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095A -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095A
KR20220056095A KR1020210064539A KR20210064539A KR20220056095A KR 20220056095 A KR20220056095 A KR 20220056095A KR 1020210064539 A KR1020210064539 A KR 1020210064539A KR 20210064539 A KR20210064539 A KR 20210064539A KR 20220056095 A KR20220056095 A KR 20220056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information
unit
reservationer
re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586B1 (ko
Inventor
유정현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이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미 filed Critical 이은미
Priority to KR102021006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58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고 물품에 대해서 판매자와 매수자가 서로 만나지 않고서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고, 중고 물품에 대한 관리가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METHOD FOR TRADING USED GOODS NON-FACE-TO-FACE}
본 발명은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효과적인 비대면 방식을 위해 쇼케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중고 물품을 거래하는 경우, 오프라인의 중고 거래 장터, 또는 온라인의 카페(예, 네이버의 중고나라), 또는 중고 거래 모바일 앱(예, 당근 마켓 등)을 사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사진과 가격, 거래조건 등을 올리면, 매수 의향자가 매수 의사를 밝히고, 판매자와 매수자가 만나서 물품과 대금을 교환하거나, 또는 매수자가 입금하고 판매자가 이를 매수자한테 택배로 배송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다만, 이러한 경우, 매수자는 실제 물품을 보지 못하고 사진 등으로만 판단하여 매수 결정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초면의 타인을 대면하기 부담스러워하는 성향의 매수자나 판매자에게 심적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최근 코로나 사태로 인하여 비대면 접촉이 중시되는 상황에서도 대면 접촉을 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직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노출(휴대폰번호, 집주소, 계좌번호 등)이 되거나, 거래 비용(이동 비용)이 발생하고, 고가 제품의 경우 범죄가 발생할 여지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548 (2018. 1. 23 공개)의 경우, 중고 물품 거래 및 가격 산정에 대한 선행문헌이지만 비대면 거래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10-2020-0006878 (2020. 1. 21 공개), 한국 공개특허 10-2020-0061843 (2020. 6. 3 공개), 한국 공개특허 10-2020-0067585 (2020. 6. 12 공개), 한국 등록특허 10-2140142 (2020. 7. 31 공고), 한국 등록특허 10-1510613 (2015. 4. 8 공고), 한국 공개특허 10-2018-0029617 (2018. 3. 21 공개), 한국 등록특허 10-2166299 (2020. 10. 15 공고)의 경우에는 물품,책,택배 보관함에 관한 것이기는 하나, 물품에 대한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직접적인 거래에 관한 사항이 아니라는 점에서 중고 물품 거래 및 기타 물품 거래에 관한 사항과는 거리가 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4132호(2015.08.13.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6556호(2013.10.24.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8121호(2017.10.20.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0566호(2019.07.16.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대면을 통해서도 물품을 안정적으로 거래할 수 있고, 매수 의향자 또는 물품 관람자가 매도자 또는 매도 의향자 없이도 물품을 실제로 볼 수 있는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프라인 부티크에 설치되면서 예약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예: 중고 명품)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보관할 수 있고, 잠금 장치를 구비하며, 입력되거나 스캔 가능한 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와; 상기 쇼케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물품을 쇼케이스에 비치하고자 하는 예약자의 단말기로부터 예약 신청을 받고, 예약 신청에 따라서 코드를 예약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예약자가 활용 가능한 부티크 및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예약자에게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쇼케이스의 제어부는 인식부를 통해서 물품을 비치하고자 하는 예약자가 발급받은 비치용 코드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값에 따라서 잠금장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쇼케이스의 제어부는 예약자가 받은 비치용 코드를 이용하여 쇼케이스를 열고 물품을 넣고 도어를 닫은 경우, 해당 비치용 코드의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폐기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부는 예약자의 위치정보 및 비치할 물품의 정보에 따라서 예약자가 활용할 수 있는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예약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며, 예약자가 특정한 쇼케이스에 중고 물품을 비치하여 판매를 하는 경우, 비치한 이후의 관람자의 관람 정보 및 비치 상태 정보를 쇼케이스로부터 받아서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예약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리부는 등록된 중고 물품의 판매를 위하여 물품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되, 인증부는 인증 대상이 되는 중고 물품이 소정 이상의 기준을 만족하는 브랜드 물품이거나 또는 진품 인증코드를 구비한 물품에 한하여 