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410A -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410A
KR20090019410A KR1020070083809A KR20070083809A KR20090019410A KR 20090019410 A KR20090019410 A KR 20090019410A KR 1020070083809 A KR1020070083809 A KR 1020070083809A KR 20070083809 A KR20070083809 A KR 20070083809A KR 20090019410 A KR20090019410 A KR 2009001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assenger
crew
communication network
zig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6847B1 (ko
Inventor
조성락
백부근
이동곤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3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847B1/ko
Publication of KR2009001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티브 태그, 라우터(또는 RFID 리더)와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여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함으로써 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선박 내에서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우터(또는 RFID 리더) 및 전력선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액티브 태그를 소지한 자들의 선박 내 위치를 탐지하여 실시간으로 조타실 및 선장실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형, 저전력의 액티브 태그와 벽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라우터(또는 RFID 리더), 선박 내에 이미 개설되어 있는 전력선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기 때문에 선박에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선박 내 구역별로 개별적인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정에서의 긴급 훈련 상황이나 여객선에서 승객들이 위험 구역 및 비인가 구역에 접근하는 상황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선박 운용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치인식, 액티브 태그, 라우터, RFID 리더, 지그비 통신, 전력선 통신(PLC)

Description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A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Crews and Passengers in Ship}
본 발명은 액티브 태그, 라우터(또는 RFID 리더)와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여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적함으로써 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우터(또는 RFID 리더) 및 전력선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액티브 태그를 소지한 자들의 선박 내 위치를 탐지하여 실시간으로 조타실 및 선장실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지그비( Zigbee )
지그비(Zigbee)란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버튼 하나로 집안 어느 곳에서나 전등을 제어하고 홈보안 시스템 VCR을 on/off 하며 인터넷을 통한 전화 접속으로 홈 오토메이션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려는 것에서 출발한 기술이다. 즉, 지그비는 간소화된 프로토콜과 제한적인 기능으로 데이터 크기를 줄여 저렴한 네트워크 구축을 지원하는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에 적합한 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이며 국제 표준 프로토콜인 것이다. 지그비는 868MHz, 915MHz, 2.4GHz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단거리 무선 통신 표준으로 IEEE 802.15.4에 의해 정의된 물리 계층(PHY) 및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을 사용한다.
지그비 기술이 제공하는 단순하고 비용 효율적인 저전력 무선 연결 방식은 산업용 및 가정용 모니터링, 제어 및 자동화, 의료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 가장 주도적인 분야는 산업용, 상업용, 가정용 시스템으로, 이러한 분야는 무선 제어 기술이 기업의 경영수지 또는 고객의 안전 의식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분야이다.
지그비의 적용 분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산업 분야의 경우 지그비 기술을 활용하여 공익사업 및 에너지 관리 분야의 자동 계기 판독(AMR) 솔루션, 물류 및 재고 추적, 보안 및 액세스 제어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기타 시스템의 경우에도 예방적 유지보수 및 성능 모니터링에 추적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 중 몇 가지 예로 지진 탐지, 경사계, 로봇 공학, 보안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상업용 시스템에서 지그비 기술의 이상적인 적용 분야로는 건물 통제 및 자동화, 무선 조명, 보안 및 액세스 제어, 자산 및 재고 관리 등이 있다. 창고 내의 개별 장비 및 제품에서 팔레트 단위까지 모든 제품을 추적할 수 있는 자산 태그가 도입되면서 특히 무선 재고 관리 솔루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그비 무선 시스템은 동작 제어 센서, 카메라, 직원용 배지와 같은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보안 시스템에 새로운 차원의 제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시장의 경우 주택 편의 기능이 단순히 멋진 기능이 아니라 실질적인 요구가 되어가고 있다. 무선 기술을 활용하면 인위적인 조작을 줄이고, 자동으로 장비를 켜고 끄거나, 잔디에 물을 주거나, 보안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등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지그비 기술은, 예를 들어 현관문을 열면 집 안의 조명이 켜지도록 하는 등 모든 시스템을 매끄럽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주택 내부에 사람이 있는지 감지하는 등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지능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할 수 있다. 지그비와 같은 무선 기술은 양방향 메시지 전달 기능을 지원하므로 주택 또는 소규모 사무실의 원격 제어에 적합하다.
