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070B1 -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070B1
KR101046070B1 KR1020050001167A KR20050001167A KR101046070B1 KR 101046070 B1 KR101046070 B1 KR 101046070B1 KR 1020050001167 A KR1020050001167 A KR 1020050001167A KR 20050001167 A KR20050001167 A KR 20050001167A KR 101046070 B1 KR101046070 B1 KR 101046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user
serv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0955A (ko
Inventor
이재홍
이규진
임종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070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장착되며 GPS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이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주행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고, 등록된 차량의 이용현황모드, 이용자가 필요한 차량을 조회하고 예약하도록 하는 예약현황모드, 이용자가 차량의 이용을 마치고 난 후 이용종료시간을 입력하는 도착정산모드, 이용자가 차량의 이용 중 발생한 소요비용의 정보를 입력하는 비용정산모드, 각 부서에 배당된 차량의 배차를 변경할 수 있는 배차이동모드, 차량의 정비이력모드, GPS를 통하여 차량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모드, 현재 보유차량의 적정대수를 산출하는 적정차량대수 산출모드 등을 온라인 상으로 제공한다. 이로써, 업무용 차량의 관리 및 예약이 온라인 상으로 수행되어 자동적으로 전자운행일지가 관리되므로, 효율적인 업무용 차량의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해지고, 주유비, 정비비 등의 제반 소요비의 정확한 정산과 적정차량대수의 정확한 산정이 가능해진다.
Figure R1020050001167
FMS, 무선단말기, GPS, CDMA, 차량예약, 비용정산, 적정차량대수, 인터넷

Description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FLEET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의 개략 구조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FMS 메인서버에의 접속 설명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모드의 개략설명도.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관리자 모드의 개략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이용현황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c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예약현황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g 및 도 4h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도착정산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i 및 도 4j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비용정산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k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배차이동모드 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l 및 도 4m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차량정비이력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4n 및 도 4o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위치정보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차량 예약과정의 개략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이용자 모드에 있어서 차량운행과 반차 및 정산과정의 개략 흐름도.
도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차량관제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이용자관제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차량정비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7f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관리자관제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7g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기타 설정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7h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의 관리자 모드에 있어서 총 이용량대 비 적정차량대수 산출모드에 관한 일 실시예의 개략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산출과정의 개략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FMS 메인서버 2: 무선단말기
3: 키패드 4: 관리자
5: 이용자 6: 정비업체 서버
7: 중고차매매업체 서버 8: 손해보험사 서버
9: 수신부 10: 이용자관리부
11: 관리자관리부 12: 차량관리부
13: 정보제공부 14: 정보처리부
15: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6: FMS 데이터베이스
17: 위치기반정보 데이터베이스 18: 프로세서
19: 메모리 20: 통신부
21 ~ 23: 인터페이스 24: GPS 안테나
25: CDMA 안테나 26: 센서부
본 발명은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으로 업 무용 차량의 관리, 예약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업 등 여러 법인들은 복수의 업무용 차량을 구비하여 그 임직원들로 하여금 회사 업무에 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임직원은 자신에게 배당된 업무용 차량을 업무용으로 이용한 후 운행일지를 작성하여 업무용 차량의 관리직원에게 결재를 받게 되며, 상기 관리직원은 상기 운행일지에 나타나는 운행현황을 바탕으로 차량에 소요되는 주유비용, 정비비용 등의 차량유지비뿐만 아니라, 업무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업무용 차량대수 등을 파악한 후 필요사항들을 집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차량관리방식은 임직원이 차량이용을 허가받기 위하여 일일이 관리직원에게 오프라인으로 예약을 하여야할 뿐더러, 차량의 운행일지를 차량을 이용한 임직원 자신이 직접 기재하므로, 결국 객관성이 결여되어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임직원이 운행일지에 이용기록을 누락하면, 차량의 이용이력 및 타 직원의 이용가능 여부를 파악할 수 없으며, 심지어 임직원은 업무용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비업무용으로서 별도의 보고없이 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임직원이 차량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유비 산정, 정비비 산정뿐만 아니라 교통 범칙금, 사고비 산정 등 제반 소요비의 기재를 허위 기재하거나 누락하면, 관리직원의 정확한 산정 및 결제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또한 차량정비 등에 있어서 적절한 관리가 어려워진다.