인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부는 관람자가 관람 또는 구매하기를 원하는 물품을 등록하고, 실제 그러한 물품이 특정한 오프라인 부티크의 쇼케이스에 입고된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입고된 부티크 및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해당 관람자의 단말기에 푸시 알람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약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오프라인 부티크에 설치되며 물품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보관할 수 있고, 잠금 장치를 구비하며, 입력되거나 스캔 가능한 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와; 상기 쇼케이스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물품을 쇼케이스에 비치하고자 하는 예약자의 단말기로부터 예약 신청을 받고, 예약 신청에 따라서 코드를 예약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예약자가 활용 가능한 부티크 및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예약자에게 제공하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예약자 단말기로부터 쇼케이스 예약 신청 및 비치용 코드 발급 요청을 받는 단계와; 예약자 인증 및 쇼케이스 예약 신청 및 비치용 코드 발급 요청에 따라서 비치할 물품을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이 완료되면, 비치할 물품을 비치할 수 있는 부티크의 쇼케이스를 탐색하여 이에 대한 정보 및 비치용 코드를 예약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예약자 단말기에 제공된 비치용 코드가 지정된 부티크의 쇼케이스의 인식부에 인식된 경우, 예약 정보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지정된 부티크에 특정한 쇼케이스 번호를 지정하여 제공하여 예약된 물품이 비치되도록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예약된 물품이 비치된 후, 지정된 개별 쇼케이스의 도어가 잠기면 기 제공된 비치용 코드는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폐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치된 물품에 대한 관람이 발생하는 경우, 관람 내역이 예약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람자의 단말기를 통해서 관람 또는 구매하기를 원하는 물품이 등록되고, 실제 그러한 물품이 특정한 부티크의 쇼케이스에 입고된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입고된 부티크 및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해당 관람자 단말기에 푸시 알람을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자와 구매하고자 하는 자 사이에 비대면을 통해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는 편의성이 있다.
또한, 보관 중인 물품에 대한 관람내역이 제공되기 때문에, 자신이 매도하려고 내놓은 물품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가 축적되면, 특정 물품에 대한 시장의 선호도 예상도 가능하다.
한편, 특정한 물품이 입고되면, 그러한 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푸시알람이 제공되어 물품의 구매에 대한 편의성도 제공할 수 있다.
비치용 코드가 일회용으로 제공됨으로써 보안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오프라인 쇼케이스에 비치하고자 하는 경우, 예약자가 맡기기 편리한 곳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해당 물품에 대한 수요가 많은 곳으로도 맡길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약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가격에 대한 외부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서, 가격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직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노출(휴대폰번호, 집주소, 계좌번호 등)을 방지하고, 거래 비용(이동 비용) 발생을 억제하며, 대면으로 인한 범죄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쇼케이스 예약을 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물품을 맡기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쇼케이스 예약 후 물품을 비치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관람자가 부티크를 방문하여 보관된 물품을 관람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관람자가 원하는 물품에 대한 푸시 알람을 받고 부티크를 방문하여 보관된 물품을 관람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관람자가 물품을 결제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거래 시스템(이하, '시스템'이라 한다)(1)은 예약자(판매자, 판매의향자, 또는 물품 비치를 위한 예약자)의 단말기(100)와, 예약자가 물품을 비치하여 타인에게 그 물품을 보여줄 수 있도록 특정한 부티크(B)에 있는 쇼케이스(200)와, 이러한 쇼케이스(200) 및 예약자의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물품의 매매, 예약자 인적 정보, 쇼케이스의 정보, 물품에 대한 타인의 관람 정보, 가격 정보 등을 관리하는 관리부(300)로 구분된다.
여기서 물품은 중고 물품이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으나, 중고 물품에 한하지 않으며, 예약자도 개인으로 한정되지 않고, 법인이나 단체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관람자는 본 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하여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사람이거나 또는 별도의 회원가입없이 부티크(B)에 직접 방문한 사람(일명, walk-in 관람자)로 구분될 수 있다.
회원 가입을 한 관람자는 자신의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관람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관람 예약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자신이 추후에 관람하거나 구매를 원하는 물품(예, 샤넬 캐비어 클러치 백, 프라다 사피아노 뉴버킷백)을 등록하는 경우, 추후에 해당 물품이 특정한 부티크(예, 강남구 신사동 부티크)의 쇼케이스에 입고되면, 입고된 사실을 등록한 관람자에게 푸시 알람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알람은 SMS 메세지나 이메일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푸시 알람은 본 시스템에 회원 가입을 한 사람에게 제공된다.