주거 시스템에서 지그비 기술의 주요 용도는 주택 제어 및 자동화, 환경 제어, 보안 및 액세스 제어 등이다. 기타 적용 분야로는 조명 및 HVAC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한 주택 자동화 시스템, 보안 시스템, 블라인드와 커튼 제어, 셋톱박스와 기타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의 원격 제어 등이 있다. 또한 가정용 시스템에 무선 네트워크를 도입하면,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핸드헬드 디바이스에서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액세서리 인터페이스를 갖춘 가전제품의 경우 구매 후에 지그비 기술 활용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PDA 또는 노트북 PC에 있는 콤팩트 플래시 또는 PCMCIA 슬롯이 그 예이다.
무선 연결 기술은 휴대전화에도 도입되고 있다. 휴대전화와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에 핵심적인 요소가 되어가고 있으므로 각 제품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추가하는 것이 타당해졌다. 특히 지그비 기술이 가정용 시장에 도입됨에 따라 휴대전화를 스프링클러 시스템 가동 또는 온도 조절기 조정과 같은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의료 모니터링, 자동차 보안 및 액세스 제어, 원격 제어 기기, 자동 판매기, 제품 무인 단말기, 군사 용도 등 지그비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소규모 시장 또는 틈새 시장은 무궁무진하다.
지그비 기술의 장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지그비 기술의 대상 시장은 성숙한 기존 유선 통신 시장이다. 유선 통신 시장의 무선 도입은 예상할 수 있는 행보였다. 유선 형태의 전자 기기가 널리 보급된 이후에는 해당 제품을 무선으로 만드는 것이 자연스러운 발전 방향이다. TV 리모콘, 원격 도어 개폐 장치에서 이전 세대 데스크톱 PC의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PDA 및 휴대전화에 이르기까지 무선 액세스 및 제어는 강력한 추세로 자리잡고 있다.
여러 가지 추세로 인해 다양한 시장에 무선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에너지 효율 향상과 연료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조절기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고가의 에너지가 상당량 낭비되기 전까지 건물 관리 인력 또는 주택 소유주가 문제를 깨닫지 못할 수 있다. 이는 창고와 같이 직원이 건물 내부에 항상 근무하지 않는 환경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즉시 적절한 대상에게 문제를 통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케이블 배선과 시스템 수동 조정 등의 작업에 비용을 들일 필요가 없으므로, 국가 또는 지역별 화재 및 안전 법규 등의 규정 변경에 저렴한 비용으로 대처할 수 있다.
지그비 기술은 업계 표준을 기반으로 하므로 서로 다른 제조업체의 디바이스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시스템 통합업체와 고객에게 유연한 구매 옵션을 제시한다. 지그비 기술은 또한 건축 및 리모델링 분야에도 간편성과 비용 효율적인 구현 방식을 제공한다. 더구나 지그비 기술은 소비 전력이 낮으므로 배터리를 전력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지속 시간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지그비 기반 기술은 설비 교체 분야와 더불어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분야의 비용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OEM 분야에서 이미 MCU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MAC 및 지그비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추가 메모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 증가분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프리스케일의 IEEE 802.15.4 2.4 GHz 대역 RF 트랜시버는 전 세계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시장 또는 지역에 따라 제품을 재설계하거나 인증을 취득할 필요가 없다.
