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272B1 -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272B1
KR101466272B1 KR20130074684A KR20130074684A KR101466272B1 KR 101466272 B1 KR101466272 B1 KR 101466272B1 KR 20130074684 A KR20130074684 A KR 20130074684A KR 20130074684 A KR20130074684 A KR 20130074684A KR 101466272 B1 KR101466272 B1 KR 10146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ag
zone
reading information
boa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4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03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selecting, conveying and possibly reading and/or writ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해양 플랫폼에서 각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는, 제1 구역과 제2 구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 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태그 인식 간격마다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상기 제1 안테나 혹은 상기 제2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태그 리딩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고,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상대적으로 많이 리딩한 안테나가 설치된 구역으로 상기 승선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Personnel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플랫폼에서는 승선자의 관리와 안전을 위해 구역별로 승선자의 수를 파악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
도 1은 해양 플랫폼의 구역별 승선자 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양 플랫폼이 4개의 구역(CAL, QU, P, W)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구역별로 승선인원이 0, 110, 0, 0으로 표시되어 있다.
각 구역에 있는 승선자 수를 파악하기 위해 주로 RFID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각 구역의 연결 통로에 RFID 안테나와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해당 승선자의 이동을 판별한다.
RFID 안테나 2개를 나란히 설치하고 승선자가 지나갈 때 RFID 태그를 인식하는 RFID 안테나의 순서에 따라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판단하는 방식이었으나, 능동형 RFID 태그를 이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멀리 있는 RFID 안테나가 먼저 RFID 태그를 인식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RFID 태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해양 플랫폼에서는 승선자의 안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승선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승선자의 위치를 잘못 판단할 경우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승선자의 위치 파악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6847호에는 액티브 태그, 라우터와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여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의 위치를 자동 추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액티브 태그를 이용하고 있어 배터리 장착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86847호
본 발명은 구역의 경계에서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위치 추적 영역에 상관없이 구분되는 구역의 수에 상응하여 RFID 안테나와 RFID 리더기의 수량이 결정되는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그의 원거리 인식이 필요없어 수동형 태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없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방향을 판단할 때 10열의 데이터 어레이만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메모리가 작은 임베디드 시스템에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승선자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해양 플랫폼에서 각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 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태그 인식 간격마다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상기 제1 안테나 혹은 상기 제2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태그 리딩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고,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상대적으로 많이 리딩한 안테나가 설치된 구역으로 상기 승선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태그 리딩 정보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안테나를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데이터 배열 형태의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배열은 선입선출(FIFO) 방식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배열은 상기 최종 모니터링 시간을 상기 태그 인식 간격으로 나눈 값에 상응하는 개수의 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배열 내의 입력 데이터 개수인 카운트 값(Count), 상기 데이터 배열 내에 입력된 데이터의 합산 값(Sum),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NoRead)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상대적으로 많이 리딩한 안테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안테나가 상기 제1 안테나인 경우에는 '-1', 상기 제2 안테나인 경우에는 '+1'을 상기 데이터 배열에 순차 입력하며, 상기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될 때 상기 합산 값의 부호에 따라 상기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해양 플랫폼에서 구역 경계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리더기를 포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에서 각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리더기에서 생성된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 경우 합산 값(Sum)을 1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합산 값을 1 증가시키는 단계; (c)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되,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태그 인식이 없는 경우 상기 합산 값의 부호로부터 상기 승선자의 구역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태그 리딩 정보는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를 인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합산 값이 양수(+)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안테나가 설치된 제2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합산 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1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는, 상기 합산 값이 0(zero)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이전에 있던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의 경계에서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위치 추적 영역에 상관없이 구분되는 구역의 수에 상응하여 RFID 안테나와 RFID 리더기의 수량이 결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의 원거리 인식이 필요없어 수동형 태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없이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이동 방향을 판단할 때 10열의 데이터 어레이만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메모리가 작은 임베디드 시스템에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해양 플랫폼의 구역별 승선자 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Sum 값 계산을 위한 데이터 배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Sum 값 계산을 위한 데이터 배열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1), 안테나(11, 12), 리더기(20), 제어부(30), 태그(40), RFID 태그 인식 범위(51, 52)가 도시되어 있다.
