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9390A -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9390A
KR20220059390A KR1020210063705A KR20210063705A KR20220059390A KR 20220059390 A KR20220059390 A KR 20220059390A KR 1020210063705 A KR1020210063705 A KR 1020210063705A KR 20210063705 A KR20210063705 A KR 20210063705A KR 20220059390 A KR20220059390 A KR 20220059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horizontal support
sound
absorb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604B1 (ko
Inventor
신정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데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데코
Priority to KR1020210063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내진성, 내구성, 내충격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마감패널을 천장에 지지 및 설치하기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경량철골구조물 자체적으로 지진이나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이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내진성과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마감패널의 흡음구멍을 통해 마감패널과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켜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며, 흡음구멍을 통과한 소음이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재차 마감패널의 흡음구멍을 통과하여 실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Seismic reinforcement type ceiling fin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내진성, 내구성, 내충격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 및 일반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실내 천장에는 전기 배선이나 각종 배관 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려주고, 외관을 미려하게 시공하기 위하여 마감시공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실내 천장 마감시공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래브 저면부에 별도의 천장마감장치를 설치하고 천장마감장치에 마감패널을 설치하여 시공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감패널의 설치 및 시공구조는 최근까지 여러 방식의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천장마감장치는 천장에 설치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에 설치되는 사각형 캐리어바 및 상기 캐리어바에 설치되고 마감패널이 부착되는 T바 날개면에 얹어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리어바와 T바는 캐리어바의 하부에 지지훅을 형성하고 지지훅을 통해 T바에 직접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연결클립을 이용하여 캐리어바와 T바를 연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캐리어바와 T바의 결합구조는 상호간에 맞물려 강한 결합력을 갖는 구조가 아닌 단순히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매달려 있는 결합 구조이기 때문에 결합력이 매우 약하고 이로 인해 지진이나 기타 외부 충격이 가해질시 캐리어바와 T바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은 가장자리가 T바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T바의 상부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히 놓여져 있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외부 충격이 가해질 시 T바에서 곧바로 마감패널이 이탈되어 바닥으로 떨어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948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16119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957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감패널을 천장에 지지 및 설치하기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경량철골구조물에 지진이나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이를 감쇄시킬 수 있는 유동구조를 적용하여 내진성과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구멍을 통해 마감패널과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켜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며, 흡음구멍을 통과한 소음이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재차 마감패널의 흡음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행거에 지지되어 천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행거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수평지지바와; 상기 제1수평지지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평지지바에 결합되는 클립브라켓과;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하방으로 연장된 상기 클립브라켓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수평지지바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브라켓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수평지지바와; 상기 제2수평지지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수평지지바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파지클립부가 마련된 고정브라켓와; 상기 고정브라켓의 파지클립부에 파지 및 고정되는 마감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저면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단 측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제1체결걸이부와 제2체결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걸이부 및 제2체결걸이부 각각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수평지지바 내측을 향해 절곡되고 일정 길이 연장된 걸이편을 구비하며, 상기 걸이편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수평지지바에 대해 상기 고정브라켓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수평지지바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경사절개부가 형성되며, 일 측 걸이편의 경사절개부는 맞은편 걸이편의 경사절개부와 나란하고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립브라켓은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제1측면부 및 제2측면부를 각각 감싸도록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제1측판 및 제2측판과,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를 향하는 상기 제1측판 및 상기 제2측판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제1측면부 하단과 제2측면부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측판과 제2측판 각각의 단부에는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측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상부걸림훅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지지바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2수평지지바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패널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흡음부가 형성된 흡음판과, 상기 흡음판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면 측을 향해 연장된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음부는 상기 흡음판의 일부가 상기 흡음판의 후면 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제1엠보싱부와, 상기 제1엠보싱부의 중심 측 일부가 상기 제1엠보싱부의 돌출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제2엠보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엠보싱부의 제2바닥부는 상기 제2엠보싱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로 절개되어 분할된 복수의 분할편을 구비하고, 상기 분할편들 사이 사이에 흡음 절개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엠보싱부의 제1바닥부에는 상기 제1바닥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엠보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바닥흡음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엠보싱부의 제1측벽부에는 상기 제1측벽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1엠보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측벽흡음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엠보싱부의 제2측벽부에는 상기 제2측벽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2엠보싱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2측벽흡음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음판의 후면 측에 상기 흡음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흡음부와 엇갈리는 위치에 각각 흡음보조부가 형성된 흡음보조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마감패널을 천장에 지지 및 설치하기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경량철골구조물 자체적으로 지진이나 외력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이를 감쇄시킬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내진성과 내충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마감패널의 흡음구멍을 통해 마감패널과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 통과시켜 소음을 흡수 및 분산시키며, 흡음구멍을 통과한 소음이 천장면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재차 마감패널의 흡음구멍을 통과하여 실내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및 방지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을 제2수평지지바에 체결 및 결합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마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마감패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음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0은 마감패널의 흡음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흡음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2는 흡음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3는 흡음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14는 마감패널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행거(60)와, 제1수평지지바(50)와, 클립브라켓(40)과, 제2수평지지바(30)와, 고정브라켓(20)과, 마감패널(10)을 구비한다.
