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329A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329A
KR20180137329A KR1020170076872A KR20170076872A KR20180137329A KR 20180137329 A KR20180137329 A KR 20180137329A KR 1020170076872 A KR1020170076872 A KR 1020170076872A KR 20170076872 A KR20170076872 A KR 20170076872A KR 20180137329 A KR20180137329 A KR 2018013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inlet
exhaust pipe
surround
effectiv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728B1 (ko
Inventor
박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728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specially adapted for marine propulsion, i.e. for receiving simultaneously engine exhaust gases and engine cool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는 소음기가 제공된다. 상기 소음기는 서로 분리된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포함하는 배기관; 상기 제1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1 유효길이를 갖는 제1 공명기; 및 상기 제2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효길이와 다른 제2 유효길이를 갖는 제2 공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음기{Silencer}
본 발명은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는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동력수단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이나 스팀 터빈 등이 있다. 이러한 디젤 엔진이나 스팀 터빈 등은 구동할 때, 고온/고압의 배기가스가 발생하고 이를 선박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엔진에서 발생하는 폭발음이 배기관을 타고 전달되어 배출구에서 방사되는데 이러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배기관에는 소음기(silencer)가 설치된다. 이러한 소음기는 소음을 제거하는 방식에 따라 흡음형, 반사형 등으로 크게 분류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21730호 (2016년02월26일)
한편, 기존의 흡음형 소음기를 사용할 경우, 넓은 범위의 고주파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배기관 내부의 고압고속 유동으로 인하여 소음기 내부의 흡음재가 이탈될 수 있다. 이는 배기관 내부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또한 흡음재 이탈시 소음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흡음재는 습기를 함유할 수 있으므로 배관에는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는 소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기의 일 면(aspect)은, 서로 분리된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포함하는 배기관; 상기 제1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1 유효길이를 갖는 제1 공명기; 및 상기 제2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효길이와 다른 제2 유효길이를 갖는 제2 공명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사이에 제1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명기는 상기 제1 분리 격벽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공명기의 종단과, 상기 제2 공명기의 종단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공명기 및 상기 제2 공명기는 흡음재를 미포함한다.
상기 배기관은 서로 분리된 제3 입구 및 제4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3 유효길이를 갖는 제3 공명기; 및 상기 제4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4 유효길이를 갖는 제4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효길이 내지 상기 제4 유효길이는 서로 다르다.
상기 제3 공명기와 상기 제4 공명기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사이에 제1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입구와 상기 제4 입구 사이에 제2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4 입구 사이에 제3 분리 격벽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공명기와, 상기 제4 공명기 사이에 배치된 홀 캐버티(hole cavity) 공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와 다른 제5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효길이와 다른 제5 유효길이를 갖는 제5 공명기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선박 내에 설치된 소음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 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소음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선박 내에 설치된 소음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은 다양한 형태의 동력원을 이용할 수 있고, 동력원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 스팀 터빈, 복합화력 발전(예를 들어, 가스 터빈과 스팀 터빈을 포함)일 수 있다.
배기관(99)은 디젤 엔진이나 스팀 터빈 등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선박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라인이다. 이러한 배기가스는 고온/고압일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소음기(100)는 흡음재를 미사용하는 반사형 소음기일 수 있다. 특히, 소음기(100)는 다양한 유효길이(effective length)를 갖는 다수의 공명기를 포함하여,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다. 다수의 공명기는 직렬 및 병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다수의 공명기 각각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는 입구(또는, 홀)을 가지고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 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소음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소음기(100)는 배기관(99), 다수의 공명기(101~108), 홀 캐버티 공명기(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공명기(101~108)는 배기관(99)의 외측벽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의 소음을 줄인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8개의 공명기(101~108)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 4개, 6개, 10개의 공명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공명기(101~108)는 사이드 브랜치 타입(side branch type)일 수 있다.