·오직 임직원만이 기록하는 운행일지에 기초하여 업무용 차량을 관리하므로, 차량운행현황의 실시간 감독뿐만 아니라 업무량에 효율적으로 부합하는 차량대수의 산출 등을 정확히 파악해낼 수가 없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차량관리방식은 그 효율성, 편리성 및 경제성이 크게 떨어져 기업의 경영에 부담이 되고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차량관리방식의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업무용 차량의 관리, 예약 등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용 차량의 이용 및 관리뿐만 아니라 주유비, 정비비 등의 제반 소요비의 정확한 정산관리 및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함에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업무용 차량의 정확한 적정차량대수를 산출하여 이를 제공함으로써 법인 등의 이용자로 하여금 업무용 차량의 경제적인 차량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되며,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 등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이용자의 식별정보 등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의 이용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비용의 지출 시 난수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난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용을 실시간 관리하며, 또한 상기 난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 시 이를 사용하여 상기 이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난수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반 비용의 정산을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실시간 관리는 차량의 이용현황 조회, 예약 관리, 반차 관리, 정비관리, 위치정보 관리, 배차이동 관리, 보유차량의 총이용량 대비 적정차량대수의 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센서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 등의 주행정보를 계산하며, 또한 상기 난수정보를 발생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이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비용지출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발생된 난수정보를 표시하는 키패드와,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 및 상기 발생된 난수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입력된 식별정보와 함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안테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 행정보 및 상기 난수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이용자를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와, 상기 차량관리시스템의 관리자를 관리하는 관리자 관리부와, 등록된 상기 차량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관리자 및 상기 이용자가 입력 및 조회하는 차량의 예약, 반차 및 비용정산, 배차이동, 차량정비정보, 차량위치정보, 이용자 및 관리자와 차량의 관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등의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공하여 처리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관리자 및 상기 이용자에게 유·무선 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보를 발송하는 정보제공부와, 상기 제반 정보를 차량정보데이터, 이용자정보데이터 및 관리자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갱신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이용자의 식별정보 등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차량이용의 예약을 등록받는 예약단계와, 상기 차량이용의 개시에 앞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이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개시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는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 리 등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상기 식별정보 등을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감시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종료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예약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현재 진행 중인 예약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자신의 예약일정에 관한 예약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현재 가용차량의 목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용차량의 목록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이를 기반으로 상기 예약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예약현황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자가 자신의 예약일정에 관한 예약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일반예약단계와 고정예약단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일반예약단계의 경우,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예약기간, 출발 및 도착 예정일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예약단계의 경우,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고정기간, 고정기일, 출발 및 도착 예정시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예약단계는 상기 차량이용의 개시보다 소정의 시간 전에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이용개시시간이 된 것을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할 것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개시단계는 출발예정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만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개시단계에서의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최초 입력받은 때의 입력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용개시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출발시간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감시단계는 지출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출입력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지출할 것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는 소정의 난수를 발생시켜 상기 이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상기 난수와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출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지출정보는 상기 난수발생시간을 더 포함하여 상기 서버는 이를 지출발생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도착시간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출발 및 도착 시간, 이용시간, 출발 및 도착 주행거리, 이용주행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착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도착정산이 도착예정시간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입력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도착정산을 입력할 것을 상기 이용자에게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종료단계는 비용정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용정산단계는 상기 이용자는 상기 서버에 비용정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의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이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이력으로 구성되는 이용현황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이용현황정보는 이용차량정보, 출발 및 도착 시간, 이용시간, 출발 및 도착 주행거리, 이용주행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는 상기 이용현황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이용이력을 선택하고 이에 해당되는 상기 난수 및 상기 지출의 내역을 입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난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되어있는 난수정보와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난수와 상기 난수정보가 상호 일치한다면, 상기 서버는 상기 지출내역을 포함하는 비용정산현황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용감시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차량관리방법은 이용현황정보와 차량정비이력정보, 배차이동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하며, 이들 정보는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차량의 정보데이터가 연계되어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은 보유차량의 이용현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관리하는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유차량의 이용현황으로부터 소정기간동안의 평균차량이용시간데이터 및 최대차량이용건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상기 보유차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기간 동안의 업무시간동안 이용될 이용확률과 동시에 이용될 동시이용확률의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의 분포에 따라 각각의 동시이용시간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의 누적값인 동시이용누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동시이 용누적시간이 상기 업무시간과 동일할 때의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을 각각의 적정차량대수 및 대기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은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이용자의 식별정보 등을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이용을 실시간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분석된 차량의 이용현황을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으로부터 소정기간동안의 평균차량이용시간데이터 및 최대차량이용건수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소정기간동안의 업무시간을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입력받은 업무시간을 소정기간동안의 업무시간데이터로 설정하고,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기본업무시간을 상기 소정기간동안의 업무시간데이터로 자동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특정시간대에서 상기 보유차량이 이용 중일 이용확률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이용확률로부터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는 동시이용확률분포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분포로부터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동시이용시간데이터 및 동시이용누적시간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동시이용누적시간데이터가 상기 설정된 업무시간데이터와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만일 동일하다면 이 때의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데이터를 각각의 적정차량대수 및 최소대기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차량관리방법은 상기 산출된 적정차량대수가 수정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된 적정차량대수에 대응하는 최소대기시간을 다시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특정시간대에서 상기 보유차량이 이용 중일 이용확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식 1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1
(식 1)
이 때, p는 특정시간대에서 보유차량이 이용 중일 이용확률.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이용확률로부터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는 동시이용확률분포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식 2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2
(식 2)
이 때,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3
이고, n은 최대차량이용건수, r은 동시이용차량대수이며, P(X r)는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 중일 동시이용확률.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분포로부터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상기 각 동시이용차량대수의 동시이용시간데이터 및 동시이용누적시간데이터를 산출해나가는 단계는 하기의 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4
(식 3)
이때, T는 동시이용차량대수 r대가 동시에 이용되는 시간.
또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차량관리방법은 차량정보, 이용자정보, 관리자정보, 예약정보, 이용현황정보,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버로의 전송주기정보, 관련업체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조회 또는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무선단말기의 개략 구조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시스템은 크게 FMS(Fleet Management System) 메인서버(1)와 무선단말기(2)로 구성된다.
무선단말기(2)는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인공위성을 통하여 제반 차량운행정보를 수집하며, 또한 이용자가 무선단말기(2)에 연결된 키패드(3)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자신의 ID 등을 상기 차량운행정보데이터와 함께 FMS 메인서버(1)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단말기(2)는 각각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안테나(24), 센서부(26), 키패드(3)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21 ~ 23)와, 상기 키패 드(3) 및 GPS 안테나(24)와 센서부(26)로부터의 제반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이를 FMS 메인서버(1)로 전송하는 프로세서(18)와, 인공위성과 통신하기 위한 GPS 안테나(24) 및 FMS 메인서버(1)와 통신하기 위한 CMDA 안테나(25)로 구성된다.
