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982A -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982A
KR20220055982A KR1020200140619A KR20200140619A KR20220055982A KR 20220055982 A KR20220055982 A KR 20220055982A KR 1020200140619 A KR1020200140619 A KR 1020200140619A KR 20200140619 A KR20200140619 A KR 20200140619A KR 20220055982 A KR20220055982 A KR 2022005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sonnel
marker
board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정민
문상훈
박주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0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982A/ko
Publication of KR2022005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2Image preprocessing by selection of a specific region containing or referencing a patter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to guide the detection or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2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augmented reality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현실 기반으로 선박 승선/하선 여부를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확인하고, 선내에서 작업중인 인원의 작업 내용과 개인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내부 인원(선원)과 선박에 승선하는 외부 인원에게 개인 고유의 마커를 발급하고, 이 마커 정보와 개인 정보를 매칭하여, 외부 서버, 육상 관제 서버, 선박 내의 플랫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작업 관리자 또는 선박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원이 착용한 마커만을 인식시키면, 해당 인원의 개인 정보와 작업 정보가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증강현실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이러한 증강현실 화면에서 관리자는 승하선 선택과 작업 정보 갱신 등만 수행하면, 편리하게 승하선 인원 확인 및 작업 관리가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Augmented reality based on board personnel and work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강현실 기반으로 선박 승선/하선 여부를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확인하고, 선내에서 작업중인 인원의 작업 내용과 개인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내 작업을 위한 승선/하선 인원 관리나 작업 관리는,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해당 관리 정보를 노트 등에 수기로 기록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육상에 있는 선주 사무실이나 벤더(Vendor)는 해당 내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유선 전화(무선 전화)를 통해서 해당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육상에 있는 선주 사무실이나 벤더 들이 선내 인원 현황이나 작업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는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은 승선자가 RFID 태그를 소지하도록 하고, 선내의 임의 위치에 설치된 RFID 리더기에서 RFID 태그가 인식되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승선자의 방문 및 이동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1> 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승선자의 위치 파악은 가능하나, 선내의 작업 상황이나 승선자의 하선 상황은 인식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는 선박에 탑승한 승선자의 승선자장치와 통신망을 활용하여 선박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선박에 긴급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2> 는 통신망을 활용하여 승선자의 선박 내 위치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나, 선내의 작업 상황이나 승선자의 하선 상황은 인식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 은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항만 수출입 업무에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정보를 취합해 출입자격을 자동으로 획득하여, 선박 출입자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문헌 3> 은 항만의 출입자를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선내의 인원 관리나 선내 작업 관리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66272(2014.11.21. 등록)(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52704(2020.05.15. 공개)(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96746(2020.03.27. 등록)(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수기 방식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 방법에서 발생하는 단점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증강현실 기반으로 선박 승선/하선 여부를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확인하고, 선내에서 작업중인 인원의 작업 내용과 개인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은,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하며, 승하선 인원 인식과 작업 정보 처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
선내 승하선 인원 및 작업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외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내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처리된 외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커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공유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송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송하는 위성 통신부;
상기 선내에 승하선하는 외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고, 발급한 마커에 대응하는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서버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서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상기 위성 통신부를 통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성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해주는 육상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마커는 QR 코드 또는 착용자별로 구분할 수 있는 문양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마커의 인식 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 소속, 업무 내용을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마커 인식만으로 해당 인원의 상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플랫폼 서버와 연동하여, 인원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갱신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상기 인식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소속/업무 내용을 증강현실로 화면에 표시해주는 터치 디스플레이;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증강현실로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마커 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 상기 마커 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마커 인식을 통한 승하선 인원 정보 처리와 작업 정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승하선 인원 갱신 정보 및 작업 갱신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송된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랫폼 서버는 상기 육상 관제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내부 인원 마커 정보 및 외부 인원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마커 정보를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랫폼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원 갱신 정보 및 작업 갱신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갱신 정보가 외부 인원의 갱신정보이면 갱신된 외부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위성 통신부를 통해 육상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육상 관제서버는 내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며, 상기 위성 통신부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기반으로 선박 승선/하선 여부를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확인하고, 선내에서 작업중인 인원의 작업 내용과 개인정보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 및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마커 인식 기반으로 선내 승하선 인원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외부 인원이 작업과 무관한 선내 구역에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하선 인원의 승하선 일시와 작업 내용 정보를 실시간으로 육상과 공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실시 예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플랫폼 서버와 육상 관제서버 및 외부 서버에 저장된 마커 정보의 예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서 외부 인원 승하선 관리 프로세스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에서 외부 인원 작업 관리 프로세스 흐름도,
도 4c는 본 발명에서 내부 인원/작업 관리 프로세스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에서 승하선 관리화면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서 작업 관리화면 예시도,
도 5c는 본 발명에서 마커 인식 기본 화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서 마커 인식 시 증강현실로 표출되는 마커 정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로서, 마커(11, 21), 휴대용 단말기(100), 플랫폼 서버(300), 위성 통신부(400), 육상 관제 서버(500), 외부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커(11, 21), 휴대용 단말기(100), 플랫폼 서버(300) 및 위성 통신부(VSAT)(400)는 선내(1)에 마련되며, 육상 관제 서버(500)와 외부 서버(600)는 선외에 구현된다.
