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985A -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985A
KR20220059985A KR1020200144188A KR20200144188A KR20220059985A KR 20220059985 A KR20220059985 A KR 20220059985A KR 1020200144188 A KR1020200144188 A KR 1020200144188A KR 20200144188 A KR20200144188 A KR 20200144188A KR 20220059985 A KR20220059985 A KR 20220059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oling water
recovery device
heat recovery
exhaus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9985A/ko
Priority to US17/372,111 priority patent/US11525381B2/en
Priority to DE102021118484.3A priority patent/DE102021118484A1/de
Priority to CN202110928048.9A priority patent/CN114439582A/zh
Publication of KR20220059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9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the surrounding tube being closed at one end, e.g. retur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2Arrangements for cooling other engine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0Starting aids for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9/02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 F02N19/04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by heating of fluids used in engines
    • F02N19/10Aiding engine start by thermal means, e.g. using lighted wicks by heating of fluids used in engines by heating of engine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28D21/0003Recuperative heat exchangers the heat being recuperated from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 F28D7/1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one within the other, e.g. concentrically consisting of two coaxial conduits or modules of two coaxia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02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4Plurality of outlet tubes, e.g. in parallel or with differen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6Plurality of inlet tubes, e.g. discharging into differ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4Concentric tubes or tubes being concentric to housing, e.g. telescopically assemb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6Outlet manifo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0/00Heat exchange conduits
    • F28F2210/08Assemblies of conduits having different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전방통공과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후방통공이 형성되며 열교환기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튜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튜브를 거쳐서 하우징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제 1 튜브와 제 2 튜브를 거쳐서 엔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Apparatus for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using a double tube}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배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전방통공과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후방통공이 형성되며 열교환기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튜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튜브를 거쳐서 하우징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제 1 튜브와 제 2 튜브를 거쳐서 엔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기열 회수장치는 자동차의 연비 개선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서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자동차의 엔진이 시동되면 엔진이 일정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높은 회전수(RPM) 상태를 유지하며 매연도 높은 상태를 유지하는 윔업(Warm up)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연비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엔진시동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열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엔진의 윔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작동을 수행하는 것이 배기열 회수장치의 원리이며, 이를 통하여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키고 매연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배기열회수기(10)의 구성도로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배기관(11)과, 배기관(11)을 통하여 유입된 배기가스의 열을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하우징(12)과, 열교환을 위하여 하우징(12) 내부로 냉각수를 투입시키는 입수튜브(13)와, 하우징(12) 내부에서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져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출수튜브(14)와, 배기관(11)을 통하여 하우징(1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하우징(12) 후단에 연결된 소음기(muffler)를 향하여 배출되는 통공(15)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배기열회수기(10)는 입수튜브(13) 및 출수튜브(14)가 자동차의 차체 형상이나 구조를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튜브의 형상 설계가 어려우며,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브라켓의 갯수도 증가되고, 조립공정시 작업 능률이 낮게 이루어진다.
또한, 배기열회수기(10) 자체를 설치할 경우 배기열회수기(10)와 주변 부품들과의 간극을 확보하기 위하여 차제의 강성 보강을 위한 부재들이 삭제되어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성능이 저하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튜브의 형상이 간단하고 차체에 설치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기열회수장치와 주변 부품들과 최소한의 간극만을 확보함으로써 차제의 강성 보강을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이 없는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은,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전방통공과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후방통공이 형성되며 열교환기가 내장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튜브와, 상기 제 1 튜브와 연결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튜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튜브를 거쳐서 하우징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제 1 튜브와 제 2 튜브를 거쳐서 엔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는, 배기열 회수장치의 냉각수 입출을 위한 튜브를 이중관 구조를 적용한 단순한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차체에 설치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기열회수장치와 주변 부품들과 최소한의 간극만을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제의 강성 보강을 위한 부품들의 설치에 제약 사항을 제거하고, 나아가, 차량의 NVH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현하게 되었다.
또한, 왁스공급부의 캡의 내부에 왁스를 이용하여 냉각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배기열 회수장치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가열된 냉각수가 외부로 모두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잔존 냉각수의 가열에 따른 이음(다른 종류의 소음)이 제거되며, 배기열 회수장치의 내구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수득하게 되었다.
도 1 은 종래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정면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저면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하우징의 저면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하우징의 상세도로서, 도 5a 는 하우징의 측면부분 사시도, 도 5b 는 제 1 튜브의 사시도, 도 5c 는 도 5b 의 B-B' 선 단면도, 도 5d 는 도 5a 의 A-A' 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1 튜브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 연결상태 사시도,
도 8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의 횡단면도로서, 도 8a 는 도 7 의 C-C' 선 횡단면도, 도 8b 는 도 7 의 D-D' 선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의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U자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엔진쿨링모듈측 연결커넥터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연결커넥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11 의 F-F' 선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정면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저면부분 사시도이다.