해양 플랫폼에서 승선자가 위치한 구역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중 하나는 구역의 경계(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구역간의 연결통로)에서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구역의 경계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안테나(11, 12)와 리더기(20)가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11, 12)는 A, B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각 구역 내에 혹은 각 구역에 근접하여 2개를 설치하면서, 각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안테나(11, 12)와 리더기(20), 태그(40)는 예를 들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안테나 A(11)의 태그 인식 범위가 'a' 범위(51)이고, 안테나 B(12)의 태그 인식 범위가 'b' 범위(52)이다. 하지만, 실제 태그 인식 범위가 정교하지는 않기 때문에 승선자가 소지한 태그(40)가 'a' 범위(51)에 있더라도 안테나 B(12)가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파악하는데 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에서는 RFID 장치에서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보정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각 구역별 승선자 수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승선자가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이동하면 승선자가 태그 인식 범위에 머무르는 최종 모니터링 시간(예를 들어, 1초) 동안에는 'b' 범위(52)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고, 제2 구역에서 제1 구역으로 이동하면 'a' 범위(51)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게 될 것이다.
따라서, 리더기(20)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0ms) 간격으로 태그(40)를 읽어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안테나 A(11)와 B(12) 중에서 어느 안테나에서 더 많은 수의 리딩이 있었는지를 파악하면 된다.
즉, 태그(40)를 소지한 승선자가 제1 구역과 제2 구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안테나 A(11)와 B(12)는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 태그(40)를 인식하게 되며, 리더기(20)는 태그(40)가 읽히는 경우 제어부(30)로 태그(40)를 인식한 안테나(11, 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태그 리딩 정보를 전송한다. 태그 리딩 정보는 리딩된 태그(40)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리더기(20)로부터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면, 태그 리딩 정보에 포함된 안테나(11, 12)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태그(40)를 읽은 안테나를 식별하고, 이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제어부(30)에서의 적용 알고리즘으로는 Sum 연산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안테나 A(11)에서 태그(40)를 읽은 경우 Sum 값에 '-1'을 더하고 안테나 B(12)에서 태그(40)를 읽은 경우 Sum 값이 '+1'을 더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Sum 값이 양수(+)이면 안테나 B(12)에서 읽은 횟수가 더 많으므로 승선자가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A→B)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Sum 값이 음수(-)이면 안테나 A(11)에서 읽은 횟수가 더 많으므로 승선자가 제2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B→A)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A(11)에 '-1'을 매칭하고, 안테나 B(12)에 '+1'을 매칭한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반대로 안테나 A(11)에 '+1'을 매칭하고 안테나 B(12)에 '-1'을 매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 경우에는 Sum 값이 양수이면 승선자가 제2 구역에서 제1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Sum 값이 음수이면 승선자가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또한, Sum 값이 0(zero)이 된다면 해당 태그(40)의 소지자가 이전에 있었던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이전에 제1 구역에 있었다면 제2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전에 제2 구역에 있었다면 제1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알고리즘에서는 승선자가 태그 인식 범위에 머무른 전체 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지막에 머무른 일정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Sum 값을 구하게 된다. 이는 승선자가 태그 인식 범위에서 오랜 시간 머물면서 오가는 경우 전체 시간을 기준으로 Sum 값을 계산하면 이동 방향을 잘못 판단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제어부(3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Sum 값을 계산하기 위한 데이터 배열을 가지는 메모리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최종 모니터링 시간을 1초, 태그 인식 간격을 100ms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종 모니터링 시간 및 태그 인식 간격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데이터 배열은 10개 데이터의 입력가능한 10열 1차원 배열일 수 있으며, 선입선출(FIFO, First In First Out) 방식으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승선자가 어느 한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구역 경계에서 태그 인식 범위 내에 진입하는 경우 데이터 배열에 Sum 값 계산을 위한 데이터가 입력되기 시작한다(도 3의 (a) 참조).
