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934A -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934A
KR20220056934A KR1020200141553A KR20200141553A KR20220056934A KR 20220056934 A KR20220056934 A KR 20220056934A KR 1020200141553 A KR1020200141553 A KR 1020200141553A KR 20200141553 A KR20200141553 A KR 20200141553A KR 20220056934 A KR20220056934 A KR 2022005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ttery
processor
motor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양병훈
박정수
양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934A/ko
Priority to US17/355,994 priority patent/US11845354B2/en
Priority to DE102021207280.1A priority patent/DE102021207280A1/de
Priority to CN202110794578.9A priority patent/CN114475638A/zh
Publication of KR2022005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8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video entertainment or vehicle dynamics information;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output information, e.g.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1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 B60L50/16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generators driven by combustion engines with provision for separate direct mechanical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1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by batteries charged by engine-driven generators, e.g. 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3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in order to stay within battery power input or output limits; in order to prevent overcharging or battery deple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10Controlling the power contribution of each of the prime movers to meet required power demand
    • B60W20/15Control strategies specially adapted for achieving a particular effect
    • B60K2370/152
    • B60K2370/16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60Navigation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50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of positioning data,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표시부 및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교환 주기 및 에너지 밸런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연비 개선 및 친환경적인 차량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친환경적인 차량에는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Electric Vehicle,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전기차(Electric Vehicle, EV), 및 수소 전기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등이 있다. 이 중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외부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한 후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거나 연료 엔진을 구동하므로 하이브리드 차량에 비해 연비가 높다. 그러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기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연료 주입 대비 배터리 전기 충전이 불편하여 실제 주행 시 엔진 모드 주행 거리에 대비하여 전기 모드 주행 거리가 짧다.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모터와 엔진의 균형 있는 사용을 위해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점검 주기 및/또는 에너지 밸런싱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는 표시부 및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교환 주기 및 에너지 밸런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및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및 연료 주입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을 계산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 상기 배터리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 및 전기 충전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을 계산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총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주입 비용 및 상기 전기 충전 비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료 주입 비용을 기반으로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국 평균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국 평균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유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충전소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를 표시하고,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고, 상기 엔진 관련 소모품 및 상기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 측면에서 모터 사용 주행이 엔진 사용 주행에 비하여 얼마나 유리한지를 수치화하여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의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제2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크면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의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소모품 교환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및 에너지 밸런싱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에 기정해진 각각의 비중을 반영하여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값을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은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및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교환 주기 및 에너지 밸런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주행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 총 주행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 정보의 연료 잔량과 상기 배터리 정보의 배터리 잔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정보의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배터리 정보의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국 평균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국 평균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유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충전소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엔진 사용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잔량 및 상기 연료 주입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상기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주입 비용, 및 상기 전기 충전 비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연료 주입 비용을 기반으로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를 표시하는 단계,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 관련 소모품 및 상기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 측면에서 모터 사용 주행이 엔진 사용 주행에 비하여 얼마나 유리한지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의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크면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의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모터와 엔진의 균형 있는 사용을 위해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점검 주기 및/또는 에너지 밸런싱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제공하므로, 전기 모드 주행 거리를 늘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차량 관리 및 파워트레인 부품(소모품) 등의 합리적 내구 관리 및 소모품 교체 지출이 가능하며 운전자가 환경 문제 및 연비 규제 강화 흐름에 동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전 운전자가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고려하여 배터리 충전 계획을 세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차량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소모품 교환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밸런싱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효율적인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하이브리드 차량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10), HSG(Hybrid Starter Generator)(20), 엔진 클러치(30), 모터(40) 및 변속기(transmission)(50)를 포함할 수 있다.
엔진(10)은 연료(예: 가솔린 또는 디젤 등)를 연소시켜 차량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엔진 토크)을 발생시킨다. 엔진(10)으로는 가솔린 엔진 또는 디젤 엔진 등 공지된 각종 엔진이 이용될 수 있다. 엔진(10)은 EMS(Engine Management System)의 지령에 따라 출력 토크(즉, 엔진 토크)를 제어한다.
