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8750A -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8750A
KR20220058750A KR1020200143198A KR20200143198A KR20220058750A KR 20220058750 A KR20220058750 A KR 20220058750A KR 1020200143198 A KR1020200143198 A KR 1020200143198A KR 20200143198 A KR20200143198 A KR 20200143198A KR 20220058750 A KR20220058750 A KR 20220058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section
radar
optical sensor
buried
warn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409B1 (ko
Inventor
박성렬
류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비
Priority to KR102020014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0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8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21S9/035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the solar unit being integrated within the support for the lighting unit, e.g. within or on a p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고 작동하되, 교차로의 각각의 진입로로부터 진입하는 물체를 검지할 수 있도록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여, 주간에는 레이더, 야간에는 광센서를 통해 주, 야간 구분없이 이동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을 신속 정확하게 검지하여 교차로로 진입하는 물체들에게 LED램프를 통해 인지시켜 주의 및 경고를 주도록 함으로 각종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스마트폰을 통해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점들을 손쉽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Buried intersection warning system and intersection collision prevention control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지주의 설치가 어려운 도심지, 주택가 골목길, 이면도로, 주차장, 단지 내 도로 등의 교차로의 각 진입로로 이동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를 검지하고,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물체(차량운전자, 보행자, 자전거운전자 등)에게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하여 주의 및 경고를 주어 사전에 충돌과 같은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다.
통상적으로 교차로의 경우 각 방향으로 신호등을 설치하여 신호등의 신호에 따라 차량들이 통행하는 방식들이 많이 적용되고 있고, 차량의 진입여부를 신호등에서 제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교통이 많지 않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교통량이 많지 않은 곳은 신호등을 점멸 상태로 유지하여 운전자의 주의에 의하여 각 도로에서 교차로에 진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거나, 도로 반사경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나, 운전자의 시야각도와 맞지 않고 시인성이 부족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끌지 못하는 실정임에 따라, 크고 작은 사고들이 빈벌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번호 10-1201879호(특) 야간에 교차로 내의 어느 하나의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교차로에 설치된 발광체에 설치된 차량검지센서가 인식한 후 검지신호를 발광체의 제어부에 전달하고, 발광체 제어부에서는 상기 검지신호에 의하여 전원이나 태양전원에 의해 발광체에 설치된 엘이디램프를 점멸함으로써 다른 방향 진입로에 위치한 차량들에게 미리 차량진입을 알려주게 되며, 주간에는 진입도로에 설치된 차량검지센서가 진입하는 차량을 미리 인식한 후 검지신호를 교차로에 설치된 발광체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발광체 제어부에서는 상기 검지신호를 수신하여 전원이나 태양전원에 의해 발광체에 설치된 엘이디램프를 점멸함으로써 다른 방향 진입로에 위치한 차량들에게 미리 차량진입을 알려주되, 상기 발광체 내부의 엘이디램프는 도로의 형태 및 교통류의 상충 형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향의 엘이디램프들이 동시에 점멸하며, 상과 발광체는 원통형상으로서, 발광체 내부에는 교차로 진입로와 대응되게 전후좌우에 엘이디램프 고정판이 각각 설치되어, 다수개의 엘이디램프가 상기 엘이디램프 고정판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엘이디램프 사이에는 한 개 이상의 차량검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차량검지센서는 광센서로 구비하되, 상기 광센서는 보호케이스에 내장된 채 도로면에 매립된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을 검지하고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이 이러한 차량의 진입상태를 인지하도록 엘이디램프를 이용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한편, 차량을 검지함에 있어서 차량검지센서를 이용하지만, 상기 차량검지센서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검지하는 것으로, 차량의 불빛이 검지되지 않을 경우 엘이디램프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야간에만 사용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간에 사용이 불가하여 주간에 교차로에서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똑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교차로의 중앙에 매립 설치하여 각각의 진입로에서 진입하는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의 이동을 각각 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신이 진입하는 진입로가 아닌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의 진입상태를 LED램프를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되어,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과와 같은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각의 진입로를 통해 진입하는 물체 또는 빛을 감지하되, 주간에는 물체감지를 위해 레이더를 구성하고, 야간에는 빛을 감지하기 위해 광센서를 구성하여, 주간, 야간에 전혀 관계 없어 신속 정확하게 물체 또는 빛을 각각 감지할 수 있어 정확성을 도모와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검지수신기(35)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매립되되, 상부에 구획공간(32a)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공간(32a)의 외측이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와 이격되되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되 상기 레이더(31)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면 그 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수신기(35)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검지수신기(35)가 신호를 수신하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와,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39)를 포함하는 작동모듈(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 매립 설치되되, 상부에 구획되며 외측에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구획공간(32a)가 형성되는 케이스(32)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의 