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0571A -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0571A
KR20190120571A KR1020180043924A KR20180043924A KR20190120571A KR 20190120571 A KR20190120571 A KR 20190120571A KR 1020180043924 A KR1020180043924 A KR 1020180043924A KR 20180043924 A KR20180043924 A KR 20180043924A KR 20190120571 A KR20190120571 A KR 20190120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tate
mobile terminal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18004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0571A/ko
Publication of KR20190120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0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는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와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상태 정보 설정부와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AGRICULTURAL MACHINERY}
본 발명은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배터리 소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이 점점 대규모화 및 기계화됨에 따라, 농가에서는 경운기, 종합관리기, 트랙터 및 콤바인 등의 농기계를 각자 보유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가의 농기계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빈번이 발생하고 있다.
즉, 별다른 농기계 보관 창고가 있는 농가는 작업이 끝난 후에 농기계를 집으로 가져와 보관창고에 보관하지만, 마땅한 보관창고가 없는 농가는 집앞의 공터나 작업현장에 고가의 농기계를 방치하기 때문에 도둑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일반 승용차에는 블랙박스가 장착되어 분실 또는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이 존재하지만 농기계는 일반 승용차와는 달리 특수한 전자 계통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아 블랙박스를 장착하여 분실 또는 도난 방지를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9204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터리 소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는,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상태 정보 설정부,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움직임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기 설정된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 주기보다 긴 제2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통신 불능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주기보다 짧은 제3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정지 시간 이상 유지 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2 통신 주기보다 긴 제4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이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 정보 설정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안전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2 통신 주기보다 긴 주기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오프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해 설정된 지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의 안전 상태 및 상기 지역을 벗어난 경우의 이탈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오프 제어되며,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온 제어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오프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이탈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기 설정된 센싱 주기에 따라 움직임을 센싱하며, 상기 상태 정보 설정부는 기 설정된 연속적인 횟수 이상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움직임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기 설정된 연속적인 횟수 이상 움직임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정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분실 정보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음, 진동, 또는 램프 전등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농기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농기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실 방지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 및 분실 방지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단말로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PDA,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등 일 수 있다.
분실 방지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동일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장치이다. 분실 방지 장치는 분실 방지를 위한 개인 소지품, 애완 동물, 아동 등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개인 소지품에 고리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소지품들은 노트북, 지갑, 가방, USB 메모리, 자동차 키, 무선 헤드셋 등 다양한 소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분실 방지 장치(2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분실 방지 장치와 기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통신을 수행하여 분실 방지 장치(200)를 검색한다. 그리고 분실 방지 장치(200) 또한 근거리 통신을 통해 기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검색한다. 만약, 검색에 실패할 경우 이동 단말기(100) 및 분실 방지 장치(200)는 분실이 발생하였음을 알람을 통해 알리며, 사용자는 알람이 울리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 또는 분실 방지 장치(200)가 장착된 소지품의 분실을 인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 근거리 통신부(120), 위치 정보 수신부(130), 생활 패턴 분석부(140) 및 움직임 감지부(150) 및 알람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제한된 거리내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비콘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부(210)와 기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통신부(12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감시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감시 영역은 일례로 1m, 5m, 10m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정보 수신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수신하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일 수 있다.
생활 패턴 분석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집, 직장, 통근, 퇴근 등의 시나리오에 따른 생활 패턴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집안에 있을 경우 물건을 잃어 버릴 염려가 없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를 안전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퇴근 후 늦은 시간 사용자가 움직임이 없는 경우 수면 상태로 인식하여 안전 상태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가 안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와 분실 방지 장치(200)가 지속적으로 분실 방지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의 배터리가 불필요하게 소모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20)를 통해 분실 방지 장치(200)로 전송하여 통신 주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미리 설정한 지역 또는 생활 패턴 분석부(140)에서 사용자의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해 설정된 지역에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의 안전 상태 및 상기 지역을 벗어난 경우의 이탈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부(150)는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 위치 정보 수신부(130)에서 수신되는 GPS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 정보를 근거리 통신부(120)를 통해 송신한다
알람부(160)는 분실 방지 장치(200)와의 통신이 두절되거나, 기 설정된 세기 이하의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소리, 진동, 디스플레이상의 알람 표시등의 알람 정보를 발생한다.
제어부(170)은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실 방지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부(210), 움직임 센서(220), 상태 정보 설정부(230), 통신 제어부(240), 알람부(250), 버튼 입력부(260), 배터리(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제한된 거리내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서,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비콘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100)의 근거리 통신부(120)와 통신 제어부(240)에서 설정된 통신 주기마다 통신을 수행한다.
움직임 센서(220)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움직임 센서(220)는 볼 센서, 자이로 센서 등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20)는 기 설정된 센싱 주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설정부(230)는 움직임 센서(220)에서 감지되는 움직임 정보,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상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태정보는 도 4에서와 같이 움직임 상태, 정지 상태, 통신 불능 상태, 안전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실 방지 장치 장치(200)의 움직임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상태에 따라 변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태 정보 설정부(230)는 움직임 센서(220)에서 기 설정된 연속 횟수 이상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움직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 설정부(230)는 움직임 센서(220)에서 기 설정된 연속 횟수 이상 움직임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정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220)에서 움직임이 감지될 때마다 분실 방지 장치(200)가 움직임 상태로 바로 설정되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가 미세 하게 움직였음에도 상태 정보가 자주 바뀌게 되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태 정보 설정부(230)는 기 설정된 연속 횟수 이상 움직임이 센싱 되거나 센싱되지 않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움직임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상태 정보 설정부(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탐색이 되지 않는 경우 상태 정보를 통신 불능 상태로 설정하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안전 상태로 설정한다.