데이터 D1이 입력된 이후, 추가적으로 태그 인식 간격마다 새로운 데이터 D2~D9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데이터 배열 내에서 각 데이터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3의 (b) 및 (c) 참조).
데이터가 10개를 넘어가게 되면 가장 오래된 데이터, 즉 최선입 데이터(D1)를 삭제하고 새로 들어온 데이터(D11)를 추가한다(도 3의 (d) 참조).
여기서, Sum 값 계산을 위해 데이터 배열에 입력되는 데이터는 '-1' 혹은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과 같은 경우에는 안테나 A(11)가 인식한 경우에는 '-1', 안테나 B(12)가 인식한 경우에는 '+1'이 입력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30)에서 이러한 데이터 배열을 이용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해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의 각 단계들은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1)의 제어부(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은 리더기(20)가 태그(40)를 읽는 단계(S100)으로부터 시작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고 승선자가 위치하는 구역을 결정하는 단계(S175)로 완료된다.
제어부(30)에서는 소정 개수의 열(본 실시예에서는 10열)을 가지는 데이터 배열이 태그(40)마다 할당되어 있으며, 데이터 배열에 입력되는 데이터 개수에 관한 카운트 값(Count), 데이터 배열 내 저장된 데이터의 합산 값(Sum),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NoRead)에 관한 파라미터가 0(zero)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30)를 리더기(20)로부터 소정의 태그 인식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00ms)마다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100).
태그 리딩 정보에는 리더기(20)가 최근 태그 인식 간격 동안 태그(40)를 리딩한 경우 태그(40)를 리딩한 안테나(11, 12)에 대한 안테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리딩된 태그(40)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최근 태그 인식 간격 동안 태그(40)를 리딩한 안테나가 없을 경우 이를 나타내는 임의의 설정값이 안테나 식별 정보로 포함되거나 안테나 식별 정보 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안테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리딩한 안테나가 안테나 A(1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5).
안테나 A(11)로 식별된 경우, 데이터 배열 내 입력 데이터 개수인 Count를 1 증가시키고, 데이터 배열 내에 입력된 데이터의 합산 값인 Sum을 1 감소시키며, 태그 인식이 있었기에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를 나타내는 NoRead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10).
안테나 A(11)로 식별되지 않은 경우, 안테나 B(1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5).
안테나 B(12)로 식별된 경우, 데이터 배열 내 입력 데이터 개수인 Count를 1 증가시키고, 데이터 배열 내에 입력된 데이터의 합산 값인 Sum을 1 증가시키며, 태그 인식이 있었기에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를 나타내는 NoRead를 0으로 설정한다(단계 S120).
입력 데이터 개수인 Count가 10을 초과하면(단계 S125), 데이터 배열의 특성 상 Count를 1 감소시키고, 최선입 데이터를 삭제한 후, 삭제된 최선입 데이터를 제외하고서 Sum 값을 업데이트한다(단계 S130).
그리고는 태그 인식 간격인 100ms가 경과하기를 기다린 후(단계 S135),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안테나 A(11) 및 안테나 B(12)로 모두 식별되지 않은 경우, 즉 태그 리딩 정보에 안테나 식별 정보가 없거나 안테나 식별 정보가 리딩 안테나가 없음을 나타내는 설정값인 경우,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를 나타내는 NoRead를 1 증가시킨다(단계 S140).
NoRead의 값을 판단한 결과(단계 S145), 10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태그 인식 간격인 100ms가 경과하기를 기다린 후(단계 S150), 단계 S100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NoRead 값의 판단 기초가 되는 10은 기 설정된 최종 모니터링 시간(최종 합산 시간)을 태그 인식 간격으로 나눈 값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 모니터링 시간인 1초를 태그 인식 간격인 100ms로 나눈 값이다.
NoRead의 값을 판단한 결과,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승선자가 태그 인식 범위를 벗어나 제1 구역 혹은 제2 구역으로 완전히 이동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리더기(20)가 1초 동안 태그를 읽지 못하면 승선자가 이동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여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로 넘어가게 된다.