한편, 예약자의 경우도 추후에 설명할 쇼케이스의 예약 및 정보 전송을 SMS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쇼케이스(200)는 여러 지역에 마련되는 부티크(전용 매장)(B)에 설치되며, 여러개의 물품을 각각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분할형 캐비닛과 같은 형태로 마련된다.
쇼케이스(200)는 보관된 물품을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장착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며, 이러한 투명창은 개폐 가능한 도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쇼케이스의 옆에는 여러 가지 이미지 또는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부(디스플레이)부 및 입력부, 인식부 등이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쇼케이스(200)는 외부(단말기, 관리부)와 통신하는 통신부(201)와,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 해제하는 락킹부(202)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203)와, QR코드나 바코드와 같은 코드를 인식하는 스캐너와 같은 인식부(204)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기타 정보(물품의 가격정보, 연식 정보, 크기 정보 등)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5)와, 쇼케이스 내부의 상태를 감지 또는 물품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예, 무게 센서, 영상 센서, 공간 감지 센서 등)(206)와, 신용 카드 또는 모바일 카드 등을 결제받을 수 있는 결제부(207)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08), 그리고, 물품의 상태 또는 캐비닛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09), 그리고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부(210)를 포함한다.
제어부(208)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부(201)는 관리부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있다. 또한, 통신부(201)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01)는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부(201)는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03)는 관리부(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400)의 구성요소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부(300)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40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사용자 등), 관리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03)는 관리부(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 400), 및/또는 외부 서버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 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표시부(205)는 관리부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부(201)를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표시부(20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203), 인식부(204), 표시부(205)는 하나의 터치패드 모듈로 구성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 있다.
카메라부(209)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획득된 이미지 정보 및/또는 영상에서 상기 이미지 정보 및/또는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209)는 상기 획득한 영상에서 객체를 영상 분석을 통해 인식(또는 식별)하고, 상기 인식된 객체에 대응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단 물품의 보관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예; 무단 물품 보관 감지 정보)가 생성되면, 카메라부(209)는 소정의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무단 물품을 보관한 무단 사용자에 상응하는 객체를 추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206)에 의해 무단 물품의 보관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생성되면, 카메라부(209)는 소정의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사람에 상응하는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관리부(300)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관리부(300)는 전달받은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무단 사용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부(300)는 외부(단말기, 쇼케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301)와,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302), 물품 판매를 위한 쇼케이스 렌탈 예약 접수를 받고, 이에 대한 예약 정보를 관리하는 예약부(303)와, 쇼케이스(200)에 대한 렌탈 기간 및 여러 정보(예, 비치될 물품의 가격, 연식 등)에 기반하여 렌탈할 쇼케이스의 렌탈 가격, 또는 물품 자체의 중고 가격을 연산하는 연산부(304), 공간관리부(306), 제어부(305)를 포함한다.
연산부(304)는 동일한 물품에 대한 최근의 거래 가격 등을 크롤링되어 제공된 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자동적으로 연산하고, 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304)는 지속적으로 누적된 예약 데이터, 또는 특정 물품의 입고에 따른 관람자의 반응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서 추후 예약 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부(304)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모듈은 인공지능 모듈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또는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공간 관리부(306)은 각 부티크에 대한 정보 및 각 부티크의 코드 관리, 각 부티크에 설치된 쇼케이스의 현황과 같이 보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관리부(300)는 여러가지 정보를 수록하는 DB부(310)를 포함한다.
DB부(310)는 쇼케이스 정보 DB(311)와, 사용자 정보 DB(312), 물품 정보 DB(313), 방문/관람 내역 DB(314), 판매정보 DB(315), 예약 정보 DB(316) 등을 포함하고 있다.