무선단말기(2)는 GPS를 이용한 자립항법(DR: Dead-Reckoning)으로써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 등을 측정하며, 이를 위하여 GPS 위성과 같은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24) 및 센서부(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센서부(26)는 차량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21)는 GPS 안테나(24)가 수신한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저잡음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22)는 각 센서부(26)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FMS 메인서버(1)는 법인에 등록된 업무용 차량과 이를 이용하는 각 이용자의 제반 데이터를 관리함과 동시에 이동 중인 업무용 차량의 무선단말기(2)와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사용자 ID, GPS에 의한 이동차량의 현재 위치 및 주행거리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가공 처리한다. 그리고, 현재 등록된 업무용 차량의 이용현황, 예약접수, 위치정보, 정산, 배차 등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웹사이트 등에 등재한다. 또한, 유·무선망을 통하여 FMS 메인서버(1)에 접속하는 이용자는 상기 웹사이트 등을 통하여 상기의 내용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으며 상기 이용현황이나 위치정보 등을 바탕으로 정확한 예약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FMS 메인서버(1)는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무선단말기(2)로부터 제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수신부(9)와, 업무용 차량의 이용이 허가된 이용자를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10)와, 전 시스템 관리자의 관리자 관리부(11)와, 등록된 업무용 차량을 관리하는 차량 관리부(12)와, 무선단말기(2)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관리자(4) 및 이용자(5)가 입력 및 조회하는 업무용 차량의 예약, 도착 및 비용정산, 배차이동, 차량정비정보, 차량위치정보, 이용자 및 관리자와 차량의 관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설정 등의 제반 정보데이터를 가공하여 처리하는 정보처리부(14)와, 인터넷, 전화 등 유·무선망을 통하여 FMS 메인서버(1)에 접속하는 관리자(4) 및 이용자(5)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보를 방송하는 정보제공부(13)와,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16, 17)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5)로 구성된다. 또한, FMS 메인서버(1)는 제반 차량정보데이터와, 이용자 및 관리자정보데이터를 저장하는 FMS 데이터베이스(16)와, GPS를 기반으로 하여 관리자(4) 및 이용자(5)에게 해당 차량의 현재위치 또는 과거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기반정보 데이터베이스(17)와 연결된다. 상기 제반 데이터들은 상호 연계되어 상호 대응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FMS 메인서버(1)는 관리하는 업무용 차량의 정비 등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인터넷 등의 유·뮤선 망을 통하여 정비업체, 중고차매매업체, 손해보험사 등이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서버들(6 ~ 8)과 연결될 수 있다.
이용자 관리부(10)는 유·무선 상으로 접속한 이용자(5)의 가입등록을 받아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부여하고, 이용자(5)의 제반 정보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 관리한다.
관리자 관리부(11)는 FMS 메인서버(1)의 관리권한을 위임받은 관리자(4)의 제반 정보를 관리하며 이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갱신 및 저장한다. 관리자(4)는 별도의 관리자 ID 및 패스워드를 부여받아 FMS 메인서버(1)의 제반 데이터를 관리한다.
차량관리부(12)는 법인에 등록된 업무용 차량의 차량번호, 제조사, 차량등록정보, 배기량, 색상, 운행시작일, 운행종료일, 지점명, 관리부서, 정비정보, 주행거리, 이용 이력 등의 제반 차량정보데이터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갱신 및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상기 이용이력에는 이용자 정보, 이용주행거리, 각 차량의 현재 위치 및 과거 위치이력 등이 포함되며, 이는 무선단말기(2)가 전송하는 차량운행정보데이터에 기초하여 정보처리부(14)가 가공한 위치정보데이터를 기반으로 갱신된다.
정보처리부(14)는 무선단말기(2)의 CDMA 안테나(24)가 전송하는 차량운행정보데이터 및 이용자 ID 등의 데이터를 수신부(9)로부터 입력받아 이를 가공하여 FMS 데이터베이스(16)에 갱신 저장한다. 또한, 정보처리부(14)는 이용자(5) 또는 관리자(4)의 요청을 받아 FMS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이용자정보데이터, 관리자정보데이터 및 차량정보데이터를 읽어내어 이를 상기 요청에 적합하도록 연계하여 가공처리하며, 정보제공부(13)는 이를 웹페이지의 등재,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SMS(Short Message Service) 등 유·무선 상으로 이용자(5) 및 관리자(4) 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자 모드 및 관리자 모드의 개략 설명도로서, 도 3a는 FMS 메인서버(1)에의 접속 설명도, 도 3b는 이용자 모드의 개략설명도, 도 3c는 관리자 모드의 개략설명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정보데이터, 관리자정보데이터 및 차량정보데이터를 관리하며, 업무용차량의 예약, 정산, 정비 등의 제반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무선단말기(2)와의 통신으로 수신되는 정보데이터를 갱신 및 저장한다. 또한, 관리자(4) 및 이용자(5)의 요청에 필요로 하는 상기 정보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16, 17)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요청에 적합하도록 가공한 후, 이를 유·무선 상으로 웹페이지 또는 ARS, SMS 등으로 관리자(4) 및 이용자(5)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관리자(4) 및 이용자(5)는 인터넷 등 유·무선 상으로 자신이 부여받은 ID 및 패스워드를 FMS 메인서버(1)로 전송하면(S300), FMS 메인서버(1)는 상기 ID 및 패스워드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접속을 허가하며(S301), 동시에 상기 ID 및 패스워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각각 관리자 모드 및 이용자 모드로 전환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S310, S320).
