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557B1 -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557B1
KR101722557B1 KR1020150070502A KR20150070502A KR101722557B1 KR 101722557 B1 KR101722557 B1 KR 101722557B1 KR 1020150070502 A KR1020150070502 A KR 1020150070502A KR 20150070502 A KR20150070502 A KR 20150070502A KR 101722557 B1 KR101722557 B1 KR 101722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fire extinguisher
information
fire
alarm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711A (ko
Inventor
윤주현
김민영
양지영
김혜원
이은섭
한재석
반규성
이재호
애니페드렛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5/0103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37075A1/ko
Publication of KR2016010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는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1외부 안전장치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2 외부 안전장치, 서버 및 사용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장치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SAFETY APPARATUS ATTACHABLE TO A FIRE EXTINGUISHI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상황을 경보하여 화재 대피 및 화재 대응을 위한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최선이나 아무리 조심해도 발생할 수 있다. 화재 발생에 따라 재산상 피해는 물론 인명피해까지 발생할 수 있고 결국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한 경우 초기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어떻게 대처를 했는지 또는 미리 어떤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에 따라서 피해의 범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초기에 제대로 경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사람들이 제대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위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상당수의 건물들이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상당수의 건물들이 노후화된 화재발생 경보시스템 혹은 부적절한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새로운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에도 비용 문제로 인하여 새로운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화재발생 경보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하더라도 화재발생 현장의 지리적 한계, 화재발생 현장에 있는 사람의 신체적 한계로 인해 화재발생 알림의 확장성과 전달성 부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종래의 화재발생 경보 장치는 온도 센서, 연기 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기 때문에, 실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도 오작동을 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센서가 실제 화재발생 지점과 근접하지 않은 경우 또는 감지 센서가 향하는 방향이 화재발생 지점을 향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을 제대로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등록특허 10-0638120호는 화재감시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술한 새로운 화재 경보시스템 구축 비용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오작동 문제 또는 화재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 정확하게 공유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재 발생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유하여 즉각적인 대응을 유도하고 위급한 상황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안전장치가 소화기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여 화재발생 경보 시스템을 저렴하고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지속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안전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기를 쉽게 인지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따르면 안전장치는,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1외부 안전장치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2 외부 안전장치, 서버 및 사용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장치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가,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를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2외부 안전장치, 서버 및 사용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단계, 광을 발광하고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따르면,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와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 사용자단말로서,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및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말통신부,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의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추정부,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화재발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대피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따르면,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단말에 의하여 수행되는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안전장치로부터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및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에 기초하여 화재발생의 위치정보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및 상기 화재발생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피경로를 상기 사용자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위기 상황에 적절한 정보전달과 상황 공유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위급한 상황에 처해져 있는 사람이 자신의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하고 위급 상황의 수습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화기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소화기의 이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화재발생 경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감지함으로써 실제 화재발생 상황이 아닌 상황에서 잘못된 경보를 사용자에게 하는 경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실제 화재발생 지점과 근접하지 않은 경우에도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면 경보 발생을 신속히 전파할 수 있어 정확한 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위급한 상황에 처해져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보다 능동적으로 안전문제에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가 외부와 통신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단말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가 장착된 소화기(E)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는 소화기(E)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소화기는, 소화기 내부에 냉각 또는 공기 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끌 수 있는 소화제를 충전하며, 운반가능한 기구를 의미한다. 소화기는 평소에는 그 내부에 충전된 소화제가, 예를 들면,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안전핀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안전핀(1)을 안전장치(10)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는 소화제가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힘을 가하기 위하여 손잡이(E1)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전장치(10)의 일실시예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10)는 안전장치(10)의 일 측면에 홈(13)을 구비할 수 있다. 안전장치(10)가 소화기(E)에 장착되는 경우 안전장치(10)의 일 측면에 구비된 홈(13)을 소화기(E)의 적어도 일 부분에 밀착시켜서 장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장치(10)의 일 측면에 구비된 홈(13)의 외측면(14)의 적어도 일부분을 소화기(E)의 손잡이(E1)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밀착시켜 안전장치(10)가 소화기(E)에 장착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는 감지부(110), 발광부(120), 발음부(130), 장치통신부(140), 발광제어부(150), 발음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및 진단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10)는 안전장치(10)의 내부구성요소, 즉, 감지부(110), 발광부(120), 발음부(130), 장치통신부(140), 발광제어부(150), 발음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진단부(18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감지부(110)는, 안전장치(10)가 장착된 소화기(E)의 사용을 감지하면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1경보발생정보는 안전장치(10) 장착된 소화기(E)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안전장치(10)가 장착된 소화기(E)의 위치에 관한 정보, 안전장치(10)가 장착된 소화기(E)의 식별정보, 안전장치(10)의 식별정보, 안전장치(10)의 사용시각 및 소화기(E)의 사용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화재의 발생을 인지한 누군가가 소화기(E)를 사용하는 경우 소화기(E)의 사용을 감지하여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소화기(E)가 화재의 발생 위치와 근접하지 않아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화재 감지 센서(예를 들어, 온도, 가스, 연기, 열 또는 조도 센서 등)가 화재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누군가에 의해 소화기(E)가 사용되는 경우 감지부(110)는 소화기(E)의 사용을 감지하고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상기 소화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핀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핀(1)의 이탈을 감지함으로써 소화기(E)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는 안전핀(1)의 이탈을 감지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핀(1)의 이탈을 감지하면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안전장치(10)가 소화기(E)로부터 이탈되는지를 감지함으로써 소화기(E)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10)의 일실시예로서 안전장치(10)는 안전핀(1)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10)는 안전장치(10)가 소화기(E)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전장치(10)의 이탈을 감지하면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안전장치(10)가 소화기(E)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모듈은, 예를 들어, 진동 감지 센서, 접촉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경보발생정보는 소화기(E)가 사용됨으로써 화재 상황 또는 경보 상황이 발생했음을 제2외부 안전장치(30), 사용자단말(40), 방재센터서버(20)에 알리기 위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외부 안전장치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안전장치와 생성된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장치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또한 제2외부 안전장치(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장치를 지칭하는 표현일 수 있다.