쇼케이스 정보 DB(311)는 부티크의 위치, 각 부티크에 배치된 쇼케이스의 수량, 활용 가능 쇼케이스 수량 및 현재 보관상태를 유지하는 쇼케이스 수량, 현재 대여(렌탈)중인 쇼케이스의 남은 보관기간, 보관기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DB(312)는 인증 과정을 거친 후 물품 비치를 의뢰한 예약자의 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한 물품 비치를 위한 비치용 코드 정보(예, QR코드, 바코드)를 수록하고 있다. 또한, 관람신청을 하였거나 관람을 수행한 사람, 또는 한번 이상 구매를 했던 사람에 대한 정보도 수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정보 DB(313)는 보관 대상이 되는 물건(예, 가방, 시계, 구두, 등)의 가격, 구입연도, 제조사, 제품명 등의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방문/관람정보 DB(314)는 해당 매장에 방문한 사람들의 방문정보(예, 일별 방문 횟수)나, 특정 물품에 대한 관람 횟수, 관람하고자 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예약 정보 DB(316)는 특정한 구역별, 지역별 예약 상태, 예약 현황, 년도별/월별/주별/일별/요일별/품목별 예약 이력 정보 등을 수록하고 있다.
판매 정보 DB(315)는 예약되어 입고된 물품 중에서 실제 판매까지 연결된 판매 정보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고 있으며, 예약되어 비치/입고 된 날짜로부터 실제 판매된 때까지의 기간, 이력, 그 간의 방문자수, 방문자의 성별/연령대, 입고 푸시 알람에 따른 판매 연관성 정보 등을 수록하고 있다.
이러한 DB에 사용되는 저장 모듈은 기본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관리부(300)의 모든 구성요소는 제어부(305)에 의하여 관리되고 제어된다.
도3 내지 도5는 판매 대상이 되는 물품(중고 물품)을 비치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쇼케이스를 예약하고자 하는 예약자가 쇼케이스를 렌탈하기 위하여 진행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예약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관리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하고, 인증을 받는다(S301). 인증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폰 SMS번호 인증이나 전용 어플을 통한 인증, 또는 신분증의 고유 번호 등을 통한 인증을 통하여 본인 인증을 완료한다(S3011, S3012)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회원 정보가 등록이 되어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된다(S3013, S3014).
그리고, 물품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302).
물품 등록 절차(S302)는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 종류나 명칭을 텍스트로 입력하거나, 이미지를 첨부하여 관리부로 송신한다(S3021, S3022).
관리부(특히, 인증부)에서는 수신받은 물품에 대해서 물품 등록을 인증하는데 이 인증은 판매불가 품목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판매불가 품목의 경우, 비유명 브랜드, 정품이 아닌 가짜 여부를 판단하며 이를 위해서 브랜드 및 정품의 코드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쳐서 인증을 한다(S3023).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물품 등록이 완료되면, 물품 정도 DB에 등록이 된다(S3024, S3025).
회원가입 인증 및 등록, 물품 인증 및 등록이 완료되면, 관리부에서는 쇼케이스 예약을 하겠는지 여부를 물어보고, 예약자가 쇼케이스 예약을 하겠다고 응답하여 신청을 하면, 관리부는 예약자에게 적합한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303).
여기서 예약자에게 적합한 쇼케이스는 가까운 부티크에 대한 쇼케이스가 될 수 있고, 해당 물품이 잘 팔리는 지역 또는 관심이 많은 사람들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 있는 부티크의 쇼케이스가 될 수 있다.
즉, 도6은 예약자가 쇼케이스(200)를 예약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약자가 단말기(100)를 이용해서 관리부(300)로 쇼케이스 예약 등록을 신청한다.
예약자가 쇼케이스 예약 등록 신청시에는 쇼케이스에 비치하는 유형, 즉 직접 비치, 또는 대리인을 통한 비치 여부와, 방문일자 정보를 같이 제공한다.
관리부 내부의 예약 시스템을 구성하는 예약부(303)는 예약 등록을 신청받으면 필요한 정보와 함께 공간 관리부(306)로 이를 전송한다.
공간 관리부(306)에서는 현재 물품 비치여부에 따른 쇼케이스의 정보 및 쇼케이스에 비치될 품목의 종류 및 크기, 렌탈 일정(렌탈 시작 날짜~ 렌탈 종료 날짜)을 고려하여 예약 등록 신청한 예약자에게 맞는 쇼케이스 및 그 쇼케이스가 위치한 매장의 정보, 그리고 예상 요금 정보 등을 예약부에 제공하고, 예약부는 이 정보와 함께 예약자의 단말기에 비치용 코드(1회용)을 발행하여 보낸다.