통신 제어부(240)는 상태 정보 설정부(230)에서 설정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분실 방지 장치(200)간의 통신 주기를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통신 제어부(240)는 상기 상태 정보가 움직임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기 설정된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 주기보다 긴 제2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통신 불능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주기보다 짧은 제3 통신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통신 제어부(240)는 통신 주기를 제2 통신주기보다 긴 주기로 설정하거나, 근거리 통신부(210)를 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일정한 곳에서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소지품을 분실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의 통신 주기를 상태 정보가 움직임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보다 길게 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실 방지 장치(200)의 상태 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와의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움직임 상태보다 통신 주기를 더 짧게 함으로써 분실 방지 장치(200)가 부착된 소모품을 찾을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일례로, 통신 주기는 아래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상태 정보 움직임 상태 정지 상태 통신 불능 상태 안전 상태
통신 주기 3초 10초 1초 1시간 또는 근거리 통신부 오프
상기 표에서와 같이 움직임 상태의 제1 통신 주기가 3초로 설정되고, 정지 상태의 제2 통신 주기가 10초로 설정되는 경우, 움직임 상태에 비해 정지 상태에서 분실 방지 장치(200)와 이동 단말기(100)간의 통신 횟수가 적도록 제어됨으로 배터리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통신 불능 상태에서의 제3 통신 주기는 1초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소모품을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집 또는 회사에 위치하여 소모품을 분실 할 가능성이 낮은 안전 상태에서는 통신 주기를 1시간으로 설정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한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개념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이동형 기록 매체(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USB 저장 장치, 이동식 하드 디스크)이거나, 고정식 기록 매체(ROM, RAM, 컴퓨터 구비 형 하드 디스크)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더욱이, 위에 설명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구성들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설명된 프로그램 컴포넌트들 및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지 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센서;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상태 정보 설정부;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 및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움직임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기 설정된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 주기보다 긴 제2 통신 주기로 설정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통신 불능 상태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주기보다 짧은 제3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정지 상태가 기 설정된 정지 시간 이상 유지 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2 통신 주기보다 긴 제4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정지 상태이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 설정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안전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2 통신 주기보다 긴 주기로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오프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지역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생활 패턴 분석을 통해 설정된 지역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위치하는 경우의 안전 상태 및 상기 지역을 벗어난 경우의 이탈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상태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오프 제어되며,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온 제어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안전 상태인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오프 제어하며, 상기 이동 단말기 상태 정보가 이탈 상태인 경우 상기 통신 주기를 상기 제1 통신 주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센서는 기 설정된 센싱 주기에 따라 움직임을 센싱하며,
    상기 상태 정보 설정부는 기 설정된 연속적인 횟수 이상 상기 움직임이 센싱되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움직임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기 설정된 연속적인 횟수 이상 움직임이 센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상태 정보를 정지 상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분실 정보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탐색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경보음, 진동, 또는 램프 전등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장치.
  9.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농기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10. 컴퓨팅 장치와 결합하여,
    이동 단말기와 설정된 통신 주기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농기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 센서에서 센싱되는 움직임 정보,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 상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주기에 따른 통신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인 경우 분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도록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43924A 2018-04-16 2018-04-16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KR20190120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24A KR20190120571A (ko) 2018-04-16 2018-04-16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924A KR20190120571A (ko) 2018-04-16 2018-04-16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0571A true KR20190120571A (ko) 2019-10-24

Family

ID=6842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924A KR20190120571A (ko) 2018-04-16 2018-04-16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05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16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긴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041A (ko) 2000-03-20 2001-10-24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041A (ko) 2000-03-20 2001-10-24 서숙종 차량 도난 방지용 조향축 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116A (ko) *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긴트 농사용 차량의 주행을 모니터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5153B2 (en) Observation based event tracking
US9196139B2 (en) Proximity tag for object tracking
JP7211634B2 (ja) 人を監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5022751A (ja) ターゲット捜索システム及びその捜索方法
CN106023540A (zh) 基于防丢器的防丢物品提示方法及装置
WO2008076668A1 (en) Tracking device that conserves power using a sleep mode when proximate to an anchor beacon
KR20140077726A (ko) 유아용 모니터링 로봇
US202003498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9326242B1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on location reference devices
KR100772013B1 (ko)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 인식 및 추적을 위한 알에프 아이디시스템 및 알에프 태그와 리더 사이의 통신 방법
KR20190120571A (ko) 농기계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US20230067130A1 (en) Wireless, tag-based management of equipment-operator interactions
KR101887944B1 (ko)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WO2014160372A1 (en) User interface for object tracking
US20130120139A1 (en) Locating system for locating and tracking an object
US20190311596A1 (en) Enhanced gps track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9129507B2 (en) Portable electr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tate of the same
JP4917583B2 (ja) 無線タグ管理システム
JP4037421B2 (ja) タグシステム、icタグ、icタグ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90120572A (ko) 농기계 이동 패턴에 기반한 맞춤형 알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25004B1 (ko) 저전력 기반의 도난 방지기 및 도난 방지 시스템
EP36317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20150106692A (ko) 미아방지 장치용 단말기, 신호 감지 단말기, 서버 및 이를 포함한 미아방지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722557B1 (ko)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40040142A (ko) 운전자 졸음 예측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