지그비 기반 네트워크는 표준 기반의 솔루션으로 상호 호환 가능하며 독점 솔루션보다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또한 지그비 프로토콜은 아주 낮은 전력으로 운영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보안 및 자동화 시스템과 같이 배터리 구동 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에도 지그비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그비 표준은 다양한 단거리 무선 분야에 사용하기 쉬운 도구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비교적 신흥 시장인 단거리 저전력 무선 분야의 성장 추세는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몇 가지 추세가 지그비 기술의 성장세를 촉진할 수 있다. 현재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는 2.4GHz 대역이다. IEEE 802.15.4 표준이 예정된 대로 변경될 경우 지그비 표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1GHz 이하의 대역 에 성능상 장점이 제공될 것이다. 정부 규정 또한 2.4GHz 이외의 대역을 사용료 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방향으로 이행되고 있다. 또한 무선 연결 기능을 가진 전 세계 수백만의 디바이스를 지원하는 저렴한 플랫폼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지그비 네트워크 사용자와 개발회사는 항상 개발 또는 구현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 쉽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솔루션을 추구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라이선스, 턴키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준 디자인이 포함된 직관적인 개발 환경이 제공된다면 개발회사와 제조업체가 시장 진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다.
지그비 네트워크는 확장성 높고, 유연하고, 안전하며, 최소한의 전력만을 사용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미 100개 이상의 노드로 구성된 지그비 메시 네트워크가 시연된 바 있다. 초장기의 배터리 수명 또한 지그비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하나의 리튬이온 배터리로 최장 20년간 사용할 수 있다. 고성능 프로세서에서 뛰어난 유연성을 확보하려면 이더넷과 USB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위치 인식 기능을 지그비 네트워크에 통합할 수 있으며, 지그비 칩이 장착된 건물 내에서의 보안 배지 이동과 같은 고정 네트워크 내의 이동 노드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지그비를 지원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 사용자 2명의 상호 정보 교환과 같은 네트워크 자체의 이동까지 인식할 수 있다. 모든 무선 네트워크가 마찬가지지만 사설 네트워크에 로그인할 때와 같은 상황에서 보안은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2.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
PLC(Power Line Communication)는 전력선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을 말하며, 전력선 통신(電力線通信)이라고도 한다. 이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선박의 소켓에 전원선을 꽂으면 음성·데이터·인터넷 등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텔레비전·전화·퍼스널컴퓨터 등 가정의 모든 정보기기를 연결하는 홈네트워크까지 가능하다.
PLC를 이용하면 지금까지 유선텔레비전망·전화선·광통신망 등으로 복잡하던 데이터 전송 경로가 전력선 하나로 줄어들게 되며, 전원과 통신 데이터를 나누어주는 모뎀이나 시스템 등 별도의 장치만 있으면 되므로 설치 또한 간편하다. 현재 세계 인구의 85% 가량이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전화선이나 초고속통신망 따위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은 12∼15%에 불과하다. 이런 점에서 또 다른 광케이블이나 동축케이블을 깔지 않고 이미 선박 내부에 설치된 전력선을 활용한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면 그 만큼의 PLC의 경제적 가치는 급증할 것이다. 또한 PLC를 이용하면 인터넷 서비스와 네트워크 구축뿐만 아니라 전력선 기반 지능형 가전제품의 원격제어와 계량기 등의 원격 검침, 각종 전기기계의 원격제어 등도 가능하게 된다.
3. 라우터( router )
라우터(router)란 랜을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때 송신정보(패킷:packet)에 담긴 수신처의 주소를 읽고 가장 적절한 통신통로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인터넷을 접속할 때는 반드시 필요한 장비로서, 서로 다른 프로토콜로 운영하는 통신망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경로를 설정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통신장비이다.
라우터는 단순히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브리지(bridge)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통신망을 인식하여 경로를 배정하며, 수신된 패킷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 또는 자신이 연결되어 있는 통신망 내의 수신처(노드)를 결정하여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통신 흐름을 제어하며 통신망 내부에 여러 보조 통신망을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통신망 관리기능을 수행한다.