이 경우 단계 S155로 진행하여, Sum 값이 양수인 경우에는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이 안테나 A에서 안테나 B 쪽으로, 즉 제1 구역에서 제2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Sum 값이 음수인 경우에는 단계 S165로 진행하여 승선자의 이동 방향이 안테나 B에서 안테나 A 쪽으로, 즉 제2 구역에서 제1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한다.
태그 인식 간격을 일반적인 승선자의 이동 속도에 따른 태그 인식 범위 통과 시간과 비교할 때 상당히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Sum 값이 0(zero)이 되는 경우는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Sum 값이 0(zero)인 경우에는 안테나 A(11)와 안테나 B(12)에서 동일한 횟수만큼 태그(40)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승선자가 이전에 있었던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단계 S170).
승선자의 이동 방향이 결정되면(단계 S160, S165, S170), 제어부(30)는 승선자가 위치하는 구역을 결정한다(단계 S175).
도 4에서 상술한 승선자의 이동 방향 결정 방법은 리더기에 연결된 제어부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종래에 RFID 안테나의 커버리지 안에 태그가 있을 경우에 태그가 해당 커버리지의 영역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위치 추적해야 하는 영역이 넓어질 수록 RFID 안테나와 리더기의 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많은 설치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능동형(active) 태그를 사용하는 경우, 액티브 태그에는 배터리를 장착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잔량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고, 배터리가 소모될 때마다 교환을 해줘야 하므로 유지보수 측면에서 기술적으로 효율적이지 못하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의 경계에 RFID 안테나와 리더기를 설치하므로 위치 추적 영역에 상관없이 나누는 구역의 수에 따라 RFID 안테나와 리더기의 수가 결정된다. 또한, 태그의 원거리 인식이 필요 없어서 수동형 태그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필요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 방향을 판단할 때 10열의 데이터 어레이 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가 작은 임베디드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기술적으로 매우 효율적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 11, 12: 안테나
20: 리더기 30: 제어부
40: 태그 51, 52: 태그 인식 범위

Claims (9)

  1.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해양 플랫폼에서 각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모니터링하는 장치로서,
    제1 구역과 제2 구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구역 측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태그 인식 간격마다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가 상기 제1 안테나 혹은 상기 제2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태그 리딩 정보를 생성하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고,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수신된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상대적으로 많이 리딩한 안테나가 설치된 구역으로 상기 승선자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태그 리딩 정보는 상기 RFID 태그를 인식한 안테나를 식별하기 위한 안테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데이터 배열 형태의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배열은 선입선출(FIFO) 방식인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열은 상기 최종 모니터링 시간을 상기 태그 인식 간격으로 나눈 값에 상응하는 개수의 열로 이루어진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배열 내의 입력 데이터 개수인 카운트 값(Count), 상기 데이터 배열 내에 입력된 데이터의 합산 값(Sum),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NoRead) 중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상기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안테나 중 상대적으로 많이 리딩한 안테나를 판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안테나가 상기 제1 안테나인 경우에는 '-1', 상기 제2 안테나인 경우에는 '+1'을 상기 데이터 배열에 순차 입력하며,
    상기 태그 인식 없음의 연속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될 때 상기 합산 값의 부호에 따라 상기 승선자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
  7. 복수의 구역으로 구분되는 해양 플랫폼에서 구역 경계에 설치되는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와 리더기를 포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부에서 각 구역에 위치하는 승선자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리더기에서 생성된 태그 리딩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태그 리딩 정보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1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 경우 합산 값(Sum)을 1 감소시키고, 상기 제2 안테나의 태그 인식 범위에 있는 경우 상기 합산 값을 1 증가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 (a) 및 (b)를 반복하되, 최종 모니터링 시간 동안 태그 인식이 없는 경우 상기 합산 값의 부호로부터 상기 승선자의 구역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태그 리딩 정보는 승선자가 소지한 RFID 태그를 인식한 안테나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합산 값이 양수(+)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상기 제1 안테나가 설치된 제1 구역에서 상기 제2 안테나가 설치된 제2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합산 값이 음수(-)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상기 제2 구역에서 상기 제1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합산 값이 0(zero)인 경우 상기 승선자가 이전에 있던 구역에서 타 구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는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KR20130074684A 2013-06-27 2013-06-27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466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684A KR101466272B1 (ko) 2013-06-27 2013-06-27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684A KR101466272B1 (ko) 2013-06-27 2013-06-27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6272B1 true KR101466272B1 (ko) 2014-11-27