먼저,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는, 회수장치의 외관을 이루며 열교환기(150)가 내장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튜브(12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전방통공(111)이 형성되고, 타측에 열교환이 이루어진 배기가스를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후방통공(112)이 형성된다.
또한, 도 3 의 저면부분 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는, 상기 제 1 튜브(120)와 연결되는 제 2 튜브(130)를 포함하고, 제 2 튜브(130)에는 U 자형의 U 자관(131)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튜브(120)와 제 2 튜브(130)는 모두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중관 구조를 통하여 냉각수의 유입과 배출이 함께 이루어지는 튜브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는 제 2 튜브(130)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튜브(120)를 거쳐서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50)를 통과하여 다시 제 1 튜브(120)와 제 2 튜브(13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때, 하우징(110)의 전방통공(111)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이용하여 열교환기(150)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후방통공(112)을 통하여 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되어 배기열 회수장치(100)의 후단에 연결된 소음기(미도시)로 전달된다. 소음기로 전달된 배기가스는 소음이 저감되어자동차 외부로 방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하우징의 저면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하우징의 상세도로서, 도 5a 는 하우징의 측면부분 사시도, 도 5b 는 제 1 튜브의 사시도, 도 5c 는 도 5b 의 B-B' 선 단면도, 도 5d 는 도 5a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a 의 본 발명 배기열 회수장치의 상세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의 하우징(110)의 외측에 설치된 제 1 튜브(110)는 외측관(121)과, 외측관(121)의 내부에 설치된 내측관(122)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왁스공급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왁스공급부(140)는 제 2 튜브(130)에 연결된 U자관(131)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되는 왁스(wax)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0)의 외측에 취부된 브라켓(113)에 의하여 결합되며 왁스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면 일측은 개구된 컨테이너(142)와, 상기 컨테이너(142)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되 컨테이너(113)에 수용된 왁스가 공급되는 캡(141)와, 상기 컨테이너(142)의 타측에 설치되어 연동된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캡(141)과 컨테이너(142)에 수용된 왁스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14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캡(141)은 U 자관(131)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동을 위하여 하부공(141a)과 상부공(141b)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일측에 냉각수의 유동을 위한 입수구(114) 및 출수구(115)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도 5b 및 도 5c 를 참조하면, 제 1 튜브(120)의 외측관(121)의 내부로 내측관(122)이 설치되며, 외측관(121)의 바닥면에 냉각수의 유출구(123)와 유입구(12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24)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냉각수 출수구(115)와 연통되고, 상기 유출구(123)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냉각수 입수구(114)와 연통된다.
그리고, 내측관(122)의 내부 공간은 냉각수유입구(124)로 유입된 냉각수를 제 2 튜브(130)로 유동시키는 냉각수배출로(125)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관(121)과 내측관(122)의 사이의 공간은 제 2 튜브(130)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냉각수유출구(123)로 유동시키는 냉각수유입로(12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는, 도 5d 의 A-A' 선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튜브(130)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가 냉각수유입로(126)를 경유하여 냉각수 입수구(114)를 통하여 열교환기(150)로 유입되고, 전방통공(111)을 통하여 열교환기(150)로 유입된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하여 열교환기(150)에서 열교환이 발생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수 출수구(115)를 통하여 제 1 튜브(120)의 냉각수배출로(125)를 통하여 제 2 튜브(130)로 배출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1 튜브(120)의 단면사시도로서, 일측은 상기 외측관(121)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내측관(122)의 외주면에 부착된 지지편(127)에 의하여 외측관(121)의 내부공간에 내측관(122)이 공고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편(127)은 제 1 튜브(120)의 내부에 적절한 간극을 가지고 다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의 제 2 튜브(13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 연결상태 사시도, 도 8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의 횡단면도로서, 도 8a 는 도 7 의 C-C' 선 횡단면도, 도 8b 는 도 7 의 D-D' 선 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의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100)의 제 2 튜브(130)는 냉각수를 제 1 튜브(120)로 유입시키거나 또는 제 1 튜브(12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튜브(120)의 외측관(121)과 연통되는 외측관(132)와, 상기 제 1 튜브(120)의 내측관(122)과 연통되는 내측관(133)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튜브(120)의 외측관(121)의 직경과 제 2 튜브(130)의 외측관(133)의 직경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튜브(120)의 내측관(122)의 직경과 제 2 튜브(130)의 내측관(133)의 직경도 상호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튜브(130)의 일측으로 U자관(131)이 취부되며, U자관(131)은 일측관로(131a)와 타측관로(131b)가 상호 U 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된 관로이다.
