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417B1 -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 Google Patents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417B1
KR102415417B1 KR1020200141472A KR20200141472A KR102415417B1 KR 102415417 B1 KR102415417 B1 KR 102415417B1 KR 1020200141472 A KR1020200141472 A KR 1020200141472A KR 20200141472 A KR20200141472 A KR 20200141472A KR 102415417 B1 KR102415417 B1 KR 10241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low
muffler
flow pipe
me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679A (ko
Inventor
이경주
이진우
이학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Priority to KR1020200141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417B1/ko
Priority to PCT/KR2021/014160 priority patent/WO2022092629A1/ko
Publication of KR20220056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55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 F02M35/1266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resonance comprising multiple chambers or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빼미 날개와 같이 음향학적 잠행이 가능한 스텔스 날개 구조를 통하여 공명실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메타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동관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통; 상기 유동관에서 상기 외통까지 연장되는 격벽; 일단부는 상기 유동관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격벽과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사이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상기 격벽 및 상기 유동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공명실;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METAMATERIAL MUFFLER USING STEALTH BLADE STRUCTURE}
본 발명은 메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올빼미 날개와 같이 음향학적 잠행(Acoustic Stealth)이 가능한 스텔스 날개 구조를 이용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메타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 저감장치는 이미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하나인 흡음재를 사용하는 흡음형은 고주파 영역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가지지만 저주파 영역에서는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며, 흡음재의 비산 문제와 습기나 열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유동관의 형상 변화로 인해 생겨나는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mismatch)을 이용하여 음파를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반사형이 함께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반사형으로는 배관의 단면적을 변화시킨 형태인 확장관이나 천공관을 이용한 모델들이 있지만, 배관의 단면적 변화 정도에 따라 소음 성능이 직결되기 때문에 크기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명기를 이용한 소음장치는 유동관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공명기를 배관에 설치하여 소음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공명기의 경우 각 배관 사이의 위치 관계, 주변 구조물과의 관계 등 여러 설계 조건에 의해 그 크기가 일정 범위 내로 제한되기 때문에, 타겟 주파수에 속하지 않는 소음의 저감 성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고,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공명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유동관은 좁은 공간에 설치되므로 큰 공명기를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때문에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으며, 장치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최근 기술동향과도 거리가 멀었다.
따라서, 기존 반사형 및 공명기형이 단순 조합된 하이브리드 소음장치에서 벗어나 새로운 구조의 소음장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2867호(2017.10.12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올빼미 날개와 같이 음향학적 잠행이 가능한 스텔스 날개 구조를 통하여 공명실 내부로 입사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는 메타 머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동관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통; 상기 유동관에서 상기 외통까지 연장되는 격벽; 일단부는 상기 유동관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격벽과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사이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상기 격벽 및 상기 유동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공명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에서 상기 격벽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되는 요철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외통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유동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동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길이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밀도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관과 연결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블레이드와 공명실을 통하여 유동관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관과 연결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블레이드 또는 요철부재를 조절함으로써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광대역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메타 머플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메타 머플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메타 머플러의 측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메타 머플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메타 머플러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메타 머플러의 측면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유동관(110)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음파 에너지의 손실을 최대화하여 소음의 투과손실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복수의 단위셀(101)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단위셀(101)은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을 포함하는 단위셀(101)은 유체의 유동방향(A1)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면서 메타 머플러(100)를 제공할 수 있다.
단위셀(101)을 구성하는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 조립되어서 단위셀(101)을 구성할 수도 있다.