비치용 코드는 숫자코드일 수도 있고 QR코드일 수도 있고 바코드일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너를 통해서 읽을 수 있는 코드이거나, 또는 키보드 또는 터치패드를 이용해서 입력할 수 있는 코드이면 어느 형태이든 무방하다.
그리고 코드를 송신하면서, 예약자가 렌탈할 쇼케이스가 위치하는 매장의 위치/코드 뿐만 아니라, 등록물품별 예약 번호를 생성하여 같이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편하게 매장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7은 예약자가 매장을 방문하여 쇼케이스에 물품을 비치하고자 하는 경우의 흐름이다(도3의 S305에 해당).
예약자가 예약한 날짜에 단말기(100)를 가지고 예약된 매장을 방문하여, 예약된 쇼케이스(200)에 대해서 단말기로 받은 코드를 쇼케이스에 마련되는 인식부(스캔부)에 대해서 읽히거나, 또는 터치패드나 기타 입력장치(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면, 쇼케이스(200)의 제어부는 통신부를 통해서 이를 공간 관리부로 전송한다.
공간 관리부(306)로 전송되는 정보는 코드 인식 정보와 부티크 코드와, 기 예약 정보(에, 예약 오더번호)이며, 공간 관리부(306)는 전송받은 정보를 토대로 하여 방문한 예약자가 예약한 사람이 맞는지 확인하고, 맞다면, 다시 예약자가 방문한 부티크로 사용 가능한 쇼케이스의 번호를 지정하여 보낸다.
이러한 정보를 받은 부티크 내의 지정된 개별 쇼케이스(200)에는 비치 가능함을 알리는 신호(시각신호, 음성 신호)가 나타나고, 해당 개별 쇼케이스(200)의 잠금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예약자가 해당 쇼케이스(200)의 도어를 열고 물품을 넣은 후 도어를 닫으면, 다시 잠금 장치가 작동하여 도어가 개방 불가 상태가 되고, 이 상태가 공간 관리부(306)로 전달되며, 동시에 예약자의 단말기(100)에 수록된 비치용 코드는 폐기되어 다시 이를 이용하여 재개방을 할 수 없다.
만약에 예약자가 도어를 재개방하기를 원한다면, 다시 코드를 발급받아서 재개방을 해야하는데, 이는 예약자 단말기의 도난이나 분실, 또는 복사, 해킹 등을 통해서 발급 코드를 이용하여 타인이 도어를 개방하여 물품을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만약에 예약자가 직접 부티크에 방문할 수 없는 경우, 택배나 제3자를 통해서 부티크 매장 직원에게 전달하면, 직원이 지정된 쇼케이스(200)에 물품을 비치하고, 비치된 상태의 이미지가 부티크의 쇼케이스(200) -> 공간 관리부(306)를 통해서 예약자의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예약자로 하여금 비치된 상태를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쇼케이스(200)에 물품 비치가 완료되고 도어가 닫힌 후에는 렌탈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쇼케이스(200)에 보관된 자신의 물품에 대한 관람 내역이나, 남은 보관 기간 등이 푸쉬 알람 형태로 예약자의 단말기(100)로 전달된다.
위 사항을 도8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정리한다.
예약자가 (중고) 물품 판매를 위해서 물품을 비치할 쇼케이스를 렌탈하기 위해서 관리부(예약부 및 공간 관리부 포함)(300)에 예약 신청 및 코드 발행을 요청하면, 관리부(300)는 활용 가능한 부티크를 탐색하고, 코드를 생성한다. 다만, 이전에 사용자 등록 및 인증, 물품 인증이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후, 예약 정보(예약 번호 등) 및 활용 가능한 부티크 정보(예, 신사동 부티크), 코드(바코드, QR코드 등)이 예약자 단말기(100)로 전송되고, 한편 예약 정보 및 코드가 부티크 쇼케이스(200)로 전달된다. 그리고, 부티크 쇼케이스(정확하게는 쇼케이스의 메모리부)(200)에는 코드가 저장된다.
다음으로, 예약자가 지정된 부티크를 방문하여 쇼케이스(200)에 있는 인식부에 코드를 입력하거나 태깅을 하면, 부티크의 쇼케이스(200)의 제어부는 인식부를 통해서 코드를 인식하고 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한다.