행거(60)는 천장 구조물(천장 슬래브 등)에 대해 제1수평지지바(50)를 지지하도록 상부가 천장 구조물에 결합되고, 하부는 제1수평지지바(50)에 결합된다. 행거(60)는 앵커(미도시)와, 앵커볼트(610), 거치부재(620)를 포함한다.
거치부재(620)는 앵커볼트(610)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지지대(621)와, 제1지지대(621)의 하단으로부터 제1지지대(6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수평지지바(5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받침대(622)와, 받침대(622)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제1수평지지바(50)의 상하 폭 보다 길게 연장된 제2지지대(623) 및 제1수평지지바(50) 상측의 제1지지대(621)와 제2지지대(623)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고정핀(624)을 포함한다.
제1수평지지바(50)는 복수의 행거(60)에 지지되어 천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행거(60)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수평지지바(50)는 행거(60)의 받침대(622)에 안착된 상태에서 행거(60)에 대해 제1수평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정핀(624)과 받침대(622)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수평지지바(50)는 고정핀(624)에 의해 행거(60)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수평지지바(50)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제1수평지지바(50)는 상면부(510)와, 상면부(510)의 폭 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측면부(520)와 제2측면부(530)를 구비하며, 제1측면부(520)와 제2측면부(530)의 하단에는 하부에 형성된 하부개구부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절곡된 제1절곡편과 제2절곡편이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제1수평지지바(50)는 행거(60)에 의해 제1수평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또는 유동하거나 상하로 이동 및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력을 상쇄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수평지지바(50)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클립브라켓(40)은 제1수평지지바(5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수평지지바(50)에 결합된다. 클립브라켓(40)은 연결편(410)과,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과, 제1지지편(440) 및 제2지지편(450)을 구비한다.
연결편(410)은 제1측판(420)과 제2측판(430)의 상단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면부(510)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은 제1수평지지바(50)의 폭 방향 양측에 대응되는 연결편(41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제1수평지지바(50)의 제1측면부(520) 및 제2측면부(530)를 각각 감싸도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은 제2수평지지바(30)를 제1수평지지바(50) 하부에 제1수평지지바(5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제1수평지지바(50)의 하방으로 더 돌출되게 연장된다.
제1지지편(440) 및 제2지지편(450)은 제1수평지지바(50)의 제1측면부(520)와 제2측면부(530)를 향하는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의 내주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제1수평지지바(50)의 제1측면부(520) 하단과 제2측면부(530) 하단을 각각 지지한다. 제1지지편(440) 및 제2지지편(450)에 의해 클립브라켓(40)은 제1수평지지바(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1측판(420)과 제2측판(430) 각각의 단부에는 제2수평지지바(30)의 상측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상부걸림훅(321, 331)에 걸려 제2수평지지바(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수평지지바(5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인입되는 걸림홈(425)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홈(425)은 제1측판(420)과 제2측판(430)에 걸리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2수평지지바(30)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수평지지바(5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제1측판(420)과 제2측판(430)의 하부는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부개구부를 통해 제2수평지지바(30)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클립브라켓(40)은 제1수평지지바(50)를 따라 왕복 이동 및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력을 상쇄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클립브라켓(40)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제2수평지지바(30)는 제2수평지지바(30)의 하방으로 연장된 클립브라켓(40) 하부에 결합되고, 제1수평지지바(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클립브라켓(40)에 대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수평지지바(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된 구조를 가진다.