라우터의 장점은 통신환경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관리 방침에 따라 라우팅 방식을 결정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표준 논리에 따라 통신방법이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통신방법에 구애받지 않으므로 대규모 통신망을 쉽게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로를 따라 통신량(트래픽:traffic)을 분산할 수 있다. 다만, 초기 환경설정이 어렵고, 특정한 프로토콜에 의존하므로 다양한 프로토콜 지원이 어려우며, 하위 프로토콜 지원이 불가능하고, 기능이 복잡하므로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4.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은, RFID 태그, 안테나, 리더·라이터(Reader·Writer)로 구성되는 일종의 무선통신시스템이다. 여기서, RFID 태그는 물품 등에 부착되어 이동하며 지상이나 건물에 고정되어 있는 안테나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이때, 리더는 안테나와 RFID 태그의 교신을 제어하거나 컴퓨터 같은 상위 기기와 RFID 태그 사이의 프로토콜 교환을 실행한다. 최근의 리더는 안테나를 내장한 것도 많다.
RFID 태그는 RFID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로서, ⅰ) 휴대하기 편한 크기일 것, ⅱ) 정보를 전자회로에 저장할 것, ⅲ) 비접촉 통신에 의해 교신할 것이라는 세 가지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킬 것이 요구된다.
RFID 시스템은 RFID 태그를 부착한 사물과 그 사물에 대한 정보를 일치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상품이 존재하는 그때그때 상품이 존재하는 바로 그 곳에서 필요한 정보를 빼낼 수 있고 나아가 필요하다면 새로운 정보를 적어 넣을 수도 있다.
이처럼 RFID 시스템을 이용하면 필요한 정보를 정보 센터에 문의하고 받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절약되며, 이러한 RFID 시스템에서는 정보의 분산 처리가 용이하여 정보 시스템을 간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자동 가공 라인에서 사용되는 자동 인식 수단은 진동과 충격, 물과 기름, 고온이나 분진 등 열악한 환경에서 잘 견뎌야 하는데, 그러한 환경 하에서는 RFID 시스템이 적격이다. 게다가 하나의 생산 라인에서 다품종 생산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고 대상물의 정보를 빈번히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RFID 시스템이 더욱 적합하다.
RFID 태그는 생산 공정이나 물류 센터 등 상대적으로 초기 물류 단계에서 바코드 대용으로 사용되었지만, 점차 유통 단계와 같은 최종물류단계로 확대되는 경 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공장 자동화(FA, Factory Automation) 분야를 중심으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RFID 태그는 크게 칩과 안테나로 이루어져 있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캡슐화(encapsulation) 과정을 거쳐서 완성된 모습을 갖춘다. RFID 태그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목적에 적합한 모양을 선택할 수 있도록 캡슐화 방법에 따라 신용카드, 막대, 동전, 라벨 등의 다양한 모양을 갖는다.
5. 종래에 선박 내 승무원 및 승객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
선박 내 승무원 및 승객들의 위치를 파악하는 종래의 방법은 승무원이 직접 돌아다니면서 조사하거나 예상이 가능한 구역에 전화를 걸어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넓은 함정 및 여객선에서 승무원들에게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게 되고, 선박의 복잡한 공간구조에 의하여 원하는 사람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기도 힘든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육상에서의 위치 추적에는 GPS 또는 센서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GPS는 3개의 인공위성에서 전송하는 시간, 경도, 위도의 값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센서를 이용한 삼각측량법은 센서의 위치를 먼저 정해두어 감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추적한다.
GPS의 경우 선박 내부에서 신호를 수신하기가 어렵고 승무원 개개인마다 지급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들게 된다. 또한 배터리가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거나 수시로 충전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센서를 이용한 삼각 측량법 의 경우 센서 선정 및 시스템 구축 비용이 많이 들고, 정확성 또한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를 설치하기 위하여 선박 구조를 많이 변경해야 하므로 선박에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 결과, 함정 및 여객선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승선을 하는 선박의 경우, 협소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고 여러 구역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함정에서의 임무 전달 시에 즉시 명령을 내릴 수가 없고, 여객선의 경우 적은 승무원들이 많은 수의 승객들을 일일이 관리할 수가 없다. 이에 함정의 훈련 시에 임무를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고 여객선에서는 위험 구역으로 승객이 접근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등 업무의 효율성 및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다.
