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412B1 - 머플러 - Google Patents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412B1
KR102343412B1 KR1020200128612A KR20200128612A KR102343412B1 KR 102343412 B1 KR102343412 B1 KR 102343412B1 KR 1020200128612 A KR1020200128612 A KR 1020200128612A KR 20200128612 A KR20200128612 A KR 20200128612A KR 102343412 B1 KR102343412 B1 KR 102343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loss
protrusion
flow pip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곽준혁
이재화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to KR1020200128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6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a plurality of holes, slits, protrusions, perforations, ribs or the like; Surface structures; Turbulence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7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absorbing, damping, insulating or reflecting materials, e.g. porous foams, fibres, rubbers, fabrics, coatings or memb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관과, 외통과, 유입구와, 복수의 격벽과,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유동관은 유체가 유동한다. 외통은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동관과의 사이에 손실공간을 형성한다. 유입구는 유동관에 유입된 유체가 손실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유동관과 손실공간을 연통시킨다. 복수의 격벽은 유동관 내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손실공간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다수의 돌기부는 격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머플러{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를 손실시켜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 저감장치는 이미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하나인 흡음재를 사용하는 흡음형은 고주파 영역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저주파 영역에서는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또한 흡음재의 비산 문제와 습기나 혹은 열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유동관의 형상 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을 이용하여 음파를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반사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반사형으로는 배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킨 형태인 확장관이나 천공관을 이용한 모델들이 있다.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장치는 유동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를 배관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공명기의 경우 각 배관 사이의 위치 관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등 여러 설계 조건에 의해 그 크기가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타겟 주파수에 속하지 않는 소음의 저감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고,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유동관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큰 공명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때문에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최근 기술동향과도 거리가 멀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867호(2017.10.1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실공간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과, 격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손실공간 내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으며,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머플러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과의 사이에 손실공간을 형성하는 외통; 상기 유동관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손실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동관과 상기 손실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입구; 상기 유동관 내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상기 손실공간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상기 돌기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적은 지수 함수 형태로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이웃하는 돌기부의 중심 간의 피치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의 파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그 표면에 딤플(dimple)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손실공간은 상기 유동관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서브손실공간으로 구획되고, 서로 다른 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표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상기 격벽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이웃하는 돌기부의 중심 간의 피치는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머플러에 따르면, 손실공간 내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으며,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머플러에 따르면, 손실공간 내에서 유체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 효율 및 손실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머플러에 따르면,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머플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 격벽, 돌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부분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머플러에 있어서 돌기부의 딤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머플러에 있어서 돌기부의 다양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 격벽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머플러의 돌기부의 배치 형태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머플러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머플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 격벽, 돌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부분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머플러(100)는,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를 손실시켜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유동관(110)과, 외통(120)과, 손실공간(130)과, 유입구(140)와, 격벽(150)과, 돌기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머플러(100)는 입사되는 음파 에너지를 손실하는 복수의 단위 셀(101)을 포함하고, 각각의 단위 셀(101)은 유동관(110)과, 외통(120)과, 손실공간(130)과, 유입구(140)와, 격벽(150)과, 돌기부(160)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셀(101)이 유동관(110) 내의 유동방향(A1)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되면서 하나의 머플러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관(110)은 그 내부로 유체가 유동한다. 유동관(110)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는 액체, 기체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기체인 공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수의 단위 셀(101)에 마련된 유동관(110)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그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형상 이외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외통(120)은 유동관(110)의 외측에 배치되고, 유동관(110)과의 사이에 손실공간(130)을 형성한다.
외통(120)은 머플러(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유동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외통(120)의 단면 형상을 사각형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외통(1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형상 이외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에 마련된 손실공간(130)에는 복수의 격벽(150)과, 다수의 돌기부(160)가 배치된다.
상기 유입구(140)는 유동관(110)에 유입된 유체가 손실공간(130)으로 유입되도록 유동관(110)과 손실공간(130)을 연통시킨다.
유입구(140)는 유동관(110)의 일부가 절개된 부분에 마련될 수 있으며, 유입구(140)를 통해 손실공간(130)으로 입사되는 소음의 손실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개구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유동관(110) 내의 유동방향(A1)과 교차하는 교차방향(A2)을 따라 손실공간(130) 내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웃하는 격벽(150)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B)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도록, 복수의 격벽(150)은 손실공간(130)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격벽(150)이 손실공간(130)의 일측면(131)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면, 이웃하는 다른 격벽(150)은 손실공간(130)의 타측면(132)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되는 배치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격벽(150)이 손실공간(130)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손실공간(130)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경로(B)가 길어지게 되고, 길어진 길이에 비례하여 후술할 돌기부(160)와의 마찰 손실이 커짐에 따라 따라서 손실공간(130) 내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이 커지게 된다.
