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174A - 장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장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7174A
KR20220057174A KR1020200142151A KR20200142151A KR20220057174A KR 20220057174 A KR20220057174 A KR 20220057174A KR 1020200142151 A KR1020200142151 A KR 1020200142151A KR 20200142151 A KR20200142151 A KR 20200142151A KR 20220057174 A KR20220057174 A KR 2022005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elastic
air
roll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652B1 (ko
Inventor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이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규 filed Critical 이동규
Priority to KR102020014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6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65H23/10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65H23/14Tensioning rollers applying brak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7Details of bearings

Landscapes

  • Advancing Web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샤프트부; 샤프트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원단을 이송시키는 롤러부; 및 샤프트부와 롤러부 사이에 개재되고, 샤프트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롤러부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력 조절 장치{TENSION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부에 권취되는 원단에 설정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는 회전되면서 원단이나 필름, 테이프 등과 같은 소재를 이송하는 것이다. 롤러는 회전되면서 상기 소재와의 접촉에서 슬립 등이 발생되어, 소재에 필요한 장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소재가 곧게 펴져서 이송되지 못하여 제품의 꾸겨짐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6295호(2018.01.31 등록, 발명의 명칭: 장력유지 수단을 구비한 중포대 가공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부에 권취되는 원단에 설정 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력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원단을 이송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롤러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샤프트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롤러부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샤프트몸체부; 상기 샤프트몸체부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에 삽입되며, 외측면에 상기 탄성부가 장착되는 샤프트삽입부; 및 상기 샤프트몸체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삽입부에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삽입부는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샤프트삽입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샤프트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탄성몸체부; 및 상기 탄성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탄성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몸체부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용부로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절개 폭이 조절되면서 상기 탄성몸체부가 상기 롤러부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롤러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하면, 롤러부에 권취되는 원단에 설정 장력을 제공하여, 원단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탄성부가 롤러부와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제품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에 원단이 권취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와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A"와 "B"에서 공기의 유입에 의해 팽창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에 원단이 권취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와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A"와 "B"에서 공기의 유입에 의해 팽창되는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샤프트부(100)와, 샤프트부(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원단(10)을 이송시키는 롤러부(200)와, 샤프트부(100)와 롤러부(200) 사이에 개재되고, 샤프트부(1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롤러부(200)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탄성부(300)를 포함한다.
샤프트부(1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된다. 샤프트부(100)는 샤프트몸체부(110), 샤프트삽입부(120), 공기유입부(130)를 포함한다. 샤프트몸체부(110)는 롤러부(200)의 일측(도 4 기준 우측)에 장착된다.
샤프트삽입부(12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샤프트몸체부(110)의 일면(도 4 기준 좌측면)에 장착된다. 샤프트삽입부(120)는 중공형의 롤러부(200)의 내측에 삽입된다. 샤프트삽입부(120)는 외측면에 탄성부(300)가 장착된다.
공기유입부(130)는 샤프트몸체부(110)에 관통 형성되고, 샤프트삽입부(120)에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샤프트삽입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샤프트삽입부(120)는 공기토출부(121)를 구비한다. 공기토출부(121)는 샤프트삽입부(120)에 관통 형성되어,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한다. 공기토출부(121)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탄성부(300)로 유입되어, 탄성부(300)를 팽창시킨다.
공기토출부(121)는 탄성부(300)가 배치된 위치에 인접하여 샤프트삽입부(120)에 형성된다. 공기토출부(121)가 탄성부(300)에 인접 배치되어,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고, 탄성부(300) 측으로 적은 양의 공기의 유입으로도 효율적으로 탄성부(300)를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토출부(121)는 샤프트삽입부(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공기토출부(121)가 샤프트삽입부(120)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탄성부(300) 측으로 공기의 유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부(200)는 샤프트부(100)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원단(10)을 이송시킨다. 롤러부(2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샤프트부(100)의 샤프트삽입부(120)가 삽입된다. 롤러부(200)는 탄성부(300)와의 접촉에 의해 샤프트부(100)와의 마찰력이 증대되어 원단(10)에 제공되는 장력이 증대될 수 있다.
탄성부(3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샤프트부(100)와 롤러부(200) 사이에 개재되고, 샤프트부(10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롤러부(200)와의 접촉이 조절된다. 탄성부(300)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롤러부(200)의 내측면과의 접촉면이 증가될 수 있다. 탄성부(3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고무, 실리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300)는 탄성몸체부(310), 탄성수용부(320), 절개부(330)를 포함한다. 탄성몸체부(310)는 샤프트몸체부(110)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러부(200)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탄성몸체부(310)는 샤프트몸체부(110)의 외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롤러부(200)와의 접촉 정도에 따라 롤러부(200)와의 마찰이 조절되면서 롤러부(200)가 원단(10)에 제공하는 장력이 조절된다.
탄성수용부(320)는 탄성몸체부(310)에 공기토출부(121) 측에 대향되고, 오목하게 형성된다. 탄성수용부(320)는 샤프트부(100)로 유입되고, 공기토출부(12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용한다.
탄성수용부(320)는 공기토출부(121) 측에 대향되고, 오목하게 형성되어, 공기토출부(121)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탄성수용부(320)에서 공기를 수용하여 탄성몸체부(310)가 탄성 변형되면서, 롤러부(20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증가된다.
절개부(330)는 탄성몸체부(310)에 절개 형성되고, 탄성수용부(320)로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절개 폭이 조절되면서 탄성몸체부(310)가 롤러부(200)와의 접촉이 조절된다.
절개부(330)는 탄성몸체부(310)에 절개 형성되고, 탄성수용부(320)로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절개 폭이 조절되면서 탄성몸체부(310)가 롤러부(200)와의 접촉이 조절된다. 절개부(330)가 탄성몸체부(310)에 절개 형성되어, 적은 공기의 유입에 의해서도 탄성몸체부(31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탄성몸체부(310)와 롤러부(20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절개부(330)는 탄성몸체부(310)에서 롤러부(200) 측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절개부(330)의 절개 폭이 좁아지면서 탄성몸체부(310)가 롤러부(20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는 베어링부(400)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부(400)는 샤프트부(100)와 상기 롤러부(200) 사이에 개재되어, 롤러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부(400)는 볼베어링, 니들베어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샤프트부(100)의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유입부(13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샤프트삽입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샤프트삽입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되는 공기는 공기토출부(121)를 통해 토출된다. 공기토출부(121)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탄성부(300) 측으로 유동된다.
공기는 탄성부(300)의 탄성수용부(320)로 수용되고, 탄성수용부(320)로 공기가 수용됨에 따라 탄성몸체부(310)가 탄성 변형된다. 탄성몸체부(310)는 탄성 변형되면서 롤러부(200)의 내측면과의 접촉이 증가된다. 따라서 회전되는 롤러부(200)에 마찰이 증가되어, 원단(10)에 장력을 제공하고, 원단(10)이 형상을 유지하면서 롤러부(2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절개부(330)에 의해 탄성몸체부(310)의 탄성 변형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탄성몸체부(310)가 롤러부(200)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탄성부(300)와 롤러부(200)와의 마찰이 설정 이상이면, 샤프트부(100)의 공기유입부(130)를 폐쇄하거나, 공기 유입량을 줄여서 탄성부(300)와 롤러부(200)와의 마찰을 조절하여 원단(10)에 대한 롤러부(2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력 조절 장치에 의하면, 롤러부에 권취되는 원단에 설정 장력을 제공하여, 원단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에 공기를 공급하여, 탄성부가 롤러부와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제품 생산 비용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원단 100: 샤프트부
110: 샤프트몸체부 120: 샤프트삽입부
121: 공기토출부 130: 공기유입부
200: 롤러부 300: 탄성부
310: 탄성몸체부 320: 탄성수용부
330: 절개부 400: 베어링부