제2수평지지바(30)는 제1측판(420) 및 제2측판(430)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저면부(310)와, 저면부(310)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제1수직부(320) 및 제2수직부(330)를 구비하며, 제1수직부(320)와 제2수직부(3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클립브라켓(40)의 걸림홈(425)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제2수평지지바(30)의 내측으로 절곡된 상부걸림훅(321, 331)이 각각 형성된다.
제2수평지지바(30)는 클립브라켓(40)의 하부가 내측으로 진입되어 클립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되며, 클립브라켓(40)을 기준으로 제2수평지지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또는 유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림홈(425)의 범위 내에서 상하로 이동 및 유동이 가능하여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력을 상쇄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수평지지바(30)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20)은 제2수평지지바(3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1수평지지바(50)에 결합되고, 하부에는 마감패널(10)을 파지하기 위한 복수의 파지클립부(220)가 마련된다.
고정브라켓(20)은 베이스(210)와, 파지클립부(220)와, 제1체결걸이부(230) 및 제2체결걸이부(240)를 구비한다.
베이스(210)는 제2수평지지바(30)의 저면 측에 밀착 배치되는 것으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수평지지바(3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다.
파지클립부(220)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일 측 마감패널(10)의 스커트부(150)와 타 측 마감패널(10)의 스커트부(150)를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여 마감패널(10)들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직교하는 네 방향에 배치 및 고정된 4개의 클립(221, 222, 223, 2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클립(221, 222, 223, 224)은 베이스(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 및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각 클립(221, 222, 223, 224)은 베이스(210)에 고정 결합된 밀착판(222)과, 마감패널(10)의 스커트부(150)를 양측에세 가압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밀착판(222)의 폭 방향 양측 단부로부터 서로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가압리브(223)를 구비한다. 각 클립(221, 222, 223, 224)은 가압리브(223)들 사이로 스커트부(150)를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도록 가압리브(223)의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는 제2수평지지바(3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베이스(210)의 가장자리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단 측에 걸리도록 체결된다.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는 고정브라켓(20)의 중심을 기준으로 고정브라켓(20)을 제2수평지지바(3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수평지지바(30)를 고정브라켓(2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끼워 고정브라켓(20) 내측에 진입시킬 수 있게 형성되며, 다시 고정브라켓(20)을 제2수평지지바(30)와 나란하도록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가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단에 걸려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제1체결걸이부(230) 및 제2체결걸이부(240) 각각은 제2수평지지바(30)의 상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연장편(231, 241)과, 연장편(231, 241)의 단부로부터 제2수평지지바(30) 내측을 향해 절곡되고 일정 길이 연장된 걸이편(232, 242)을 구비한다.
그리고, 걸이편(232, 242)의 일 측에는 제2수평지지바(30)에 대해 고정브라켓(20)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수평지지바(30)를 고정브라켓(20)의 내측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고정브라켓(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경사절개부(233, 243)가 형성된다.
제1체결걸이부(230)의 걸이편(232)에 형성된 경사절개부(233)는 맞은편 제2체결걸이부(240)의 걸이편(242)에 형성된 경사절개부(243)와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체결걸이부(230)의 경사절개부(233)와 제2체결걸이부(240)의 경사절개부(243) 사이는 적어도 제2수평지지바(30)의 좌우 폭과 대응하거나 더 큰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부걸림훅(321, 331) 측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걸이편(232, 242)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경사절개부(233, 243)를 통해 제2수평지지바(30)를 고정브라켓(20)의 내측으로 진입시킬 수 있는 공간 또한 확보할 수 있도록 베이스(210)의 가장자리 중 서로 엇갈린 대각방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라켓(20)을 제2수평지지바(30)에 체결하는 방식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 각각의 경사절개부(233, 243)가 제2수평지지바(30)와 나란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2수평지지바(30)가 경사절개부(233, 243)들 사이 즉, 고정브라켓(20)의 내측으로 진입시킨 뒤 걸이부가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부걸림훅(321, 331) 상부에 걸리도록 베이스(210)를 회전시키면 고정브라켓(20)을 제2수평지지바(30)에 체결 및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체결걸이부(230)와 제2체결걸이부(240) 각각의 걸이편(232, 242) 저면에는 베이스(210)를 향해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고정브라켓(20)을 제2수평지지바(30)에 체결 및 결합 완료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20)이 제2수평지지바(3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회전차단돌기(234, 244)가 더 구비된다. 회전차단돌기(234, 244)는 제2수평지지바(30)의 상부걸림훅(321, 331)에 간섭되면서 고정브라켓(20)이 회전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20)은 제2수평지지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또는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진동력을 상쇄 및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정브라켓(20)의 파손 및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브라켓(20)은 마감패널(10)을 파지하는 각각의 클립이 탄성을 가지므로 지진 등에 의해 진동이 발생할 시 마감패널(10)들이 유동 및 흔들릴 수 있게 함으로써 마감패널(10)의 손상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행거(60)에 제1수평지지바(5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수평지지바(50)에 클립브라켓(40)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클립브라켓(40)에 제2수평지지바(30)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수평지지바(30)에 고정브라켓(20)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브라켓(20)에 의해 마감패널(10)이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므로 내진성이 매우 향상되고, 이를 통해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가진다.
