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77A -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 Google Patents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77A
KR20220056677A KR1020200141470A KR20200141470A KR20220056677A KR 20220056677 A KR20220056677 A KR 20220056677A KR 1020200141470 A KR1020200141470 A KR 1020200141470A KR 20200141470 A KR20200141470 A KR 20200141470A KR 20220056677 A KR20220056677 A KR 202200566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noise
resonance chamber
flow pipe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101B1 (ko
Inventor
안병현
이진우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to KR1020200141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101B1/ko
Priority to PCT/KR2021/014304 priority patent/WO2022092645A1/ko
Publication of KR20220056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1Noise absorbers by inserting an elongated element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26Annular resonance chambers arranged concentrically to an exhaust passage and communicating with it, e.g. via at least one opening in the exhaust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관과 유동관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실을 연결하는 튜브를 이용하여 공명실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메타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외통; 상기 공명실의 내부에서 상기 유동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튜브; 상기 유동관과 상기 튜브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 및 상기 튜브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와 상기 공명실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METAMATERIAL MUFFLER FOR NOISE REDUCTION IN LOW FREQUENCY}
본 발명은 메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동관과 유동관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실을 연결하는 튜브를 이용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저주파 대역의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 저감장치는 이미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하나인 흡음재를 사용하는 흡음형은 고주파 영역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저주파 영역에서는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흡음재의 비산 문제와 습기나 열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유동관의 형상 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을 이용하여 음파를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반사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반사형으로는 배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킨 형태인 확장관이나 천공관을 이용한 모델들이 있지만, 배관의 단면적 변화 정도에 따라 소음 성능이 직결되기 때문에 크기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장치는 유동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를 배관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공명기의 경우 각 배관 사이의 위치 관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등 여러 설계 조건에 의해 그 크기가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타겟 주파수에 속하지 않는 소음의 저감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고,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유동관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큰 공명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때문에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최근 기술동향과도 거리가 멀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867호(2017.10.1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유동관과 유동관 외측에 배치되는 공명실을 연결하는 튜브를 이용하여 공명실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고, 상대적으로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메타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외통; 상기 공명실의 내부에서 상기 유동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튜브; 상기 유동관과 상기 튜브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 및 상기 튜브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와 상기 공명실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단면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관통홀까지의 거리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관통홀의 수량은,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 내부에서 상기 유동관과 상기 외통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은 복수의 서브 공명실로 구획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서브 공명실에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관과 공명실을 연결하는 연결유로, 튜브 및 관통홀을 통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관과 공명실을 연결하는 연결유로, 튜브 및 관통홀을 통하여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된 부피를 가지는 공명실에도 불구하고, 튜브 및 관통홀만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으로 감쇠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쇠할 수 있기 때문에, 머플러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한된 크기를 가지는 머플러의 설계 변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메타 머플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크기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단면 크기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로와 튜브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까지의 거리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의 수량이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공명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메타 머플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유동관(110)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유동관(110), 외통(120), 튜브(130), 연결유로(140) 및 관통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관(110)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며, 유동방향(A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동관(110)의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는 액체, 기체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인 공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을 원형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통(120)은 유동관(110)을 감싸도록 유동관(1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유동관(110)의 외측으로 유동관(11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에는 공명실(S)이 형성될 수 있다.
외통(120)은 메타 머플러(1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유동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통(120)의 단면 형상을 유동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외통(12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유동관(110)과 외통(120)은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튜브(130)는 공명실(S)의 내부에 배치되며, 유동관(1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튜브(130)는 유동관(110)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외통(12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튜브(130)는 유동관(110)의 형성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형 형상의 유동관(110)과 대응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130)는 미리 설정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튜브(130)의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튜브(130)의 크기는 유동관(110)의 중심(c)에서 튜브(130)의 중심까지의 거리(b1,b2)로 정의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튜브(130)는 상대적으로 유동관(11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외통(120)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13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튜브(130)의 단면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즉,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튜브(130)의 단면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40)는 유동관(110)과 튜브(130)를 연통시킨다. 유동관(11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연결유로(140)를 통하여 튜브(130)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140)는 유동방향(A1)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관(110)과 튜브(130)를 연결하는 파이프 구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140)는 유동관(110)의 둘레를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관(110)과 튜브(130)를 연결하는 하나의 연결유로(140)를 형성하고 있다.
