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610B1 -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10B1
KR102284610B1 KR1020200173785A KR20200173785A KR102284610B1 KR 102284610 B1 KR102284610 B1 KR 102284610B1 KR 1020200173785 A KR1020200173785 A KR 1020200173785A KR 20200173785 A KR20200173785 A KR 20200173785A KR 102284610 B1 KR102284610 B1 KR 10228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eiling material
perforated
area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철
최성희
윤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픽스
Priority to KR1020200173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09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클립바들; 상기 클립바들 중 제1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2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1 천장재들; 및 상기 클립바들 중 상기 제2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3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2 천장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천장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Ceiling panel system for non-combustible sound-absorbing metal ceilings}
본 발명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KS 규격을 준수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포함하는 천장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장재는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물의 실내 또는 실외에 적용된다.
과거에는 석고보드가 주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아연도금강판이나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금속천장재가 널리 쓰이고 있다. 준불연 성능을 위해서는 아연도금강판이, 불연 성능을 위해서는 갈바륨이 적용될 수 있다. 갈바륨은 알루미늄 아연 합금도금강판으로서, 아연의 장점과 알루미늄의 장점을 이상적으로 결합시킨 고내식 합금용융도금강판이다.
흡음 성능이 요구되는 경우 타공홀이 배치될 수 있다. 수mm 크기의 작은 홀들을 천장재 전면에 촘촘히 배치함으로써 천장재가 실내의 잔향과 반사음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해 경량철골 자재들이 사용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클립바, 캐링, 마이너찬넬, 행거볼트 및 너트, 와이어 클립, 행거 핀, 클립바조인트, 마이너찬넬크립, 앙카, 판스프링 등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여러 장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들을 클립바에 단단히 결착시킴으로써 천장 마감 시공이 가능하다.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마감캡이 적용되기도 한다.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738564호(발명명칭: 금속 천장재 마감구)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금속 천장재들이 모이는 곳에서 금속 천장재 마감구가 그 위에 배치된 클립바로 삽입 고정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천장재들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천장재들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특히,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는 천장재들의 경우 가혹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더욱 견고한 설치가 요구되므로, 마감캡의 적용은 필수적이다.
천장재들의 견고한 설치를 위해 적용되는 것인만큼 마감캡과 체결나사의 안정적인 고정력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체결나사는 일정한 규격 이상의 제품으로 설치 관리될 필요가 있다. 체결나사의 길이와 몸통의 두께가 모두 고정력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적절한 길이를 갖고서 상부의 클립바까지 진입할 것이 요구되고, 적절한 두께를 갖고서 천장재들의 자중을 지지할 것이 요구된다. 특히 몸통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견고한 지지는 가능하지만, 설치 과정에서 천장재들의 정해진 배열 간격을 깨트릴 수 있는 바, 적정 두께의 체결나사가 요구된다.
다만 현장 작업자들에게 일정 규격의 체결나사만을 쓰도록 하는 것은 자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일이다. 작업간 공차가 존재하기도 한다. 어느 정도의 공차를 수용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는 천장재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천장재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 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클립바들; 상기 클립바들 중 제1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2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1 천장재들; 및 상기 클립바들 중 상기 제2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3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2 천장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이 배치된 타공 영역 및 상기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클립바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가 배치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타공 영역은 상기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 및 상기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서 상기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을 포함함-,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하며,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 및 상기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는 상기 천장재의 네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부는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각진 형상은 80~100도의 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을 상기 클립바에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캡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캡은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의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타공 영역은 상기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그루브 형상의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렌치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기술은 다양한 규격의 체결나사와 호환될 수 있고 작업간 공차를 수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천장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구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이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고정캡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의 제조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1)(이하, 간단히 '천장재 시스템'이라 함)은 천장재들(100A, 100B), 제1 방향(I)으로 연장하는 클립바들(10A, 10B), 제1 방향에 교차하는 제2 방향(II)으로 연장하는 캐링들(20), 제1 및 제2 방향에 교차하는 제3 방향(III)으로 연장하는 행거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마이너찬넬, 와이어 클립, 앙카 등의 경량철골 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천장재들(100A, 100B)은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일 수 있다. 천장재들은 흡음 성능을 가지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공홀들(PH)을 포함한다.