HSG(20)는 엔진(10)에 장착되어 엔진(10)을 크랭킹(cranking)하여 시동을 걸 수 있다. HSG(20)는 엔진(10)이 시동된 상태에서 제너레이터(generator)로 작동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HSG(20)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는 배터리(B)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엔진 클러치(30)는 엔진(10)과 모터(40)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10)의 동력(출력 토크)을 단속한다. 엔진 클러치(30)는 결합(engage) 또는 해제(disengage)를 통해 엔진(10)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엔진 토크)을 구동 바퀴(차륜)에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모터(40)는 배터리(B)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모터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 바퀴에 전달한다. 모터(40)는 MCU(Motor Control Unit)의 지시에 따라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Revolution Per Minute, RPM)를 변경하여 모터(40)의 출력 토크(모터 토크)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40)는 배터리 잔량(State of Charge, SOC)이 부족하거나 또는 회생 제동 시 역기전력(회생 에너지)을 발생시켜 배터리(B)를 충전하는 발전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배터리(B)는 차량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로 구현된다. 배터리(B)는 외부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도 있다. 모터(40)와 배터리(B) 사이에 전력 변환기(power converter)(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전력 변환기(미도시)는 배터리(B)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모터 구동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전력 변환기(미도시)는 DC-DC 컨버터 또는 인버터(inver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변속기(50)는 모터 토크 또는 엔진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변속단(기어단)에 매칭되는 변속비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변속기(50)는 더블 클러치 변속기(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로 구현될 수 있다. 변속기(50)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의 지시에 따라 변속단을 변경한다. TCU는 차량 내 센서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속도(즉, 차량 속도 또는 휠 속도), 가속페달 위치, 엔진 회전속도 및/또는 클러치 행정(clutch travel)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최적의 변속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일 수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모드는 엔진(10)만 이용하여 주행하는 엔진 모드, 모터(40)만 이용하여 주행하는 전기 모드(EV 모드), 및 엔진(10)과 모터(40)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모드(HEV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하이브리드 차량 내 엔진(10)과 모터(40)가 연결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10)과 모터(40)가 연결되지 않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륜은 엔진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고, 후륜은 모터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100)(이하, 정보 제공 장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이하, 차량)에 탑재되어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점검 주기 및/또는 에너지 밸런싱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거리, 에너지 주입 비용(에너지 비용) 및/또는 파워트레인 소모품 교체 주기(점검 주기)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 전기 모드 주행 권장을 위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 및/또는 차량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단위 거리당 에너지 비용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배터리 충전의 이점 및 필요성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검출부(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00)가 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에 탑재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ic Control Unit)들과 통신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차량 통신 기술 및/또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 통신 기술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이더넷(ethernet) 및/또는 X-by-Wire(Flexr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는 무선 인터넷(예: wi-fi),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지그비 및 적외선 통신), 및/또는 이동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 프로세서, 통신 회로, 안테나, 및/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서버(200)는 차량 제조사의 차량 관리 서버, 내비게이션 서비스 서버, 및/또는 금융기관 서버 등일 수 있다. 서버(2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신 칩(통신 회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전국 평균 주유 가격 및/또는 충전 가격, 주유소별 주유 가격, 충전소별 충전 가격, 및/또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주유 가격 및/또는 충전 가격 등의 에너지 주입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200)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 및/또는 차량 관리 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3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300)에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 및/또는 차량 관리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신 칩(통신 회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브라우저 등을 이용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200)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전용 앱 또는 브라우저 등을 통해 차량 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전용 앱의 실행 화면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위젯 등의 형태로 바탕화면에 항상 표시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연료 잔량 및 배터리 잔량(State of Charge, SOC) 등의 정보를 검출(획득)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연료 탱크 내 탑재되는 센서(계측기)를 이용하여 연료 잔량을 계측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및/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검출부(120)는 휠속 센서 및/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주행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검출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EMS 및/또는 MCU로부터 엔진 구동 여부 및/또는 모터 구동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6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저장매체(non-transitory storage medium)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착탈형 디스크 및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등의 저장매체(기록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검출부(12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사전에 설정되는 정보(예: 소모품 점검 주기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60)의 동작에 따라 입력 및/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설정)되는 옵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 온(활성) 또는 오프(비활성)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운전대), 대시보드(dashboard),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및/또는 도어 트림(door trim) 등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터치스크린 또는 클러스터(cluster)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speaker)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사용자 입력부(140) 및 표시부(1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Human interface device, HID)라고 통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정보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가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의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작동 조건은 차량 전원 온(ON)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차량 전원 오프(OFF)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또는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 활성(동작) 요청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특정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부(140), 차량 리모콘(예: 스마트키)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전원 온 명령, 차량 전원 오프 명령, 또는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 활성 요청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검출부(120)를 통해 연료 잔량 및/또는 배터리 잔량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또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등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측정 장치(미도시)로부터 총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및/또는 하이브리드 모드 주행 거리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주행 거리 측정 장치는 EMS 및/또는 MCU와 연동하여 엔진(10) 및/또는 모터(40)가 작동하는 구간을 인식하고, 해당 구간에서 차량이 주행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EMS 및/또는 MCU와 연동하여 총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또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등을 직접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서버(200) 예컨대, 차량 관리 서버 및/또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에너지 주입 가격 정보(에너지 주입 가격)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차량에 탑재된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에너지 주입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서버로부터 에너지 주입 가격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총 에너지 주입 비용),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연료 주입 비용), 및/또는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전기 충전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등을 산출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는 배터리의 완전(full) 충전하는 횟수이다.