검지신호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 및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39)가 순차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성되는 작동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이더(31)는, 물체의 크기 및 속도를 검지하고, 상기 컨트롤러(39)는 상기 레이더(31)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 상기 LED램프(37)를 제어하고, 주간에는 레이더(31)를 제어하고 야간에는 광센서(33)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LED램프(37)는,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지 않을 경우 황색,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으로 점멸되고, 상기 물체 또는 빛이 최초 검지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와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멸속도 빨라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39)에는 스마트폰(40)과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36)이 구성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36)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레이더(31) 및 광센서(33)의 작동상태, 축전지(13)의 충전잔량, LED램프(37)의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APP(41)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을 보면, 교차로의 일측에 지주(10)를 설치하고,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작동모듈(30)을 매립 설치하며 상기 지주(10)의 축전지(13)와 작동모듈(30)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교차로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는 검지단계(S200); 상기 검지단계(S100)에서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배치된 LED램프(37)가 작동할 수 있도록 그 신호를 컨트롤러(39)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S300); 상기 전송받은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39)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LED램프(37)가 점멸되도록 발광하는 램프발광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단계(S100)에서 상기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가 동일선상으로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작동모듈(30)의 내부에 레이더(31)와 광센서(33)을 구성하여 교차로의 중앙부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와 동일선상의 수평이 아니거나 경사를 이루는 위치일 경우,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작동모듈(30)의 내부에 구성하지 않고, 상기 작동모듈(30)과 이격되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상호 이격되게 각각 설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지단계(S200)에서, 주간일 경우 레이더(31)가 근접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야간일 경우 광센서(33)가 발광되는 빛을 검지하며, 상기 레이더(31)는 물체를 검지할 시 물체의 크기와 속도를 각각 검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는,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등이 점멸되고, 상기 레이더(31)가 물체를 최초 검지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측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LED램프(37)의 점멸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 후, 스마트폰(40)의 APP(41)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의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하는 확인 및 제어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에 의하면,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주간에는 레이더, 야간에는 광센서를 통해 주, 야간 구분없이 이동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을 신속 정확하게 검지하여 교차로로 진입하는 물체들에게 LED램프를 통해 인지시켜 주의 및 경고를 주도록 함으로 각종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레이더 및 광센서가 분리형태로 지주의 컨트롤러와 송, 수신이 가능토록 하여 교차로의 지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모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모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이 교차로에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체적으로 공간이 협소하여 지주의 설치가 어려운 도심지, 주택가 골목길, 이면도로, 주차장, 단지 내 도로 등의 교차로의 각 진입로로 이동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를 검지하고,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물체(차량운전자, 보행자, 자전거운전자 등)에게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하여 주의 및 경고를 주어 사전에 충돌과 같은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물체는 차량을 일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3, 4,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검지수신기(35)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매립되되, 상부에 구획공간(32a)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공간(32a)의 외측이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와 이격되되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되 상기 레이더(31)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면 그 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수신기(35)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검지수신기(35)가 신호를 수신하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와,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되, 주간에는 레이더(31)를 제어하고, 야간에는 광센서(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39);를 포함하는 작동모듈(3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2,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로써,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 매립 설치되되, 상부에 구획되며 외측에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구획공간(32a)가 형성되는 케이스(32)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의 검지신호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 및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되, 주간에는 레이더(31)를 제어하고, 야간에는 광센서(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39)가 순차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성되는 작동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의 일측 임의의 위치에 상기 지주(10)를 구성하고,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케이스(32)를 매립하고, 차량이 진입하는 