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083A -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083A
KR20220056083A KR1020210023624A KR20210023624A KR20220056083A KR 20220056083 A KR20220056083 A KR 20220056083A KR 1020210023624 A KR1020210023624 A KR 1020210023624A KR 20210023624 A KR20210023624 A KR 20210023624A KR 20220056083 A KR20220056083 A KR 20220056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block body
fast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광
김희섭
김삼영
한종하
최민현
권순지
배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치티엔씨
Priority to KR102021002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083A/ko
Publication of KR20220056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이나 턱이 형성된 곳에 설치하는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부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블록몸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상부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블록몸체와 결합되고, 설치될 바닥면에 상기 블록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몸체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체결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체결홈 상호간에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시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합시키고, 상기 블록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부로 적층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은 상하 수직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고정수단이 체결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몸체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이 결합되는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ASSEMBLY SYSTEM FOR BLOCKS OF BLOCK TYPE DETACHABLE RAMP}
본 발명은 계단이나 턱이 형성된 곳에 설치하여 휠체어 등이 용이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단이나 턱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 입구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계단 옆으로 노약자나 장애인들을 위한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사로는 주로 콘크리트나 대리석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는 실정이며, 설치를 위한 일정 공간을 확보해야만 한다.
또한, 보행자가 다니는 인도를 걷다 보면, 많은 턱을 발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턱은 낮게 형성된 곳도 있으나 휠체어 등이 지나가기에 다소 높은 턱도 종종 발견된다. 이의 해결을 위해 콘크리트 등으로 경사로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설치 후 양생 과정이 필요하므로 일정 시간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설치 후 용도 변경 등으로 해체해야 하는 경우 해체 과정에서 다른 부위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설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경사로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0001)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01249호 (0002) 국내등록특허 제10-206132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형으로 제작되어 손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히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적층된 블록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블록몸체 및 고정핀의 파손없이 손쉽게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는, 계단이나 턱이 형성된 곳에 설치하는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부 방향으로 적층되면서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블록몸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상부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블록몸체와 결합되고, 설치될 바닥면에 상기 블록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몸체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체결홈과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체결홈 상호간에 상기 체결수단을 체결시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을 결합시키고, 상기 블록몸체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부로 적층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에 형성된 상기 고정홀은 상하 수직선 상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홀을 통해 상기 고정핀이 체결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몸체와 하부에 위치한 상기 블록몸체 상호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의 상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제1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제1키홈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1기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홀의 상단 외측 둘레부에는 미끄럼방지수단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에는, 제2키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에도 상기 제2키홈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기준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은, 상단부가 상기 고정홀의 상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고정홀의 하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되며, 고정홀에 체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준돌기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끼움핀; 및 상단부가 상기 끼움핀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끼움핀에 삽입되면서 상기 끼움핀의 하단부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제2기준돌기가 형성되는 지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방지턱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탈착되는 고정지지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지지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하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심에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블록형으로 제작되므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키홈을 통해 경사로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경사각도를 갖는 고정핀의 머리부가 정위치 체결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경사로 이용시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미끄럼방지수단을 통해 경사로 이용자 또는 휠체어 등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턱 구성시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핀을 끼움핀과 지지핀의 이중 구조로 구성시, 고정핀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므로 고정핀의 파손 및 고정핀이 결합되는 블록몸체의 파손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을 통해 경사로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에 손쉽게 체결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의 일 실시례에 의한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일 실시례에 의한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결합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정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는 블록몸체(100), 체결수단(200), 고정핀(300) 및 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록몸체(100)는 조립식 경사로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블록몸체(100) 상호간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부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복수 개의 블록몸체(100)가 배열되고 적층되면서 경사로를 형성한다. 