천장재들은 클립바들(10A, 10B)에 결착되어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한다. 후술하는 삽입부(122)를 통해 클립바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결착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클립바들(10A, 10B)만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공 면적에 따라 많은 수의 클립바들이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A의 클립바를 제1 클립바로, 도면부호 10B의 클립바를 제2 클립바로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립바 옆에 이들과 나란히 배열되는 클립바(미도시)를 제3 클립바로 참조할 수 있다.
제1 클립바(10A) 및 제2 클립바(10B)에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100A)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다. 이 천장재들을 제1 천장재로 참조한다. 제2 클립바(10B) 및 제3 클립바(미도시)에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100B)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다. 이 천장재들을 제2 천장재로 참조한다. 제3 클립바(미도시)와 제4 클립바(미도시)에도 클립바의 연장 방향(I)을 따라 일렬로 여러 개의 천장재들이 끼워져 결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면적에 대한 천장 마감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천장재와 제2 천장재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를 간단히 천장재(100)로 참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을 구성하는 천장재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100)(이하, 간단히 '천장재'라 함)는 타공 영역(110)과 연장 영역(120)을 포함한다. 타공 영역은 시공시 노출되는 부위로서, 천장재의 전체적인 면을 형성한다. 연장 영역은 시공시 노출되지 않는 부위로서, 천장재의 클립바로의 결착, 천장재 제조 과정에서 공정간 이송을 위한 파지 등을 위한 역할을 한다.
타공 영역(110)에는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PH)이 배치된다. 천장재의 배면이 도시되는 도 1에서는 부직포와 같은 흡음재가 배치됨에 따라 타공홀들이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을 뿐, 타공홀들은 천장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천장재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도시하나, 천장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외에 흡음을 위한 흡음재, 베이스 플레이트와 흡음재간 접착을 위한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천장재의 베이스가 되는 강판 및 위에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강판은 두께가 0.2 ~ 0.8 mm 일 수 있다. 타공홀은 직경(d1, 도 6)이 1.8 mm 일 수 있다. 타공홀간 간격(d2, 도 6)은 5 mm 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장 영역(120)은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어 클립바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122)가 배치된다. 연장 영역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절곡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에는 결합홈(CH)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은 결착시 클립바의 클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결합을 견고히 한다.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은 모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공 영역(110)은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112) 및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114)을 포함한다. 제2 타공 영역은 타공 영역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경사진 빗면에도 타공홀들이 형성됨을 주목한다. 이는 정해진 면적 내에서 타공홀 배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킨다. KS규격과 같은 산업규격에 따른 타공홀 배치 면적을 준수하기에 보다 효율적인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2 타공 영역에까지 타공홀을 배치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슬릿부와의 간섭 문제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소된다.
제1 타공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제2 타공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타공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타공 영역(114)은 천장재의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서 연장한다. 연장 영역(120)은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한다.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경사진 빗면이 45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135도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장재(100)는 코너에 마련되는 슬릿부(SL)를 포함한다. 슬릿부는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FH, 도 3)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천장재는 사각형상일 수 있으므로, 슬릿부도 각 코너마다 총 네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구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네 개의 천장재들(100A, 100A, 100B, 100B)이 모인 코너에 하나의 체결구(FH)가 형성된다.
하나의 슬릿(SL)은 체결구(FH)의 1/4에 해당하는 개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슬릿(SL)과 제2 천장재(100B)의 슬릿(SL), 및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슬릿(SL)과 제2 천장재(100B)의 슬릿(SL)이 모여 하나의 체결구(FH)를 형성한다.