방향으로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케이스(32)와 이격되도록 설치하여 작동모듈(30)을 구성시켜, 하나의 작동모듈(3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를 동일하게 구성하고, 교차로의 중앙에서 각각의 진입로측 방향으로 각각의 작동모듈(30)을 설치하여 다수의 작동모듈이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도 4의 작동모듈(30)은 레이더(31)와 광센서(33)가 케이스(32)와 이격되게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수신기(35)가 구성되고, 도 5의 작동모듈(30)은 레이더(31)와 광센서(33)가 케이스(32)에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수신기(35)가 구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의 레이더(31) 및 광센서(33)를 구비하고 교차로의 중앙부에 매립되는 케이스(32)를 포함하여 구성된 하나의 작동모듈(30)과, 교차로의 진입로에 레이더(31), 광센서(33), 각각의 레이더(31) 및 광센서(33) 및 LED램프(37)를 포함하는 각각의 작동모듈(30)을 구성하여, 교차로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매립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이 다른 방향의 차량진입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자칫 발생할 수 있는 교통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2가지 방식 중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듈(30)이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주(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에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모듈(11)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주(10)의 상부에서 상, 하 높이 조절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고정된 형태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지주(10)는 평면상 둥근형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축전지(13)는 상기 지주(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수신기(35)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그 용량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축전지(13)의 개수 또한 사용에 따라서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수신기(35) 및 LED램프(37)는 필요에 따라서 교차로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특성 상 상시전력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작동모듈(30)은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2), 레이더(31), 광센서(33), 수신기(35) 및 LED램프(37), 컨트롤러(39)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2)는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교차로의 중앙에 매립되되 상부에 구획되는 구획공간(32a)이 형성되며, 상기 구획공간(32a)의 외측이 교차로의 진입로측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이더(31)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3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하는 물체(차량, 자전거, 보행자 등)를 검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효율적인 검지를 위하여 주간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이더(31)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의 크기 및 속도를 검지하고, 상기 컨트롤러(39)는 상기 레이더(31)가 검지된 신호를 수신기(35)측으로 수신하게 되면 상기 LED램프(37)를 제어하게 된다.
즉, 레이더(31)는 이동하는 모든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 등)들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수신기(35) 측으로 보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레이더(31)의 구성은 주간에 대체적으로 빛을 감지하지 않기 때문에 주간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들로부터 안전성을 더욱 높이게 된다.
상기 광센서(33)는 상기 레이더(31)와 동일한 위치에 구성되거나, 상호 이격되게 구성되어 빛을 검지하는 구성으로써, 야간이 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레이더(31)가 주간에 작동하여 사용되고, 광센서(33)가 야간에 작동하여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제어는 컨트롤러(39)에 의해 작동되며, 주, 야간에 독립적으로 각각 제어될 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주야간에 상관없이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수신기(35)를 케이스(32)의 구획공간(32a)에 설치하는 목적으로는 교차로가 대체적으로 수평인 상태인 교차로가 존재하고 수평이 아닌 상태의 교차로가 존재하기 마련인데, 수평이 아닌 교차로가 존재할 경우, 상기 케이스(32)에 레이더(31)와 광센서(33)가 일체로 구성되면,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고 다른 방향에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이 촉박함과 아울러, 자칫 접촉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는 끝부분에 보다 빨리 교차로로 진입하는 물체(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등을 인지하도 다른 방향의 교차로에 진입하는 차량운전자에게 경고 및 주위신호를 신속하게 줄 수 있도록 하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하고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가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는 교차로의 진입로의 경사진 끝부분의 임의의 위치에 케이스(3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각각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 수신기(35)를 구성하여,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면 그 검지신호를 수신기로 전송하여 수신기(35)가 그 신호를 최종적으로 컨트롤러(39)로 전송하게 되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신기(35)는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의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써, 각각의 레이더(31) 및 광센서(33)와 대응되게 구성할 수가 있고, 하나의 수신기(35)를 구성하여 통합적으로 수신할 수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교차로의 진입로 각각에 설치된 레이더(31)와 광센서(33)의 신호를 각각 수신 받을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램프(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2)의 구획공간(32a)에 구성되되 상기 수신기(35)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의 검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지 않을 경우 황색으로 지속적인 발광하고,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으로 점멸되게 구성되어,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들에게 혼동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이더(31)가 물체를 검지할 경우 적색으로 점멸하되, 상기 물체가 최초 검지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와 거기가 가까워질수록 점멸속도 빨라지도록 구성되어,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운전자가 다른 방향에서 교차로로 진입하는 물체가 매우 근접해지고 있다고 인지시킴으로 더욱 안전운전을 유도할 수가 있다.