코드가 일치되는 것을 판정되면, 부티크 쇼케이스(200)에서는 관리부(300)에 대해서 코드 일치 정보 및 예약 정보를 관리부에 보내고, 관리부(300)에서는 다시 부티크 쇼케이스(200)로 활용 가능한 개별 쇼케이스 번호를 지정해서 송신한다.
이에 따라서, 지정 쇼케이스의 도어가 잠금 해제되고, 예약자는 물품을 그 내부에 물품을 비치한다.
부티크 쇼케이스(200)에서는 입고 상태를 확인하고, 도어를 잠그고, 해당 비치용 코드의 재활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코드를 폐기하고, 이 상태를 관리부(300)에 전송하면, 관리부(300)에서는 보관 정보 및 상태를 예약자의 단말기(100)로 다시 전송함으로써, 예약자가 이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예약자가 직접 방문하지 못하는 경우, 택배로 해당 부티크에 물품을 발송함으로써 부티크의 직원이 마스터 코드를 이용하여, 물품을 비치하고, 그 보관 상태 정보를 예약자에게 송신한다. 이 상태에서도 원래 발급받은 코드는 폐기된다.
도9는 관람자가 방문하여 해당 물품을 관람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관람자가 부티크를 방문하고, 특정 물품이 보관된 쇼케이스(200) 내의 물품 관람 요청을 하면, 관람 요청 내역을 작성하고, 이를 등록한 뒤에, 도어 잠금 해제 요청을 하면, 부티크 상주 직원의 도움을 받아서 관람하고자 하는 특정한 개별 물품을 보관하고 있는 개별 쇼케이스의 도어가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여기서 관람자는 단말기 등을 통하여 회원 가입을 한 관람자일수도 있고, 별도 회원 가입 없이 방문하여 관람하기를 원하는 방문 관람자(walk-in 관람자)일 수도 있다.
이후, 관람자는 물품을 꺼내서 관람하다가, 이를 반납하여 해당 쇼케이스(200)에 재보관 하면, 다시 도어가 잠기고, 물품 보관 상태가 촬영된다.
해당 부티크의 쇼케이스(200)에서는 이러한 보관 상태 사진 및 관림 기록을 관리부에 전송하고, 관리부(300)에서는 이러한 내역을 방문/관람 DB에 저장한 후에 이를 예약자에게 전송한다.
한편, 예약자가 특정 기간 동안의 관람 기록 및 특정 일자의 관람기록을 요청하는 경우, 관리부(300)는 그 요청에 맞는 정보(사진 정보, 관람자 연령대, 성별, 방문 시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은 관람자에 한하며, 시스템에 회원가입을 하였거나, 회원 가입을 하지 않았어도 개인정보 동의서에 동의한 방문 관람자(walk-in 관람자)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10은 관람자가 본 시스템에 기등록된 회원이며, 찾고자 하는 관심 물품을 등록한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즉, 관람자가 회원 가입을 하고, 인증을 한 후에, 홈페이지나, 전용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관심물품(예, 샤넬 클러치 백)을 접속한 경우, 관리부(300)의 방문/관람 내역 DB에 이 내용이 등록된다.
이후, 관람을 원하는 물품이 특정 부티크의 쇼케이스(200)에 비치가 되면, 해당 부티크의 쇼케이스(200)에서는 관리부(300)로 해당 물품의 입고 정보를 송신하고, 관리부(300)의 물품 정보 DB에 등록되며, 이것을 방문/관람 내역 DB에 저장된 물품과 일치되는 경우, 이를 관람을 신청한 사람에게 푸시 알람을 보낸다.
이 경우, 보내는 정보는 입고된 물품명, 입고된 부티크 위치, 가격, 연식, 사진 정보 등이다.
관람자가 해당 부티크를 방문하여 입고된 물품을 관람하는 절차는 도9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므로, 중복 설명 방지를 위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은 관람자가 부티크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관람자가 자신의 마음에 드는 물품을 결제한 경우, 부티크에서는 결제 완료를 확인하고, 관리부에 결제 정보(금액, 결제자, 결제 일시, 부티크 코드) 및 판매 대상에 되는 물품에 대한 정보를 관리부에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는 신용카드 또는 현금, 무통장 입금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
관리부에서는 이에 따라서 판매된 물품 정보에 대해서 물품정보 DB, 판매정보 DB를 수정하고, 그 후에 부티크 쪽으로 물품 출고지시를 한다.