먼저, 이용자 모드의 경우, FMS 메인서버(1)는 등록된 차량의 이용현황모드(S311), 이용자(5)가 필요한 차량을 조회하고 예약하도록 하는 예약현황모드(S312), 이용자(5)가 차량의 이용을 마치고 난 후 이용종료시간을 입력하는 도착정산모드(S313), 이용자(5)가 차량의 이용 중 발생한 소요비용의 정보를 입력 하는 비용정산모드(S314), 각 부서에 배당된 차량의 배차를 변경할 수 있는 배차이동모드(S315), 차량의 정비이력모드(S316), GPS를 통하여 차량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정보모드(S317)를 각각 제공하여 이용자(5)로 하여금 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 4a 내지 도 4p에 각각 나타내며, 이 실시예들은 FMS 메인서버(1)가 웹사이트 상으로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도 4a 및 도 4b는 이용현황모드(S311), 도 4c 내지 도 4f는 예약현황모드(S312), 도 4g 및 도 4h는 도착정산모드(S313), 도 4i 및 도 4j는 비용정산모드(S314), 도 4k는 배차이동모드(S315), 도 4l 및 도 4m은 차량정비이력모드(S316), 도 4n 및 도 4o는 위치정보모드(S317)의 각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이용현황모드(S311)의 경우,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정보데이터, 차량정보데이터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서 읽어내고 이를 조합하여 현재 이용현황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정보데이터로서는 차명, 차번 등 차량등록사항정보, 검사 및 정비 정보, 주유량, 주유시간 및 일시 등의 주유정보, 주행거리정보, 현위치 및 과거위치이력 정보, 이용자 운행정보, 예약 정보 등이 가공 처리되고, 상기 이용자정보데이터로서는 이용자 ID, 이용자명, 부서 등의 인적정보, 차량이용 및 예약 정보가 상기 차량정보데이터와 연계되어 처리된다. 또한, FMS 메인서버(1)는 업무용 차량의 차번별 조회, 부서별 조회, 이용자별 조회, 이용일자별 조회, 이용건수별 조회, 근무시간대 및 비근무시간대별 조회 등으로 상기 정보데이터 들을 편집하여 제공하며, 동시에 미리 설정한 기간동안의 평균 이용건수 및 이용시간, 예를 들어 일 평균 이용건수 및 이용시간 등을 계산해내고 이를 제공하므로, 이용자는 가장 빈도수가 높은 기간 및 시간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중 차번별, 이용자별에 따른 이용현황의 일 실시예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며, 각 차번, 부서, 이용기간, 이용자 등에 따라 자유로이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용자(5)는 예약현황모드(S312)를 통하여 필요한 업무용 차량의 예약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차량 예약과정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이용자는 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FMS 메인서버(1)에 접속하여 예약현황모드를 선택하면(S501),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정보데이터, 차량정보데이터를 FMS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읽어내고 가공 처리하여, 예약일, 차명, 차번, 사업소명, 이용자 ID, 이용자 이름, 이용자 부서, 출발예정시간 및 도착예정시간, 관리자 승인여부 등의 정보데이터들을 상호 연계하여 현재 진행 중인 예약현황을 안내한다(S502).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예약은 일반예약과 고정예약으로 나누어 예약을 접수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일정기간을 설정하여 그 기간동안 정기적으로 업무용 차량을 이용할 경우에는 고정예약에 해당되도록 한다.
즉, 일반예약이 선택되면(S503),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로부터 예약기간과 출발예정일시 및 도착예정일시, 용도를 입력받고, 이를 바탕으로 FMS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부서명, 사업소명 등의 인적사항과, 현재 예약 가능한 차량에 대한 가용차량 목록을 조회하고 이를 이용자(5)에게 제공한다(S504). 그리고, 이용자(5)가 상기 가용차량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을 선택하면,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에게 작성된 예약현황표 등을 알림으로써 예약완료를 고지하고 상기 정보들을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S506).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일반예약화면을 도 4c에, 그리고 예약현황표를 도 4d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이 때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출발예정일시보다 일정시간 전에 이용자(5)에게 예정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설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용자(5)는 상기 일정시간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은 유·무선 상으로 통보되며, ARS, SMS, 이메일 발송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만일 고정예약이 선택되면(S503), 이용자(5)는 업무용 차량을 이용할 고정주기 설정기간과, 요일별 고정주기와 출발예정시간 및 도착예정시간, 용도 등을 입력하고, FMS 메인서버(1)는 앞서와 마찬가지로 FMS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이용자의 성명, 부서명, 사업소명 등의 인적사항과, 현재 예약 가능한 차량에 대한 가용차량 목록을 제공한다(S505). 그리고, 이용자가 상기 가용차량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을 선택하면, FMS 메인서버(1)는 이의 예약이 완료되었음을 이용자(5)에게 고지하고 상기 관련 정보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S506).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고정예약화면을 도 4e에, 그리고 그 예약현황표를 도 4f에 각각 나타낸다. 이 때, 앞서와 마찬가지로 이용자(5)는 알람설정을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자(5)가 예약한 차량을 이용하고, 반차 및 비용을 정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차량운행과 반차 및 정산과정의 개략 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FMS 메인서버(1)는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 있는 예약정보데이터의 출발예정시간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예약현황모드(S312)를 통하여 알람이 설정된 일정시간이 되었는지를 지속적으로 조회하고, 상기 일정시간이 되었을 때 이를 ARS, SMS 등의 유·무선 상으로 이용자(5)에게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한다(S601). 이 때의 통보주기는 이용자(5) 또는 관리자(4)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용자(5)는 예약현황모드(S312)를 통하여 예약한 차량에 탑승하여 상기 차량을 운행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에 장착된 무선단말기(2)에 연결된 키패드(3)에 자신의 ID를 입력하고, 무선단말기(2)는 상기 ID 및 상기 입력시간을 FMS 메인서버(1)로 전송한다(S602). 이 때, 자신의 ID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FMS 메인서버(1)는 이를 수신받아 출발시간데이터로 설정하여 상기 ID 및 상기 출발시간데이터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S604). 만일 상기 출발예정시간보다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상기 ID의 입력정보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S603),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에게 예약한 출발예정시간이 경과하였음을 ARS, SMS 등의 유·무선 상으로 일정한 주기를 두어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한다(S605). 이 때, 상기 일정시간은 관리자(4)에 의해 미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차량의 운행 도중, 무선단말기(2)는 상기 입력된 ID와 함께 GPS를 통하여 수 집한 상기 차량의 운행정보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FMS 메인서버(1)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FMS 메인서버(1)는 상기 ID 및 차량운행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이를 수신시간정보와 함께 FMS 데이터베이스(16)에 갱신하여 저장한다(S606). 이 때, 상기 운행정보에는 차량의 위치정보 및 주행거리정보 등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주기는 관리자(4)에 의하여 설정된다. 이에 의하여, FMS 메인서버(1)는 위치정보모드(S317)에 있어서 관리자(4) 또는 다른 이용자(5)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6, 17)를 조회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또는 과거 위치를 제공하는 위치서비스를 할 수도 있으며,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n 및 도 4o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이용자(5)는 차량의 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소요비용을 이후 설명하는 방법으로 상부에 손쉽고도 정확하게 근거자료로서 증명하여 정산할 수 있다(S607, S608). 상기 여러 소요비용의 발생은 차량의 주유, 주차비용, 세차비용, 통행료, 차량수리비용 등을 적어도 한가지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4)에 의하여 다른 요인들을 얼마든지 추가 가능하다.