경사로는 계단이나 턱이 있는 곳에 구성할 수 있다. 블록몸체(100)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한 개 또는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면을 형성하는 선단부는 경사진 하나의 블록몸체(100)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몸체(100)를 제외한 나머지 블록몸체(100)의 두께는 모두 동일 또는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블록몸체(100)의 두께를 동일하게 제작할 경우 사용될 장소와 블록몸체(100) 결합부위의 최소 두께를 고려하여 블록몸체(100)의 두께를 결정한다. 또한, 블록몸체(100)의 두께는 동일하게 적용하더라도 사용 장소에 따라 정해진 두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장소에 서로 다른 두께의 블록몸체(10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계단 또는 턱에 근접한 블록몸체(100)의 최소 두께는 휠체어 등이 경사로 없이도 통행할 수 있는 최대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 10㎝ 두께의 계단 또는 턱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5㎝ 두께의 블록몸체(100) 두 개를 사용하여 경사로를 형성하며, 9㎝ 두께의 계단 또는 턱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4.5㎝ 두께의 블록몸체(100) 두 개를 사용하여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9㎝ 두께의 계단 또는 턱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5㎝ 두께의 블록몸체(100)와 4㎝ 두께의 블록몸체(100) 두 개를 사용하여 경사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몸체(100)의 최소 두께가 3㎝라고 가정할 경우, 계단 또는 턱의 높이가 4㎝라면 4㎝ 두께의 블록몸체(100)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블록몸체(100)가 경사면을 형성한다. 물론, 턱의 높이가 4㎝이고, 휠체어가 경사로 없이도 지나갈 수 있는 턱의 높이가 2㎝일 경우, 블록몸체(100)의 최소 두께인 3㎝로만 경사로를 구성하고 1㎝의 턱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두 개 이상의 블록몸체(100)를 쌓아올려 경사로를 형성할 경우 최상부에 위치된 블록몸체(100)가 경사면을 형성하고, 최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하부에 위치된 블록몸체(100)의 형상은 직육면체를 형상을 갖는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선단부는 경사진 하나의 블록몸체(10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블록몸체(100)를 적층시킬 경우 벽돌을 쌓아 올리듯 엇갈리게 쌓아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재질은 내구성 및 일정 강도 이상의 플라스틱 재질, 일례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을 사용할 수 있다. 고무 등과 같은 연성 재질은 본 발명의 구성품을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본래 형상이 유지되는 일정 강도 이상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블록몸체(100)의 재질은 일종 이상의 재질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체결수단(200)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몸체(100)의 둘레부에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다수 개의 체결홈(110)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100)에 형성된 체결홈(110)과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100)에 형성된 체결홈(110) 상호간에 체결수단(200)을 체결시켜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을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체결수단(200)은 체결홈(110)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체결수단(200)과 체결홈(110)의 형상 자체를 도시된 바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고정핀(300)은 상부 방향으로 적층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블록몸체(100)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고정홀(120)이 형성된다. 상부 방향으로 적층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에 형성된 고정홀(120)은 상하 수직선 상에 위치된다. 고정홀(120)을 통해 고정핀(300)이 체결되면서 상부에 위치한 블록몸체(100)와 하부에 위치한 블록몸체(100) 상호간이 결합된다. 고정핀(300)은 고정홀(120) 각각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에 위치된 블록몸체(100)와 하부에 위치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례로, 블록몸체(100) 하나 당 2~4개 또는 블록몸체(100) 두개 당 2~4개 정도 체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300)의 일 실시례에 의한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핀(300)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고, 도 8은 도7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고정핀(300)의 일 실시례 및 다른 실시례에 따른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핀(30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하나의 몸체(일 실시례)로 구성하거나,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두 개의 몸체(다른 실시례)로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핀(300)은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몸체(100)의 기울기와 대응되는 각도로 상단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고정머리(310-1)와, 고정머리(310-1)의 하부로 고정홀(120)에 삽입고정되는 끼움몸체(310-2)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핀(300)을 고정홀(120)에 삽입시 고정머리(310-1)는 고정홀(120)의 상단 외측 둘레면에 지지된다. 끼움몸체(310-2)의 하단 외측 둘레부에는 걸림돌기(313-1)가 형성된다. 이때, 끼움몸체(310-2)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장홀(312-1)이 형성되어 고정홀(120)에 끼움몸체(310-2)를 삽입시 장홀(312-1)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끼움몸체(310-2)가 내측으로 휘었다가 다시 본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걸림돌기(313-1)가 고정홀(120)의 하부 외측 둘레부에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홀(120)의 상부에는 제1키홈(121)이 형성된다. 고정머리(310-1)와 끼움몸체(310-2)의 연결부위에도 제1키홈(121)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기준돌기(311-1)가 형성된다. 고정머리(310-1)의 상단면은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고정핀(300)을 고정홀(120)에 체결시 경사면끼리 일치되도록 정위치 체결이 용이치 않다. 따라서, 제1기준돌기(311-1)를 제1키홈(121)에 위치시켜 체결함으로써, 정위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핀(300)은 끼움핀(310) 및 지지핀(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끼움핀(310)의 상단부는 블록몸체(100)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끼움핀(310)을 고정홀(120)에 삽입시 끼움핀(310)의 상단부가 고정홀(120)의 상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된다. 