부티크 쪽에서 물품 출고 지시를 받게 되면, 현재 쇼케이스가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해당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상주 직원이 이를 관람자에게 건네서 관람자가 이를 수령할 수 있게 하거나, 관람자가 직접 이를 꺼내서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관리부에서는 해당 물품에 대한 판매가 완료되었음을 예약자에게 전송하고, 비용을 정산하여, 판매대금 및 수수료, 그리고 예약자가 수령할 실 수령액을 알려주고, 예약자가 수령할 실 수령액을 예약자에게 송금함으로써, 판매에 따른 업무 흐름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

  1.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중고 물품 거래 시스템으로서,
    오프라인 부티크 내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와 통신 가능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쇼케이스는 예약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제1 중고 물품을 외부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보관할 수 있고, 잠금 장치를 구비하며, 입력되거나 스캔 가능한 코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외부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쇼케이스의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에 물품의 보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 상기 인식부, 상기 통신부와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1 중고 물품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 중 하나에 비치하고자 하는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로부터 예약 신청을 받고, 상기 예약 신청에 따라서 코드를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예약자가 복수의 오프라인 부티크 중 활용 가능한 부티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활용 가능한 부티크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쇼케이스 중 활용 가능한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활용 가능한 부티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활용 가능한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예약자의 위치 정보 및 비치할 상기 제1 중고 물품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활용 가능한 부티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활용 가능한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예약자가 상기 활용 가능한 쇼케이스 중 제1 쇼케이스에 제1 중고 물품을 비치하여 판매를 하는 경우, 비치한 이후의 제1 관람자의 관람 정보 및 비치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쇼케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는 판매를 위한 상기 제1 중고 물품을 인증하는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인증 대상이 되는 상기 제1 중고 물품이 소정 이상의 기준을 만족하는 브랜드 물품이거나 진품 인증 코드를 구비한 물품에 한하여 인증을 진행하고,
    상기 관리부는 제2 관람자가 관람 또는 구매하기를 원하는 제2 중고 물품을 등록하고, 상기 제2 중고 물품이 상기 복수의 오프라인 부티크 중 특정 부티크 내의 제2 쇼케이스에 입고된 경우, 상기 제2 중고 물품에 대한 정보, 입고된 상기 특정 부티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쇼케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관람자의 단말기에 푸시 알람을 보내고,
    상기 쇼케이스의 상기 센싱부에 의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에 무단 물품의 보관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쇼케이스의 상기 카메라부는 소정의 시간 동안 촬영된 상기 주변 영역의 영상으로부터 사람에 대응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상기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관리부에 제공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객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단 물품을 보관한 무단 사용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예약자는 미리 상기 예약자의 단말기를 통해 상기 관리부에 접속하여 신분증의 고유 번호를 기반으로 본인 인증이 수행되는,
    중고 물품 거래 시스템.
KR1020210064539A 2020-10-27 2021-05-20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KR102534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539A KR102534586B1 (ko) 2020-10-27 2021-05-20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05A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0-10-27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KR1020210064539A KR102534586B1 (ko) 2020-10-27 2021-05-20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5A Division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0-10-27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95A true KR20220056095A (ko) 2022-05-04
KR102534586B1 KR102534586B1 (ko) 2023-05-26

Family

ID=761359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5A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0-10-27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KR1020210064539A KR102534586B1 (ko) 2020-10-27 2021-05-20 중고 물품을 비대면 방식으로 거래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5A KR102256259B1 (ko) 2020-10-27 2020-10-27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6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8B1 (ko) * 2022-05-23 2023-01-27 주식회사 중고나라 중고 거래를 통한 탄소 배출 저감량의 모델링 방법
KR102492211B1 (ko) * 2022-05-23 2023-01-27 주식회사 중고나라 거래소를 통한 비대면 직거래의 중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630A (ko) 2021-08-27 2023-03-07 강주휘 비대면 물품 판매 시스템
KR102545367B1 (ko) * 2022-08-30 2023-06-20 주식회사 다홈 수면용품 쇼케이스를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의 직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66A (ko) 1998-06-01 2000-01-15 윤종용 반구형 그레인 실리콘층을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KR20030027808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거래 지원 시스템 및 거래 지원 방법
