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056B1 -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056B1
KR102629056B1 KR1020190173309A KR20190173309A KR102629056B1 KR 102629056 B1 KR102629056 B1 KR 102629056B1 KR 1020190173309 A KR1020190173309 A KR 1020190173309A KR 20190173309 A KR20190173309 A KR 20190173309A KR 102629056 B1 KR102629056 B1 KR 10262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silencer
exhaust gas
expansion tube
sc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097A (ko
Inventor
이승하
박노준
박주현
김병옥
서문혁
이수규
이수태
진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0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26Annular resonance chambers arranged concentrically to an exhaust passage and communicating with it, e.g. via at least one opening in the exhaust pass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arine vessels or naval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는, 일측에는 배기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부와,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울림 공간이 형성되며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을 포함하는 확장관과, 확장관의 내부에서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바디부와 상기 확장관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SILENCER WITH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YSTEM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설치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대기 중으로 그대로 방출되면 엔진 소음도 대기 중으로 방사되어 작업 및 거주 환경의 질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선박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엔진 배기 소음을 방지할 목적으로 배기가스의 배출 경로 상에 소음기(Silencer)가 설치된다.
또한 최근 환경 규제로 인해 탈질 시스템인 SCR(선택적 환원 촉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장치를 설치하는 선박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SCR 장치와 선박용 엔진 배기 소음기는 직렬로 배치한다.
이 경우, SCR 장치는 높이 약 3m, 소음기는 약 6m로 인해 설치 장소의 공간상의 문제와 높이 방향으로 지지 구조물이 계속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개별적으로 구매와 관리 및 설치를 해야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엔진의 배기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고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한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측에는 배기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와,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부와,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울림 공간이 형성되며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을 포함하는 확장관과, 확장관의 내부에서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바디부와 확장관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개구부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타공부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관은, 유입부로부터 타공부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1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전단 확장관과, 배출부 위치로부터 타공부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1 울림 공간과 연통된 제2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후단 확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확장관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1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단 확장관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2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의 내부에는 SCR 촉매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의 내부에는 배출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타공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배관은,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2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SCR 촉매부는, 유입부의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촉매부와 제1 촉매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촉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제1 촉매부와 상기 제2 촉매부의 사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선박은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와 소음기에 배기관으로 연결되는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SCR 시스템이 설치된 바디부에 소음 저감 대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길이로 내부에 울림 공간이 형성된 확장관을 설치하여, 배기 가스가 전달하는 엔진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 가스의 소음의 저감을 위한 확장관을 바디부의 측면에 병렬 상태의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바, 전체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정된 설치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가 선박의 엔진의 배기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가 선박의 엔진의 배기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C-C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E-E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F-F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G-G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H-H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등에 설치된 엔진(1)의 배기관(3)에 설치되어,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산화물(NOx)을 인체에 무해한 질소와 수증기로 환원시키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시스템을 포함하며 소음 저감 작용이 함께 가능한 일체형의 장치를 포함한 선박을 말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가 선박의 엔진의 배기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가 선박의 엔진의 배기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의 A-A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의 B-B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C-C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100)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부(20)가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울림 공간이 형성된 확장관(30)과, 확장관(30)의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바디부(10)와 확장관(30)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포함한다.
확장관(30)의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타공부(4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 들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에는 환원제 분사부(미도시)와 SCR 촉매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바디부(10)는 배기 가스가 이동되는 배기관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오염 물질이 저감된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연결될 수 있다.