배기관(99)에는 서로 분리된 다수의 입구(즉, 홀)(91~98)을 포함한다. 다수의 입구(91~98)은 서로 오버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다수의 공명기(101~108)는 직렬 및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공명기(101) 및 제2 공명기(102)(이하, "제1 유닛(201)"이라 함)는 병렬로, 제3 공명기(103) 및 제4 공명기(104)(이하, "제2 유닛(202)"이라 함)는 병렬로, 제5 공명기(105) 및 제6 공명기(106)(이하, "제3 유닛(203)"이라 함)는 병렬로, 제7 공명기(107) 및 제8 공명기(108)(이하, "제4 유닛(204)"이라 함)는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닛(201), 제2 유닛(202), 제3 유닛(203), 제4 유닛(204)은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각 유닛(201~204)은 병렬 배치된 2개의 공명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공명기가 병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유닛(201)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공명기(101)는 배기관(99)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1 입구(91)와 연결되고, 제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2 공명기(102)는 제1 공명기(101)와 배기관(99)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2 입구(92)와 연결되고, 제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2 공명기(102)는 제1 공명기(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1 입구(91)와 제2 입구(92)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입구(91)와 제2 입구(92) 사이에 제1 분리 격벽(131)이 형성된다. 제2 공명기(102)는 제1 분리 격벽(131)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오랜 실험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2개의 공명기가 입구(또는 홀)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즉, 2개의 공명기의 입구가 서로 오버랩되는 경우), 2개의 공명기에 음향 모드가 발생하여 일정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오히려 소음이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에서, 제1 공명기(101) 및 제2 공명기(102)의 입구(91, 92)을 분리하여, 음향 모드의 발생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유닛(202)에서, 제3 공명기(103)는 배기관(99)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3 입구(93)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4 공명기(104)는 제3 공명기(103) 및 배기관(99)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제4 입구(94)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4 공명기(104)는 제3 공명기(10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3 입구(93)와 제4 입구(94)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3 입구(93)와 제4 입구(94) 사이에 제2 분리 격벽(132)이 형성된다. 제4 공명기(104)는 제2 분리 격벽(132)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입구(92)와 제4 입구(94)를 분리하도록, 제2 입구(92)와 제4 입구(94) 사이에 제3 분리 격벽(133)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리 격벽(131, 132, 133)을 사용하는 이유는, 한정된 좁은 영역에서 다수의 입구(91~94)가 서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분리 격벽(131, 133)을 사용하면, 유효길이를 확보하는 데도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명기(101)의 유효길이는 EL1이고, 제2 공명기(102)의 유효길이는 EL2라고 하자. 제2 공명기(102)는 제1 공명기(10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2 공명기(102)는 제1 분리 격벽(131)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공명기(102)의 유효길이(EL2)는 제1 분리 격벽(131)의 길이만큼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공명기(101)의 종단(101a)과 제2 공명기(102)의 종단(102a)이 동일 평면(T) 상에 위치하더라도, 제2 공명기(102)의 유효길이(EL2)를 제1 공명기(101)의 유효길이(EL1)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3 유닛(203)에서, 제5 공명기(105)는 배기관(99)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5 입구(95)와 연결되고, 제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6 공명기(106)는 배기관(99)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6 입구(96)와 연결되고, 제1 방향(DR1)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6 공명기(106)는 제5 공명기(105)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5 입구(95)와 제6 입구(96)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5 입구(95)와 제6 입구(96) 사이에 제4 분리 격벽(134)이 형성된다. 제6 공명기(106)는 제4 분리 격벽(134)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4 유닛(204)에서, 제7 공명기(107)는 배기관(99)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7 입구(97)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8 공명기(108)는 배기관(99)의 일부를 둘러싸고 제8 입구(98)와 연결되고, 제2 방향(DR2)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8 공명기(108)는 제7 공명기(107)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7 입구(97)와 제8 입구(98)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7 입구(97)와 제8 입구(98) 사이에 제5 분리 격벽(135)이 형성된다. 제8 공명기(108)는 제5 분리 격벽(135)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6 입구(96)와 제8 입구(98)을 분리하도록, 제6 입구(96)와 제8 입구(98) 사이에 제6 분리 격벽(136)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다수의 공명기(101~108)의 유효길이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각각의 공명기(101~108)의 유효길이에 따라, 감음할 수 있는 주파수가 달라진다. 따라서, 유효길이가 다른 다수의 공명기(101~108)가 설치됨으로써,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공명기(101~108)가 좁은 영역에서 병렬 및 직렬로 적절히 배치됨으로써, 최대의 효율로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감음할 수 있다.
