 수 있다. 매매 유효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매 차량(10)과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검증이며, 검증된 경우에만 매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정보는 매매 차량(10)의 차종, 차대번호, 최초 구입일, 차주 개인 정보, 주행 거리, 한 달 평균 운행 거리, 차량 사고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판매자 단말(140)로부터 매매 차량(10)에 대한 차량 정보와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단말 교유 식별 코드를 수신할 때 위치 제공 단말(110)이 매매 차량(10)에 설치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는 사진, 영상 등의 인증 이미지를 함께 수신하여 자료에 대한 사실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자료는 매매 차량(10)의 차대번호와 위치 제공 단말(110)이 함께 찍힌 사진이거나, 매매 차량(10)의 번호판, 위치 제공 단말(110), 및 매매 관리 서버(120)에서 인증된 판매자 단말(140)에 부여되는 판매자 인증 코드가 함께 찍힌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매자 인증 코드는 판매자에 대한 매매 차량(10)의 판매율, 구매자 평가, 해당 지점에서 위치 제공 단말(110)의 누적 위치 정보의 신뢰도 등에 따라 매매 관리 서버(120)에서 해당 판매자가 소유한 판매자 단말(140)에 고유하게 부여하는 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및 차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한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매매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 유효성이 인증되면 차량 정보와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기초로 매매 정보와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할 수 있다. 매매 정보는 매매 차량(10)에 대한 차량 정보, 위치 제공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 매매 가격, 매매 위치, 매매 관리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매 고유 키값은 각각의 매매별로 부여되는 식별 코드로,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면 이와 연관된 차량 정보, 차대 번호,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매매 정보, 및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근 암호화를 설정하여 다른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의 등록시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30)로부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특정 매매 차량(10)의 차대번호를 수신하면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또는 차대번호를 기초로 매매 고유 키값의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매매 관리 서버(120)는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또는 차대번호와 매칭되는 매매 고유 키값이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최초 판매자 단말(140)에서 등록한 매매 차량(10)이 맞는 것으로 판단하고, 매매 고유 키값이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허위 매물로 판단하여 구매자 단말(130)에 통지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접근 암호화의 설정까지 완료되면 해당 매매 정보를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등록하여 구매자 단말(130)의 구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과 판매자 단말(140)의 판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일정 시간 단위로 위치 제공 단말(110)로부터 매매 차량(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매매 관리 서버(120)는 위치 제공 단말(110)의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누적 위치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고, 구매자 단말(130)로부터 매매 차량(120)에 설치된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누적 위치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면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누적 위치 정보를 시간순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매 관리 서버(120)는 누적 위치 정보를 기초로 매매 차량(10)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보다 낮으면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 제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신뢰도는 누적 위치 정보에 누적된 위치가 일정 기간동안 동일한 장소였는지 여부에 따라 산출될 수 있으며, 동일한 장소가 아닌 위치의 개수가 많을수록, 즉 예외 위치가 많을수록 낮은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매매 제한 코드는 매매 차량(10)에 대한 누적 위치 정보가 기준 신뢰도보다 낮은 신뢰도로 산출되었을 경우 생성되며, 매매 차량(10)이 허위 매물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 제한 코드가 생성된 매매 차량(10)에 대하여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구매자 단말(130)과 판매자 단말(140)에서 해당 매매 차량(10)의 조회시 매매 제한 코드가 생성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매 관리 서버(120)는 제1 시간 단위로 매매 차량(10)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저장된 위치 정보를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간 단위는 1분(1 min)에 해당하고, 제2 시간 단위는 60분(60 min)에 해당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그룹화된 위치 정보에 포함된 예외 위치를 추출하여 매매 차량(10)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매 관리 서버(120)는 그룹화된 위치 정보에 역삼, 역삼, 역삼, 송파, 역삼, 역삼, 의정부, 의정부가 포함되어 있으면 송파와 의정부를 예외 장소로 추출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30)로부터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 정보의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매매 정보와 연관된 매매 차량(10)에 대한 차량 정보, 위치 제공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 매매 가격, 매매 위치, 매매 관리자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구매자 단말(130)을 통한 온라인 또는 구매자의 직접 방문을 통한 오프라인으로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가 완료되면 매매 차량(10)의 차량 정보,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매매 정보, 및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정된 접근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다.
매매 관리 서버(120)는 매매가 완료된 매매 차량(10)에 대해서 판매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할 수 있고, 접근 암호화가 해제된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위치 제공 단말(110)을 다른 매매 차량(10)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축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30)은 매매 차량(10)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에 의해 소유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매매 관리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고,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30)은 매매 관리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구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구매자 인증을 통해 구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30)은 매매 차량(10)에 대한 매매 정보를 조회하고, 매매 차량(10)에 대한 누적 위치 정보를 조회하고, 매매 차량(10)과 연관된 위치 제공 단말(110)의 중단 이력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30)은 오프라인에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특정 매매 차량(10)의 차대번호를 구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고, 매매 관리 서버(120)로부터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차대번호가 기 생성된 매매 고유 키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40)은 매매 차량(10)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 즉 딜러에 의해 소유되는 것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매매 관리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고,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40)은 매매 관리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는 판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판매자 인증을 통해 판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접근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40)은 판매자 매매 어플리케이션에 매매 차량(10)에 대한 차량 정보와 위치 제공 단말(110)에 대한 단말 교유 식별 코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140)은 위치 제공 단말(110)이 매매 차량(10)에 설치되어 있음을 인증할 수 있는 인증 이미지를 함께 등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110: 위치 제공 단말
120: 매매 관리 서버
130: 구매자 단말
140: 판매자 단말
10: 매매 차량