SCR 촉매부(20)는 선택적 환원 촉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를 말하는 것으로,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질소 산화물 등의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SCR 촉매부(20)는 바디부(10)의 내부에 2단으로 설치되고 1단과 2단이 서로간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SCR 촉매부(20)는 바디부(10)의 내부에 1단 또는 3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 단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 가스를 통해 엔진의 소음이 전달되며, 이러한 소음의 제거를 위해 바디부(10)에는 확장관(30)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관(30)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기 가스가 전달하는 소음의 저감을 위한 울림 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부(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울림 공간(31)은 바디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확장관(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울림 공간(31)이 형성되는 것은 바디부(10)로 유입된 배기 가스의 저주파 대역의 소음을 감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바디부(10)의 외부에 울림 공간(31)이 내부에 형성된 확장관(30)이 설치는 바, 배기관을 통해 바디부(10)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울림 공간(31)의 내부로 전파되면서, 배기 가스에 동반된 저주파수 대역의 소음 성분의 감쇄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확장관(30)은 바디부(10)의 외부를 따라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확장관(30)의 형성된 길이는 배기 가스의 소음의 저감을 위한 설정된 주파수가 발생하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관(30)은 바디부(10)의 측면에서 타공부(40)를 포함한 바디부(10)의 측면에 연장되는 것으로,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1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감시키고자 하는 소음 성분의 제1 주파수의 파장이 15m인 경우, 확장관(30)의 길이는 3 내지 5m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관(30)은 바디부(10)의 측면에 사각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의 관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물론 확장관(30)은 직육면체의 관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 일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확장관(30)의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는 다수개의 관통홀(41)을 포함하는 타공부(40)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개구부와 타공부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타공부(40)는 확장관(30)의 내부 울림 공간(31)이 배기 가스의 배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하도록 음향학적으로 효과적인 반응이 이루어지도록 바디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타공부(40)는 배기 가스에서 발생되는 소음 성분에 대응하여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4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공부(40)는 바디부(10)에서 배출부(13)가 연결된 근접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외면에 설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부(40)가 바디부(10)에서 형성된 위치는 소음 감쇄를 위한 배기 가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형성된 위치가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타공부(40)는 바디부(10)에 설치된 유입부(11)를 기준 위치로 하여, 소음 저감하고자 하는 목표의 주파수에 대응한 길이로 형성된 확장관(30)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외부에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는 바, 확장관(30)의 울림 공간(31)에서 소음 저감을 위한 음향학적인 반응이 보다 원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의 내부에는 SCR 촉매부(20)와 배출부(13)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50)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50)은 SCR 촉매부(20)를 통과한 배기 가스가 배출부(13)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타공부(40)에 연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 연결관(50)의 내부와 확장관(30)의 울림 공간(31)을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타공부(40)는 연결관(50)이 설치된 위치에서 연결관(50)의 폭과 길이의 크기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로 형성되어, 연결관(50)의 내부와 울림 공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연결관(50)의 상측과 바디부(10)의 내벽면과의 사이와, 연결관(50)의 하측과 바디부(10)의 내벽면 사이의 각각에 흡음재(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흡음재(60)는 바디부(10)를 통과하여 SCR 촉매부(20)에서 이물질 제거 작용이 완료된 배기 가스가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소음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배출부(13)에는 서브 타공판(7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타공판(70)은 바디부(1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부(13)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부(13)의 직경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타공판(70)은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는 소음의 추가적인 저감과 확장관(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저감 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100)는, SCR 촉매부(20)가 설치된 바디부(10)에 소음 저감 대상의 주파수 파장의 1/3 내지 1/5의 길이를 갖고, 내부에 울림 공간(31)이 형성된 확장관(30)을 설치한다. 그리고, 확장관(30)의 내부에 울림 공간(31)의 소음 저감의 반응성 향상을 위한 타공부(40)가 형성되는 바, SCR 촉매부(20)를 통한 배기 가스의 이물질 제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기 가스의 소음의 저감을 위한 확장관(30)을 바디부(10)의 측면에 병렬 상태의 일체형으로 설치하는 바, 전체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정된 설치 공간에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D-D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200)는, 바디부(10)의 내부에는 배출부(13)와의 사이에 연장 배관(110)이 설치될 수 있다.
연장 배관(110)은 일측은 배출부(13)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SCR 촉매부(2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장 배관(110)은 제1 실시예의 흡음재(60)와 연결관(50)을 삭제한 상태로 바디부(10)의 내부에서 배출부(13)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배관(110)은 배출부(13)가 설치된 근접 위치에서 바디부(10)의 내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바, 확장관(30)에 의한 소음 감소 작용에 더해 배기 가스가 연장 배관(110)을 통해 배출부(13)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음 저감 작용이 더욱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 배관(110)의 설치된 길이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저감 대상 소음의 제2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배관(100)은 확장관(30)과 더불어 주파수가 상이한 제1 주파수와 제2 주파수 각각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함께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타공부(40)는, 연장 배관(110)의 길이와 바디부(10)의 폭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서 바디부(10)의 내부와 확장관(30)의 울림 공간(31) 사이에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4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실시예의 타공부(40)는 제1 실시예의 타공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0의 E-E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F-F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300)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부(20)가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형성된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울림 공간이 형성된 확장관(230)과, 확장관(230)의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타공부(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확장관(230)은, 유입부(11)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전단 확장관(231)과 배출부(13)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후단 확장관(233)을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확장관(231)은 바디부(10)의 측면에서 유입부(11)와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 형성된 부분이고, 후단 확장관(233)은 배출부(13)와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 형성된 부분을 말한다.