끼움핀(310)의 상단부 하부에도 전술한 제1기준돌기(311)가 형성된다. 끼움핀(310)의 하단부에는 걸림돌기(313)가 형성되며, 끼움핀(310)을 고정홀(120)에 삽입시 끼움핀(310)의 하단부가 고정홀(120)의 하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된다. 끼움핀(310)은 원통 형상으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중심에 홀이 형성된다. 또한, 끼움핀(310)의 하부에는 고정홀(120)에 체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장홀(312)이 형성되어, 끼움핀(310)을 고정홀(120)에 삽입시 끼움핀(310)의 하부는 장홀(312)이 형성된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삽입되었다가 다시 본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끼움핀(310)에 형성된 걸림돌기(313)가 고정홀(120)의 하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된다. 이때, 끼움핀(310)은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걸림돌기(313)의 지지력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핀(310)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홀을 통해 지지핀(320)을 결합하여 걸림돌기(313)의 지지력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핀(320)의 상단부도 블록몸체(100)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끼움핀(310)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홀에 삽입시 지지핀(320)의 상단부가 상기 홀의 상부 외측 둘레부에 걸려 지지된다. 즉, 지지핀(320)의 상단부는 끼움핀(310)의 상단부와 동일한 반경을 가지며, 지지핀(320)의 상단 하부면이 끼움핀(310)의 상단면에 안착지지된다. 이때, 지지핀(320)의 상단부도 경사면을 형성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정위치 체결을 위해 지지핀(320)의 12시 방향 상부로 연장된 제2기준돌기(321)를 형성하고, 제2기준돌기(321)에 대응되는 제2키홈(131)을 후술할 미끄럼방지수단(130)에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2기준돌기(321)와 제2키홈(131)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식별표시(323)를 통해 정위치 체결을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핀(320)의 상단부를 제외한 하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끼움핀(310)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된다. 즉, 지지핀(320)의 하부 직경은 끼움핀(310)의 상기 홀의 직경에 대응되며, 지지핀(320)을 끼움핀(310)에 체결시 끼움핀(310)이 지지핀(320)에 지지되면서 끼움핀(310)이 내측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고 본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해준다. 이때, 지지핀(320)의 하부에도 체결되는 길이 방향으로 장홀(324)을 형성하여 끼움핀(310)에 지지핀(320)을 삽입시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지지핀(320)의 하부가 장홀(324)이 형성된 방향으로 소정의 텐션을 가지며 소정 간격 가압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핀(320)의 하부에는 장홀(324)이 형성되어도 관 형상의 끼움핀(310)에 비해 두께가 두꺼워 높은 텐션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끼움핀(310)에 형성된 걸림돌기(313)의 고정홀(120) 하부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지지핀(320)의 하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체결돌기(322)가 형성된다. 체결돌기(322)는 끼움핀(310)의 장홀(312)에 삽입되며, 끼움핀(310)에 결합된 지지핀(320)이 상부로 이탈시 체결돌기(322)가 장홀(312)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면서 지지핀(320)이 끼움핀(3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하로 적층결합된 블록몸체(100) 상호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홀(120)의 상단 외측 둘레부에는 미끄럼방지수단(130)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미끄럼방지수단(130)은 고정핀(300)의 상부가 안착지지되는 부분으로 고정핀(3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도면상에는 원형으로 도시하였다. 미끄럼방지수단(130)은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휠체어 등이 경사면을 타고 이동시 경사면 하부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미끄럼방지수단(1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끄럼방지턱(1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턱(132)은 경사면과 직교되는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며, 미끄럼방지턱(132) 구성시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400)의 일 실시례에 의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400)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수단(4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수단(400)은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블록몸체(100)와 결합되어 설치바닥에 블록몸체(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블록몸체(100)의 하부에는 끼움홈(140)이 형성된다. 끼움홈(140)은 원형으로 고정수단(400)이 이에 탈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고정수단(400)은 끼움홈(140)에 탈착되는 고정지지몸체(410)로 구성된다. 고정지지몸체(410)는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개방된 상부가 블록몸체(100)의 끼움홈(140)에 체결된다. 고정지지몸체(410)의 하부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홀(42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는 두 가지 타입으로 설치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20)를 이용하여 설치바닥(10)에 고정되는 타입이다. 이는 설치바닥(10)이 평평한 실내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설치바닥(10)이 장판이나 대리석 등과 같이 매끈한 면을 형성하는 곳에 주로 적용할 수 있다. 양면테이프(20)를 이용한 고정방식은 고정지지몸체(410)의 하부면에 양면테이프(20)를 부착하고, 시공될 설치바닥(10)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설치바닥(10)에 양면테이프(20)의 이형지를 분리한 후 부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설치를 위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30)를 이용하여 설치바닥(10)에 고정하는 타입이다. 이는 설치바닥(10)이 고르지 못한 실외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면과 같이 양면테이프(20)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소에 주로 적용할 수 있다. 앵커볼트(30)를 이용한 고정방식은 앵커볼트(30)를 고정지지몸체(410)의 하부 홀(4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앵커볼트(30)를 설치바닥(10)에 시공하여 고정지지몸체(410)를 설치바닥(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제작된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고정지지몸체(410)에 결합시켜 설치한다. 즉, 블록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140)을 설치바닥(10)에 고정된 고정지지몸체(41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의 사용상태를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된 장소를 확인하고, 계단이나 턱 등의 높이를 고려하여 블록몸체(100)를 조립한다. 블록몸체(100) 조립시 체결수단(200)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시켜 결합하고, 고정핀(300)을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블록몸체(100)를 결합한다.