메타 머플러(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셀(101) 역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단위셀(101)은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 조립되어서 메타 머플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단위셀(101)을 구성하는 유동관(110), 외통(120), 격벽(130), 블레이드(140) 및 공명실(150)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유동관(110)은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며, 유동방향(A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유동관(110)의 내부로 유동하는 유체는 액체, 기체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기체인 공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복수의 단위셀(101)이 유동방향(A1)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복수의 유동관(110)이 유동방향(A1)을 따라 이어지면서 그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는 메인 유동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메인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체의 일부는 인접하는 유동관(110)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체유입구(111)를 통하여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을 원형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유동관(11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외통(120)은 유동관(110)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유동관(110)의 외측으로 유동관(11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에는 내부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방향(A1)에 대해 외통(12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는 연장부(120a)가 구비될 수 있다. 연장부(120a)를 통하여 복수의 단위셀(101)이 유동방향(A1)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될 시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동관(110) 사이에는 유체유입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외통(120)은 메타 머플러(100)의 외형을 형성하게 되는데, 유동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통(120)의 단면 형상을 유동관(110)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형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외통(120)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유동관(110)과 외통(120)은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격벽(130)은 유동관(110)에서 외통(120)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관(110)과 외통(120)을 연결하며 유동방향(A1)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0)는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유동관(11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타단부는 격벽(13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유동방향(A1)의 반대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0)는 유체유입구(111)가 형성되는 유동관(110)으로부터 외통(120)을 향하여 연장되되, 격벽(130)으로부터 이격하여 배치되는 자유단부로 갈수록 유동방향(A1)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40)는 미리 설정된 길이 및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0)의 길이 및 곡률은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블레이드(140)를 통하여 유동관(110)과 외통(120) 사이의 내부공간은 유동공간(FA)과 공명실(150)로 구획될 수 있다. 유동공간(FA)은 유체유입구(111)를 통하여 유동관(110)과 연통되며 유동관(110) 내의 유체 일부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체유입구(111)를 통하여 유동공간(FA)으로 유입된 유체는 볼록 형상된 유선형 블레이드(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로 유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40)의 표면을 따라 유체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동박리가 지연될 수 있고, 이러한 유동박리의 지연은 고정날개의 항력을 감소시키는 것과 마찬가지 블레이드(140)의 항력을 감소시켜 음파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손실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레이드(140)는 음향학적 잠행(Acoustic Stealth)을 수행하는 조류의 날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유입구(111)를 통하여 유동공간(FA)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공명실(150)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공명실(150)에서의 소음 감쇠에 앞서 공명실(150)을 향하여 유동하는 소음을 일차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공명실(150)은 블레이드(140), 격벽(130) 및 유동관(110)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격벽(130)과 블레이드(140)의 타단부 사이에 개구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51)의 크기는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140)의 길이 또는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개구부(151)의 크기를 조절 및 설정할 수 있다.
개구부(151)는 유동방향(A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51)를 통하여 유동공간(FA) 내의 유체는 공명실(1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공명실(150)의 공명 효과로 인하여 소음이 감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관(110)과 공명실(150)을 연결하는 블레이드(140)를 통하여, 공명실(150)로 도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과정에서 일차적으로 소음을 감쇠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관(110) 내에서 유동하는 소음의 투과손실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40)는 유동안내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안내부(141)는 외통(120)을 향하는 블레이드(14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유입구(111)와 개구부(151)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안내부(141)는 블레이드(14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동안내부(141)는 블레이드(1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채널일 수 있다.
채널형 유동안내부(141)는 블레이드(14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부(142) 또는 블레이드(14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형성되는 홈부(143)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42) 또는 홈부(143)는 블레이드(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채널형 유동안내부(141)는 블레이드(14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단면크기가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돌출부(142) 또는 홈부(143)의 단면크기가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안내부(141)는 유체유입구(111)를 통하여 유동공간(FA)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공명실(150) 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고, 블레이드(140)의 표면에서의 유동박리를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동안내부(141)는 유체 유동과 접촉하는 블레이드(140)의 표면 거칠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40)의 표면에서의 유동박리를 더욱 지연시킬 수 있고, 소음 감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요철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철부재(160)는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130)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요철부재(160)는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격벽(130)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볼록부(161)를 구비할 수 있고, 격벽(130)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부재(160)의 볼록부(161) 또는 오목부(162)는 블레이드(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요철부재(160)는 복수의 통공(16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통공(163)은 유동방향(A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51)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류 및 비행체의 날개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대부분은 고정날개의 후단부에서 발생되는 난류에너지의 상승에 의한 유동박리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난류에너지에 의한 유동박리 현상은 항력뿐만 아니라 소음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현상은 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14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 볼록부(161) 또는 오목부(162)를 갖는 요철부재(160)를 구비함으로써,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발생되는 난류에너지를 저감하여 유동박리를 지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발생되는 유동박리를 지연시킴으로써, 개구부(151)를 통하여 공명실(150)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보다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요철부재(160)에 통공(163)을 더 구비할 경우에는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발생되는 유동박리를 더욱 지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그리고, 통공(163)은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서 발생되는 압력 요동을 감소시켜 이에 따른 소음 감쇠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0)의 자유단부에 구비되는 요철부재(160)의 설계 변수에 따라 개구부(151)의 크기가 조절 및 설정될 수 있다. 