전단 확장관(231)은 내부에 제1 울림 공간(232)이 내부에 형성되어 SCR 촉매부(20)의 배기 가스의 이물질 제거 과정에서 발생된 소음을 저감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바디부(10)의 전단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단 확장관(231)은 바디부(10)에서 유입부(11)가 형성된 위치에서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단 확장관(231)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3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단 확장관(233)은 전단 확장관(30)의 제1 울림 공간(232)에 연통되는 제2 울림 공간(234)이 내부에 형성된 상태로 바디부(10)의 후단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후단 확장관(233)은 바디부(10)에서 배출부(13)가 형성된 위치에서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단 확장관(233)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4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단 확장관(233)의 길이는 타공부(240)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 각각의 길이는 엔진 배기 소음 저감을 위한 제3/제4의 주파수의 소음 감쇄 작용이 가능한 길이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의 사이 위치에는 타공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은 본 실시예에서 동일 길이로 바디부(10)의 외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타공부(240)는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외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단 확장관(233)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참조번호 241은 관통홀을 말한다.
이와 같이 타공부(240)가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에 형성되는 바,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된 배기 가스의 소음 저감을 목표로 하는 복수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원활한 배기가스의 소음 저감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는 SCR 촉매부(20)와 배출부(13)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1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210)은 SCR 촉매부(20)를 통과한 배기 가스가 배출부(13)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측면에는 타공부(240)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 연결관(210)의 내부와 확장관(230)의 울림 공간을 서로 간에 연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타공부(240)는 연결관(210)이 설치된 위치에서 연결관(210)의 폭과 후단 확장관(233)의 길이의 크기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41)로 형성되는 바, 연결관(210)의 내부와 울림 공간 사이를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의 내부에는 연결관(210)의 상측과 바디부(10)의 내벽면과의 사이 위치와, 연결관(210)의 하측과 바디부(10)의 내벽면 사이 위치에 흡음재(6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흡음재(60)는 바디부(10)를 통과하여 SCR 촉매부(20)를 통과한 배기 가스의 엔진 배기 소음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배출부(13)에는 서브 타공판(7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브 타공판(70)은 바디부(10)의 외부로 돌출된 배출부(13)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배출부(13)의 직경 방향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타공판(70)은 배출부(13)를 통해 배출되는 소음의 추가적인 저감과 확장관(230)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저감 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300)는, SCR 촉매부(20)가 설치된 바디부(10)의 외부에 소음 저감을 위한 울림 공간이 각각 형성된 전단 확장관(231)과 후단 확장관(233)을 포함하는 확장관(230)을 설치한다.
그리고, 확장관(230)의 내부에 울림 공간의 소음 저감의 반응성 향상을 위한 타공부(240)가 형성되는 바, SCR 촉매부(20)를 통한 배기 가스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G-G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400)는, 바디부(10)의 내부에는 배출부(13)와의 사이에 연장 배관(310)이 설치될 수 있다.
연장 배관(310)은 일측은 배출부(13)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SCR 촉매부(20)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연장 배관(310)은 후단 확장관(233)의 내부에서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부(13)로부터 바디부(10)의 내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배관(310)은 제3 실시예의 흡음재와 연결관을 삭제한 상태로 바디부(10)의 내부에서 배출부(13)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배관(310)은 배출부(13)가 설치된 근접 위치에서 바디부(10)의 내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바, 확장관(230)에 의한 소음 감소 작용에 더해 배기 가스가 연장 배관(310)을 통해 배출부(13)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음 저감 작용이 더욱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 배관(310)의 설치된 길이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저감 대상 소음의 제5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배관(310)은 전단 확장관(231) 및 후단 확장관(233)에 의한 소음 감소 작용에 더해 배기 가스가 연장 배관(310)을 통해 배출부(13)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음 저감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타공부(240)는, 연장 배관(310)의 길이와 바디부(10)의 폭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공부(240)는 바디부(10)의 내부와 확장관(230)의 울림 공간 사이에 연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24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타공부(240)는 제4 실시예의 타공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H-H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500)의 SCR 촉매부(420)는, 유입부(11)의 측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촉매부(421)와 제1 촉매부(421)로부터 이격되며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촉매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SCR 촉매부(420)가 제1 촉매부(421)와 제2 촉매부(423)로 형성된 상태에서 타공부(40)는 제1 촉매부(421)와 제2 촉매부(423)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가스는 제1 촉매부(421)와 제2 촉매부(423)의 각각에서 단계적인 이물질 제거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제1 촉매부(421)와 제2 촉매부(423)의 사이에 형성된 타공부(240)에서 소음 저감 작용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져 소음 저감 효과의 향상이 가능하다.