이때, 도 8a 및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튜브(130)의 내측관(133)의 내부 공간은 제 1 튜브(120)의 내측관(122)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냉각수탱크로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로(135)가 형성되며, 제 2 튜브(130)의 외측관(132)과 내측관(133)의 사이의 공간은 냉각수탱크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제 1 튜브(120)로 유동시키는 냉각수유입로(13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U자관(131)의 일측관로(131a)는 제 2 튜브(130)의 U자관입구(137)에 연결되어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가 U자관(131)으로 유입되고, U자관(131)의 타측관로(131b)는 제 2 튜브(130)의 U자관출구(138)에 연결되어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가 U자관(131)으로부터 배출되어 제 1 튜브(120)의 냉각수유입로(126)로 유입된다.
이때, 제 2 튜브(130)의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를 U자관(131)으로 우회시키기 위하여, 도 8a, 도 8b 및 도 9 의 상세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튜브(130)의 U자관입구(137)가 위치된 부분의 후방으로 외측관(132)와 내측관(133) 사이의 냉각수유입로(136)을 차폐하는 배플플레이트(134)가 설치되고, 제 2 튜브(130)의 U자관출구(138)가 위치된 부분의 전방으로 외측관(132)와 내측관(133) 사이의 냉각수유입로(136)을 차폐하는 배플플레이트(134')가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가 U자관(131)으로 유입되면 U자관(131)의 타측관로(131b)상에 연결된 캡(141)에 수용된 왁스가 U자관(131)에서 유동되는 냉각수 온도에 의하여 팽창 또는 수축됨으로써 냉각수의 유입량이 조절된다.
즉, 도 10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U자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공급부(140)의 컨테이터(142)로부터 왁스가 캡(141)에 공급되는데, 상기 캡(141)의 하부공(141a)과 상부공(141b)이 U자관(131)의 타측관로(131b) 상에 연결되며, 이러한 캡(141)의 내부에 하부공(141a)과 상부공(141b)을 연결하는 채널(T)이 설치되고, 상기 채널(C)은 중심 부분에 코어(160)가 형성되고, 코어(160)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왁스공급부(140)의 컨테이너(142)의 왁스가 유입되어 수용된 왁스층(163)이 형성되고, 상기 왁스층(163)은 내주면이 막(162)으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왁스층(163)의 막(162)과 코어(160)와의 사이에 U자관(131)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유로(16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코어(160)는 열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강한 내열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162)은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캡(141) 내부에 형성된 채널(T)을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작동으로 인하여 제 2 튜브(130)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점차 상승되며, 이에 따라서,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T)의 냉각수유로(161)를 통과하는 냉각수의 온도에 의하여 왁스층(163)이 팽창되어 왁스층(163)의 폭이 제 1 폭길이(a)로 증가되고, 나아가, 냉각수의 온도가 더욱 상승되게 되면 (c)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왁스층(163)이 더욱 팽창되면서 그 폭이 제 2 폭길이(b)로 증가되어 냉각수유로(161)를 통한 냉각수의 유입이 거의 차단되며, 하우징(110)의 열교환기(150)에 의하여 가열된 냉각수가 모두 외부로 배출되어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잔존 냉각수의 가열에 따른 이음(다른 종류의 소음)이 제거되며, 배기열 회수장치의 내구성이 양호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엔진쿨링모듈측 연결커넥터의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연결커넥터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11 의 F-F' 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커넥터튜브(170)는 엔진을 냉각시키고 리턴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배출관로 및 엔진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 유입관로와 각각 연결되는 부재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배기열 회수장치의 제 2 튜브(130)와 연결되어 제 2 튜브(130)로 냉각수를 유입시키거나 제 2 튜브(130)로부터 냉각수를 배출받는 부재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튜브(170)는 일방이 평판(171a)으로 차폐된 외측튜브(171)와, 상기 외측튜브(17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에 개구(172a)를 형성한 내측튜브(172)와, 상기 외측튜브(171)와 연결되며 엔진을 냉각시키고 리턴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진입관(17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튜브(172)의 내부는 엔진의 냉각수 유입관로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로(174)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튜브(171)와 내측튜브(172)의 사이의 공간은 엔진의 냉각수 배출관로로부터 유입되어 진입관(173)의 진입로(176)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를 제 2 튜브(130)로 유동시키는 유입로(175)를 형성하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배기열 회수장치