마감패널(10)은 고정브라켓(20)의 파지클립부(220)에 파지 및 고정되는 것으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흡음부(120)가 형성된 흡음판(110)과, 흡음판(110)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흡음판(110)과 교차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스커트부(150)를 구비한다.
흡음판(110)에 형성된 흡음부(120)는 제1엠보싱부(130)와 제2엠보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엠보싱부(130)는 실내 측을 향하는 흡음판(110)의 일 면으로부터 흡음판(110)의 일부가 천장 측을 향하는 흡음판(110)의 후방 측을 향해 소정 길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엠보싱부(130)는 흡음판(110)과 교차하거나 직교하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제1측벽부(131)와, 제1측벽부(131)의 단부에 흡음판(110)과 나란하도록 연장된 제1바닥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측벽부(131)는 흡음판(110)의 후방으로 연장될수록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원뿔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동일한 크기로 연장되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엠보싱부(140)는 제1엠보싱부(130)의 제1바닥부(135) 중심 측 일부가 제1엠보싱부(130)의 돌출 방향과 대응되는 흡음판(110)의 후방 측으로 소정 길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엠보싱부(140)는 제1바닥부(135)로부터 흡음판(110)의 후방 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제2측벽부(141)와, 제2측벽부(141)의 단부에 흡음판(110) 및 제1바닥부(135)와 나란하도록 연장되어 제2측벽부(141)의 단부 측을 폐쇄하는 제2바닥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측벽부(141)는 제1측벽부(131)와 같이 흡음판(110)의 후방 측으로 연장될수록 그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원뿔 구조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동일한 크기로 연장되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바닥부(145)는 제2엠보싱부(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복수의 절개라인을 따라 절개되어 분할된 복수의 분할편(146)을 구비하며, 분할편(146)들 사이 사이에는 흡음판(110)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개방된 흡음 절개슬릿(147)이 형성된다.
분할편(146)은 제2엠보싱부(140)의 중심을 향하는 첨단 측이 흡음판(110)의 후방 측을 향해 약간 휘어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할편(146)들 사이에 흡음 절개슬릿(147)을 형성한다. 흡음 절개슬릿(147)은 제2바닥부(145)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폭이 좁은 표창형이나 별형 구조를 가진다. 흡음 절개슬릿(147)은 분할편(146)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 분할편(146)은 4개로 구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3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10)의 제1엠보싱부(130) 및 제2엠보싱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마감패널(10)은 흡음판(110)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엠보싱부(140)의 제2바닥부(145)에만 흡음 절개슬릿(147)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같이 제1측벽부(131)와, 제1바닥부(135)와 제2측벽부(141)에 각각 소음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제1측벽부(131)에는 흡음판(110)의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측벽부(131)를 관통하며 제1측벽부(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측벽흡음구멍(13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측벽흡음구멍(132)은 제1측벽부(131)의 폭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1측벽부(1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바닥부(135)에는 흡음판(110)의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1바닥부(135)를 관통하며 제1바닥부(13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1바닥흡음구멍(136)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닥흡음구멍(136)은 제1바닥부(135)의 폭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1바닥부(135)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측벽부(141)에는 흡음판(110)의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측벽부(141)를 관통하며 제2측벽부(1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제2측벽흡음구멍(14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측벽흡음구멍(142)은 제2측벽부(141)의 폭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2측벽부(1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장공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측벽흡음구멍(132)과 제1바닥흡음구멍(136) 및 제2측벽흡음구멍(142)은 각각 흡음판(110)의 전방 측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판(110) 후방 측으로 전달하며, 소음이 제1측벽흡음구멍(132)과 제1바닥흡음구멍(136) 및 제2측벽흡음구멍(14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음파의 회절이 이루어지면서 소음을 여러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감패널(10)은 흡음판(110)의 후면 측에 흡음판(110)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흡음부(120)와 엇갈리는 위치에 각각 흡음보조부(170)가 형성된 흡음보조판(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흡음보조판(160)은 흡음판(11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사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음보조판(160)은 흡음판(110)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중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경량성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음보조판(160)은 스커트부(150)와 흡음판(110) 사이에 끼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흡음보조판(160)에는 복수의 흡음보조부(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음보조부(170)는 흡음판(110)의 흡읍부와 서로 엇갈리며, 주변의 흡음부(120)들과 동일한 이격 거리에 위치한다.