마커(11, 21, 22)는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하며, 승하선 인원 인식과 작업 정보 처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내 승하선 인원은 내부 인원 및 외부 인원일 수 있으며, 마커는 외부 서버(600)에서 발급한 마커(11)이거나 육상 관제 서버(500)에서 발급한 마커(21, 22)일 수 있다.
이러한 마커는 QR 코드로 구현되거나, 착용자별로 구분할 수 있는 문양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착용자별로 구분할 수 있는 문양 정보를 이용할 경우, 업체별로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문양을 이용하여 업체를 구분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100)는 선내 승하선 인원 및 작업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외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내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마커(11, 21)의 인식 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 소속, 업무 내용을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마커 인식만으로 해당 인원의 상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여, 인원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갱신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101), 상기 인식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소속/업무 내용을 증강현실로 화면에 표시해주는 터치 디스플레이(102),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증강현실로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커 인식부(101)는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QR 코드 리더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상기 마커 인식부(101)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104), 상기 마커 인식부(101)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정보 처리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마커 인식을 통한 승하선 인원 정보 처리와 작업 정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106), 상기 제어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승하선 인원 갱신 정보 및 작업 갱신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06)에 전달하는 통신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07)는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LTE나 5G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할 수 있다.
무선 액세스포인트(AP)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플랫폼 서버(300) 간의 데이터를 상호 인터페이스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는 휴대용 단말기(100)와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300)와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처리된 내부 및 외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커(11, 21)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공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육상 관제 서버(500)를 통해 전송되는 내부 인원 마커 정보 및 외부 인원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와 마커 정보를 동기화한다.
아울러 상기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인원 및 작업 정보가 외부 인원의 정보이면 외부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위성 통신부(VSAT)(400)를 통해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위성 통신부(400)는 상기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 서버(500)로부터 전송된 마커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300)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선내 외부 인원 승하선 정보와 외부 인원 작업정보는 외부 벤더(Vendor)나 해당 기관에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부 서버(600)는 상기 선내에 승하선하는 외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고, 발급한 마커에 대응하는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서버(500)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외부 서버(600)는 선박에 방문하는 외부 벤더나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육상 관제서버(500)는 상기 외부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상기 위성 통신부(400)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고, 상기 위성 통신부(400)로부터 전송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600)에 전송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육상 관제서버(500)는 내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며, 상기 위성 통신부(400)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600)에 전송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선내에서 승하선 인원 및 작업 관리를 위해, 선내에서 작업하는 내부 인원의 확인 및 작업 정보 처리를 위한 내부 인원용 마커(21)를 발급하고, 외부 인원이 선박을 방문할 경우, 선내에서 인원 확인 및 이동 동선 확인, 작업 정보 처리 등을 위해 외부 인원용 마커를 발급한다.
외부 인원용 마커 발급은 외부 서버(600)에서 수행한다. 외부 인원은 발급받은 마커(11)를 헬멧이나 근무복 등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마커를 착용한다. 마커 발급 시, 개인 정보, 소속, 업무 내용, 승하선 정보 등을 매칭시켜 등록하고, 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해준다. 도 3b는 외부 인원용 마커의 정보를 외부 서버(60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예시이다. 마커는 업체별로 또는 방문 기관별로 서로 상이한 그림 문양의 마커를 이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부 인원용 마커는 육상 관제 서버(500)에서 수행한다. 내부 인원은 발급받은 마커(21)를 헬멧이나 근무복 등의 소정 위치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마커를 착용한다. 마커 발급 시, 개인 정보, 소속, 업무 내용, 승하선 정보 등을 매칭시켜 등록한다.