관통홀(150)은 튜브(130)의 표면에 관통하여 형성되고, 튜브(130)와 공명실(S)을 연통시킨다. 튜브(13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는 관통홀(150)을 통하여 공명실(S)로 유입될 수 있다.
관통홀(150)은 유동방향(A1)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방향(A1)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50)은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150)까지의 거리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150)이 구비될 경우, 각 관통홀(150)은 균등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130) 내의 유체는 유동관(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공명실(S) 측으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튜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150)이 구비될 경우, 튜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관통홀(150)의 수량은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튜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150)은 각각 관통홀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링 형상의 튜브(130)가 구비될 경우 링 형상의 튜브(130)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130) 내의 유체는 튜브(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공명실(S) 측으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통(120)을 대향하는 튜브(130)의 외측 표면과 유동관(110)을 대향하는 튜브(130)의 내측 표면에 2개의 관통홀(150)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튜브(130) 내의 유체는 튜브(1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공명실(S) 측으로 균등하게 유입될 수 있고, 관통홀(150)을 통하여 공명실(S)로 유입될 시 유동방향(A1)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한된 부피를 가지는 공명실(S)의 부피에 대해 유동관(110)과 공명실(S)을 연결하는 튜브(130) 및 관통홀(150)을 이용하여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유효 길이를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한된 부피를 가지는 공명실(S)의 부피에 대해 유동관(110)과 공명실(S)을 연결하는 튜브(130) 및 관통홀(150)만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감쇠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크기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130)의 크기(b1,b2)를 조절함으로써,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조절 및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만일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튜브(130)의 크기(b1)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반대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튜브(130)의 크기(b2)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브의 단면 크기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130)의 단면 크기(c1,c2)를 조절하는 것으로도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조절 및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5의 (a)에서와 같이, 만일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튜브(130)의 단면 크기(c1)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넓이를 작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반대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튜브(130)의 단면 크기(c2)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넓이를 크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로와 튜브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까지의 거리가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150)까지의 거리(d1,d2)를 조절하는 것으로도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조절 및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와 같이, 만일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150)까지의 거리(d1)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와 같이, 반대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150)까지의 거리(d2)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길이를 짧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통홀의 수량이 조절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관통홀(150)의 수량을 조절하는 것으로도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조절 및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7의 (a)에서와 같이, 만일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 관통홀(150)의 수량(4개의 관통홀이 도시됨)을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넓이를 작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와 같이, 반대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 관통홀(150)의 수량(8개의 관통홀이 도시됨)을 상대적으로 많이 형성하면, 헬름홀츠 공명기의 목(구멍)의 넓이를 크게 설정하는 것과 대응될 수 있기에 상대적으로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격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타 머플러(100)는 공명실(S)의 내부에 배치되며, 튜브(1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격벽(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격벽(160)은 유동관(110)과 튜브(1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외통(120)과 튜브(130)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격벽(160)은 유동관(110)과 튜브(130) 및 외통(120)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격벽(160)을 통하여 튜브(130)는 공명실(S)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위치가 보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2개의 고정격벽(160)을 구비하고 있으나, 고정격벽(160)은 유동관(110)을 둘레를 따라 3개 이상의 수량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격벽(160)에 의해 공명실(S)은 복수의 공명실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고정격벽(160)에 의하여 공명실(S)은 고정격벽(160)을 중심으로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격벽(160)이 구비될 경우 연결유로(140)는 고정격벽(16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공명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공명실(S)은 유동관(110)과 외통(120)에 대해 유동방향(A1)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명실(S)은 유동방향(A1)을 따라 복수의 서브 공명실(S1,S2,S3,S4,S5,S6)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연결유로(140)와 복수 개의 튜브(130)가 