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580A - 전기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580A
KR20220057580A KR1020227011074A KR20227011074A KR20220057580A KR 20220057580 A KR20220057580 A KR 20220057580A KR 1020227011074 A KR1020227011074 A KR 1020227011074A KR 20227011074 A KR20227011074 A KR 20227011074A KR 20220057580 A KR20220057580 A KR 20220057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rt
plug connector
sealing
electrical plu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드 유츠
Original Assignee
노이트릭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이트릭 아게 filed Critical 노이트릭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05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3/0207Ultrasonic-, H.F.-, cold- or impac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6Plugs, connector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6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a screw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평한 접촉 면들(14, 30) 상에서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하우징 파트(1, 3)들을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1 하우징 파트(3)는 그 접촉 면(30) 위에 대향하는 하우징 파트(1)를 향하는 환형 밀봉 에지(33)가 장착되어 있다. 제2 하우징 파트(1)에는 그 접촉 면(14) 위에 밀봉 에지(33)와 대응하는 환형 밀봉부(21)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 파트(1, 3)들은 밀봉부(21)와 밀봉 에지(33) 반경 방향 외부의 여러 지점에서 서로 분리될 수 없게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밀봉 방식으로 서로 인접하는 편평한 접촉 면들 위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하우징 파트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장치, 제어 패널 등에 장착되도록 제공되는 특히 섀시 소켓이라고도 하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2개의 하우징 파트들은 일반적으로 설치 시에만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고정 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장치, 제어 패널 등의 벽에 고정되며, 이 벽은 동시에 외부에서 볼 수 있는 플랜지 플레이트를 하우징 상의 연결 플랜지에 고정한다. 플랜지 플레이트와 연결 플랜지 사이에 추가 구성요소, 특히 밀봉부가 클램핑될 수도 있다. 복잡한 구조 및 어셈블리를 가진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대한 예가 CN 205828780 U호에 개시되어 있다.
JP 2017191643 A호는 서로 접착된 하우징 파트들 사이에 밀봉부가 삽입된, 2-파트 하우징이 있는 차량용 충전 플러그를 개시한다. 이 밀봉부는 면적 방식의 소켓 모양의 링 밀봉으로서, 하우징 파트들의 밀봉 면들 사이에 위치하며, 밀봉 면들은 서로 플러깅 된 하우징 파트들의 환형 섹션으로 형성되지만, 밀봉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조립하는 중에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는 기본적으로 포트 모양으로 설계되고, 제2 하우징 파트에는 장착 플랜지가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의 전구 홀더에 대한 US 2002093830 A1호 또는 전기 플러그 장치 분야의 DE 102013224296 A1호에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하우징 파트들을 연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취급이 용이하고, 몇 개의 부품들로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는 최적으로 밀봉된 플러그 커넥터를 제시하는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특허청구범위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 하우징 파트의 접촉 면 상에는 대향하는 하우징 파트를 향하는 환형 밀봉 에지가 장착되고, 제2 하우징 파트의 접촉 면에는 상기 밀봉 에지에 상응하는 환형 밀봉부가 장착되며, 하우징 파트들은 상기 밀봉부 및 밀봉 에지의 반경 방향 외측의 다수의 위치에서 서로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밀봉 에지와 밀봉부의 페어링은 원하는 최적의 밀봉 효과를 발휘하고, 두 개의 하우징 파트를 연결하여 하나의 단일 구성요소가 생성되어 항상 단일 부품이었던 제품처럼 취급, 장착 및 분해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밀봉부 및/또는 밀봉 에지에 동축으로 배열되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융기된 리브들이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의 파트에 형성되고, 상응하는 치수를 갖는 만입부가 대향하는 하우징 파트의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두 하우징 파트들이 정확한 배향되어 접촉면의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에 의해 리브 및 만입부의 영역에서 하우징 파트들의 연결이 확립된다. 기하학적 조건으로 인해, 이 영역에 특히 우수한 재료 접촉이 제공되며, 이 재료 접촉은 접착 또는 기타 접합 방법의 경우 두 하우징 파트의 연결 설정을 강력하게 촉진한다.