상기 여러 소요비용 중 주유의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만일 이용자(5)가 주유소에 들러 상기 차량에 주유할 경우, 이용자(5)로 하여금 무선단말기(2)에 연결된 키패드(3) 상의 예를 들어 "지출"이라 포기된 버튼을 누르게 한다(S607).
그러면, 무선단말기(2)는 무작위로 난수를 발생하여 이를 키패드(3) 상의 표시창에 표시함으로써 이용자(5)에게 인지시키며, 동시에 상기 난수정보, 위치정보 및 주행거리정보를 이동전화망을 통하여 FMS 메인서버(1)로 전송하고, FMS 메인서버(1)는 상기 난수 및 난수발생시간 등의 난수정보 및 차량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이를 수신시간정보와 함께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한다(S608).
그 후, 차량의 이용을 끝낸 이용자(5)는 유·무선 상으로 FMS 메인서버(1)에 접속하여 도착정산모드(S313)로 들어가 도착시간을 입력하여 반차하였음을 FMS 메인서버(1)에 입력한다(S609).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g에 나타낸다.
그러면,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의 ID 및 상기 도착시간에 따라 FMS 데이터베이스(16)를 참조하여 이용자 및 이용차량 정보, 출발 및 도착일시, 이용시간 및 이용주행거리 등이 연계된 도착정산현황을 작성하여 이용자(5)에게 제공하고 이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갱신 저장한다(S610).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h에 나타낸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FMS 메인서버(1)는 도착정산을 하지 않는 이용자(5)를 대비하여 알람기능을 두어 예약된 도착예정시간보다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유·무선 상으로 이용자(5)에게 알람을 통보하여 반차를 지시하거나, 또는 반차를 이미 하였다면 FMS 메인서버(1)에 접속하여 도착정산모드(S313)에서 도착시간을 입력하라는 통지를 ARS, SMS 등의 유·무선 상으로 일정한 주기를 두어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할 수 있다(S611, S612). 이 때, 상기 일정시간은 물론 관리자(4)에 의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착시간의 입력이 완료된 후, 이용자(5)는 비용정산모드(S314)를 통하여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차량이용 중 발생한 차량의 주유, 주차비용, 세차 비용, 통행료, 차량수리비용 등에 기인한 소요비용의 정산을 할 수 있다(S613 ~ S618).
즉, 이용자(5)는 정산할 내역이 있다면, 이용자 ID를 입력하여 비용정산모드(S314)로 들어가고(S613), FMS 메인서버(1)는 FMS 데이터베이스(16)를 조회하여 상기 ID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현황정보를 제공한다(S614). 즉, 상기 이용현황정보에는 이용자 성명, ID, 부서 등의 이용자정보와, 차번, 차명 등의 차량정보와, 출발 및 도착일시, 이용시간 및 이용주행거리 등의 이용정보가 포함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상기 도착정산모드의 실시예(도 4h)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기 이용현황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각각 해당되는 난수와 세부 지출내역을 입력하고, FMS 메인서버(1)는 상기 입력된 난수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되어있는 해당 난수와 비교한다(S615). 이 때, 세부 지출내역에는 주유비, 수리비, 통행료, 주차비 등의 지출대상항목과, 지출금액 및 지출일시, 현금 또는 신용카드(개인 또는 법인), 외상 등의 결제방법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i에 나타낸다.
만일 난수가 일치한다면(S616),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5)에게 비용정산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 후, 상기 입력된 세부 지출내역을 포함한 비용정산현황표 를 작성하여 이용자(5)에게 인지시키고 FMS 데이터베이스(16)에 저장하며, 이를 회계담당부서로 통보하여 이용자(5)에게 비용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비용정산과정이 종료된다(S617).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j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외에도 이용자(5)는 필요에 따라 다른 부서에 배차된 차량을 자신의 부서로 옮겨올 수 있도록 하는 배차이동모드(S315)를 실행할 수 있다.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k에 나타내며, 이의 경우 N/W 구축3팀을 선택하면 이 팀에 배차된 차량리스트가 나타나며, 이용자(5)는 상기 차량리스트에서 필요차량을 선택하여 자신의 팀인 N/W 구축4팀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용자(5)는 자신이 정비한 차량의 정비내역을 입력하거나 조회하는 차량정비이력모드(S316)을 실행할 수 있다. 이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4l 및 도 4m에 나타내며, 이 경우 이용자(5)는 도 4m의 화면에 정비내역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도 4l의 정비이력현황으로부터 각 차량의 정비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이상, 이용자 모드(S310)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제부터는 관리자 모드(S320)를 설명한다.