Claims (7)

  1.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회전되면서 원단을 이송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롤러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샤프트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되면서 상기 롤러부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롤러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샤프트몸체부;
    상기 샤프트몸체부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에 삽입되며, 외측면에 상기 탄성부가 장착되는 샤프트삽입부; 및
    상기 샤프트몸체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삽입부에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삽입부는 상기 공기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샤프트삽입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샤프트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탄성몸체부; 및
    상기 탄성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수용하는 탄성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탄성몸체부에 절개 형성되고, 상기 탄성수용부로 수용되는 공기에 의해 절개 폭이 조절되면서 상기 탄성몸체부가 상기 롤러부와의 접촉이 조절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와 상기 롤러부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 조절 장치.
KR1020200142151A 2020-10-29 2020-10-29 장력 조절 장치 KR102418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51A KR102418652B1 (ko) 2020-10-29 2020-10-29 장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151A KR102418652B1 (ko) 2020-10-29 2020-10-29 장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174A true KR20220057174A (ko) 2022-05-09
KR102418652B1 KR102418652B1 (ko) 2022-07-07

Family

ID=8158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151A KR102418652B1 (ko) 2020-10-29 2020-10-29 장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0472B2 (ja) * 1988-04-03 1997-05-14 北村 篤識 変形変圧可能な機能性ロール
KR101373596B1 (ko) * 2013-01-16 2014-03-12 (주)율림에어샤프트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KR20150037515A (ko) * 2013-09-30 2015-04-0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가이드 롤러, 필름 반송 장치 및 시트 성형기
JP2017109798A (ja)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大栄製作所 浮揚装置およびこの浮揚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0472B2 (ja) * 1988-04-03 1997-05-14 北村 篤識 変形変圧可能な機能性ロール
KR101373596B1 (ko) * 2013-01-16 2014-03-12 (주)율림에어샤프트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KR20150037515A (ko) * 2013-09-30 2015-04-0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가이드 롤러, 필름 반송 장치 및 시트 성형기
JP2017109798A (ja) * 2015-12-14 2017-06-22 株式会社大栄製作所 浮揚装置およびこの浮揚装置を備えた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652B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76060B2 (ja) 枚葉紙のストリーム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JPWO2005085108A1 (ja) ウエブ変速装置
US5333851A (en) Document corner turning belt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KR102418652B1 (ko) 장력 조절 장치
EP3138955B1 (en) Roll finishing machine
JP2020502382A (ja) フリクションフィーダ
US5358163A (en) Suction roll for conveying a flexible strip
JP6749587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保護シートの分離装置
JP2008167745A (ja) 苗搬送装置
JP4021667B2 (ja) 塗布装置
CZ200799A3 (cs) Zarízení pro dopravu materiálu v podobe archu
KR200420871Y1 (ko) 섬유가공용 폴리싱가공기의 섬유냉각장치
JP3517288B2 (ja) 送りローラおよび給紙装置
JPS59192731A (ja) 紡績装置
JP2016069067A (ja) テープ結束機
CN116277685A (zh) 用于在薄膜机中产生负压的装置和方法
KR20220139118A (ko) 창문유리 고정용 가스켓 자동 결합장치
US20100294145A1 (en) Apparatus for feeding foil of printing machine with tension
US6176449B1 (en) Process and device for winding partial webs into partial web rolls
US7392984B2 (en) Process for guiding printing media and printing media guide
JP7086426B1 (ja) ウエブ搬送装置
KR10167566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625960B1 (ko) 러버인서트 스티칭 장치
KR100419009B1 (ko) 고무 성형공정의 고무시트 공급장치
CN109279431B (zh) 印刷机的页张展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