상기 컨트롤러(39)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2)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수신기(35) 및 LED램프(37)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각 제어하되, 주간에는 레이더(31)를 제어하고, 야간에는 광센서(33)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제어를 위한 제어회로(38)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회로(38)는 PCB모듈로써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컨트롤러(39)는 축전지(13)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각각 구성들을 제어하도록 함과 아울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로부터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검지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39)의 제어회로(38)에 의해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기준으로 하여 LED램프(37)가 점멸되도록 작동시키게 되고, 진입하는 차량 운전자는 경고 및 주위신호를 신속하게 식별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9)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40)과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36)이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폰(40)과 실시간 통신을 통해, 레이더(31), 광센서(33)의 작동상태, 축전지(20)의 충전잔량, LED램프(37)의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39)에 구성된 무선통신모듈(36)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레이더(31) 및 광센서(33)의 작동상태, 축전지(13)의 충전잔량, LED램프(37)의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APP(41)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이 더 포함될 수가 있다.
상기 스마트폰(40)의 APP(41)을 통해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작동유무에 따라서 유지보수 등에 편리한 측면을 제공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관리하는 업체 또는 경찰관이 사용하는 스마트폰(40)과 연동시킬 경우,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의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가 있어 발생하는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가 있고, 도시하진 않았지만, 지주(10)의 일측에 별도의 카메라를 구성하여서 교차로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를 가질 수가 있고, 추후 교통사고 발생 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함 등 편리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방지방법을 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단계(S100), 검지단계(S200), 신호전송단계(S300), 램프발광단계(S400) 및 확인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단계(S100)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로의 일측에 지주(10)를 설치하고,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작동모듈(30)을 매립 설치하며 상기 작동모듈(3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설치단계(S100)는, 작동모듈(30)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가 동일선상으로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작동모듈(30)의 내부에 레이더(31)와 광센서(33)을 구성하여 교차로의 중앙부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와 동일선상의 수평이 아니거나 경사를 이루는 위치일 경우,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작동모듈(30)의 내부에 구성하지 않고, 상기 작동모듈(30)과 이격되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상호 이격되게 각각 설치한다.
상기 검지단계(S200)는 교차로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는 단계로써, 주간일 경우 레이더(31)가 근접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야간일 경우 광센서(33)가 발광되는 빛을 검지하며, 상기 레이더(31)는 물체를 검지할 시 물체의 크기와 속도를 각각 검지하게 된다.