전단 확장관(431)은, 바디부(10)에서 유입부(11)가 형성된 위치에서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단 확장관(431)과 타공부(240)의 길이는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 확장관(433)은 바디부(10)에서 배출부(13)가 형성된 위치에서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전단 확장관(431)은 소음 저감을 위한 제6 주파수의 파장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 확장관(433)은 전단 확장관(43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으로, 소음 저감을 위한 제7 주파수의 파장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타공부(240)는 전단 확장관(431)과 후단 확장관(433) 사이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 확장관(431)의 길이와 바디부(10)의 폭에 해당하는 면적 범위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타공부(240)는 제5 실시예의 타공부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I-I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600)는, 일측에는 배기 가스 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10)와,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SCR 촉매부(520)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울림 공간이 형성되며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을 포함하는 확장관(530)과, 확장관(530)의 내부에서 전단 확장관(531)과 후단 확장관(533)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타공부(240)를 포함한다.
확장관(530)은, 유입부(11)로부터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전단 확장관(531)과, 배출부(13) 위치로부터 타공부(240)의 사이 위치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후단 확장관(533)을 포함할 수 있다.
SCR 촉매부(520)는, 유입부(11)의 측면 위치에서 전단 확장관(531)이 설치된 위치의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촉매부(521)와, 제1 촉매부(521)로부터 이격되며 후단 확장관(533)이 설치된 위치의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촉매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타공부(240)는 전단 확장관(531)과 후단 확장관(533) 사이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단 확장관(531)의 길이와 바디부(10)의 폭에 해당하는 면적 범위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다수개의 관통홀(241)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단 확장관(531)과 후단 확장관(533)과 타공부(240)의 길이는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단 확장관(531)과 후단 확장관(533) 및 타공부(240)가 동일 길이로 형성되는 바, 소음 저감을 위한 동일 주파수에 대해 더욱 효과적인 소음 저감 효과가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700)는, 일측에는 배기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13)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10)와.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SCR 촉매부(20)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격벽(610)으로 구획된 다수개의 울림 공간이 형성된 확장관(630)과, 확장관(630)의 복수개로 구획된 울림 공간의 내부에서 바디부(1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며 바디부(10)와 다수개의 울림 공간을 각각 연결하는 다수개의 개구부(640)를 포함한다.
확장관(630)은,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는 전측 울림 공간이 형성된 제1 확장관(631)과, 제1 확장관(631)의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전측 울림 공간과 격벽(610)으로 구획된 후측 울림 공간이 형성된 제2 확장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확장관(630)은,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확장관(631)은, 유입부(11) 위치로부터 바디부(1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1 전단 확장관(631a)과, 격벽(610) 위치로부터 제1 전단 확장관(631a) 방향으로 바디부(1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울림 공간이 형성된 제1 후단 확장관(63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단 확장관(631a)과 제1 후단 확장관(631b)은 각각 소음 저감하고자 하는 소음 주파수의 파장의 1/3 내지 1/5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확장관(633)은, 격벽(610) 위치로부터 배출부(13) 방향으로 바디부(1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 전단 확장관(633a)과, 배출부(13) 위치로부터 제2 전단 확장관(633a) 방향으로 바디부(1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내부에 울림 공간이 형성된 제2 후단 확장관(6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단 확장관(633a)과 제2 후단 확장관(633b)은 각각 소음 저감하고자 하는 소음 주파수의 파장의 1/3 내지 1/5의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확장관(631)과 제2 확장관(633)은 동일 또는 유사 길이로 바디부(10)의 측면을 따라 격벽(61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확장관(631)과 제2 확장관(633)은 소음 저감하고자 하는 주파수의 종류에 대응하는 동일 길이 또는 상이한 길이로 각각 변경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확장관(631)과 제2 확장관(633)이 격벽(61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바디부(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은, 타공부(640)를 바디부(10)의 측면에 복수개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개구부(640)는, 제1 확장관(631)의 내부에서 제1 전단 확장관(631a)과 제1 후단 확장관(631b)이 사이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1 개구부(641)와, 제2 확장관(633)의 내부에서 제2 전단 확장관(633a)과 제2 후단 확장관의 사이에서 바디부(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제2 개구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641)는 제1 후단 확장관(631b)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개구부(643)는 제2 후단 확장관(633b)의 길이와 동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개구부(640)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타공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7 실시예의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700)는, 타공부(640)과 확장관(630)이 격벽(610)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소음 저감하고자 하는 다양한 주파수에 대응하여 더욱 효과적인 소음 저감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바디부 11...유입부