한편 발광부(120)는, 발광(發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감지부(110)에 의해 소화기(E)의 사용이 감지되거나 장치통신부(140)가 제1외부 안전장치(50)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발광부(120)는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부 안전장치(50)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안전장치와 생성된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안전장치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또한 제1외부 안전장치(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전장치를 지칭하는 표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부(120)는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10)는 발광부(120)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광제어부(150)는 발광부(120)의 광의 색, 세기 또는 on/off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120)가 발광하는 동안 발광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발음부(130)는,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감지부(110)에 의해 소화기(E)의 사용이 감지되거나 장치통신부(140)가 제1외부 안전장치(50)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발음부(130)는 스피커 등과 같은 사운드 발생 소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장치(10)는 발음부(130)를 제어하는 발음제어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발음제어부(160)는 발음부(130)의 사운드의 세기 또는 사운드의on/off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부(130)가 사운드를 발생하는 동안 발음제어부(16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장치통신부(140)는 경보발생정보를 제2외부 안전장치(30), 방재센터서버(20) 및 사용자단말(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통신부(140)는 감지부(110)에 의해 생성된 제1경보발생정보를 제2외부 안전장치(30), 방재센터서버(20), 사용자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는 제1외부 안전장치(50)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2외부 안전장치(30), 방재센터서버(20) ? 사용자단말(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경보발생정보는 제1외부 안전장치(50)에 장착된 소화기(E)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로서, 제2경보발생정보는 예를 들어, 제1외부 안전장치(50)가 장착된 소화기(E)의 위치에 관한 정보, 제1외부 안전장치(50)가 장착된 소화기(E)의 식별정보, 제1외부 안전장치(50)의 식별정보, 제1외부 안전장치(50)의 사용시각 및 소화기(E)의 사용시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송신한 후 소화기(E)의 사용이 감지되어 제1경보발생정보가 생성된 경우 제1경보발생정보만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는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40)(또는 사용자단말(40)과 통신 가능한 서버)로 안전장치(10)의 위치(또는 안전장치(10)가 부착된 소화기의 위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화기의 위치를 미리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은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주기적으로 사용자단말(40), 방제센터서버(20) 또는 다른 안전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관련하여 장치통신부(14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장치통신부(14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LTE-A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여기서 지그비는 소형, 저전력 디지털 라디오를 이용해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로서,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 진 것을 의미할 수 있다. NFC 칩은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안전장치(10)는 상술된 구성 이외에도, 위치정보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제공부는 안전장치(10)가 장착되어있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정보제공부는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와이파이(Wifi)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기지국의 셀(Cell)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위성(Satellit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지그비(zigbe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장치(10)는 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위치정보제공부에서 제공된 위치정보를 경보발생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안전장치(10)는 안전장치(10)를 작동하게 하는 전원공급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일반적인 충전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리튬폴리머(Li-Po) 충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안전장치(10)는 상술된 구성 이외에도, 진단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단부(180)는, 안전장치(10)가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인지, 또는 안전장치(10)가 장착된 소화기가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70)의 