110; 하우징
111; 전방통공
112; 후방통공
113; 브라켓
114; 입수구
115; 출수구
120; 제 1 튜브
121; 외측관
122; 내측관
123; 유출구
124; 유입구
125; 배출로
126; 유입로
127; 지지편
130; 제 2 튜브
131; U자관
131a; 일측관로
131b; 타측관로
132; 외측관
133; 내측관
134,134'; 베플플레이트
135; 배출로
136; 유입로
137; U자관입구
138; U자관출구
140; 왁스공급부
141; 커버
141a; 상부공
141b; 하부공
142; 컨테이너
143; 스프링
144; 밸브
150; 열교환기
160; 코어
161; 냉각수유로
162; 막
163; 왁스층
170; 커넥터 튜브
171; 외측튜브
171a; 평판
172; 내측튜브
172a; 개구
173; 진입관
174; 배출로
175; 유입로
176; 진입로
T: 채널

Claims (12)

  1. 배기열 회수장치에 있어서,
    배기가스를 유입하는 전방통공(111)과 유입된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후방통공(112)이 형성되며 열교환기(150)가 내장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1 튜브(120)와,
    상기 제 1 튜브(120)와 연결되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제 2 튜브(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튜브(130)를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가 제 1 튜브(120)를 거쳐서 하우징(110)의 열교환기(150)에 의하여 배기가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냉각수가 제 1 튜브(120)와 제 2 튜브(130)를 거쳐서 엔진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120)는,
    외측관(121)과, 외측관(121)의 내부에 설치된 내측관(122)으로 이루어지고,
    외측관(121)에 냉각수의 유출구(123)와 유입구(124)가 각각 형성되며,
    내측관(122)의 내부 공간은 유입구(124)로 유입된 냉각수를 제 2 튜브(130)로 유동시키는 냉각수배출로(125)를 형성하며,
    상기 외측관(121)과 내측관(122)의 사이의 공간은 제 2 튜브(130)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유출구(123)로 유동시키는 냉각수유입로(126)를 형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24)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냉각수출수구(115)와 연통되고, 상기 유출구(123)는 하우징(110)에 형성된 냉각수입수구(114)와 연통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튜브(120)는,
    외측관(1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내측관(122)을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외측관(121)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내측관(122)의 외주면에 부착된 지지편(127)을 가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130)는,
    상기 제 1 튜브(120)의 외측관(121)과 연통되는 외측관(132)와, 상기 제 1 튜브(120)의 내측관(122)과 연통되는 내측관(1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관(133)의 내부 공간은 제 1 튜브(120)의 내측관(122)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냉각수배출로(135)를 형성하며, 제 2 튜브(130)의 외측관(132)과 내측관(133)의 사이의 공간은 냉각수를 제 1 튜브(120)로 유동시키는 냉각수유입로(136)를 형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130)의 일측에 일측관로(131a)와 타측관로(131b)가 U 자형으로 일체로 연결된 U자관(131)이 설치되고,
    상기 일측관로(131a)는 제 2 튜브(130)의 U자관입구(137)에 연결되어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가 U자관(131)으로 유입되고,
    상기 타측관로(131b)는 제 2 튜브(130)의 U자관출구(138)에 연결되어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가 U자관(131)으로부터 배출되어 제 1 튜브(120)의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제 2 튜브(130)에 연결된 U자관(131)을 통하여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서 팽창 및 수축되는 왁스를 공급하는 왁스공급부(140)가 설치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공급부(140)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취부된 브라켓(113)에 의하여 결합되며 왁스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가지면 일측은 개구된 컨테이너(142)와, 상기 컨테이너(142)의 일측 개구를 밀폐하되 컨테이너(113)에 수용된 왁스가 공급되는 캡(141)와, 상기 컨테이너(142)의 타측에 설치되어 연동된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의하여 캡(141)과 컨테이너(142)에 수용된 왁스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144)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130)의 냉각수유입로(136)로 유입된 냉각수를 U자관(131)으로 우회시키기 위하여,
    제 2 튜브(130)의 U자관입구(137)가 위치된 부분의 후방으로 외측관(132)와 내측관(133) 사이의 냉각수유입로(136)을 차폐하는 배플플레이트(134)가 설치되고,
    제 2 튜브(130)의 U자관출구(138)가 위치된 부분의 전방으로 외측관(132)와 내측관(133) 사이의 냉각수유입로(136)을 차폐하는 배플플레이트(134')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캡(141)의 하부공(141a)과 상부공(141b)이 U자관(131)의 타측관로(131b) 상에 연결되어, 캡(141)의 내부에 하부공(141a)과 상부공(141b)을 연결하는 채널(T)이 설치되고,