상기 신호전송단계(S300)는,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배치된 LED램프(37)가 작동할 수 있도록 그 신호를 컨트롤러(39)로 전송한다.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는, 상기 전송받은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39)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LED램프(37)가 점멸되도록 발광하는 단계로써,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등이 점멸되고, 상기 레이더(31)가 물체를 최초 검지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측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LED램프(37)의 점멸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상기 확인 및 제어단계(S500)는,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 후, 스마트폰(40)의 APP(41)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의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차로의 진입로가 4개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작동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4진입로로 차량이 진입할 시, 1, 4진입로의 차량 또는 빛을 검지하게 되고, 1, 4진입로의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그 검지신호를 수신기(35)로 전송하게 되면, 컨트롤러(39)에 의해 1, 4진입로로 향하는 LED램프(37)가 각각 점멸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2, 4진입로로 차량이 진입할 시, 1, 2, 4진입로의 차량 또는 빛을 검지하게 되고, 1, 2, 4진입로의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그 검지신호를 수신기(35)로 전송하게 되면 컨트롤러(39)에 의해 1, 2, 4진입로로 향하는 LED램프(37)가 각각 점멸되게 된다.
10 : 지주 11 : 태양광모듈 13 : 축전지
30 : 작동모듈 32 : 케이스 32a : 구획공간
31 : 레이더 33 : 광센서 35 : 수신기
36 : 무선통신모듈 37 : LED램프 38 : 제어회로
39 : 컨트롤러
40 : 스마트폰 41 : APP
S100 : 설치단계 S200 : 검지단계
S300 : 신호전송단계 S400 : 램프발광단계 S500 : 확인단계

Claims (10)

  1.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되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검지수신기(35)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매립되되, 상부에 구획공간(32a)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공간(32a)의 외측이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케이스(32)와, 상기 케이스(32)와 이격되되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설치되되 상기 레이더(31)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면 그 신호를 수신하는 검지수신기(35)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검지수신기(35)가 신호를 수신하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와,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39)를 포함하는 작동모듈(3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2.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에 있어서,
    교차로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고 상부에 태양광모듈(11)이 구성되고, 내부에 상기 태양광모듈(11)로부터 형성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하며, 컨트롤러(39), 레이더(31), 광센서(33) 및 LED램프(37)로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축전지(13)를 포함하는 지주(10);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에 각각 매립 설치되되, 상부에 구획되며 외측에 교차로의 진입로와 마주하게 구획공간(32a)가 형성되는 케이스(32)와, 상기 구획공간(32a)에 이동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레이더(31), 빛을 검지하는 광센서(33),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의 검지신호에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램프(37) 및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를 각각 제어하는 컨트롤러(39)가 순차적으로 상호 이격되게 구성되는 작동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더(31)는,
    물체의 크기 및 속도를 검지하고,
    상기 컨트롤러(39)는 상기 레이더(31)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의해 상기 LED램프(37)를 제어하고,
    주간에는 레이더(31)를 제어하고 야간에는 광센서(3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ED램프(37)는,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지 않을 경우 황색,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으로 점멸되고,
    상기 물체 또는 빛이 최초 검지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와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멸속도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9)에는 스마트폰(40)과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36)이 구성되고,
    상기 무선통신모듈(36)과 무선통신하며 상기 레이더(31) 및 광센서(33)의 작동상태, 축전지(13)의 충전잔량, LED램프(37)의 작동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한 APP(41)을 포함하는 스마트폰(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하되,
    교차로의 일측에 지주(10)를 설치하고, 상기 교차로의 중앙에 작동모듈(30)을 매립 설치하며 상기 지주(10)의 축전지(13)와 작동모듈(30)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설치단계(S100);
    교차로로 진입하는 하나 이상의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하는 검지단계(S200);
    상기 검지단계(S100)에서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방향에 배치된 LED램프(37)가 작동할 수 있도록 그 신호를 컨트롤러(39)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단계(S300);