상기 돌기부(160)는 다수 개가 마련되고, 격벽(1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손실공간(130)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배치되는 돌기부(160)와의 마찰 손실로 인해 손실공간(130) 내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는 손실된다. 또한, 유입구(140)로 입사된 소음은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하다가 유체의 유동경로(B)의 종단부(133)에서 반사가 이루어지는데, 반사된 유체가 유체의 유동경로(B)의 반대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반사된 소음의 음파 에너지 역시 돌기부(160)에 의해 손실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돌기부(160)는, 이웃하는 격벽(150)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할수록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돌기부(160)의 표면적은 격벽(150)에 형성된 돌기부(160)에서 공기 중으로 노출된 부분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돌기부(161a)의 표면적, 유입구(140)로부터 중간 정도에 위치한 돌기부(161b)의 표면적,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돌기부(161c)의 표면적을 비교할 때,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돌기부(161a)의 표면적이 가장 작고,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돌기부(161c)의 표면적이 가장 크게 형성된다.
만약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할수록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면, 유동관(110)을 유동하는 유체가 손실공간(13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입구(140) 근처에서 반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손실공간(130) 내부에서 유체의 음파 에너지를 손실시킴으로써 유동관(110)을 유동하는 유체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구현하려면, 유체는 유입구(140) 측에서 반사되지 않고 손실공간(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유입구(140) 측에 배치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갑자기 너무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으로 인해 유체가 손실공간(13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입구(140) 근처에서 다시 유동관(110)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 정합(Impedance match) 관점에서 유입구(140) 측에 배치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을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할수록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유입구(140) 측에서 반사되는 현상을 최대한 줄이고, 상대적으로 많은 부피의 유체가 손실공간(13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유체와 돌기부(160)의 마찰 손실이 더욱 커짐에 따라, 유체가 손실공간(130) 내부로 들어갈수록 그 음파 에너지가 보다 빠른 속도로 손실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체의 유동경로(B)를 짧게 형성해도 음파 에너지의 손실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체의 유동경로(B)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결국 손실공간(130)의 부피, 즉 머플러(100)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돌기부(160)의 표면적은 지수 함수 형태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60)의 형상 및 크기를 설계할 때,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마지막에 배치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을 결정하고 지수적으로 계산하면 유입구(140) 측에 배치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지수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며,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웃하는 돌기부(160)의 중심 간의 피치(p)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의 파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웃하는 돌기부(160)의 중심 간의 피치(p)가 타겟 주파수의 파장보다 클 경우 음파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밀한 영역(음파가 압축된 영역)에 돌기부(160)가 적게 존재하기 때문에 음파 에너지 손실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의 돌기부(160)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재질을 이용하여 돌기부(160)를 제작함으로써, 돌기부(160) 구조의 자체의 흡수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머플러(100)의 성능을 향상시켜 머플러(100)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다. 다공성 재질은 글라스울, 폴리에스터, 석면, 우레탄폼, 스티로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돌기부(160)는 그 표면에 딤플(dimple) 구조(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골프공 표면에 형성된 딤플 구조와 같이 돌기부(160)의 표면에도 딤플 구조(166)를 형성함으로써, 손실공간(130) 내의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와 마찰되는 표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실공간(130)은 유동관(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서브손실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사각형 형상의 단위 셀(101)의 각 변 위치에 각각 마련된 4개의 서브손실공간으로 구획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이때, 서로 다른 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손실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각각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맞게 최적의 돌기부(160)의 표면적을 결정하여 이에 맞게 돌기부(16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서브손실공간 내에 서로 다른 표면적을 가진 돌기부(160)를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서브손실공간에서 감쇠할 수 있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은 제1타겟 주파수에 맞게 형성하여 제1서브손실공간 내에 배치하고, 제2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160)의 표면적은 제2타겟 주파수에 맞게 형성하여 제2서브손실공간 내에 배치함으로써, 감쇠할 수 있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머플러에 있어서 돌기부의 다양한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60a)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고, 도 7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 예컨대 삼각형 형상(도 7의 (b)), 사각형 형상(도 7의 (c))일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머플러의 손실공간, 격벽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입구(140)로부터 이웃하는 격벽(150)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할수록 격벽(15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이웃하는 격벽(151,152) 사이의 거리(D1), 유입구(140)로부터 중간 정도에 위치한 이웃하는 격벽(152,153) 사이의 거리(D2),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이웃하는 격벽(152,120) 사이의 거리(D3)를 비교할 때,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이웃하는 격벽(151,152) 사이의 거리(D1)가 가장 길고,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이웃하는 격벽(152,120) 사이의 거리(D3)가 가장 짧게 형성된다(격벽의 수량이 3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도면에서는 외통(120)을 하나의 격벽으로 간주함).