흡음보조부(170)는 흡음판(110)의 흡음부(120)와 같이 흡음판(110)을 향하는 흡음보조판(160)의 일 면으로부터 흡음보조판(160)의 일부가 천장 측을 향하는 흡음보조판(160)의 후방 측을 향해 소정 길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제3엠보싱부(180)와 제4엠보싱부(190)를 구비한다.
제3엠보싱부(180)는 제3측벽부(181)와 제3바닥부(185)로 구성되고, 제4엠보싱부(190)는 제4측벽부(191)와 제4바닥부(195)로 구성된다.
제3엠보싱부(180)와 제4엠보싱부(190)는 각각 흡음부(120)를 구성하는 제1엠보싱부(130)와 제2엠보싱부(140)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제3측벽부(181)와 제3바닥부(185) 그리고, 제4측벽부(191)와 제4바닥부(195)는 각각 제1측벽부(131)와 제1바닥부(135) 그리고, 제2측벽부(141)와 제2바닥부(145)와 동일한 구조를 적용하였다.
제3엠보싱부(180)와 제4엠보싱부(190)는 앞서 설명한 제1엠보싱부(130)와 제2엠보싱부(140)의 모든 실시 예와 동일한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세부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엠보싱부(130)와 제2엠보싱부(140)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스커트부(150)와 대응되는 흡음보조판(160)의 가장자리 측에는 흡음판(110)으로부터 흡음보조판(160)을 일정 거리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판(161)이 흡음보조판(16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있다.
이격판(161)은 흡음보조판(160)을 스커트부(150)와 흡음판(110) 사이로 진입 및 끼워 넣을 시, 그 외주면이 스커트부(150)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격판(161)의 외주면에는 얇은 고무 코팅층을 형성하여 스커트부(150)에 대해 미끌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흡음보조판(160)은 흡음판(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흡음판(110)의 흡음부(120)를 통과하는 소음을 흡음판(110)과 흡음보조판(160) 사이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서 일정 부분 소멸시키고, 나머지 소음은 흡음보조부(170)를 통해 천장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흡음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천장 측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소음은 흡음판(110) 측으로 통과하는 것을 억제 및 차단함으로써 매우 높은 흡음 효과 및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흡음패널 110 : 흡음판 120 : 흡음부
130 : 제1엠보싱부 131 : 제1측벽부 132 : 제1측벽흡음구멍
135 : 제1바닥부 136 : 제1바닥흡음구멍 140 : 제2엠보싱부
141 : 제2측벽부 142 : 제2측벽흡음구멍 145 : 제2바닥부
146 : 분할편 147 : 절개슬릿 150 : 스커트부
160 : 보조흡음판 170 : 보조흡음부 180 : 제3엠보싱부
190 : 제4엠보싱부 20 : 고정브라켓 210 : 베이스
220 : 파지클립부 221 : 클립 222 : 밀착판
230 : 제1체결걸이부 240 : 제2체결걸이부 30 : 제2수평지지바
320 : 제1수직부 330 : 제2수직부 40 : 클립브라켓
420 : 제1측판 430 : 제2측판 50 : 제1수평지지바
520 : 제1측면부 530 : 제2측면부 60 : 행거
610 : 앵커볼트 620 : 거치부재 621 : 제1지지대
623 : 제2지지대

Claims (1)

  1. 행거에 지지되는 제1수평지지바와, 상기 제1수평지지바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수평지지바를 구비하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저면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의 가장자리 일 측과 타 측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단 측에 걸리도록 체결되는 제1체결걸이부와 제2체결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체결걸이부 및 제2체결걸이부 각각은 상기 제2수평지지바의 상하 두께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수평지지바 내측을 향해 절곡되고 일정 길이 연장된 걸이편을 구비하며,
    상기 걸이편의 일 측에는 상기 제2수평지지바에 대해 상기 고정브라켓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수평지지바를 상기 고정브라켓의 내측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경사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20210063705A 2020-11-02 2021-05-17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241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05A KR102417604B1 (ko) 2020-11-02 2021-05-17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45A KR102284791B1 (ko) 2020-11-02 2020-11-02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KR1020210063705A KR102417604B1 (ko) 2020-11-02 2021-05-17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45A Division KR102284791B1 (ko) 2020-11-02 2020-11-02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390A true KR20220059390A (ko) 2022-05-10
KR102417604B1 KR102417604B1 (ko) 2022-07-06

Family