하우징 파트들의 연결이 초음파 용접에 의해 확립되는 실시형태가 특히 선호되고 안전하다.
플러그 커넥터, 특히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특히 유리한 실시형태는 제1 하우징 파트가 포트-형 디자인으로 되되, 밀봉부가 제공되어 있는 전면 반대편의 베이스에는 접촉 요소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통로 개구가 제공된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절연이 잘 된 빌트-인 플러그 또는 플러그 연결의 다른 수형 파트(male part)를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 영역을 따라 제1 하우징 파트의 원주 벽에 연결되는 제1 하우징 파트의 별도로 제조된 베이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또한, 제1 하우징 파트의 베이스가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1 하우징 파트의 벽에 전체 표면에 걸쳐 연결되는 경우 특히 빠르고 안전한 유형의 연결이 가능하다.
플러그 연결 특히 섀시 소켓의 암형 파트(female part) 생산을 위해, 제1 하우징 파트는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원주 벽을 가지며, 전기 접촉 요소를 위한 수용 구멍이 있는 접촉 캐리어가 수용 개구 내에 삽입되고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캐리어는 이와 관련하여 원주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이는 원주 방향 벽의 단부면 상에 놓여지고 이에 연결된다. 이와 관련하여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면 연결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는, 잠금 메커니즘이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의 파트 내부에 배열되고, 다른 하우징 파트 내의 피드-스루를 관통하여 잠금 해제 요소가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하우징 파트의 환형 밀봉부는 이 피드-스루를 추가로 밀봉하는데 적합하며, 통로 개구를 갖는 방사상 돌출부로 피드-스루를 또한 둘러싸고 있으며, 하우징 파트의 밀봉 에지도 방사상 돌출부로 피드-스루 영역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의 밀봉을 더욱 최적화하기 위해,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의 파트의 원주 에지 또는 장착 구멍 영역 내에 연장되는 추가의 밀봉 요소가 밀봉부에 형성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유리하게는 제1 하우징 파트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설계되고, 제2 하우징 파트는 상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플랜지 플레이트로 설계되되,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가 제공되고, 장치 벽, 제어 패널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이 제공되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최적으로 밀봉되고 취급이 쉽고 장착이 빠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생산된다.
이와 관련하여, 포괄적인 밀봉 장치가 최적의 밀봉 효과를 위해 바람직한데, 이 밀봉 장치는 제1 하우징 파트를 향하는 후방 측 위에 플랜지 플레이트로 설계된 제2 하우징 파트에 삽입되며, 밀봉 장치는 삽입 개구 주위에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장착 개구를 위해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밀봉부 및/또는 에지 영역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뒤로 구부러지고 제1 하우징 파트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밀봉 장치의 일체형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편(connection piece)에 의해 밀봉 에지와 협력하는 환형 밀봉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아래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각각 매우 단순화되어 도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밀봉 장치가 삽입된 도 1의 빌트-인 플러그의 플랜지 플레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섀시 플러그를 관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소켓을 관통하는 종단면도이다.
먼저, 설명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 명칭이 제공되어 있으며, 발명의 설명 전체에 포함되어 있는 개시는 동일한 참조 번호 및/또는 동일한 구성 명칭을 구비하는 동일한 파트에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부에서, 하부에서, 측면에서와 같이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은 직접 설명되고 묘사된 도면을 나타내며,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들 위치에 대한 설명도 유사하게 새로운 위치로 바뀌어야 한다.
도 1은 빌트-인 플러그 형태의 플러그 커넥터, 즉 장치, 제어 패널 등에 설치하기 위해 제공되는 플러그 연결부의 수 파트(male part)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빌트-인 플러그는 외부로부터 장치를 향해 안쪽으로 보았을 때 기본적으로 플랜지 플레이트(1), 밀봉부(2), 하우징(3) 및 전기 접촉부(4)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 플레이트(1)는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용 삽입 개구(11)와 장착 구멍(12)을 가지며, 설치된 상태에서, 이 구멍을 통해 고정 수단, 바람직하게는 고정 나사가 안내되어 장치, 제어 패널 등의 벽에 고정된다.