KR20130116556A (ko) 2012-04-16 2013-10-24 류인익 위탁 자동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2037A (ko) * 2013-08-21 2015-03-04 주식회사 케이티 중고 콘텐츠를 유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1544132B1 (ko) 2014-11-21 2015-08-13 (주) 세컨드북스 현장 거래용 스마트 중고물품 거래자판기를 통한 중고물품거래장치 및 방법
KR101788121B1 (ko) 2015-04-14 2017-10-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13B1 (ko) 2014-11-21 2015-04-08 황태환 Qr 코드를 이용한 물품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7548A (ko) 2016-07-13 2018-01-23 이용훈 중고가격정보 생성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875282B1 (ko) 2016-09-13 2018-07-05 이재용 개인용 무인 보관함 및 이를 이용한 우편/택배 관리 시스템
KR102084314B1 (ko) 2018-07-11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가지는 보관함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0566B1 (ko) * 2018-10-02 2019-07-16 나재훈 스마트 전자상거래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144620B1 (ko) 2018-11-26 2020-08-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책 보관함을 이용한 도서 공유 시스템
KR102199623B1 (ko) 2018-12-04 2021-01-07 (주)동광뉴텍 무인보관함 관리 이용시스템
KR102140142B1 (ko) 2020-03-24 2020-07-31 주식회사 아이트립 무인 보관함 및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66299B1 (ko) 2020-06-23 2020-10-15 황금테크놀로지(주) 스마트 우편/택배 통합형 보관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66A (ko) 1998-06-01 2000-01-15 윤종용 반구형 그레인 실리콘층을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KR20030027808A (ko) * 2001-09-28 2003-04-0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거래 지원 시스템 및 거래 지원 방법
KR20130116556A (ko) 2012-04-16 2013-10-24 류인익 위탁 자동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2037A (ko) * 2013-08-21 2015-03-04 주식회사 케이티 중고 콘텐츠를 유통하는 서버 및 방법
KR101544132B1 (ko) 2014-11-21 2015-08-13 (주) 세컨드북스 현장 거래용 스마트 중고물품 거래자판기를 통한 중고물품거래장치 및 방법
KR101788121B1 (ko) 2015-04-14 2017-10-2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사물함 통합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218B1 (ko) * 2022-05-23 2023-01-27 주식회사 중고나라 중고 거래를 통한 탄소 배출 저감량의 모델링 방법
KR102492211B1 (ko) * 2022-05-23 2023-01-27 주식회사 중고나라 거래소를 통한 비대면 직거래의 중개 방법
WO2023229130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중고나라 거래소를 통한 비대면 직거래의 중개 방법
WO2023229129A1 (ko) *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중고나라 중고 거래를 통한 탄소 배출 저감량의 모델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259B1 (ko) 2021-05-27
KR102534586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6259B1 (ko) 쇼케이스 공간 렌탈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 거래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
US202202375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identity transmission with integrated service network and application ecosystem
EP3174240A1 (en) Digital token system for physical medium digitalization and physical store optimization
US11462109B2 (en) Multispace parking pay stations including payment improvements
US8693737B1 (en) Authentication systems, operations, processing, and interactions
US20150046202A1 (en) Universal Ticketing and Payment System
US10142836B2 (en) Secure mobile device
KR20180014252A (ko) 휴대 단말, 휴대 단말 프로그램, 체크 포인트 관리 시스템 및 체크 포인트 관리 방법
CA2949366A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ttlement to a merchant's card account using an on-line bill payment platform
US20150015374A1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for the collection, use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JP2010113540A (ja)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30005313A1 (en) Locking system for exchange of items, services, and/or facilities
GB2536003A (en) Ticketing system & Method
JP6901648B1 (ja) 販売機制御システム、自動販売機、及び情報出力方法
JP2023011674A (ja) 情報処理装置
JP2021140740A (ja) 物品収容システム、サーバ、物品収容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220147962A1 (en) Article housing system for managing article housed in storage body
US20210279672A1 (en) Article housing system, server, article housing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delivering article housed in storage body to user
CA3046774C (en) Multispace parking pay stations including payment improvements
WO2017025062A1 (zh) 无纸支付系统及其方法
JP3551891B2 (ja) 商品受け取り・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27411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2102141A1 (ja) 物品収容システム
KR20180064027A (ko) 사용자클라이언트 기반의 세금환급 서비스방법 및 프로그램
GILBERT Implement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to The Matric Card To Function As E-W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