프로세서(160)는 다음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예: 1mile 또는 1km 등)당 연료 주입 비용 EDC을 연산(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EA는 연료 잔량, EB는 주유 가격, EC는 현시점 총 주유 비용, ED는 엔진이 작동하는 상태에서 주행한 거리 즉, 엔진 사용 주행 거리 이다. EB로는 차량 제조사의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현시점의 전국 평균 주유 가격, 내비게이션 시스템(내비게이션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되는 주유소 정보에 포함된 주유 가격, 또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재 정보에 포함된 주유 가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EC는 EA와 EB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엔진이 작동하는 상태(엔진 작동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 엔진(10)에 의해 모터(40)가 발전하는 경우 연료를 사용하므로 엔진 작동 상태로 판단하고, 회생 제동 시에는 연료를 차단(fuel cut)하므로 엔진 미작동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다음 [수학식 2]를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 MDC를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MA는 배터리 잔량, MB는 전기 충전 가격, MC는 현시점 총 충전 비용, MD는 모터가 구동하는 상태에서 주행한 거리 즉,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이다. MB로는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현시점의 전국 평균 전기 충전 가격,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충전소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 또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재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MC는 MA와 MB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모터(40)가 구동하는 상태(모터 구동 상태)인지를 판단할 때, 회생 제동 시 모터(40)가 구동되는 경우는 모터 구동 상태로 여기지 않고 배제시킬 수 있다. 이는, 회생 제동 시 모터(40)에서 발전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터리(B)를 충전하므로 충전 비용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프로세서(160)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TC는 현시점에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으로, 'EC-(EA×EB)+MC-(MA×MB)' 이다.
프로세서(160)는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메모리(130)에 기저장된 EDC 절감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EDC 절감 비율은 시장 상황 및 시스템 개발 수준에 따라 개발자가 임의로 결정되거나 사용자의 옵션 선택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기존 EDC 대비 EDC 절감 비율에 기반하여 목표 TDC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DC 절감 비율이 50%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목표 TDC를 'EDC×0.5'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목표 TDC 를 만족시키기 위한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목표 TDC 즉,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 TDCtarget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x는 추가 전기 충전 비용이고, y는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이다. x는 'MDC×y'이므로, 이를 [수학식 4]에 대입하고 y에 대해 정리하면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어서, 프로세서(160)는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 y를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로 나누어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일(day)당 주행 거리,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 및/또는 전기 충전 비용 등을 고려하여 주당 배터리 충전 일수(days/week)를 산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산출된 총 에너지 주입 비용, 연료 주입 비용, 전기 충전 비용, 및/또는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표시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산출된 총 에너지 주입 비용, 연료 주입 비용, 전기 충전 비용, 및/또는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서버(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기준으로 파워트레인 소모품의 점검(교체) 주기를 표시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오일, 엔진 오일 필터, 점화 플러그, 에어 클리너 및/또는 엔진 벨트 등의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인버터 및/또는 배터리 등의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제안할 때 소모품 교체 주기를 고려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파워트레인 소모품 관리 측면에서 모터(40)를 사용하여 주행하는 경우 파워트레인 소모품 교체 시점에 있어서 얼마나 유리한지를 산출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체 평균 잔여 거리 EOAB가 1만km이고,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평균 잔여 거리 MMIB가 6만km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엔진 관련 소모품 대비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환에 있어서 잔여 거리 5만km 유리 또는 교환 시점 3배(=(EOAB-MMIB)/EOAB×100%×점검 모터 관련 소모품/점검 엔진 관련 소모품)' 유리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에 따른 엔진 및 모터의 에너지 밸런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에너지 밸런싱 정보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제안(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60)는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 및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는 전체 연료 주입양과 단위 연료당 파워를 곱하여 구할 수 있고,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는 전체 전기 충전량이며,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는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와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합이다. 프로세서(160)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의 비율을 연료 주입 밸런싱 EBS으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비율을 전기 충전 밸런싱 MBS으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연료 주입 밸런싱 EBS와 전기 충전 밸런싱 MBS를 비교하여 연료 주입 밸런싱 EBS이 전기 충전 밸런싱 MBS 보다 큰 경우 'EBS-MBS' 만큼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추가 배터리 충전을 제안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연료 주입 밸런싱 EBS이 전기 충전 밸런싱 MBS 보다 작은 경우 추가 배터리 충전 제안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BS가 51%이고 MBS가 49%인 경우, 프로세서(160)는 2%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부(15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소모품 교체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및 에너지 밸런싱 정보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에 각각 기정해진 비중(%)을 반영하여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연산된 평균값을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결정된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표시부(15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차량 주행 중에도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예: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표시부(150)의 바탕화면에 항상 표시하거나 또는 바탕화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차량 주행 중에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프로세서(160)는 차량에서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가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의 작동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110). 