13...배출부 20, 420,520..SCR 촉매부
31...울림 공간 30, 230, 430, 530, 630..확장관
40, 140, 240, 640..타공부 41...관통홀
50...연결관 60...흡음재
70...서브 타공판 110, 210..연장 배관
421, 521..제1 촉매부 423, 523..제2 촉매부
231, 531..전단 확장관 233, 533..후단 확장관
232..제1 울림 공간 234..제2 울림공간
631..제1 확장관 631a..제1 전단 확장관
631b..제1 후단 확장관 633..제2 확장관
633a..제2 전단 확장관 633b..제2 후단 확장관
641..제1 타공부 643..제2 타공부

Claims (10)

  1. 일측에는 배기 가스 유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설치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는 SCR(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촉매부;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울림 공간이 형성되며 전단 확장관과 후단 확장관을 포함하는 확장관; 및
    상기 확장관의 내부에서 상기 전단 확장관과 상기 후단 확장관의 사이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와 상기 확장관을 연결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SCR 촉매부와 상기 배출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관의 상측과 상기 바디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와, 상기 연결관의 하측과 상기 바디부의 내벽면 사이의 각각에 흡음재가 설치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타공부로 형성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관은,
    상기 유입부로부터 상기 타공부의 사이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1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전단 확장관; 및
    상기 배출부 위치로부터 상기 타공부의 사이 위치에서, 상기 바디부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울림 공간과 연통된 제2 울림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후단 확장관;
    을 포함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확장관은,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1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 확장관은,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2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타공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배관을 더 포함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배관은, 상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의 제2 주파수의 파장의 길이의 1/3 내지 1/5의 길이로 형성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CR 촉매부는,
    상기 유입부의 측면에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촉매부와 상기 제1 촉매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촉매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촉매부와 상기 제2 촉매부의 사이 위치에 형성되는,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10.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의 상기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와 상기 소음기에 배기관으로 연결되는 엔진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90173309A 2019-12-23 2019-12-23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62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09A KR102629056B1 (ko) 2019-12-23 2019-12-23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309A KR102629056B1 (ko) 2019-12-23 2019-12-23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097A KR20210081097A (ko) 2021-07-01
KR102629056B1 true KR102629056B1 (ko) 2024-01-23

Family

ID=7686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309A KR102629056B1 (ko) 2019-12-23 2019-12-23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0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116A (ja) * 2007-01-23 2008-08-07 Sakura Kogyo Kk 内燃機関用排気ガス浄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722Y2 (ja) * 1992-05-18 1997-05-07 フタバ産業株式会社 触媒コンバータ付きマフラ
KR101258923B1 (ko) * 2010-12-24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116A (ja) * 2007-01-23 2008-08-07 Sakura Kogyo Kk 内燃機関用排気ガス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097A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0475B2 (en) Exhaust muffler
EP2354482B1 (en) Exhaust muffler device
TWI635218B (zh) 消音器
EP3098413B1 (en) An acoustic attenuator for damping pressure vibrations in an exhaust system of an engine
CN111133176A (zh) 排气系统热端的声容积
JP2006207378A (ja) 排気系用の騒音低減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排気系
EP1450014A1 (en) Muffler
KR102629056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629059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20130048416A1 (en) Exhaust muffler
KR102629055B1 (ko) Scr 시스템을 포함한 소음기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20040216951A1 (en) High performance muffler
JP2004519575A (ja) 導管内の共振を減衰する装置
KR100835709B1 (ko)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KR101091938B1 (ko) 제트소음 저감수단을 구비한 엔진 배기가스용 소음기
JP2005073463A (ja) 燃料電池自動車用の排気装置
JP2006283625A (ja) 高周波音低減消音器
KR101954728B1 (ko) 소음기
CN109555585B (zh) 用于实现车辆排气系统中的封装空间减小的方法和设备
KR20100027445A (ko) 선박 기관용 소음기
JP2015206314A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KR101362066B1 (ko) 차량용 테일파이프의 구조
WO2007131304A2 (en) Exhaust muffler
US20240175381A1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JP2004251249A (ja) 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