격벽(15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조정 역시 앞서 설명한 임피던스 관점에서 유체가 손실공간(13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입구(140) 근처에서 다시 유동관(110) 측으로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격벽(150)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여 유체와 격벽(150)의 마찰 손실이 더욱 커짐에 따라, 유체가 손실공간(130) 내부로 들어갈수록 그 음파 에너지가 보다 빠른 속도로 손실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머플러의 돌기부의 배치 형태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입구(140)로부터 이웃하는 격벽(150)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진행할수록 돌기부(160)의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돌기부(160)의 중심 간의 피치는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이웃하는 돌기부(162a,162b)의 중심 간의 피치(p1),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이웃하는 돌기부(162b,162c)의 중심 간의 피치(p2)를 비교할 때,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한 이웃하는 돌기부(162a,162b)의 중심 간의 피치(p1)가 상대적으로 길고, 유입구(14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이웃하는 돌기부(162b,162c)의 중심 간의 피치(p2)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이웃하는 돌기부(160)의 중심 간의 피치에 대한 조정 역시 앞서 설명한 임피던스 관점에서 유체가 손실공간(13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입구(140) 근처에서 다시 유동관(110) 측으로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동경로(B)를 따라 이웃하는 돌기부의 중심 간의 피치가 작아져 유체와 돌기부(160)의 마찰 손실이 더욱 커짐에 따라, 유체가 손실공간(130) 내부로 들어갈수록 그 음파 에너지가 보다 빠른 속도로 손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머플러는, 손실공간 내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과, 격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손실공간 내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으며, 장치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머플러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돌기부의 표면적, 이웃하는 격벽 사이의 거리, 이웃하는 돌기부 사이의 피치 등을 조정함으로써, 손실공간 내에서 유체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 효율 및 손실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머플러는, 서로 다른 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표면적을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광대역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머플러
110 : 유동관
120 : 외통
130 : 손실공간
140 : 유입구
150 : 격벽
160 : 돌기부

Claims (11)

  1.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동관과의 사이에 손실공간을 형성하는 외통;
    상기 유동관에 유입된 유체가 상기 손실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동관과 상기 손실공간을 연통시키는 유입구;
    상기 유동관 내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교차방향을 따라 상기 손실공간에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 및
    상기 격벽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상기 돌기부의 표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표면적은 지수 함수 형태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돌기부의 중심 간의 피치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의 파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그 표면에 딤플(dimple)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공간은 상기 유동관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서브손실공간으로 구획되고,
    서로 다른 서브손실공간 내에 형성되는 돌기부의 표면적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상기 격벽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웃하는 격벽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체의 유동경로를 따라 진행할수록, 이웃하는 돌기부의 중심 간의 피치는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KR1020200128612A 2020-10-06 2020-10-06 머플러 KR102343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12A KR102343412B1 (ko) 2020-10-06 2020-10-06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612A KR102343412B1 (ko) 2020-10-06 2020-10-06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412B1 true KR102343412B1 (ko) 2021-12-24

Family

ID=7917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612A KR102343412B1 (ko) 2020-10-06 2020-10-06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4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25A (ko) * 2003-07-28 2005-02-04 한국과학기술원 공명기배열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KR20110046543A (ko) * 2009-02-27 2011-05-0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소기 및 이것을 구비한 가스 터빈
KR20130101041A (ko) * 2011-03-22 2013-09-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댐퍼,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20170112867A (ko) 2016-03-28 2017-10-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KR102140002B1 (ko) * 2019-07-31 2020-08-03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유체 소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25A (ko) * 2003-07-28 2005-02-04 한국과학기술원 공명기배열을 이용한 소음저감장치
KR20110046543A (ko) * 2009-02-27 2011-05-04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연소기 및 이것을 구비한 가스 터빈
KR20130101041A (ko) * 2011-03-22 2013-09-1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댐퍼, 연소기 및 가스 터빈
KR20170112867A (ko) 2016-03-28 2017-10-1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KR102140002B1 (ko) * 2019-07-31 2020-08-03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유체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25989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ее проточн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4287962A (en) Packless silencer
US4712644A (en) Exhaust silenc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50194208A1 (en) Compact silencer
CN101535656B (zh) 离心式鼓风机
KR102343412B1 (ko) 머플러
US20230184147A1 (en) Meta-muffler for reducing broadband noise
KR101009991B1 (ko) 국소반응형 흡음판
JP2008291978A (ja) サイレンサ
WO2022202975A1 (ja) 音響インピーダンス変化構造および通風型消音器
KR100555375B1 (ko) 공명형 덕트 소음기
KR102457169B1 (ko) 메타 구조체 기반 소음기
CN209944712U (zh) 消声件、消声器以及通风系统
CN115050347A (zh) 消音器
JP7344665B2 (ja) 換気用開口構造
KR102415416B1 (ko) 프랙탈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640388B1 (ko) 소음저감장치
EP3850281B1 (en) Oil separator with integrated muffler
CN209944714U (zh) 消音装置及空调器
KR102415417B1 (ko)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487101B1 (ko)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KR102583152B1 (ko) 음향 메타 구조체
CN218542612U (zh) 螺杆式空气压缩机
WO2023175875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240036B1 (ko) 다중 사이드 브랜치를 흡음재 상에 형성한 유체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