제2 유닛(202)과 제3 유닛(203) 사이에, 홀 캐버티(hole cavity) 공명기(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고하면, x축은 주파수이고, y축은 감음 정도이다.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의 감음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400)를 보면, 일부 주파수 대역(D1~D4)에서 소음 저감 효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D1~D4에서 점선 참조). 홀 캐버티 공명기(110)는 소음 저감이 필요한 주파수 영역 및 소음 저감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간격의 입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홀 캐버티 공명기(110)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의 감음 정도를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만들 수 있다(도면부호 F1~F4 참조, 소음 정도가 점선에서 실선으로 변경됨을 참조).
한편, 도 2에서는 홀 캐버티 공명기(110)가 제2 유닛(202)과 제3 유닛(203)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유닛(201)과 제2 유닛(202) 사이에 배치되거나, 제3 유닛(203)과 제4 유닛(20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흡음재를 미포함한다. 즉, 고속/고압의 배기관은 넓은 고주파수 영역에서 높은 소음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흡음재를 사용하기 어렵다. 흡음재가 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인 반사형 소음기는 한정된 주파수 영역에서만 소음 저감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고속/고압의 배기관에 사용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100)는, 흡음재를 미포함하고, 압력 손실이 거의 없으며 넓은 고주파수 영역에서 소음 저감 효과를 갖는 순수한 반사형 소음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200)는, 홀 캐버티 공명기(도 2의 110)를 미포함한다. 홀 캐버티 공명기(110)가 없더라도 다수의 공명기(101~108)를 이용하여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소음 저감 효과가 있는 경우에는, 홀 캐버티 공명기(110)을 생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유닛(예를 들어, 201, 202)이 각각 3개 이상의 공명기가 병렬로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제1 유닛(201)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공명기(101, 102, 301)를 포함하고, 제2 유닛(202)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공명기(103, 104, 302)를 포함한다.
모든 공명기(101, 102, 301, 103, 104, 302)는 서로 공유하지 않는 입구(91, 92, 93, 94, 191, 192)를 포함한다.
이웃하는 입구(91, 92, 93, 94, 191, 192) 사이에는 분리 격벽(131, 132, 231, 232, 233)이 배치된다. 즉, 입구(91, 92) 사이에는 분리 격벽(131)이 배치되고, 입구(92, 191) 사이에는 분리 격벽(231)이 배치되고, 입구(191, 192) 사이에는 분리 격벽(233)이 배치되고 입구(192, 94) 사이에는 분리 격벽(232)이 배치되고 입구(93, 94) 사이에는 분리 격벽(132)이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는 다른 유닛(도 2의 203, 204 참조)도 2개 이상의 공명기가 병렬로 적층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91~98, 191, 192: 입구
99: 배기관
101~108, 301, 302: 공명기
131~136, 231~233: 분리 격벽
201~204: 유닛
100, 200, 300: 소음기

Claims (8)

  1. 서로 분리된 제1 입구 및 제2 입구를 포함하는 배기관;
    상기 제1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1 유효길이를 갖는 제1 공명기; 및
    상기 제2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유효길이와 다른 제2 유효길이를 갖는 제2 공명기를 포함하는 소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사이에 제1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공명기는 상기 제1 분리 격벽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소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기의 종단과, 상기 제2 공명기의 종단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소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기 및 상기 제2 공명기는 흡음재를 미포함하는 소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서로 분리된 제3 입구 및 제4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3 유효길이를 갖는 제3 공명기; 및
    상기 제4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제4 유효길이를 갖는 제4 공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효길이 내지 상기 제4 유효길이는 서로 다른 소음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명기와 상기 제4 공명기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 사이에 제1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3 입구와 상기 제4 입구 사이에 제2 분리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4 입구 사이에 제3 분리 격벽이 형성되는 소음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명기와, 상기 제4 공명기 사이에 배치된 홀 캐버티(hole cavity) 공명기를 더 포함하는 소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와 다른 제5 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입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공명기 및 상기 배기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유효길이와 다른 제5 유효길이를 갖는 제5 공명기를 포함하는 소음기.