체결구(FH)는 후술하는 체결부재(50)(일례로, 체결나사일 수 있다)의 진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체결구는 체결나사의 몸통(52)의 두께 이상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SL)는 타공 영역 및 연장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천장재에 대해서 제2 타공 영역(114) 및 연장 영역(12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타공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슬릿부는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릿부는 타공홀을 삭제하지 않는다.
KS규격에 따르면 타공홀은 전체 면적당 형성되어야 할 면적이 정해져 있으므로(현재 기준으로는 전체 면적의 20% 이상임), 슬릿부의 형성에 의해 타공홀이 삭제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정해진 KS규격에 따라 설계된 타공홀 면적을 보장하는 슬릿부의 마련을 가능하게 한다. KS규격이 변경되어 또는 다른 산업규격에 따라 전체 면적의 25% 이상을 요구하는 경우에도 슬릿부는 타공홀을 삭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SL)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재의 내측 방향(DI)으로 함몰된 구조를 갖는다. 각진 형상의 함몰부(AS)를 갖는다. 이로써 체결구의 네 모퉁이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나사의 몸통(52)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체결구가 형성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슬릿부는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가짐에 따라, 사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사각 기둥의 슬릿부가 하나의 체결구를 위한 1/4의 공간을 제공한다. 원기둥이 아님을 주목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의 함몰부(AS)의 각진 형상의 각도(α1)를 도시한다. 도 4b는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의 함몰부(AS)의 각진 형상의 각도(α2 및 α3)를 도시한다. α1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1, α2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2, 그리고 α3일 때 형성되는 체결구가 FH3로 각각 도시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FH1, FH2 또는 FH3)는 다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릿부의 함몰부의 각진 형상의 각도는 80도~10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90도일 수 있다. 8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2로, 10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3로, 그리고 90도인 실시예가 도면에서 α1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릿부는 천장재의 설계된 타공홀의 면적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는 KS규격에 따라 설계된 타공홀의 면적을 보장한다. 또한, 제2 타공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타공 영역의 일부를 절곡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제2 타공 영역들이 만나는 에지부(ED, 도 3)가 보다 손쉽고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천장재의 지지 구조를 확보할 수 있도록 체결나사의 몸통(52) 두께를 최적의 크기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80도 미만인 경우에는 타공홀들 중 일부를 삭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100도 초과인 경우에는 절곡과정에서 에지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180도에 가까워질수록 체결구가 체결나사의 몸통에 가까운 크기로 수렴함으로써 설계상 또는 작업간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수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공홀 설계와 간섭하지 않고, 공차를 반영한 적정 두께의 체결나사를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의 체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이 고정캡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들에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통해 고정캡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캡(40)은 네 개의 천장재들(100A, 100A, 100B, 100B)이 모인 코너에서 체결부재(50)를 통해 천장재들에 밀착되어 이들을 상부 클립바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체결부재(50)는 피스못과 같은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체결나사로 참조할 수 있다. 체결나사(50)는 머리(51)와 몸통(52)을 가질 수 있다.