유동방향(A1)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각 튜브(130)의 주변 영역에는 복수의 서브 공명실(S1,S2,S3,S4,S5,S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서브 공명실(S1,S2,S3,S4,S5,S6)을 형성하는 튜브(130) 및 관통홀(150)을 서로 다르게 설계 변경함으로써, 각 서브 공명실(S1,S2,S3,S4,S5,S6)에서 감쇠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각 서브 공명실(S1,S2,S3,S4,S5,S6)을 형성하는 튜브(130)의 크기, 튜브(130)의 단면 크기, 연결유로(140)와 튜브(130)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관통홀(150)까지의 거리, 관통홀(150) 수량 등을 개별적으로 조절 및 설정함으로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보다 광대역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제한된 부피를 가지는 공명실(S)에도 불구하고, 튜브(130) 및 관통홀(150)만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타겟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쇠할 수 있기 때문에, 머플러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메타 머플러
110: 유동관
120: 외통
130: 튜브
140: 연결유로
150: 관통홀
S: 공명실

Claims (7)

  1.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과의 사이에 공명실을 형성하는 외통;
    상기 공명실의 내부에서 상기 유동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튜브;
    상기 유동관과 상기 튜브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 및
    상기 튜브의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와 상기 공명실을 연통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단면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튜브가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관통홀까지의 거리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의 수량은,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형성되고, 상기 타겟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 내부에서 상기 유동관과 상기 외통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실은 복수의 서브 공명실로 구획되고,
    상기 서브 공명실에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KR1020200141470A 2020-10-28 2020-10-28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KR102487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70A KR102487101B1 (ko) 2020-10-28 2020-10-28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PCT/KR2021/014304 WO2022092645A1 (ko) 2020-10-28 2021-10-15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70A KR102487101B1 (ko) 2020-10-28 2020-10-28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77A true KR20220056677A (ko) 2022-05-06
KR102487101B1 KR102487101B1 (ko) 2023-01-10

Family

ID=8138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470A KR102487101B1 (ko) 2020-10-28 2020-10-28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87101B1 (ko)
WO (1) WO202209264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556A (ja) * 1994-08-31 1996-03-19 Calsonic Corp 消音器
JPH11101121A (ja) * 1997-09-29 1999-04-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消音器
JP2001214726A (ja) * 2000-02-02 2001-08-10 Sakamoto Industry Co Ltd 内燃機関用消音器
KR20090084594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티비엠 소음기
US20150345497A1 (en) * 2014-06-02 2015-12-03 Ingersoll-Rand Company Compressor system with resonator
KR20170112867A (ko) 2016-03-28 2017-10-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US20180142588A1 (en) * 2015-07-23 2018-05-24 Mann+Hummel Gmbh Silencer and vehicle engine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9889A (ja) * 1996-11-26 1998-06-16 Nissan Motor Co Ltd 流体マウント
KR20050104922A (ko) * 2004-04-30 2005-11-03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소음기
KR20100116395A (ko) * 2009-04-22 2010-11-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설비의 소음저감장치
KR101598681B1 (ko) * 2014-02-13 2016-02-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556A (ja) * 1994-08-31 1996-03-19 Calsonic Corp 消音器
JPH11101121A (ja) * 1997-09-29 1999-04-1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消音器
JP2001214726A (ja) * 2000-02-02 2001-08-10 Sakamoto Industry Co Ltd 内燃機関用消音器
KR20090084594A (ko) * 2008-02-01 2009-08-05 주식회사 티비엠 소음기
US20150345497A1 (en) * 2014-06-02 2015-12-03 Ingersoll-Rand Company Compressor system with resonator
US20180142588A1 (en) * 2015-07-23 2018-05-24 Mann+Hummel Gmbh Silencer and vehicle engine including same
KR20170112867A (ko) 2016-03-28 2017-10-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101B1 (ko) 2023-01-10
WO2022092645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2962B2 (en) Sound absorber having helical fixtures
JPH0578040B2 (ko)
KR20150095437A (ko) 차량용 공명기
EP3098413B1 (en) An acoustic attenuator for damping pressure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n engine
KR101339421B1 (ko) 선박용 소음기
US4333544A (en) Muffler for combustion engines
US5677518A (en) Device for deadening sound in pipelines
KR20150095435A (ko) 차량용 공명기
JP5074099B2 (ja) サイレンサ
WO2014102747A1 (en) A broadband silencer
KR102463931B1 (ko) 광대역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KR20220056677A (ko)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KR102457169B1 (ko) 메타 구조체 기반 소음기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102415416B1 (ko) 프랙탈 구조의 메타 머플러
JP2011236890A (ja) ターボ圧縮機用消音器および消音器の配置方法
KR102343412B1 (ko) 머플러
KR102415417B1 (ko)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583152B1 (ko) 음향 메타 구조체
KR102486995B1 (ko) 소음 저감 연결 배관
JP2009209854A (ja) 消音器
JPH10252442A (ja) 内燃機関用消音器
KR102312460B1 (ko) 반도체 진공펌프용 소음장치
US3710892A (en) Transverse tuning tube
US11902738B2 (en) Phasing plug adap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