육상 관제 센터(500)는 상기 외부 서버(600)로부터 수신한 외부 인원 마커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아울러 선배 인원에 대하여 발급한 마커 정보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그리고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마커 정보에 대해서는 위성 통신을 통해 선내(1)로 전송하게 된다.
선내(1)의 위성 통신부(400)는 사익 육상 관제 서버(500)로부터 전송받은 내부 인원 및 외부 인원의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 서버(300)에 전달한다. 여기서 육상 관제 서버(500)는 새로운 마커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동시에 선내(1)의 플랫폼 서버(300)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마커 정보에 대한 동기화를 구현한다. 도 3b는 플랫폼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마커 정보의 예시이다. 하나의 마커에 대해서는 마커 이미지, 성명, 소속, 승선일시, 하선일시, 업무/작업 내용, 업무/작업 현황, 작업 구역, 업무/작업 완료 일시, 확인자 정보 등이 상호 매칭되어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상기 위성 통신부(400)를 통해 수신한 마커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무선 액세스포인트(200)를 통해 마커 정보를 선박 관리자나 작업 관리자가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로써 선내 내부 인원 승하선 확인과 작업 관리를 위한 마커 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 플랫폼 서버(300) 및 휴대용 단말기(100)가 공유하게 되고, 외부 인원 승하선 확인과 작업 관리를 위한 마커 정보를 외부 서버(600), 육상 관제 서버(500), 플랫폼 서버(300) 및 휴대용 단말기(100)가 공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선내에서 이동하는 인원 및 작업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마커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본 발명은 외부 인원 승하선 관리 프로세스, 외부 인원 작업 관리 프로세스, 내부 인원 관리 및 작업 관리 프로세스를 증강현실 기반으로 처리하여, 선박 관리자 또는 작업 관리자가 편리하게 선내 인원 파악 및 작업 관리를 하며, 동시에 외부 서버에서도 외부 인원의 승하선 상태나 작업 상태를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세분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인원 승선 관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서버(600)에서 승선 인원 정보와 작업 정보 등을 입력하고, 해당 정보와 매칭된 마커를 발급하고, 발급한 마커 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외부 인원은 발급받은 마커를 헬멧이나 근무복 등에 부착하여 착용한다(S11).
육상 관제 서버(500)는 상기 외부 서버(600)로부터 전송받은 마커 정보를 위성 통신을 통해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여, 외부 인원의 승선인원 정보를 공유한다(S12).
외부 인원이 승선한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 또는 선박 관리자는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100)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300)와 데이터 동기화 및 로그인을 한다(S13).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마커 인식부(101)를 통해 승선한 외부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한다(S14). 마커 인식이 이루어지면,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여, 인식한 마커 정보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고,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인식한 마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즉, 개인 정보, 업체 정보, 작업 정보, 승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15).
이어, 수신한 마커의 정보를 기초로 메모리(103)에 저장된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원 정보, 작업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한다(S16).
도 5c는 외부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하는 상태의 터치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예시이고, 도 5d는 마커 인식 시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의 표시 예시이다.
마커를 인식한 상태에서, 승하선 관리 또는 작업 관리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또는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외부 인원의 승선이라면 승하선 관리를 클릭한다. 승하선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a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승선이면 승선 확인을 클릭한다. 승선 확인이 선택되면,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104)는 승선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승선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인원의 승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승선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승선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승선 정보가 외부 인원의 승선 정보이므로 이를 외부 서버(600)로 전송하여, 외부 인원의 승선 데이터를 동기화한다(S17). 이로써 벤더나 관게 기관은 실시간으로 외부 인원의 승선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외부 인원의 하선일 경우에는, 단계 S16에서 승하선 관리를 클릭한다. 승하선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a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하선이면 하선 확인을 클릭한다. 하선 확인이 선택되면,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104)는 하선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하선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인원의 하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하선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하선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하선 정보가 외부 인원의 하선 정보이므로 이를 외부 서버(600)로 전송하여, 외부 인원의 하선 데이터를 동기화한다.
다음으로, 외부 인원의 작업 관리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외부 인원 승하선 관리 프로세서에서 단계 S16과 같이,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S21), 작업 관리를 클릭한다.