작동 조건은 차량 전원 온(ON)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차량 전원 오프(OFF) 명령 입력이 있는 경우, 또는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 활성(동작) 요청이 있는 경우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또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20).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10) 및/또는 검출부(120)를 통해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또는 배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행 거리 정보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엔진과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주행한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또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정보는 연료 잔량 및/또는 연료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정보는 배터리 잔량 및/또는 전기 충전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료 가격 및 전기 충전 가격을 에너지 주입 가격으로 통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 정보 및/또는 연료 정보를 기반으로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S130). 프로세서(16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연료 주입 비용을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 정보 및/또는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S140). 프로세서(160)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전기 충전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또는 배터리 정보를 기반으로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계산할 수 있다(S150). 프로세서(160)는 [수학식 3]를 이용하여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연료 주입 비용, 전기 충전 비용 및/또는 총 에너지 주입 비용에 기반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S160). 프로세서(160)는 [수학식 4] 및 [수학식 5]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연료 주입 비용을 이용하여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 TDCtarget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추가로 모터를 사용하여 주행해야 하는 거리 즉,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S170). 프로세서(160)는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 출력 시 총 에너지 주입 비용, 연료 주입 비용 및/또는 전기 충전 비용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서버(20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150)의 화면 상에는 차량의 총 주행 거리,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총 에너지 주입 비용, 연료 주입 비용, 전기 충전 비용 및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배터리 충전 제안 기능이 온 된 경우에만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소모품 교환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프로세서(160)는 파워트레인 소모품의 교환 주기 및/또는 교환 시점 도래 여부 등을 표시부(15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오일, 에어 클리너 및 엔진 벨트 등의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 및 교환 시점까지 남은 주행 거리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 및 교환 시점까지 남은 주행 거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소모품 관리 측면에서 배터리 충전을 통해 모터를 사용할 때 소모품 교환 시점이 엔진 사용 대비 얼마나 유리한지를 수치화하여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소모품 교환 시점측면에서 모터 사용 시 유리한 정도는 도 5와 같이 주행 거리로 표시되거나 도 6과 같이 비율(예: 2배 또는 200% 등)로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에너지 밸런싱 기반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에너지 밸런싱 측면에서 엔진과 모터의 사용 비중 51%와 49%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엔진 사용 비중이 모터 사용 비중에 비하여 높은 경우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에너지 밸런싱 측면에서 추가로 필요한 배터리 충전 비율을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효율 고려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프로세서(160)는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효율적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소모품 교환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및 에너지 밸런싱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에 각각 기정해진 비중(가중치)을 반영하여 평균값을 연산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구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구한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표시부(150)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표시부 및 메모리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교환 주기 및 에너지 밸런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및 상기 연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잔량 및 연료 주입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 상기 배터리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 및 전기 충전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총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주입 비용 및 상기 전기 충전 비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료 주입 비용을 기반으로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결정하고,
    상기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국 평균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국 평균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유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충전소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를 표시하고,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고,
    상기 엔진 관련 소모품 및 상기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 측면에서 모터 사용 주행이 엔진 사용 주행에 비하여 얼마나 유리한지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의 제1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제2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크면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의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에너지 주입 비용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소모품 교환 주기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 및 에너지 밸런싱 기반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에 기정해진 각각의 비중을 반영하여 평균값을 연산하고, 연산된 평균값을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12. 주행 거리 정보, 연료 정보 및 배터리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 단계; 및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에너지 주입 비용, 소모품 교환 주기 및 에너지 밸런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한 배터리 충전 제안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단계는,