ID=77315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45A KR102284791B1 (ko) 2020-11-02 2020-11-02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KR1020210063705A KR102417604B1 (ko) 2020-11-02 2021-05-17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45A KR102284791B1 (ko) 2020-11-02 2020-11-02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4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01B1 (ko) * 2022-07-15 2023-03-30 (주)신바람 내진 천정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571B1 (ko) * 2022-01-19 2023-01-19 주식회사 태산 장식재패널 및 장식재패널 조립구조
KR102555760B1 (ko) * 2022-08-25 2023-07-14 제이엔티 주식회사 고성능 천장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404A (ja) * 2002-12-18 2004-07-1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吸音体
KR20090116262A (ko) * 2008-05-07 2009-11-11 신정강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판
KR100923310B1 (ko) * 2009-02-02 2009-11-12 최은철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20120095763A (ko) 2011-02-21 2012-08-29 손태창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1516119B1 (ko) 2014-04-04 2015-05-04 (주)무진기업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564199B1 (ko) * 2015-05-29 2015-10-28 김미성 천장재 이탈방지 마감몰딩
KR101569481B1 (ko) 2014-09-19 2015-11-27 (주)대한에스엔디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KR20190064115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조은데코 재활용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패널
KR102153885B1 (ko) * 2020-05-14 2020-09-10 제이앤티 주식회사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7404A (ja) * 2002-12-18 2004-07-15 Sasakura Engineering Co Ltd 吸音体
KR20090116262A (ko) * 2008-05-07 2009-11-11 신정강 건축물의 천장용 마감판
KR100923310B1 (ko) * 2009-02-02 2009-11-12 최은철 소음 간섭 유도형 방음판
KR20120095763A (ko) 2011-02-21 2012-08-29 손태창 천장틀의 설치구조
KR101516119B1 (ko) 2014-04-04 2015-05-04 (주)무진기업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101569481B1 (ko) 2014-09-19 2015-11-27 (주)대한에스엔디 천장 패널 고정 시스템
KR101564199B1 (ko) * 2015-05-29 2015-10-28 김미성 천장재 이탈방지 마감몰딩
KR20190064115A (ko) * 2017-11-30 2019-06-10 주식회사 조은데코 재활용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흡음패널
KR102153885B1 (ko) * 2020-05-14 2020-09-10 제이앤티 주식회사 경제성과 내진성을 향상시킨 천장 구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201B1 (ko) * 2022-07-15 2023-03-30 (주)신바람 내진 천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7604B1 (ko) 2022-07-06
KR102284791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CA2673245C (en) Acoustical mounting bracket for attaching ceiling suspension to floor joists
KR20190095738A (ko) 경량 천창틀용 연결클립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8549810B1 (en) Clip for use in drop ceiling systems
CA2429552C (en) Deck mounting bracket
KR101395981B1 (ko) 천장용 흡음패널
US11965332B2 (en) Ceiling panel
KR20200071904A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2616862B1 (ko) 천장마감패널용 고정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천장마감시스템
KR20190064814A (ko) 댐핑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51530A (ko) 벽천장용 흡음 마감재
CA3128566C (en) Ceiling panel
US20220136243A1 (en) Ceiling panel
KR102659326B1 (ko) 내진 및 내풍압용 금속 천장재 시스템
KR102284610B1 (ko)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KR102336056B1 (ko) 천장 마감바 체결용 고정구
JP4082921B2 (ja) 天井吊り木受構造
CA2552516C (en) Energy transmission control mount
KR20220083490A (ko) Ks규격 준수에 유리한 구조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JP2019131996A (ja) 壁面材の上端固定構造
JPH0673837A (ja) 天井パネルのずれ止め構造
JP2010133196A (ja) システム天井用クリップ及びシステム天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