고정핀(300) 체결시 고정핀(300)이 체결될 고정홀(120)에 먼저 끼움핀(310)을 결합시키며, 이때 제1기준돌기(311)를 제1키홈(121)에 맞춰서 체결한다. 이후 지지핀(320)을 끼움핀(310)의 중심에 형성된 홀에 삽입시켜 고정핀(300) 체결을 완료하며, 이때 제2기준돌기(321)를 제2키홈(131)에 맞춰서 체결한다.
양면테이프(20)가 부착된 고정수단(400)을 끼움홈(140)에 체결한다. 설치바닥(10)의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양면테이프(20)의 이형지를 분리하여 설치바닥(10)에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설치한다.
이후 설치된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제거시, 블록몸체(100)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 끼움홈(140)으로부터 고정수단(400)을 분리한다. 고정수단(400) 분리시 블록몸체(100)와 설치바닥(10) 사이의 간격을 벌리기 위해 일자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고정수단(400)이 분리되면 설치바닥(10)에서 고정수단(400)을 제거한다.
블록몸체(100)로부터 고정핀(300)과 체결수단(200)을 분리한다. 고정핀(300) 분리시에는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끼움핀(310)과 지지핀(320) 사이를 벌린 후 끼움핀(310)의 장홀(312)에서 고정핀(300)의 체결돌기(322)를 이탈시켜 분리한다. 지지핀(320)이 분리되면 끼움핀(310)의 하부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걸림돌기(313)를 고정홀(12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를 사용하면, 고정수단(400)을 통해 경사로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손쉽게 체결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종래대비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치 않음은 물론, 고정핀(300)을 끼움핀(310)과 지지핀(320)의 이중 구조로 구성시, 고정핀(300)의 결합 및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므로 고정핀(300)의 파손 및 고정핀(300)이 결합되는 블록몸체(100)의 파손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설치바닥 20 : 양면테이프
30 : 앵커볼트
100 : 블록몸체 ` 110 : 체결홈
120 : 고정홀 121 : 제1키홈
130 : 미끄럼방지수단 131 : 제키홈
132 : 미끄럼방지턱 140 : 끼움홈
200 : 체결수단
300 : 고정핀 310 : 끼움핀
311 : 제1기준돌기 312 : 장홀
313 : 걸림돌기 320 : 지지핀
321 : 제2기준돌기 322 : 체결돌기
323 : 식별표시 324 : 장홀
310-1 : 고정머리 310-2 : 끼움몸체
311-1 : 제1기준돌기 312-1 : 장홀
313-1 : 걸림돌기
400 : 고정수단 410 : 고정지지몸체
420 : 홀

Claims (6)

  1. 복수의 블록몸체가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고 적층되어 경사로를 형성하는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들을 체결하는 체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블록몸체는 복수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블록몸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고정홀에 삽입되며 상기 적층된 블록몸체들을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는 끼움핀을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핀은
    상기 상하 적층된 블록몸체 중 상층 블록몸체의 상기 고정홀 상에 걸치는 고정머리; 및
    상기 고정머리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상층 및 하층의 블록몸체의 고정홀들을 관통해 삽입된 후, 상기 하층 블록몸체의 상기 고정홀 하면에 걸치는 끼움몸체
    를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몸체의 하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중앙이 절개되고, 외측 둘레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머리의 상면은 경사져 있고,
    상기 고정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키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제1기준돌기가 형성된,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핀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스템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는 지지핀을 추가로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들의 적어도 일부 둘레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시스템은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 상기 블록몸체들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체결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블록몸체들 간의 수평 방향 체결을 달성하는 체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블록몸체 체결 시스템.