관리자 모드(S320)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량관제모드(S321), 이용자관제모드(S322), 차량정비모드(S323), 관리자관제모드(S324), 기타 설정모드(S325),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산출모드(S326) 등으로 구성되어 관리자(4)에게 제공되며, 이용자모드(S310)와는 달리 관리자(4)로 하여금 이용현황, 전자운행일지, 예약, 이동배차, 정비, 차량관제 및 기타 설정 등의 조회, 수정, 삭제 등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FMS 메인서버(1)는 이용자정보데이터, 차량정보데이터를 FMS 데이터베이스(16)에서 읽어내어 이를 상호 연계 처리하여 상기 각 모드에 적합하도록 데이터를 구성한다.
먼저, 차량관제모드(S321)는 등록된 차량의 차량번호, 차종, 색상, 배기량, 연식, 주행거리, 제조사, 구입가격, 운행시작 및 종료일, 관리부서 등의 데이터로 구성하여 차량현황 설정, 차종리스트 설정, 차량리스트 설정, 차량등록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7a 및 도 7b에 나타낸다.
이용자관제모드(S322)는 등록된 이용자의 인적사항 데이터와 등록된 부서 또는 사업장의 상세 데이터로 구성하여 이용자 현황 및 등록 설정, 부서 현황 및 등록 설정, 사업장 현황 및 등록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c 및 도 7d에 나타낸다.
차량정비모드(S323)는 등록된 차량에 대한 정비이력, 각 정비소모품 리스트 및 교환주기, 관련 정비업체의 업체명 및 연락처 등의 데이터로 구성하여 정비이력 설정, 정비소모품의 리스트 및 교환주기 설정, 정비업체리스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e에 나타낸다.
관리자관제모드(S324)는 관리자의 인적사항 등의 데이터로 구성하고, 관리자 현황 및 등록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등록설정에 있어서 편집권한의 범위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f에 나타낸다.
기타 설정모드(S325)에서는 FMS 메인서버(1)가 무선단말기(2)로부터 차량위치정보 등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FMS 데이터베이스(16)를 갱신하는데 있어서 관리자(4)로 하여금 그 갱신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예약승인여부 및 예약가능시간 등의 설정뿐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16, 17)의 편집관리, 기타 보험사, 중고차매매업체, 거래처 등의 등록설정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의 바 람직한 실시예를 도 7g에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산출모드(S326)는 관리자(4)로 하여금 현재 요구되고 있는 차량 이용량에 대비하여 보유하고 있는 업무용 차량의 대수가 과연 적정한지를 판단하고 그 적정차량대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현재 보유 중인 업무용 차량의 일평균이용시간과 일일최대이용건수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정차량대수를 확률적으로 산출해낸다.
먼저, 특정시간대에서 업무용 차량이 이용 중일 확률 p는 식 1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5
(식 1)
또한, 일일최대이용건수가 n건일 때 보유 중인 차량대수 중 r대가 동시에 이용 중일 확률 P(X r)는 식 2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6
이 때,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7
(식 2)
따라서, 차량 r대가 동시에 이용되는 시간 T는 식 3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5000724743-pat00008
(식 3)
예를 들어, 현재 보유 중인 차량대수가 10대인 법인에 있어서 일평균이용시간이 3시간 22분으로 산출되고 일일최대이용건수가 13건으로 조회될 경우, 상기 법인의 일일업무시간이 9시간이라고 가정하면, 식 1에 의해 특정시간대에서 차량이 이용 중일 확률 P는 37.4%가 되고, 차량 9대가 동시에 이용될 확률, 즉 P(X 9)는 식 2에 의해 대략 1.6%가 되므로, 차량 9대가 동시에 이용되는 시간 T는 식 3에 의해 대략 9분 정도로 산출된다. 따라서, 이 경우 차량 9대가 동시에 이용된다고 해도 다음 이용자(5)가 약 9분 정도만 기다린다면 예약차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만일 상기 9분의 대기수용시간이 해당 법인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면, 상기 법인의 경우 적정차량대수는 9대가 되어 현재 보유 중인 10대의 차량 중에서 1대를 감축하더라도 업무 상 불편은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산출과정의 개략 흐름도이다.
관리자(4)가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산출모드(S326)를 선택하여 적정차량대수 산출을 요청하면(S801), FMS 메인서버(1)는 FMS 데이터베이스(16)에서 보유차량의 대수 및 모든 등록차량의 이용자 운행정보를 조회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등록차량의 총대수, 일평균이용시간 및 일일최대이용건수를 산출한다(S802). 또한, FMS 메인서버(1)는 경우에 따라 관리자(4)로부터 해당 법인의 일일업무시간을 입력받거나, 또는 일일업무시간을 기본값인 9시간으로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S803).
그리고, FMS 메인서버(1)는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동시이용차량대수인 r대가 동시에 이용될 확률과 시간을 모두 산출하기 위하여, 먼저 특정시간대에서 업무용 차량이 이용 중일 확률 p를 식 1로부터 산출한다(S804).
또한, 상기 산출된 각 일일최대이용건수 n 및 동시이용 중일 확률 p를 기반으로 식 2로부터 0≤r≤최대차량이용건수의 범위에서 r값을 "1"씩 증가시켜가며 각 r값에 대하여 차량 r대가 동시에 이용 중일 확률 P(X r)를 각각 산출한다(S805).
그리고, 마찬가지로 0≤r≤최대차량이용건수의 범위에서 r값을 "1"씩 증가시켜가며 각 r값에 대하여 차량 r대가 동시에 이용되는 시간 T를 식 3으로부터 산출하고, 동시에 각 r값에 대하여 시간 T의 누적값을 산출하며, r값 및 n값에 대응하는 시간 T값 및 그 누적값의 분포도를 작성하여 출력한다(S806).