즉, 요철부재(160)의 볼록부(161), 오목부(162) 및 통공(163)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 수량의 등 설계 값을 변경함으로써 개구부(15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쇠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를 조절 및 광대역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메타 머플러(100)는 마찰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재(170)는 블레이드(140)의 일단부에서 유동관(110)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동관(110)의 내부로 돌출되는 마찰부재(170)의 길이는 감쇠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마찰부재(17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마찰부재(170)는 유동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동관(11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마찰부재(170)의 수량 및 이격거리는 감쇠하고자 하는 타겟 주파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70)는 유동방향(A1)을 향하도록 설정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170)를 유체의 유동방향(A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유동관(110) 내부의 유체를 블레이드(140) 측으로 원활히 안내할 수 있고, 유동관(110) 내에서 유동하는 유체에 대한 항력을 감소하여 음파 에너지를 손실시킬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17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마찰부재(17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진동되면서 서로 다른 진동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수는 음파 에너지와 간섭되어 음파 에너지를 손실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재질의 마찰부재(170)는 자체가 흡음재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유동방향(A1)을 따라 복수의 단위셀(101)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경우 복수의 마찰부재(170)는 유동방향(A1)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각 단위셀(101)을 구성하는 마찰부재(170)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유동방향(A1)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170)의 길이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17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방향(A1)을 따라 복수의 단위셀(101)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경우, 각 단위셀(101)을 구성하는 마찰부재(170)의 밀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유동방향(A1)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170)의 밀도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170)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찰부재(170)의 밀도는 마찰부재(170)의 수량, 크기 및 이격거리 등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동방향(A1)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170)의 길이 또는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감쇠하고자 하는 소음의 타겟 주파수를 광대역화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동방향(A1)을 따라 마찰부재(17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거나 밀도를 높게 형성함으로써 광대역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메타 머플러
110: 유동관
120: 외통
130: 격벽
140: 블레이드
150: 공명실

Claims (7)

  1.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관;
    상기 유동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동관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외통;
    상기 유동관에서 상기 외통까지 연장되는 격벽;
    일단부는 상기 유동관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부는 상기 격벽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유동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상기 격벽과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사이에 유체가 유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 상기 격벽 및 상기 유동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공명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에서 상기 격벽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되는 요철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외통을 향하여 돌출되거나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유동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유동관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동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길이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향을 따라 상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밀도가 하류 측에 배치된 마찰부재의 밀도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0200141472A 2020-10-28 2020-10-28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415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72A KR102415417B1 (ko) 2020-10-28 2020-10-28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PCT/KR2021/014160 WO2022092629A1 (ko) 2020-10-28 2021-10-14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472A KR102415417B1 (ko) 2020-10-28 2020-10-28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79A KR20220056679A (ko) 2022-05-06
KR102415417B1 true KR102415417B1 (ko) 2022-07-01

Family

ID=8138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472A KR102415417B1 (ko) 2020-10-28 2020-10-28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5417B1 (ko)
WO (1) WO20220926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2195B2 (en) * 2005-04-19 2008-01-29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coustic dampers
US20060260869A1 (en) * 2005-05-18 2006-11-23 Kim Jay S Muffler having fluid swirling vanes
KR20090063726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저감형 쿨링팬
KR101777158B1 (ko) * 2014-08-29 2017-09-1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간적 주기성을 가지는 산란매체를 이용한 음파에 대한 은폐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25511A (ko) * 2015-08-28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102594139B1 (ko) 2016-03-28 2023-10-26 쿠퍼스탠다드오토모티브앤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차량용 소음저감 장치
KR102140002B1 (ko) * 2019-07-31 2020-08-03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유체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629A1 (ko) 2022-05-05
KR20220056679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3751A (en) Sound suppressor liner
JP4823288B2 (ja) 電子機器の消音装置
JP2010526231A (ja) 音響特性が可変の音響パネル
US11560842B2 (en) Acoustic panel and associated propulsion unit
AU5241498A (en) Improved muffler with partition array
CN113490787B (zh) 包括热空气除冰流的通风口的飞行器涡轮喷射引擎短舱的进气管
KR102042910B1 (ko)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기 위한 음향 감쇠기, 그 감쇠기를 사용하는 음향 감쇠 시스템, 및 엔진의 배기 시스템에서 압력 진동을 댐핑하는 방법
JP2017206938A (ja) 遮音ルーバー
US7503427B2 (en) Muffler
CN113439157A (zh) 包括热空气除冰流的通风口的飞行器涡轮喷射引擎短舱的进气管
KR102000858B1 (ko) 소음기
KR102415417B1 (ko) 스텔스 날개 구조의 메타 머플러
CN113160785B (zh) 用于降低空气传声和固体传声的设备
US20180306191A1 (en) Supercharger inlet panels
KR101417128B1 (ko) 소음기
KR102463931B1 (ko) 광대역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JP2008138661A (ja) 遠心送風機
CN112610300A (zh) 低流阻宽频带复合气路消声器
CN111232224A (zh) 吸声结构、飞行器推进组件和飞行器
RU157128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глушитель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го шума
KR102415416B1 (ko) 프랙탈 구조의 메타 머플러
KR102343412B1 (ko) 머플러
US11639676B2 (en) Vehicle exhaust system
KR102487101B1 (ko) 저주파 소음 저감을 위한 메타 머플러
RU2752539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гш)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