KR1020170076872A 2017-06-16 2017-06-16 소음기 KR101954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72A KR101954728B1 (ko) 2017-06-16 2017-06-16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872A KR101954728B1 (ko) 2017-06-16 2017-06-16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29A true KR20180137329A (ko) 2018-12-27
KR101954728B1 KR101954728B1 (ko) 2019-03-06

Family

ID=6495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72A KR101954728B1 (ko) 2017-06-16 2017-06-16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67A (ko) * 2021-02-10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605Y2 (ja) * 1989-10-31 1995-12-18 株式会社土屋製作所 消音器
JP2006283625A (ja) * 2005-03-31 2006-10-19 Yamaguchi Univ 高周波音低減消音器
JP4573463B2 (ja) * 2001-04-04 2010-11-04 フタバ産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マフラ
KR20110110599A (ko) * 2010-04-01 2011-10-07 김영태 자동차 머플러
KR20120016702A (ko) * 2010-08-17 2012-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배기가스 소음기
KR20150095437A (ko) * 2014-02-13 2015-08-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60016556A (ko) * 2014-08-05 2016-02-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60021730A (ko) 2014-08-18 2016-02-26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소음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4605Y2 (ja) * 1989-10-31 1995-12-18 株式会社土屋製作所 消音器
JP4573463B2 (ja) * 2001-04-04 2010-11-04 フタバ産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マフラ
JP2006283625A (ja) * 2005-03-31 2006-10-19 Yamaguchi Univ 高周波音低減消音器
KR20110110599A (ko) * 2010-04-01 2011-10-07 김영태 자동차 머플러
KR20120016702A (ko) * 2010-08-17 2012-0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배기가스 소음기
KR20150095437A (ko) * 2014-02-13 2015-08-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60016556A (ko) * 2014-08-05 2016-02-1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60021730A (ko) 2014-08-18 2016-02-26 미우라고교 가부시키카이샤 소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267A (ko) * 2021-02-10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음저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728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553B2 (en) Silenc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40080644A (ko) 듀얼 머플러
US7350620B2 (en) Compact silencer
EP2354482B1 (en) Exhaust muffler device
EP3098413B1 (en) An acoustic attenuator for damping pressure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n engine
KR101339421B1 (ko) 선박용 소음기
KR101954728B1 (ko) 소음기
US7503427B2 (en) Muffler
JP2008291978A (ja) サイレンサ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100501449B1 (ko) 소음 감쇄 주파수 가변용 전치 소음 장치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WO2014076355A1 (en) An exhaust gas noise attenuator unit for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JP2009209854A (ja) 消音器
KR102629056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629055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629059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20137094A (ko) 차량용 소음기
KR101692579B1 (ko) 복수 유로를 가지는 차량용 소음기
KR102240036B1 (ko) 다중 사이드 브랜치를 흡음재 상에 형성한 유체 소음기
KR100288234B1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SU9397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глушени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KR100311132B1 (ko) 내연기관의 레조네이터
US9004225B2 (en) Silenc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20150071774A (ko) 차량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