또한, 만일 시간 T의 누적값이 상기 일일업무시간값과 동일하다면(S807), 이 때 해당되는 r값 및 시간 T값을 각각 적정차량대수 및 최소대기시간으로 판단하고 관리자(4)에게 출력한다(S808). 이 때, 만일 관리자(4)가 상기 출력된 적정차량대수를 낮추거나 높여서 입력하면(S809), 그 변경된 적정차량대수에 대응하는 최소대기시간을 출력한다(S810).
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7h에 나타낸다. 여기서, FMS 메인서버(1)는 FMS 데이터베이스(16)로부터 실제 운용하고있는 총등록차량대수, 실제 일일최대이용건수(일일최대이용자수), 실제일평균이용시간을 조회하여 자동적으로 이에 따른 적정차량대수 및 그 때의 최소대기시간(대기수용시간)을 산출하여 나타낸다. 또한, 관리자(4)가 총등록차량대수, 일일최대이용건수(일일최대이용자수), 일평균이용시간을 소정의 값으로 가상하여 입력하면, FMS 메인서버(1)는 이에 따른 적정차량대수 및 그 때의 최소대기시간(대기수용시간)을 산출하여 나타내므로, 이와같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관리자(4)는 상기 적정차량대수를 예측하고 정확하게 차량대수를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으로 업무용 차량의 관 리 및 예약이 되어 자동적으로 전자운행일지가 관리되므로, 효율적인 업무용 차량의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해지고, 주유비, 정비비 등의 제반 소요비의 정확한 정산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자운행일지가 정확하게 관리되므로, 임직원은 소요된 비용을 추후 지불함으로써 업무용뿐만 아니라 비업무용으로도 업무용 차량을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업무용 차량의 일평균이용시간 및 일일최대이용건수를 조회하여 이로부터 정확한 적정차량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므로, 이로부터 법인은 업무용 차량의 적정대수만을 유지하여 차량운영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4)

  1. 차량에 장착되며,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이용자의 식별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차량의 이용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비용의 지출 시 난수정보를 발생하여 상기 난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고, 또한 상기 난수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 시 이를 사용하여 상기 이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난수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상기 제반 비용의 정산을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보유차량의 이용현황으로부터 소정기간동안의 평균차량이용시간데이터 및 최대차량이용건수를 산출하고,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각의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상기 보유차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기간 동안의 업무시간동안 이용될 이용확률과 동시에 이용될 동시이용확률의 분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의 분포에 따라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각의 동시이용차량 대수에 대응하여 동시이용시간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의 누적값인 동시이용누적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누적시간이 상기 업무시간과 동일할 때의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을 각각의 적정차량대수 및 대기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는
    상기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부와;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센서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의 주행정보를 계산하며, 또한 상기 난수정보를 발생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이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차량의 이용 도중 발생할 수 있는 제반 비용의 지출 내역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발생된 난수정보를 표시하는 키패드와;
    상기 계산된 주행정보 및 상기 발생된 난수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입력된 식별정보와 함께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안테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상기 난수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이용자 관리부와;
    상기 차량관리시스템의 관리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자 관리부와;
    등록된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관리하는 차량 관리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상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관리자 및 상기 이용자가 입력 및 조회하는 차량의 예약, 반차 및 비용정산, 배차이동, 차량정비정보, 차량위치정보, 이용자 및 관리자와 차량의 관제, 총 이용량대비 적정차량대수 의 정보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가공하여 처리하는 정보처리부와;
    상기 관리자 및 상기 이용자에게 유·무선 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거나 경보를 발송하는 정보제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시스템.
  5.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정보 및 이용자의 식별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와,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및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이용현황을 분석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차량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차량관리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차량이용의 예약을 등록받는 예약단계와;
    상기 차량이용의 개시에 앞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이용자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개시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가 외부위치추적시스템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의 위치 및 주행거리의 주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행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감시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용종료단계와;
    상기 서버가 보유차량의 이용현황으로부터 소정기간동안의 평균차량이용시간데이터 및 최대차량이용건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각의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상기 보유차량이 미리 설정된 소정기간 동안의 업무시간동안 이용될 이용확률과 동시에 이용될 동시이용확률의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의 분포에 따라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각의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각각의 동시이용시간 및 상기 각각의 동시이용시간의 누적값인 동시이용누적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누적시간이 상기 업무시간과 동일할 때의 상기 동시이용차량대수 및 상기 동시이용시간을 각각의 적정차량대수 및 대기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현재 진행 중인 예약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자신의 예약일정에 관한 예약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예약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현재 가용차량의 목록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용차량의 목록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차량을 선택하면, 상기 서버는 이를 기반으로 상기 예약현황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갱신된 예약현황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자신의 예약일정에 관한 예약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는 일반예약단계와 고정예약단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일반예약단계의 경우,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예약기간, 출발 및 도착 예정일시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예약단계의 경우, 상기 예약정보는 상기 이용자의 고정기간, 고정기일, 출발 및 도착 예정시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단계는 상기 차량이용의 개시보다 소정의 시간 전에 상기 이용자에게 이용개시시간이 된 것을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할 것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개시단계는 출발예정시간이 경과하였는데도 만일 상기 무선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정보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개시단계에서의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를 최초 입력받은 때의 입력시간정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용개시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입력시간정보를 수신하여 출발시간으로 설정하고 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감시단계는 지출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출입력단계는
    상기 무선단말기가 키패드 상에 구비된 지출 버튼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로부터 지출 발생 사실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무선단말기는 소정의 난수를 발생시켜 상기 이용자에게 인지시키고, 상기 난수와 상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출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2. 삭제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도착시간을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출발 및 도착 시간, 이용시간, 출발 및 도착 주행거리, 이용주행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착현황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4. 제 5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로부터 상기 차량을 반차하는 도착정산을 입력받아 상기 이용을 종료하였음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도 착정산이 도착예정시간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입력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도착정산을 입력할 것을 상기 이용자에게 적어도 1회 이상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종료단계는 비용정산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용정산단계는
    상기 이용자는 상기 서버에 비용정산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의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이용자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이력으로 구성되는 이용현황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이용현황정보는 이용차량정보, 출발 및 도착 시간, 이용시간, 출발 및 도착 주행거리, 이용주행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계와;
    상기 이용자는 상기 이용현황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기 이용이력을 선택하고 이에 해당되는 상기 난수 및 상기 지출의 내역을 입력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난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저장되어있는 난수정보와 상호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난수와 상기 난수정보가 상호 일치한다면, 상기 서버는 상기 지출내역을 포함하는 비용정산현황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감시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주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현재 또는 과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방법은 이용현황정보와 차량정비이력정보, 배차이동정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제공하며, 이들 정보는 상기 이용자 및 상기 차량의 정보데이터가 연계되어 작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방법은 상기 산출된 적정차량대수가 수정된 경우에는 상기 서버는 상기 수정된 적정차량대수에 대응하는 최소대기시간을 다시 산출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2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정시간대에서 상기 보유차량이 이용 중일 이용확률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Figure 112010048946141-pat00009
    이 때, p는 특정시간대에서 보유차량이 이용 중일 이용확률.