    상기 채널(C)은 중심 부분에 코어(160)가 형성되고, 코어(160)와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왁스공급부(140)의 컨테이너(142)의 왁스가 유입되어 수용된 왁스층(163)이 형성되고, 상기 왁스층(163)은 내주면이 막(162)으로 차폐되어 있으며,
    상기 왁스층(163)의 막(162)과 코어(160)와의 사이에 U자관(131)으로 유입된 냉각수가 유동되는 냉각수유로(161)가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튜브(130)와 연결되어 제 2 튜브(130)로 냉각수를 유입시키거나 제 2 튜브(130)로부터 냉각수를 배출받는 커넥터튜브((170)가 설치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튜브(170)는,
    일방이 평판(171a)으로 차폐된 외측튜브(171)와, 상기 외측튜브(171)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방에 개구(172a)를 형성한 내측튜브(172)와, 상기 외측튜브(171)와 연결되며 엔진을 냉각시키고 리턴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진입관(173)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튜브(172)의 내부는 엔진의 냉각수 유입관로로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배출로(174)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튜브(171)와 내측튜브(172)의 사이의 공간은 엔진의 냉각수 배출관로로부터 유입되어 진입관(173)의 진입로(176)를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를 제 2 튜브(130)로 유동시키는 유입로(175)를 형성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열 회수장치.
KR1020200144188A 2020-11-02 2020-11-02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KR2022005998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88A KR20220059985A (ko) 2020-11-02 2020-11-02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US17/372,111 US11525381B2 (en) 2020-11-02 2021-07-09 Apparatus for recovering exhaust heat using a dual tube
DE102021118484.3A DE102021118484A1 (de) 2020-11-02 2021-07-16 Vorrichtung zur Rückgewinnung von Abwärme mittels eines Doppelrohres
CN202110928048.9A CN114439582A (zh) 2020-11-02 2021-08-12 利用双管回收排气热量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188A KR20220059985A (ko) 2020-11-02 2020-11-02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985A true KR20220059985A (ko) 2022-05-11

Family

ID=811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188A KR20220059985A (ko) 2020-11-02 2020-11-02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25381B2 (ko)
KR (1) KR20220059985A (ko)
CN (1) CN114439582A (ko)
DE (1) DE1020211184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78895B1 (en) * 2002-02-26 2009-04-15 Wärtsilä Finland Oy Heat exchanger arrangement and a method used in a heat exchanger
JP5904108B2 (ja) * 2011-12-19 2016-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排気熱交換装置
US10948108B2 (en) * 2017-05-02 2021-03-16 Unison Industries, Llc Turbine engine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25381B2 (en) 2022-12-13
US20220136426A1 (en) 2022-05-05
DE102021118484A1 (de) 2022-05-05
CN114439582A (zh)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7955B2 (en) Exhaust gas cooler with bypass tube an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CN105863896B (zh) 整体式egr冷却器
US10890356B2 (en) Heat exchange device and heat source machine
JP6635747B2 (ja) 統合egrクーラー
JP2009052495A (ja) Egrクーラバイパス切替システム
US20190101080A1 (en) Heat Recovery System
JPH1113551A (ja) Egrクーラ
KR102463475B1 (ko) 자가 복열식 버너
JPH0811523A (ja) 暖房用ボイラ
KR20220059985A (ko) 이중 튜브를 이용한 배기열 회수장치
CN210118192U (zh) 发动机冷却系统以及汽车
KR20020044142A (ko) 배기가스 재순환시스템
JP4363176B2 (ja) 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JPH11159329A (ja) 内燃機関の冷却装置
JP2008008568A (ja) 熱交換器
CN107448330B (zh) 用于机动车辆的内燃机的多功能模块
KR101734782B1 (ko) 통합 egr 쿨러
JP4842715B2 (ja) 水冷エンジン
ES2112719A1 (es) Intercambiador de calor, particularmente radiador de flujo transversal para maquinas motrices de combustion interna.
JP2000161130A (ja) モノブロックエンジンのヘッド過熱部冷却構造
JPS6012725Y2 (ja) 車両暖房装置の燃焼式ヒ−タ
LU101389B1 (en) Heat exchanger for a vehicle
JP6645479B2 (ja) エンジンの冷却システム
JP2008045444A (ja) Egrクーラ
JP2023019517A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