전원 공급상태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지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외부 안전장치와 통신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170)의 충전된 배터리 잔량이 일정 임계치 이하인 경우 진단부(180)는 사용자에게 알림을 하기 위하여 발광제어부(150)을 통하여 발광부(130)를 발광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제어부(150)는 발광부(130)가 발광할 때 빛의 색, 세기, on/off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음제어부(160)를 통하여 발음부(130)에서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였을 때는 빛의 색을 빨간색으로,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여 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였을 때는 빛의 세기를 강하게하고 빛의 색을 하얀색으로,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임계치이하인 경우 노란색으로, 다른 안전장치와의 통신에 문제가 있는 경우 파란색으로 하여 발광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발음제어부(160)은 발음부(130)가 사운드를 발생할 때 사운드의 세기, on/off 주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된 바에 따른 안전장치(10)는 상부(11) 및 하부(1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발광부(120), 발음부(130), 장치통신부(140), 발광제어부(150), 발음제어부(160), 전원공급부(170), 진단부(180)는 상부(11)에 구비되고 안전핀(1) 및 감지부(110)는 하부(12)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소화기(E)에 부착되었던 안전장치(10)가 사용된 이후에, 상기 사용된 안전장치(10)를 저렴한 비용으로 복원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함으로써 안전장치(10)는, 예를 들어, 안전핀이 뽑힘으로써 소화기가 사용됨을 감지하면, 발광하거나 사운드를 발생시켜 화재의 발생을 알리고, 주변 소화기에 장착된 안전장치들 또한 발광시키거나 사운드를 발생시키도록 하여 화재 상황임을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화재 상황 및 발화 위치 및 정보를 파악하여 방재센터로 알림으로써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피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가 외부와 통신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10)는, 웹서버를 포함하여 로드밸런싱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 일군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방재센터서버(2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방재센터서버(20)는 방재센터(예를 들어, 소방서 등)로 화재의 발생을 안내하기 위한 서버로서, 방재센터서버(20)는 안전장치(10)의 감지부(110)에 의해 생성된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안전장치(10)의 장치통신부(140)에서 수신한 제2경보발생정보를 기초로 하여 방재센터가 화재 발생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방재센터서버(20)는 수신한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안전장치의 사용시각을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는 타소화기에 장착되어 있는 제1외부안정장치(50) 또는 제2외부 안전장치(3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감지부(110)에 의해 생성된 제1경보발생정보를 제2외부 안전장치(30)로 송신하거나, 제2외부 안전장치(30)에 의해 생성되어 안전장치(10)으로 수신된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외부 안전장치(50)로부터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면, 발광부(120) 또는 발음부(130)가 발광하거나 사운드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긴급상황임을 안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제1외부 안전장치(50) 및 제2외부 안전장치(3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10)와 구분하여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특정 안전장치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장치통신부(140)는 사용자단말(40)과 직접 통신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40)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즉 장치통신부(140)는 사용자단말(40)로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단말(40)은, 긴급상황의 발생, 안전장치(10)의 위치(또는 안전장치(10)가 부착된 소화기의 위치) 등을 안내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긴급상황을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대피경로도 안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방법은 소화기의 사용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에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S1100)하고 생성된 제1경보발생정보를 다른 안전장치, 사용자단말, 서버로 송신(S1200)하고, 발광(S3000)하고 발음(S3100)하여 화재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외부 안전장치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S2000)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제2경보발생정보를 다른 안전장치, 사용자단말, 서버로 송신(S2100)하고, 발광(S3000)하고 발음(S3100)할 수 있다. 또한 발광하는 단계(S1000)와 발음하는 단계(S2000)는 동시에 일어날 수 있으며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40)을 살펴본다.