Claims (10)

  1. 매매 차량에 연결되어 상기 매매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위치 제공 단말;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여 매매 유효성을 체크하고, 상기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기초로 매매 정보와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는 매매 관리 서버; 및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정보를 조회하고, 특정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특정 매매 차량의 차대번호를 전송하는 구매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공 단말은,
    해당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이전에 상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매매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경고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경고 신호에 대응하는 중단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연관하여 저장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매매 정보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중단 이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매매 차량에 상기 위치 제공 단말이 설치된 인증 이미지를 등록하는 판매자 단말을 더 포함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와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를 수신하면 매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차량 정보, 단말 고유 식별 코드, 및 차대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에 대한 사용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매매 유효성을 검증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고유 키값을 생성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매매 정보, 및 상기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근 암호화를 설정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일정 시간 단위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누적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와 상기 누적 위치 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누적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신뢰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신뢰도가 기 설정된 기준 신뢰도보다 낮으면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 제한 코드를 생성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제1 시간 단위로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긴 제2 시간 단위로 상기 저장된 위치 정보를 그룹화하며, 상기 그룹화된 위치 정보에 포함된 예외 위치를 추출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 관리 서버는
    상기 매매 차량에 대한 매매가 완료되면 상기 차량 정보, 상기 단말 고유 식별 코드, 상기 매매 정보, 및 상기 매매 고유 키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정된 접근 암호화를 해제하는,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KR1020190155791A 2019-11-28 2019-11-28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KR102321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91A KR102321148B1 (ko) 2019-11-28 2019-11-28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791A KR102321148B1 (ko) 2019-11-28 2019-11-28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91A KR20210066491A (ko) 2021-06-07
KR102321148B1 true KR102321148B1 (ko) 2021-11-02

Family

ID=7637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791A KR102321148B1 (ko) 2019-11-28 2019-11-28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46A (ko) 2022-01-04 2023-07-11 김지호 허위매물 조회와 차량 정비사 동행이 가능한 중고차 구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039B1 (ko) * 2021-10-01 2022-04-22 주식회사 플리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출차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515821B1 (ko) * 2022-11-15 2023-03-30 주식회사 카뷰 차량 판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70B1 (ko) * 2005-01-06 2011-07-01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641A (ko) 2007-03-13 2009-01-08 신만석 중고차 매매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552A (ko) * 2007-04-25 2009-01-09 창우씨앤엘 주식회사 중고매매상간의 중고차량 온라인 경매 방법
KR101453342B1 (ko) * 2012-11-14 2014-10-30 최현주 딜러 간 중고차 매매정보 공유 시스템
KR101697330B1 (ko) * 2015-04-16 2017-01-18 김현진 차량 매매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70B1 (ko) * 2005-01-06 2011-07-01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5446A (ko) 2022-01-04 2023-07-11 김지호 허위매물 조회와 차량 정비사 동행이 가능한 중고차 구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491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143B2 (en) Network-based system for showing cars for sale by non-dealer vehicle owners
US11216429B1 (en) Maintaining a distributed ledger for VIN recordkeeping
EP3577593B1 (en) Integrity of data records
US10911423B2 (en) Multi-level authentication for onboard systems
KR102321148B1 (ko)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US20200286132A1 (en) Second-hand vehicle transaction method and server
CN108876506B (zh) 一种车辆登记方法及装置
CN108154050B (zh) 一种车况数据管理方法及装置
KR101789076B1 (ko) 구매 이력 기반 중고 마켓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36115B1 (ko) 무인 판매기를 이용한 판매와 구매 중개 방법
KR20210004197A (ko) 중고폰 견적 및 거래 시스템
KR101875731B1 (ko) 온라인 자동차 매매 및 등록 방법과 그에 따른 자동차 매매 및 등록 일괄 운영장치
JP5908507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のため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20957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차량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05693A (ko) 차량 인증 정보를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와 차량 인증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94373B1 (ko) 거래사실인증 토큰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판매 사업자의 부정정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49388A (ko) 명품에 대한 진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428013B1 (ko) 컴퓨터 수리 플랫폼 서버
KR102594355B1 (ko) 비대면 중고물품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86527B1 (ko) 중고 물품 거래자의 신용도 평가 방법 및 서버
KR20170022815A (ko) 중고 자동차 매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41787A (ko) 그래픽 객체를 이용한 정품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00089849A (ko) 차 유통 중고 자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