Family

ID=5229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684A KR101466272B1 (ko) 2013-06-27 2013-06-27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2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21A (ko) 2015-06-24 2017-01-03 (주)위치스 선박의 승객 및 승무원 관제시스템
CN109934313A (zh) * 2017-12-19 2019-06-2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物品盘点方法、服务器、信息采集设备和盘点系统
KR20220055982A (ko) 2020-10-27 2022-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CN116992907A (zh) * 2023-07-27 2023-11-03 北京瑞霖徕特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管理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410A (ko) * 2007-08-21 2009-02-25 한국해양연구원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090054561A (ko) * 2007-11-27 2009-06-0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Rfid 기술 및 rtls를 이용한 도난방지 및 오배송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7555A (ko) * 2008-12-29 2010-07-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시스템을 이용한 해양 인명구조 시스템
KR20120085548A (ko) * 2011-01-24 2012-08-0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위치정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410A (ko) * 2007-08-21 2009-02-25 한국해양연구원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090054561A (ko) * 2007-11-27 2009-06-01 씨제이 지엘에스 주식회사 Rfid 기술 및 rtls를 이용한 도난방지 및 오배송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7555A (ko) * 2008-12-29 2010-07-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시스템을 이용한 해양 인명구조 시스템
KR20120085548A (ko) * 2011-01-24 2012-08-01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의 위치정보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721A (ko) 2015-06-24 2017-01-03 (주)위치스 선박의 승객 및 승무원 관제시스템
CN109934313A (zh) * 2017-12-19 2019-06-2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物品盘点方法、服务器、信息采集设备和盘点系统
CN109934313B (zh) * 2017-12-19 2022-08-05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物品盘点方法、服务器、信息采集设备和盘点系统
KR20220055982A (ko) 2020-10-27 2022-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 선내 인원 및 작업 관리시스템
CN116992907A (zh) * 2023-07-27 2023-11-03 北京瑞霖徕特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管理系统及方法
CN116992907B (zh) * 2023-07-27 2024-03-29 珠海昊宇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管理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45919B (zh) 面向出入检测的开放式rfid门禁系统及其处理方法
KR101466272B1 (ko)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US8989438B2 (en) Mobile body track identification system
CN102402675B (zh) 用于rfid标签的运动追踪的方法、装置及系统
US8693725B2 (en) Reliability in detecting rail crossing events
CN101441701B (zh) 信息处理系统及识别信息确定方法
CN108762251B (zh) 一种图书馆机器人定位导航方法
KR101108621B1 (ko) 객체 추적 장치 및 그 방법 및 센서의 위치 지정 방법
WO2012098853A1 (ja) 動線検出処理データ分散システム、動線検出処理データ分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23437B1 (ko) 딥러닝 기반 교통량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CN102568066A (zh) 应用于进出状态识别的射频识别系统
CN105787581A (zh) 异常早期感测装置及方法
CN110175839B (zh) 支付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26999A (zh) 速度规划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9276939A (ja) 無線idタグシステム
EP3208630B1 (en) Estimation of a position of an electronic label
CN108122015A (zh) 用于定位包含有无源射频识别标签的物品的方法和系统
US10395071B2 (en) Control of RFID reader emissions which may cause interference with systems using RFID tags
JP5763781B2 (ja) Rfidタグ未付き車両が混じっている場合の車両順番の検出方法
JP2011001132A (ja) 無線idタグシステム
EP2583215B1 (en) Selectively addressing transponders
JP2005182656A (ja) 作業実績収集システムおよび作業実績収集方法
WO2016172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near real-time, and mobile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approach with a combination of battery-less identification marking technologies and pseudo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s
JP2007095006A (ja) 作業実績収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CN113485318A (zh) 位置修正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