이때 사용자단말(40)은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통해 추출된 각종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40)을 제어하는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전자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40)은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시계, 안경, 액세서리, 의복, 신발 등 인체에 직접 착용 가능한 타입의 정보처리장치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4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은 단말통신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410)는 안전장치(10)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또는 안전장치(10)과 통신 가능한 방재센터서버(3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단말통신부(410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통신부(41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40)은 단말통신부(410)을 통해 안전장치(10)로부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은 추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정부(420)는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위치 정보 또는 안전장치의 사용시각을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장치의 위치 또는 소화기의 위치의 소정의 임계치를 갖는 반경을 화재발생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경보발생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안전장치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각각의 위치가 소정의 임계치를 가지는 반경을 가지게 하여 각각의 반경이 겹치는 위치를 추출하여 해당 겹치는 지점을 화재발생의 위치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복수의 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경보발생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안전장치의 사용시각 또는 각각의 소화기의 사용시각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 최초의 경보발생정보를 결정하고 최초의 경보발생정보에 포함된 안전장치 또는 소화기의 위치정보로 최초로 사용된 안전장치 또는 소화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은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와이파이(Wifi)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기지국의 셀(Cell)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위성(Satellit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지그비(zigbee) 기반으로 측정된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은 생성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부(440)는 사용자단말의 위치정보 및 추정된 화재발생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대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된 화재발생의 위치와 사용자단말의 위치가 멀어지도록 대피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부(440)는 사용자단말(40)에 저장된 지도정보를 이용하거나 방재센터서버(20)로부터 제공된 지도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40)은 표시부(45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50)는 생성부(440)으로부터 생성된 대피경로를 사용자단말(40)의 화면 또는 디스플레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사용자단말(40)이 수신한 경보발생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단말(40)을 제어하는 사용자에게 대피경로를 안내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단말(40)이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S4100)하고, 수신된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제2경보발생정보를 기초로 하여 화재발생의 위치를 추정(S4200)한다. 또한, 사용자단말(40)의 위치정보를 저장(S4300)하고, 추정된 화재발생의 위치와 사용자단말(40)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대피경로를 생성(S4400)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대피경로를 사용자단말(40)에 표시(S4500)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 또는 도 7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안전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E: 소화기 E1: 손잡이
10: 안전장치
110: 감지부 120: 발광부
130: 발음부 140: 장치통신부
150: 발광제어부 160: 발음제어부
170: 전원공급부 180: 진단부
20: 방재센터서버
30: 제2외부 안전장치
40: 사용자단말
410: 단말통신부 420: 추정부
430: 저장부 440: 생성부
450: 표시부
50: 제1외부 안전장치

Claims (15)

  1.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제1경보발생정보를 생성하는 감지부;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1외부 안전장치로부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상기 안전장치와 상이한 제2 외부 안전장치, 서버 및 사용자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장치통신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경우 사운드를 발생하는 발음부;
    배터리 내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 공급상태 또는 상기 장치통신부의 통신상태를 체크하여 진단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진단부;
    상기 진단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발광제어부; 및
    상기 진단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음부를 제어하는 발음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일 측면에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홈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소화기 손잡이의 일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소화기에 장착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손잡이의 일 측면에 밀착된 상기 홈의 외측면 일부분이 탈착되는 경우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소화기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모듈을 기반으로 상기 안전장치가 상기 소화기로부터 이탈함을 감지하면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도록 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진동 감지 센서, 접촉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는 상기 소화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소화기의 식별정보, 상기 안전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안전장치의 사용시각, 상기 소화기의 사용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는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식별정보,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의 식별정보,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의 사용시각 및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의 사용시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소화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는 핀의 이탈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소화기의 사용을 감지하도록 하는, 안전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장치통신부가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광을 발광하며,
    상기 발음부는, 상기 장치통신부가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사운드를 발생하는, 안전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통신부는,
    상기 제1외부 안전장치 또는 제2외부 안전장치와 지그비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상기 제1경보발생정보 또는 상기 제2경보발생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통신부를 포함하는, 안전장치.
  11. 제 1 항의 안전장치가 장착된 소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70502A 2015-02-27 2015-05-20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22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306 WO2016137075A1 (ko) 2015-02-27 2015-09-30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8122 2015-02-27
KR1020150028122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711A KR20160105711A (ko) 2016-09-07
KR101722557B1 true KR101722557B1 (ko) 2017-04-04

Family

ID=5694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502A KR101722557B1 (ko) 2015-02-27 2015-05-20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004B1 (ko) * 2019-11-25 2021-10-07 씨앤에스 주식회사 안전 체험시 사용가능한 대피 경로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2295A (ja) * 2005-09-30 2007-04-19 Kddi Corp 緊急通報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消火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474B1 (ko) * 2010-11-03 2012-05-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101185405B1 (ko) * 2010-12-24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2295A (ja) * 2005-09-30 2007-04-19 Kddi Corp 緊急通報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消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711A (ko)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6807B2 (en) Systems and methods of beacon broadcast in response to sensor data
KR102377279B1 (ko) 냉각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06406B2 (en) Aler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9211764A1 (e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for safety event detection and visualization
US96931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KR20190042632A (ko) 관찰 기반 이벤트 추적
KR102572446B1 (ko)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장치 및 그 센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966030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battery protection
US11861996B2 (en) Asset tracking and protection
US9788150B2 (en) Method for managing disast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551543B2 (en) Safety monitoring system
AU2019213347B1 (en) Object monitoring system
EP3041274A1 (en) Wearable technolog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lerated enrollment of parallel wireless sensors into their own network
CN111357006A (zh) 一种疲劳提示方法和终端
KR102416213B1 (ko) 감전 방지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WO2019015555A1 (zh) 随身物品的防盗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20200009403A (ko) 소화기 위치 알림 시스템
KR101722557B1 (ko) 소화기에 장착되는 안전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JP6373680B2 (ja) 電子機器、セキュリティ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668733B1 (ko) 흡연 검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기록매체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86275A1 (en) Wearable device to indicate hazardous conditions and a method thereof
CN114283555A (zh) 消防应急精确疏散系统和方法
US11176799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