설치된 상태에서, 장치 벽 등을 향하는 플랜지 플레이트(1)의 후방 측(도 2 참조) 위에 그리고 그 위에 완전히 인접할 수 있게 밀봉 장치(2)가 존재한다. 이것은 플레이트(1)의 후방 측의 만입부에 삽입되거나 그 안에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 플레이트(1)의 후방 단부는 또한 본질적으로 평평한 접촉 표면(14)을 포함하며,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3)이 그 위에 놓이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표면(14)은 플랜지 플레이트(1)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밀봉 장치(2)는 환형 방식으로 삽입 개구(11)를 둘러싸는 환형 밀봉부(21)를 적어도 포함한다.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에지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플랜지 플레이트(1)의 에지(13)에 연결되는 주변 밀봉부(22)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밀봉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주변 밀봉부(22)의 에지 또는 림에 밀봉 립(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밀봉부(21)는 또한 평평한 접촉 면(14)과 평행하게 기본적으로 평탄한 구성으로 플랜지 플레이트(1)에 인접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형 밀봉부(21) 주변 밀봉부(22)가 방사상 웹(2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기계적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밀봉부(21), 주변 밀봉부(22) 및 방사상 웹(23)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밀봉 장치(2)는 밀봉 요소(21) 상에 형성된 추가 밀봉 요소, 특히 플랜지 플레이트(1)의 장착 구멍(12)의 영역을 위한 밀봉 요소(24)를 가질 수 있다.
접촉 핀(4)을 위한 피드-스루(31)를 갖는 하우징(3)은 플랜지 플레이트(1)의 후방 측을 향하는 전방 측 위에 연결 플랜지(32)를 구비하고, 연결 플랜지의 전방 측은 플랜지 플레이트(1)의 후방 측에 특히 접촉 면(14) 위에 접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편평한 접촉 면(30)으로 되어 있다. 이 접촉 면(30)은 또한 플랜지 플레이트(1)의 접촉 면(14)과 평행하게 하우징(3)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연결 플랜지(32)의 접촉 면(30)에는 밀봉부(21)를 향하고 환형 방식으로 하우징(3)의 삽입 개구(34)를 둘러싸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부(21) 내로 압입되는 환형 밀봉 에지(33)가 존재한다. 밀봉 에지(33) 및 밀봉부(21)는 둘레, 폭 및 위치가 대응하도록 배열된다.
본질적으로 평평한 접촉 면들(14, 30) 사이에서, 밀봉 장치(2) 전체는 또한 본질적으로 지면이 평평한 형태로 존재하며, 접촉 면들(14, 30)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우징 및 플랜지 플레이트(1)의 종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된다.
연결 플랜지(32)의 전방에서, 오목부(35), 바람직하게는 호 형태의 짧은 홈이 밀봉부(21) 및 밀봉 에지(33) 반경 방향 외부의 여러 위치에 형성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플랜지 플레이트(1)의 후방 측은, 플랜지 플레이트(1)와 하우징(3)이 접촉 면들(14, 30)과 서로 맞닿을 때 홈과 맞물리는 상응하는 치수를 갖는 상응하게 형성된 리브(15)를 상응하는 위치에 갖는다. 플랜지 플레이트(1) 및 하우징(3)은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 또는 접착제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들 오목부(35) 영역에 해제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하우징(3)은 포트(pot)의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삽입 개구(34)와 연결 플랜지(32)가 있는 전방 위에서 접촉 핀(4)을 안내하기 위한 통로 개구(31)가 있는 베이스(36)가 하우징(3)을 폐쇄하고 있다. 베이스(36)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연결 영역을 따라 하우징(3)의 원주 벽(37)에 연결되는 초기에 별도로 제작된 구성요소이다. 여기서도 초음파 용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벽(37)과 베이스(36)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형태, 즉 섀시 소켓이라고도 하는 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접촉 캐리어(5)가 하우징(3)의 원주 벽(37)의 내부에 삽입되며, 접촉 캐리어(5)는 전기 접촉부(4) 및 -삽입 개구(11, 34)의 방향에서-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핀을 위한 수용 구멍(5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원주 방향 돌출부(52)가 접촉 캐리어(5)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고, 이 돌출부(52)와 접촉 캐리어(5)는 원주 벽(37)의 후방 단부 면(38)에 접하고 그것에 연결된다. 여기서도 전면 접합으로서 초음파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3)에서 접촉 캐리어(5)의 올바른 방향을 보장하기 위해 다웰 핀(40)이 하우징(3)의 후방 면에 배열된다. 돌출부(52)에는 접촉 캐리어(5)가 삽입될 때 다웰 핀(40)이 맞물리는 오목부(53)가 형성되어,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중심축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보장한다.