    상기 전송받은 신호를 통해 컨트롤러(39)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한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와 수평방향으로 마주하지 않는 LED램프(37)가 점멸되도록 발광하는 램프발광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단계(S100)에서 상기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가 동일선상으로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작동모듈(30)의 내부에 레이더(31)와 광센서(33)을 구성하여 교차로의 중앙부에 매립 설치하고,
    상기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설치하려는 교차로와 상기 교차로의 진입로와 동일선상의 수평이 아니거나 경사를 이루는 위치일 경우,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작동모듈(30)의 내부에 구성하지 않고, 상기 작동모듈(30)과 이격되는 교차로의 진입로에 상기 레이더(31)와 광센서(33)를 상호 이격되게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단계(S200)에서,
    주간일 경우 레이더(31)가 근접하는 물체를 검지하고,
    야간일 경우 광센서(33)가 발광되는 빛을 검지하며,
    상기 레이더(31)는 물체를 검지할 시 물체의 크기와 속도를 각각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는,
    상기 레이더(31) 또는 광센서(33)가 물체 또는 빛을 검지할 경우 적색등이 점멸되고,
    상기 레이더(31)가 물체를 최초 검지한 위치에서 상기 레이더(31)측 방향으로 가까워질수록 상기 LED램프(37)의 점멸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발광단계(S400) 후, 스마트폰(40)의 APP(41)을 이용하여 상기 레이더(31), 광센서(33), LED램프(37)의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하는 확인 및 제어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1020200143198A 2020-10-30 2020-10-30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10248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98A KR102484409B1 (ko) 2020-10-30 2020-10-30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198A KR102484409B1 (ko) 2020-10-30 2020-10-30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750A true KR20220058750A (ko) 2022-05-10
KR102484409B1 KR102484409B1 (ko) 2023-01-05

Family

ID=8159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198A KR102484409B1 (ko) 2020-10-30 2020-10-30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4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18B1 (ko) 2023-07-12 2023-10-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신호 표시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교통신호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07A (ja) * 1991-09-09 1993-03-19 Nissan Motor Co Ltd 道路標示装置
KR101201879B1 (ko) * 2011-12-30 2012-11-15 박성렬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1728080B1 (ko) * 2016-09-13 2017-04-18 주식회사 우주씨앤티 도로 교통사고 예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5707A (ja) * 1991-09-09 1993-03-19 Nissan Motor Co Ltd 道路標示装置
KR101201879B1 (ko) * 2011-12-30 2012-11-15 박성렬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1728080B1 (ko) * 2016-09-13 2017-04-18 주식회사 우주씨앤티 도로 교통사고 예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18B1 (ko) 2023-07-12 2023-10-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교통신호 표시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교통신호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409B1 (ko)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CN111566405B (zh) 低高度安装型低功耗智能路灯系统
US7333029B2 (en) Automated traffic control system
AU2013101353A4 (en) Improvements to Pedestrian Crossings
US10403142B1 (en) Adaptive stop sign and intersection traffic control system
KR101941578B1 (ko) 태양광 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유도시스템
EP3126194B1 (en) A warning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102005383B1 (ko) 도로에 매립되어 신호 및 차선을 안내하는 주행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행유도시스템
US10773644B2 (en) Warning system for a turning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 warning system
KR102263867B1 (ko) 횡단 보도 보행자 보호 시스템
KR20200073477A (ko) 횡단보도 안전 조명 시스템
JP2001172927A (ja) 発光式停止線システム
KR200448567Y1 (ko) 매립형 보조신호등
KR200413236Y1 (ko) 교통정온화용 교통사고 방지 경고시스템
KR101045569B1 (ko) 횡단보도의 야간정보 제공시스템
KR102484409B1 (ko) 매립형 교차로 알림 경고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102536977B1 (ko) 지주형 교차로 알림 경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교차로 충돌 방지 제어방법
KR20200089829A (ko)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KR100977609B1 (ko) 중앙분리대의 엘이디 제어방법
KR101201879B1 (ko) 차량 검지센서에 의한 충돌예방시스템
KR102033922B1 (ko) 보행자 및 차량운전자를 위한 안전 경보시스템
JP2013096201A (ja) 自発光道路鋲装置
KR102449234B1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JP5539291B2 (ja) 自発光道路鋲装置
FI127541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huomion suuntaamiseksi henkilöö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