고정캡을 관통한 체결부재(50)는 체결구(FH)를 통하여 상부에 클립바로 진입하며, 체결부재가 클립바로 삽입 고정됨으로써 천장재들의 안정적인 고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캡(40)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절곡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어 체결력을 높인다. 또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천장재들 사이 공간에서 회전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나사를 조이는 작업의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캡의 절곡부가 작용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은 상술한 제2 타공 영역(114)에 의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된다. 즉,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과 제2 천장재(100B)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 그리고,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과 제2 천장재(100B)의 이웃하는 두 개의 제2 타공 영역들이 고정캡의 절곡부와 상호작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재의 제2 타공 영역은 트렌치부(G)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확대도를 도시하기 위해, 각 천장재에서 이웃하는 제2 타공 영역들에 각각 마련되는 트렌치부(G)들만이 도시되나, 각 천장재는 총 8개의 트렌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렌치부(G)는 그루브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타공 영역의 경사진 빗면으로부터 하부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트렌치부는 상술한 연장 영역의 결합홈(CH)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과 트렌치부는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마련되는 요철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프레스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부는 소정의 경사를 갖고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에지부와 거울대칭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술한 고정캡의 절곡부가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더욱 밀착되는 것을 가이드한다. 즉, 트렌치부는 절곡부와 대체로 일치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절곡부가 트렌치부로 바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트렌치부들은 네 개의 천장재들이 모인 코너에서 고정캡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의 트렌치부들에 의해 고정캡의 안착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의 좌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와 제2 천장재(100B)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의 우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상측에 도시된 제1 천장재(100A)들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 상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도면상 하측에 도시된 제2 천장재(100B)들의 트렌치부들이 도면상 고정캡 하측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렌치부들은 제2 타공 영역들의 역할을 보다 상승시킨다. 고정캡의 절곡부가 작용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이 제2 타공 영역에 의해 형성되되, 트렌치부는 절곡부가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체결력을 높이고, 또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회전에 대한 걸림턱 역할을 함으로써 나사를 조이는 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의 제조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재 제조 과정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단계(S110), 타공홀들을 형성하는 단계(S120), 재단하는 단계(S130), 슬릿부 형성 부위를 삭제하는 단계(S140) 및 벤딩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단계(S110)에서 베이스 플레이트는 강판 및 그 위에 형성된 도금층, 코팅층 또는 도장층을 포함한다. 도금층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과 인산아연의 혼합층일 수 있다. 도장층은 폴리에스터 수지일 수 있다. 코팅층은 세라믹 코팅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120)에서 타공홀들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대해 정해진 타공 면적을 만족하는 소정의 타공홀의 직경 및 타공홀들간 간격을 갖고서 지그지그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은 상술한 타공 영역이 된다. 그리고, 타공 영역의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제1 타공 영역과 제2 타공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타공 영역과 제2 타공 영역 모두에 타공홀들이 형성됨을 주목한다.
이어서, 단계(S130)에서는 상기 단계들(S110, S120)을 통해 제조된 타공 플레이트를 요구되는 천장재의 크기에 맞게 재단한다.
상술한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 외의 부분을 잘라내는 과정에 해당한다.
계속하여, 단계(S140)에서는 상기 단계(S130)에서 재딘된 타공 플레이트에 대해 슬릿부 형성 부위를 삭제한다.
단계(S140)에서 제2 타공 영역과 연장 영역의 일부가 삭제된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부는 제2 타공 영역 및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슬릿부 형성 부위는 슬릿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갖도록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단계(S150)에서는 상기 단계들(S110 내지 S140)을 마친 타공 플레이트를 정해진 형상을 갖도록 벤딩한다.
여기서, 제2 타공 영역이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고서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을 갖도록 가공된다. 또한 연장 영역이 제2 타공 영역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가공된다. 전자의 각도와 후자의 각도의 대체로 일치할 수 있다.
단계(S150)를 통해 연장 영역이 천장재의 전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가공되며, 이에 클립바로의 삽입 고정을 위한 삽입부가 마련되게 된다.