접촉 캐리어(5) 상에 잠금 메커니즘(6)이 또한 제공되고 연결되어,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3) 내부에 배열된다. 필요에 따라 플러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해제 요소(61)가 제공되며, 해제 요소는 사용자가 작동할 수 있도록 플랜지 플레이트(1)의 전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원주 벽(37)은 해제 요소(61)를 수용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삽입 개구(34)는 반경 방향 리세스(39)를 구비하며, 이들 통해 해제 요소(61)가 하우징(3)의 전면을 향해 돌출한다. 플랜지 플레이트(1)는 또한 해제 요소(61)를 위한 통로 개구(16)를 구비하고, 밀봉부(21)에는 또한 반경방향 연장부(26)가 제공되며, 여기에는 해제 요소(61)를 위한 통로 개구(27)가 배열되어 플랜지 플레이트(1)의 리세스(39) 및 통로 개구(16)와 정렬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가능한 실시형태의 변형을 보여주며,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그 특정 예시된 실시형태의 변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개별 실시형태의 변형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고 이러한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술적 교시에 기인하는 변형의 범위는 이 기술 분야의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명의 설명 및 도면은 청구범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도시되고 설명된 상이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부터의 개별 특징들 또는 특징 조합들은 독립적인 본 발명의 솔루션을 나타낼 수 있다. 독립적인 발명 솔루션의 기초가 되는 목적이 발명의 설명에서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값의 범위에 관한 모든 표시는 이들이 또한 무작위 및 그로부터의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이라고 하는 표시는, 하한 1과 상한 10에 기초하는 모든 부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즉 하한이 1 이상에서 시작하여 상한이 10 이하인 모든 부분 범위 예컨대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형태의 문제로, 구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춰 묘사되지 않았거나 및/또는 크기가 확대 및/또는 축소되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1 플랜지 플레이트(flange plate)
2 밀봉 장치(sealing arrangement)
3 하우징(housing)
4 접촉부/접촉 핀(contact/contact pin)
5 접촉부 캐리어 인서트(contact carrier insert)
6 잠금 메커니즘(locking mechanism)
7
8
9
10
11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
12 장착 구멍(mounting bore)
13 외부 에지(outer edge)
14 접촉 면(contact surface)
15 리브(rib)
16 통로 개구(passage opening)
17
18
19
20
21 밀봉부(seal)
22 주변 밀봉부(peripheral seal)
23 웹(web)
24 밀봉 요소(sealing element)
25 밀봉 립(sealing lip)
26 방사형 연장부(radial extension)
27 통로 개구(passage opening)
28
29
30 접촉 면(contact surface)
31 피드-스루(feed-through)
32 연결 플랜지(connecting flange)
33 밀봉 에지(sealing edge)
34 삽입 개구(insertion opening)
35 리세스(recess)
36 베이스(base)
37 벽(wall)
38 후방 단부 면(rear end face)
39 리세스(recess)
40 다월 핀(dowel pin)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수용 구멍(receiving bore)
52 돌출부(projection)
53 리세스(recess)
54
55
56
57
58
59
60
61 해제 요소(unlocking element)
62
63
64
65

Claims (15)

  1. 서로 인접하는 평평한 접촉 면들(14, 30) 상에서 밀봉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하우징 파트(1, 3)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로, 상기 접촉 면들은 하우징 파트(1, 3)들의 길이방향 축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는 그 접촉 면(30) 위에 대향하는 하우징 파트(1)를 향하는 환형 밀봉 에지(33)가 장착되고, 제2 하우징 파트(1)에는 그 접촉 면(14) 위에 상기 밀봉 에지(33)와 대응하는 환형 밀봉부(21)가 장착되며, 하우징 파트(1, 3)들은 밀봉부(21)와 밀봉 에지(33) 반경 방향 외부의 여러 지점에서 서로 분리될 수 없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밀봉부(21) 및/또는 