    주행 거리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엔진 사용 주행 거리, 모터 사용 주행 거리, 및 총 주행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연료 정보의 연료 잔량과 상기 배터리 정보의 배터리 잔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 정보의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배터리 정보의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국 평균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국 평균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유소 정보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충전소 정보에 포함된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연료 주입 가격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결제 내역에 포함된 연료 주입 가격 및 전기 충전 가격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엔진 사용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잔량 및 상기 연료 주입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연료 주입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모터 사용 주행 거리, 상기 배터리 잔량 및 상기 전기 충전 가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전기 충전 비용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총 주행 거리, 상기 연료 주입 비용, 및 상기 전기 충전 비용을 이용하여 단위 거리당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상기 연료 주입 비용을 기반으로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총 에너지 주입 비용을 달성하기 위한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모터 사용 주행 거리와 배터리 완전 충전 상태에서 주행 가능 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권장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19.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엔진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엔진 관련 소모품의 교환 주기를 표시하는 단계;
    모터 사용 주행 거리를 기반으로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 관련 소모품 및 상기 모터 관련 소모품의 교체 주기 측면에서 모터 사용 주행이 엔진 사용 주행에 비하여 얼마나 유리한지를 수치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 단계는,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엔진 연료 주입 에너지의 제1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전체 입력 에너지 대비 모터 전기 입력 에너지의 제2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비율이 상기 제2 비율 보다 크면 상기 제1 비율과 상기 제2 비율의 차이에 기반하여 추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함을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방법.
KR1020200141553A 2020-10-28 2020-10-28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20056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53A KR20220056934A (ko) 2020-10-28 2020-10-28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17/355,994 US11845354B2 (en) 2020-10-28 2021-06-23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DE102021207280.1A DE102021207280A1 (de) 2020-10-28 2021-07-0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informationen für ein hybrid-elektrofahrzeug
CN202110794578.9A CN114475638A (zh) 2020-10-28 2021-07-14 用于为混合动力电动车辆提供信息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53A KR20220056934A (ko) 2020-10-28 2020-10-28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934A true KR20220056934A (ko) 2022-05-09

Family

ID=8107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53A KR20220056934A (ko) 2020-10-28 2020-10-28 하이브리드 차량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5354B2 (ko)
KR (1) KR20220056934A (ko)
CN (1) CN114475638A (ko)
DE (1) DE1020212072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5431B2 (ja) * 2007-04-24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ネルギー補給量制御システム
US20140200793A1 (en) * 2013-01-16 2014-07-1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d displaying a fuel-equivalent distance-per-energy consumption 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75638A (zh) 2022-05-13
US20220126722A1 (en) 2022-04-28
US11845354B2 (en) 2023-12-19
DE102021207280A1 (de)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1997B1 (en) Hybrid vehicle, informing method for hybrid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the informing method
US8594871B2 (en) Vehicle battery diagnosis system, and vehicle
CN102602293B (zh) 用于显示电动模式状态的车辆仪表及方法
US8949009B2 (en) Driver display of energy consumption as a monetary rate
US20220024347A1 (en) Determining a minimum state of charge for an energy storage means of a vehicle
JP4668840B2 (ja) 電気自動車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417401B1 (ko) 전기자동차의 주행가능 거리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JP5718871B2 (ja) 充電システム、充電量管理装置、充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734336B (zh) 基于云的连接能量预算管理器
JP7380440B2 (ja) 車両診断システムおよび車両
CN103049942A (zh) 车内传感器数据的获取和集合的平均性能指标的呈报
US8749364B2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server,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3676507A (zh) 车辆监视装置、车辆监视方法及存储介质
US118453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hybrid electric vehicle
JP2021086191A (ja) 貸出システム、貸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215270A (ja) 燃費計算システム
US9180788B2 (en) Fuel-saving rating device and power amount management device
US11565580B2 (en) Controller for hybrid vehicle
JP2023028544A (ja) インセンティブ付与システム及びインセンティブ付与方法
CN111348045A (zh) 用于混合动力车辆的碳排放量的量化展示方法和装置
WO2023187966A1 (ja) 環境負荷評価装置、環境負荷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40071145A1 (en) Battery information guide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20240037629A1 (en) Ev fit modeling based on consumer data
CN117601869A (zh) 车辆的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520194A (zh) 车辆燃油续航里程估算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