  2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이용확률로부터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는 동시이용확률분포를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식에 의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Figure 112010048946141-pat00010
    이 때,
    Figure 112010048946141-pat00011
    이고, n은 최대차량이용건수, r은 동시이용차량대수이며, P(X=r)는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 중일 동시이용확률.
  2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동시이용확률의 분포에 따라 상기 보유차량이 동시에 이용될 수 있는 상기 최대차량이용건수 범위 내의 각각의 동시이용차량대수에 대응하여 각각의 동시이용시간 및 상기 각각의 동시이용시간의 누적값인 동시이용누적시간을 산출하는 과정은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방법.
    Figure 112010048946141-pat00012
    이때, T는 동시이용차량대수 r대가 동시에 이용되는 시간.
  24. 삭제
KR1020050001167A 2005-01-06 2005-01-06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46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167A KR101046070B1 (ko) 2005-01-06 2005-01-06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167A KR101046070B1 (ko) 2005-01-06 2005-01-06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955A KR20060080955A (ko) 2006-07-12
KR101046070B1 true KR101046070B1 (ko) 2011-07-01

Family

ID=3717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167A KR101046070B1 (ko) 2005-01-06 2005-01-06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88A (ko) 2019-01-31 2020-08-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체인을 이용한 업무용 차량의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6491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훈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619B1 (ko) * 2010-04-09 2012-03-12 (주) 에이티엔 차량 부제 운행 및 에코 드라이빙 관리 시스템
KR101665716B1 (ko) * 2010-06-25 2016-10-13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WO2013032068A1 (ko) * 2011-08-31 2013-03-07 (주)다콘 차량 운전 관리 시스템
KR102077589B1 (ko) * 2018-02-28 2020-02-14 주식회사 아트뷰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운행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2105917B1 (ko) * 2018-06-15 2020-05-28 (주)카택스 차량 운행 일지 관리 시스템
KR102072380B1 (ko) * 2018-09-12 2020-02-03 주식회사 영신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KR102365430B1 (ko) * 2021-05-12 2022-02-24 제이씨현오토 주식회사 Svm 탑뷰 기반 시청각적 인체 및 장애물 감지 통합 표시시스템을 이용한 택배차량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44A (ko) * 2002-02-02 2003-08-09 임병덕 온 라인을 통한 차량의 임대시스템 및 그 임대방법
KR20040010859A (ko) * 2002-07-25 2004-02-05 (주)한국정밀전자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44A (ko) * 2002-02-02 2003-08-09 임병덕 온 라인을 통한 차량의 임대시스템 및 그 임대방법
KR20040010859A (ko) * 2002-07-25 2004-02-05 (주)한국정밀전자 첨단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88A (ko) 2019-01-31 2020-08-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체인을 이용한 업무용 차량의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5382B1 (ko) * 2019-01-31 2021-02-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 체인을 이용한 업무용 차량의 종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6491A (ko) * 2019-11-28 2021-06-07 조성훈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KR102321148B1 (ko) * 2019-11-28 2021-11-02 조성훈 중고차 매매 허위 매물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955A (ko)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070B1 (ko)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E60206568T2 (de) Positionsverwaltungsverfahren und -vorrichtung
CN101505481B (zh) 资源调度的装置和方法
JP6062641B2 (ja) タクシー運用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US202201012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asset utilization using satellite aided location tracking
CN104520907B (zh) 队列管理系统和方法
JP5708497B2 (ja) 行動提示装置、行動提示システム、行動提示プログラム、及び行動提示方法
JP2009080792A (ja) 集中パーキング管理システム
CN103998897A (zh) 一种对兴趣点、服务路径投递、审计领域表现和销售进行地理编码的方法和装置
KR101339599B1 (ko) 예약 처리 장치, 예약 처리 방법, 및 예약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6651106B1 (ja) 塵芥収集業務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サーバ
JP2007114854A (ja) 車両賃借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9098813A1 (ja) 路線バス料金精算システム
KR100865226B1 (ko) 수금 대행 및 배달사원 공유를 위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US2004011733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mbined metering and dispatching service with advertising
KR100835149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마일리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5804A (ko) 인터넷 기반 수거물 통합 관리 시스템, 그를 이용한 수거차량 운용 방법 및 그의 운용 방법
JP3452191B2 (ja) 車両配置計画立案支援システム、該システムとしての機能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該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車両配置計画立案支援方法
JP2005148930A (ja) 営業支援システム
JP2003346010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JP2002032629A (ja) 移動端末を利用した取引方法及び装置、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KR20060056081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3674596B2 (ja) 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0086710A (ja) 廃棄物コンテナの管理システム
KR20130131547A (ko) 고유번호를 이용한 대리운전 운용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