KR1020210023624A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KR20220056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24A KR20220056083A (ko)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07A KR102509555B1 (ko) 2020-10-27 2020-10-27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
KR1020210023624A KR20220056083A (ko)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7A Division KR102509555B1 (ko) 2020-10-27 2020-10-27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83A true KR20220056083A (ko) 2022-05-04

Family

ID=813830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7A KR102509555B1 (ko) 2020-10-27 2020-10-27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
KR1020210023624A KR20220056083A (ko)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KR1020210023618A KR20220056082A (ko)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207A KR102509555B1 (ko) 2020-10-27 2020-10-27 블록형 조립식 경사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18A KR20220056082A (ko) 2020-10-27 2021-02-22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21213B2 (ko)
KR (3) KR102509555B1 (ko)
WO (1) WO202209299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49Y1 (ko) 2000-04-24 2000-11-01 주식회사호남테크노티 조립식경사로장치
KR102061323B1 (ko) 2019-07-12 2019-12-31 홍영광 모듈형 조립식 경사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700A (en) * 1899-03-21 Guitar-bridge
US1114768A (en) * 1914-01-24 1914-10-27 Charles A Hyde Detachable tread-cleat for tractors.
JPS57145037U (ko) * 1981-03-07 1982-09-11
JPH0730811Y2 (ja) 1988-06-01 1995-07-19 神鋼建材工業株式会社 すべり止め金属板
JP2997069B2 (ja) 1991-02-01 2000-01-11 ナカ工業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の連結装置
DE60037661T2 (de) * 1999-07-02 2009-01-08 Excellent Systems A/S Vorrichtung zur einfachen Überwindung von Höhendifferenzen, insbesondere bei Türschwellen, durch Rollstuhlfahrer
US20020124332A1 (en) * 2001-03-12 2002-09-12 Janowak Matthew A. Knockdown ramp construction
JP2002339533A (ja) 2001-05-16 2002-11-27 Ainichi Mokken Kk 段差解消部材
JP4093454B2 (ja) 2002-01-09 2008-06-04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滑り止め材
US6993801B2 (en) * 2003-07-03 2006-02-07 Land Wave Products, Inc. Variable ramp assemblies and system therefor
KR100802711B1 (ko) * 2006-09-06 2008-02-12 박원배 차량진입대
KR200462739Y1 (ko) * 2010-06-29 2012-09-27 이성민 도로의 단턱 완화용 조립식 경사 블록
US8935822B2 (en) * 2012-11-23 2015-01-20 Excellent Holding Aps Modular ramp construction and wedge elements herefore
KR20190001817U (ko) * 2018-01-08 2019-07-17 김광배 거푸집 간격유지 고정장치
WO2020039358A1 (en) * 2018-08-20 2020-02-27 Windlesora Ltd Expeditionary heavy armor ramp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49Y1 (ko) 2000-04-24 2000-11-01 주식회사호남테크노티 조립식경사로장치
KR102061323B1 (ko) 2019-07-12 2019-12-31 홍영광 모듈형 조립식 경사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82A (ko) 2022-05-04
WO2022092996A1 (ko) 2022-05-05
KR102509555B1 (ko) 2023-03-16
US20230304292A1 (en) 2023-09-28
KR20220055770A (ko) 2022-05-04
US11821213B2 (en)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92322B1 (en) Equipment for easing the passage of wheelchair users through differences in level, in particular over door thresholds
US20090019805A1 (en) Nail-Free Decking System
KR100814075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데크 시공방법.
JP2008502833A (ja) 面構造を構築するための建造システム
US20110203200A1 (en) Deck system
KR20220056083A (ko) 블록 조립식 경사로판의 체결 시스템
US20020100247A1 (en) Method for quickly building a building and moldboard employed in the method
KR102249285B1 (ko) 시공 및 해체가 편리한 데크 조립체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477350Y1 (ko) 신축이 가능한 슬라이딩 발판
GB2430461A (en) Safety Platform Assembly
KR200477610Y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KR200312058Y1 (ko) 조립식 깔판
KR100685275B1 (ko) 건축단지용 철재계단 구조
KR200345059Y1 (ko) 슬래브 거푸집용 멍에 지지구
KR960008861Y1 (ko) 난간 형틀 지지구
KR101812477B1 (ko) 콘크리트 블럭을 이용한 데크블럭 및 그 시공방법
CN217400158U (zh) 一种无导轨支撑板的梯路结构
KR200375683Y1 (ko) 타일 베이스
KR101125552B1 (ko) 건축구조물의 벽체 시공용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CN210032874U (zh) 一种便于组装的高强度防盗护栏
JPH08158609A (ja) 複合床材
CN214329653U (zh) 一种轻钢结构装配装饰一体化建筑的室外台阶
KR100824677B1 (ko) 배관 조립형 마루판 조립체
KR200193188Y1 (ko) 가설구조용 빔 받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