작업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b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는 작업 내용을 수정한다. 즉, 작업 완료일 경우 완료 확인을 클릭한다(S22).
이후, 작업 관리자는 서명란에 서명을 한다. 터치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서명란이 표시되므로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서명을 하면 된다(S23).
작업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고, 서명이 이루어지면, 작업정보 처리부(105)는 작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작업 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외부 인원의 작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작업 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작업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작업 정보가 외부 인원의 작업정보이므로 이를 외부 서버(600)로 전송하여, 외부 인원의 작업 데이터를 동기화한다(S24).
다음으로, 내부 인원의 승하선 관리와 작업 관리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인원 승선 시 마커 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저장한 동기화한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 또는 선박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플랫폼 서버(300)에 관리자 아이디로 로그인을 한다(S31).
이후,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마커 인식부(101)를 통해 승선한 내부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한다(S32). 마커 인식이 이루어지면,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여, 인식한 마커 정보를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하고,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인식한 마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즉, 개인 정보, 업체 정보, 작업 정보, 승선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33). 여기서 마커 정보는 해당 마커 마다 고유한 식별정보(ID)를 포함하는 형태이며 고유정보만을 마커 정보로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한다. 고유한 식별정보가 없이 인식한 마커의 이미지 정보를 마커 정보로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어, 수신한 마커의 정보를 기초로 메모리(103)에 저장된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원 정보, 작업 정보를 증강현실로 구현하여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표시한다(S34).
도 5c는 외부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하는 상태의 터치 디스플레이(102)의 화면 예시이고, 도 5d는 마커 인식 시 터치 디스플레이(102)에 증강현실로 디스플레이되는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의 표시 예시이다.
마커를 인식한 상태에서, 승하선 관리 또는 작업 관리를 통해 내부 인원의 승하선 또는 작업을 관리할 수 있다. 내부 인원의 승선이라면 승하선 관리를 클릭한다. 승하선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a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승선이면 승선 확인을 클릭한다. 승선 확인이 선택되면,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104)는 승선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승선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승선 정보는 마커 정보와 매칭하여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인원의 승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승선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승선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승선 정보가 내부 인원의 승선 정보이므로 외부 서버(600)에 승선 정보를 전송하지는 않는다.
내부 인원의 하선일 경우에는, 승하선 관리를 클릭한다. 승하선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a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승선이면 하선 확인을 클릭한다. 하선 확인이 선택되면,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104)는 하선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하선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하선 정보는 마커 정보와 매칭하여 전송할 수 있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인원의 하선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하선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하선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하선 정보가 내부 인원의 하선 정보이므로 외부 서버(600)에 하선 정보를 전송하지는 않는다.
아울러,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S34), 작업 관리자가 작업 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작업 관리를 클릭한다.
작업 관리 항목이 클릭되면 터치 디스플레이(102)에는 도 5b와 같은 증강현실 화면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 관리자는 작업 내용을 수정한다. 즉, 작업 완료일 경우 완료 확인을 클릭한다(S35). 이후, 작업 관리자는 서명란에 서명을 한다. 터치 디스플레이(102)를 통해 서명란이 표시되므로 손가락이나 터치 펜을 이용하여 서명을 하면 된다.
작업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고, 서명이 이루어지면, 작업정보 처리부(105)는 작업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06)에 전달한다. 제어부(106)는 전달되는 작업 정보를 통신부(107)를 통해 플랫폼 서버(300)에 전송한다.
플랫폼 서버(300)는 전송된 해당 인원의 작업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성 통신부(400)를 이용하여 해당 선원의 작업 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500)에 전송한다.