밀봉 에지(33)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융기된 리브(15)들이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1) 위에 형성되어 있고, 융기된 리브의 치수에 대응하는 크기의 함몰부(35)가 대응하는 지점에서 대향하는 하우징 파트(3)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리브(15) 및 함몰부(35) 영역에서 하우징 파트(1, 3)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하우징 파트(1, 3)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는 포트-형 디자인으로 되어 있고, 전방 측과 대향하는 베이스(36)에 접촉 요소(4)를 관통 안내하기 위한 통로 개구(3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의 베이스(36)는 별개로 제작되며, 환형 연결 영역을 따라 제1 하우징 파트(3)의 원주 방향 벽(37)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의 베이스(36)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전체 면에 걸쳐 제1 하우징 파트(3)의 벽(3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는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원주 방향 벽(37)을 구비하고, 수용 개구 내에 전기 접촉 요소(4)를 위한 수용 구멍(51)을 구비하는 접촉 캐리어(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접촉 캐리어(5)는 원주 방향 돌출부(52)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면 전체 방식으로 원주 방향 벽(37)의 단부 면(38) 위에 안착하고 단부 면(3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의 파트(3) 내부에 잠금 메커니즘(6)이 배치되고, 해제 요소(61)는 다른 하우징 파트(1) 내의 피드-스루(16)를 관통하여 바깥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밀봉부(21)는 통로 개구(27)를 구비하는 반경 방향 돌출부(26)로 피스-스루(16)를 또한 둘러싸고, 하우징 파트의 밀봉 에지(33)는 반경 방향 돌출부로 피드-스루(16, 39)를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파트들 중 하나의 파트(1)의 원주 방향 에지(13) 또는 장착 구멍(12) 영역 내에 연장하는 추가의 밀봉 요소(22, 24)들이 밀봉부(21)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파트(3)는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설계되고, 제2 하우징 파트(1)는 상기 빌트-인 플러그 커넥터의 플랜지 플레이트로 설계되며, 제2 하우징 파트(1)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개구(11) 및 장치 벽, 제어 패널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1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 파트(1)는 제1 하우징 파트(3)를 향하는 제2 하우징 파트의 후방 측 위에 플랜지 플레이트로 설계되며, 밀봉 장치(2)가 삽입되고, 밀봉 장치는 삽입 개구(11) 주위에 바람직하기로는 장착 개구(12)를 위한 밀봉 요소(22, 24) 및/또는 에지 영역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뒤로 구부러진 후에 제1 하우징 파트(3) 방향으로 돌출하는 원주 방향 밀봉부(22)와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밀봉부(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 장치(2)의 통합형 요소(22, 25, 25)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편(23)에 의해 밀봉 에지(33)와 협력하는 환형 밀봉부(21)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1020227011074A 2019-09-17 2020-09-11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2200575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805/2019 2019-09-17
ATA50805/2019A AT523019B1 (de) 2019-09-17 2019-09-17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CT/EP2020/025412 WO2021052625A1 (de) 2019-09-17 2020-09-11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580A true KR20220057580A (ko) 2022-05-09

Family

ID=7251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074A KR20220057580A (ko) 2019-09-17 2020-09-11 전기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220376430A1 (ko)
EP (1) EP4032152A1 (ko)
JP (1) JP7389896B2 (ko)
KR (1) KR20220057580A (ko)