또한 단계(S150)에서는 연장 영역에 대해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이 더욱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홈과 트렌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 공정이 가능한 결합홈과 트렌치부를 같은 단계(S150)에서 수행함으로써 제조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10A, 10B : 클립바
20 : 캐링
30 : 행거
40 : 고정캡
42 : 절곡부
50 : 체결부재
51, 52 : 체결부재의 머리, 몸통
100, 100A, 100B :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110 : 타공 영역
112 : 제1 타공 영역
114 : 제2 타공 영역
120 : 연장 영역
122 : 삽입부
CH : 결합옴
SL : 슬릿부
PH : 타공홀
FH, FH1, FH2, FH3 : 체결구
ED : 에지부
AS : 각진 형상의 함몰부
G : 트렌치부

Claims (7)

  1.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클립바들;
    상기 클립바들 중 제1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2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1 천장재들; 및
    상기 클립바들 중 상기 제2 클립바 및 이에 인접하는 제3 클립바에 결합되는 2 이상의 제2 천장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인접하는 천장재들과 모여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기 위한 슬릿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흡음을 위한 복수의 타공홀들이 배치된 타공 영역 및 상기 타공 영역으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클립바로의 결합을 위한 삽입부가 배치된 연장 영역을 포함하고-상기 타공 영역은 상기 천장재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타공 영역 및 상기 전면으로부터 둔각인 제1 각도를 갖고서 상기 천장재의 경사진 빗면들을 형성하는 제2 타공 영역을 포함함-,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제2 타공 영역으로부터 둔각인 제2 각도를 갖고서 연장하며,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 및 상기 연장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 각각은,
    이웃하는 두 개의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이 만나는 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릿부는 상기 에지부쪽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체결구는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의 몸통 두께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제2 타공 영역에 배치된 타공홀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천장재의 네 모서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슬릿부는 내측으로 각진 형상의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각진 형상은 80~100도의 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에 밀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을 상기 클립바에 고정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캡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캡은 상기 제1 및 제2 천장재들의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천장재들 사이 공간으로 밀착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공 영역은 상기 절곡부의 안착을 가이드하는 그루브 형상의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렌치부는 이웃하는 상기 제2 타공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부와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KR1020200173785A 2020-12-11 2020-12-11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KR10228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85A KR102284610B1 (ko) 2020-12-11 2020-12-11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785A KR102284610B1 (ko) 2020-12-11 2020-12-11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610B1 true KR102284610B1 (ko) 2021-08-02

Family

ID=7731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785A KR102284610B1 (ko) 2020-12-11 2020-12-11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6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801B1 (ko) * 2012-06-11 2013-02-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마감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1153A (ko) *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거광유브이씨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20160071671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KR20190093989A (ko) * 2018-02-02 2019-08-12 성기인 흡음기능을 개선한 흡음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1153A (ko) * 2012-05-23 2013-12-03 주식회사 거광유브이씨 천정재 고정 시스템
KR101234801B1 (ko) * 2012-06-11 2013-02-20 주식회사 조은이노텍 마감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1671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조은데코 마감패널 고정구
KR20190093989A (ko) * 2018-02-02 2019-08-12 성기인 흡음기능을 개선한 흡음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512A (en) Structural member for wall assembly
KR102417604B1 (ko) 내진보강형 천장마감시스템의 고정브라켓
KR20200049806A (ko) 표준 체결구를 수용하는 탄성 벽판 설치 채널
KR102284610B1 (ko)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를 위한 천장재 시스템
KR20220083490A (ko) Ks규격 준수에 유리한 구조의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KR102612417B1 (ko) 제조비용 절감형 불연 흡음 금속 천장재 제조 방법
JP7209271B2 (ja) 天井パネル
JPH086892Y2 (ja) 鉄骨梁への耐火被覆材取付構造
KR20210136300A (ko) 시공이 간편한 건축 내,외장용 마감 패널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JPH08232386A (ja) 天井制振構造
JP2603046Y2 (ja) 係止具のネジ止め構造
JP7182169B2 (ja) 天井パネル
CA1231218A (en) Wall panel attachment hook
JPS5911521Y2 (ja) 建築板材止め金具
JPS6136691Y2 (ko)
JP7236710B2 (ja) 天井パネル
JP2580333B2 (ja) 間仕切壁を形成する工法
EP1132539A1 (en) A set of ceiling panels and a method of installing said set of ceiling panels
JPS628261Y2 (ko)
JPH0135842Y2 (ko)
JPH0453383Y2 (ko)
JPH0612111Y2 (ja) 内装材の仕上げ構造
JPH049374Y2 (ko)
JPH01102163A (ja) パネル取付構造
JPH04493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