육상 관제 서버(500)는 수신한 작업 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작업 정보가 내부 인원의 작업정보이면 외부 서버(600)로 작업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S36).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의 내부 인원(선원)과 선박에 승선하는 외부 인원에게 개인 고유의 마커를 발급하고, 이 마커 정보와 개인 정보를 매칭하여, 외부 서버, 육상 관제 서버, 선박 내의 플랫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 작업 관리자 또는 선박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원이 착용한 마커만을 인식시키면, 해당 인원의 개인 정보와 작업 정보가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증강현실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증강현실 화면에서 관리자는 승하선 선택과 작업 정보 갱신 등만 수행하면, 편리하게 승하선 인원 확인 및 작업 관리가 이루어진다.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는 플랫폼 서버와 육상 관제 서버 및 외부 서버 간에 실시간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져 관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와 같은 마커 인식 기반으로 선내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 및 관리함으로써, 외부 인원이 작업과 무관한 선내 구역에 침입했는지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외부 인원이 허가되지 않는 선내 구역에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1, 21: 마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마커 인식부
102: 터치 디스플레이
103: 메모리
104: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
105: 작업정보 처리부
106: 제어부
107: 통신부
200: 무선 액세스포인트
300: 플랫폼 서버
400: 위성 통신부
500: 육상 관제 서버
600: 외부 서버

Claims (10)

  1. 증강현실기반으로 선내 인원 및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하며, 승하선 인원 인식과 작업 정보 처리를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마커;
    선내 승하선 인원 및 작업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마커 인식 기반으로 내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단말기;
    무선 액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처리된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마커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공유하며, 인원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출력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출력된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위성통신을 통해 육상으로 전송하는 위성 통신부;
    상기 선내에 승하선하는 외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고, 발급한 마커에 대응하는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육상 관제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육상 관제서버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와 작업 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서버;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마커 정보 및 신상정보를 상기 위성 통신부를 통해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위성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해주는 육상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마커는 QR 코드 또는 착용자별로 구분할 수 있는 문양 정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3. 청구항 1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마커의 인식 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 소속, 업무 내용을 증강현실 화면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마커 인식만으로 해당 인원의 상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플랫폼 서버와 연동하여, 인원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의 갱신이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갱신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선내 승하선 인원이 착용한 마커를 인식하는 마커 인식부; 상기 인식한 마커에 대응하는 인원의 개인 정보/소속/업무 내용을 증강현실로 화면에 표시해주는 터치 디스플레이;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증강현실로 처리하기 위한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6. 청구항 5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마커 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승하선 정보를 처리하는 승하선 인원정보 처리부; 상기 마커 인식부에 의해 인식한 인원의 작업 정보를 처리하는 작업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7. 청구항 6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마커 인식을 통한 승하선 인원 정보 처리와 작업 정보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승하선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상기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플랫폼 서버로부터 전송된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8. 청구항 1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육상 관제 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내부 인원 마커 정보 및 외부 인원 마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마커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9. 청구항 1에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인원 정보 및 작업 정보를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정보가 외부 인원의 정보이면 외부 인원 및 작업 정보를 위성 통신부를 통해 육상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10. 청구항 1에서, 상기 육상 관제서버는 내부 인원의 마커를 발급하며, 상기 위성 통신부를 통해 외부 인원의 승하선 정보 및 작업 정보는 상기 외부 서버에 전송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KR1020200140619A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KR20220055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19A KR20220055982A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19A KR20220055982A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982A true KR20220055982A (ko) 2022-05-04

Family

ID=8158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19A KR20220055982A (ko) 2020-10-27 2020-10-27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98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72B1 (ko) 2013-06-27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096746B1 (ko)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2704A (ko) 2018-11-07 2020-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272B1 (ko) 2013-06-27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200052704A (ko) 2018-11-07 2020-05-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선박 안전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96746B1 (ko)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518B2 (en) Automated internet based interactive travel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US2023041943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0362364C (zh) 定位,通讯及跟踪系统
US66743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irport and building security
US8049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tination tracking with misrouting indication
JP6595268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US111139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745670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한 근로자 관리시스템
US10142836B2 (en) Secure mobile device
JP2007079656A (ja) チケットレス搭乗システム及びチケットレス搭乗方法
US20060117186A1 (en)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KR101521947B1 (ko) 출입 및 관리 시스템
JP2017078952A (ja) 空港内パッセンジャー追跡システム
US20150289087A1 (en) Passenger and baggage secure access management and tracking system
US11941919B2 (en) Ticket issuing system, and ticket checking apparatus
KR20220055982A (ko)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JP6229094B1 (ja) 立入制限区域の入退場管理システム
WO2019006503A1 (en) PASSENGER MANAGEMENT
KR102163888B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승하차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179497A1 (en) Method for auditing a bag drop in a transportation departure control system
KR20200137665A (ko) 촬영기능이 포함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선박탑승자의 승선 신고 및 탑승 절차 확인 방법
NL1042419B1 (nl) Een communicatiewerkwijze, een communicatiesysteem en een computerprogramma product
CN117910028A (zh) 旅客身份验证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IT202100002891U1 (it) Sistema di gestione e monitoraggio di risorse umane per eventi
US202200608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