CN (1) CN114424409B (ko)
AT (1) AT523019B1 (ko)
AU (1) AU2020350051A1 (ko)
BR (1) BR112022004292A2 (ko)
CA (1) CA3153044A1 (ko)
MX (1) MX2022002909A (ko)
WO (1) WO202105262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1409A (en) * 1996-01-19 1997-10-28 Lin; Chien-Ting Ultrasonic welding of electrical plug
US6467942B2 (en) * 2001-01-12 2002-10-22 Alcoa Fujikura Limited Automotive lamp socket
US7008271B2 (en) * 2003-02-20 2006-03-07 Sonion Roskilde A/S Female connector assembly with a displaceable conductor
DE102013224296A1 (de) * 2013-11-27 2015-05-28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r Magnetspule und/oder eines Sensorelements
JP2017191643A (ja) * 2016-04-11 2017-10-19 住友電装株式会社 車両側コネクタ
CN205828780U (zh) * 2016-07-18 2016-12-21 宁波海曙区西尚电子有限公司 防水卡侬插座
CN206004048U (zh) * 2016-08-30 2017-03-08 深圳市方睿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墙插
EP3490077B1 (en) * 2017-11-22 2021-02-17 Aptiv Technologies Limited Sealed electrical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7967450U (zh) * 2018-03-22 2018-10-12 宁波卓盛奥电子科技有限公司 防水卡侬插座及带有该防水卡侬插座的舞台灯
TWI669860B (zh) * 2018-08-20 2019-08-2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防水外殼及具有其防水外殼的防水電子裝置
DE202018105147U1 (de) * 2018-09-10 2018-11-12 Salcomp Taiwan Co., Ltd. Ladegerät mit Wasserdichtigkeitsmechanismus und wasserdichte Gehäusestruktur desselben
CN209104469U (zh) * 2019-01-09 2019-07-12 莫仕连接器(成都)有限公司 电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32152A1 (de) 2022-07-27
CN114424409A (zh) 2022-04-29
JP7389896B2 (ja) 2023-11-30
WO2021052625A1 (de) 2021-03-25
US20220376430A1 (en) 2022-11-24
BR112022004292A2 (pt) 2022-06-21
JP2022548673A (ja) 2022-11-21
CN114424409B (zh) 2024-04-02
AT523019A1 (de) 2021-04-15
MX2022002909A (es) 2022-04-06
CA3153044A1 (en) 2021-03-25
AT523019B1 (de) 2021-12-15
AU2020350051A1 (en)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854B1 (en) RF connector assembly
US9948025B2 (en) Connector
CN109075496B (zh) 防水连接器
JP5375741B2 (ja) コネクタ
US9893462B2 (en) Connector
US9929506B2 (en) Connector
KR20220057579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7078616B2 (en) Floor box
US20170222354A1 (en) Connector
EP239096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2927657B1 (en) Fluid pressur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642909A1 (en) Electrical plug with a protective conductor contact and protective conductor connector element formed integrally therewith for grounding exterior parts
WO2019111234A1 (en) Pre-loaded two-lobe spring twist-on rearview mounting assembly
KR20220057580A (ko) 전기 플러그 커넥터
US5893632A (en) Lamp bulb fixing structure
US20160204525A1 (en) Pressing Element, Electrical/Electronic Component
EP1801935B1 (en) Through-panel connector
JP6127009B2 (ja) 物理量測定装置
KR20180020366A (ko) 충전용 커넥터
JPH09167502A (ja) 自動車ヘッドライト用のランプソケット及び自動車ヘッドライト
US20190214776A1 (en) Connector
IL37802A (en) Closures for a connector box
CN209371166U (zh) 灯座
JP2017212200A (ja) コネクタ
KR101505024B1 (ko) 단일형 벌브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