6. 본 발명의 필요성 도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종래의 수동적인 승무원 및 승객의 위치 인식 방법상의 불합리성을 극복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선박의 선체에 값싸고 설치하기 쉬운 라우터 또는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이를 통하여 승무원 및 승객들이 항상 쉽게 휴대하고 있는 소형의 액티브 태그를 읽어서 이들의 위치를 탐지하고 그 정보를 기설되어 있는 전력선 또는 지그비 통신망에 의하여 중앙 조타실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각 승무원 및 승객의 위치를 판단하고 필요 시 승무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임무 및 공지 사항 등을 전달하여 원활히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여객선에서 위험한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인지 없이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알람을 주어 승객들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등 기존의 연구되고 있 는 방법보다 훨씬 간편하고 저비용으로 선박을 운항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즉, 직접 또는 전화를 이용하여 승무원의 위치를 파악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함정 등의 긴급 훈련 시 대응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게 되고, 위험 구역이나 인가 구역이 있는 여객선의 경우 항상 근무자가 근무하거나 수시로 순찰을 통한 통제를 해야 하므로 인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처럼 액티브 태그, 라우터(또는 RFID 리더), 전력선 통신 모뎀을 이용하는 경우 앞으로 유비쿼터스 선박을 구현하는데 원천 기술을 획득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승무원의 위치를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및 위험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액티브 태그와 전력선 모뎀 등을 이용하여 승무원 및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선박의 운항자가 선박의 긴급 상황 및 위험이 발생할 경우 컴퓨터의 도움으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 내용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1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13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라우터(14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160)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을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3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120)과 지그비 통신망(1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320 단계; 지그비 통신망(1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라우터(140)를 설치하는 제 330 단계; 액티브 태그(1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340 단계; 라우터(140)가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제 3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이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제 3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160)가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370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구성요소 중 ‘라우터(140)’를 ‘RFID 리더’로 대체한 발명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2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23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4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260)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을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4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 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220)과 지그비 통신망(2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420 단계; 지그비 통신망(2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RFID 리더(240)를 설치하는 제 430 단계; 액티브 태그(2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440 단계; RFID 리더(240)가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제 4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이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제 4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2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260)가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470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소형, 저전력의 액티브 태그와 벽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라우터(또는 RFID 리더), 선박 내에 이미 개설되어 있는 전력선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전력선 모뎀을 이용하기 때문에 선박에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선박 내 구역별로 개별적인 위치 추적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정에서의 긴급 훈련 상황이나 여객선에서 승객들이 위험 구역 및 비인가 구역에 접근하는 상황에 대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선박 운용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지그비 무선 통신과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선박 내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 내에서 승무원 또는 승객은 자신의 사용자 정보가 들어가 있는 액티브 태그를 소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액티브 태그가 라우터 또는 RFID 리더에 의하여 읽혀지게 되고 읽혀진 정보가 전력선 통신을 이용하여 조타실 및 모니터링 룸에 전달됨으로써 선박 운항자는 각 사용자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발명을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한 액티브 태그를 읽어 들이는 기술요소로서 라우터를 취하는 경우(제 1 형)와, RFID 리더를 취하는 경우(제 2 형)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1. 제 1 형(도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은,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1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13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라우터(14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160)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제시한다.
지그비 통신망(110)은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 무선 통신의 경우 소형, 저전력으로 작동하고 최대 255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으며, 채널 확장을 통해 선박 내에서 필요한 태그의 수를 확보할 수 있고, 다른 무선통신에 비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라우터(140)끼리 서로 호핑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기 때문에 선박 내에 적절하게 배치하기만 하면 다른 무선 통신보다 훨씬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데 적용하기에 상당히 유리한 면이 있다.
전력선 통신망(120)은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에 의하여 지그비 통신망(110)과 연결된다. 전력선 통신의 경우 기존에 운항되고 있는 선박에 추가적인 구조 변경을 가함이 없이 선박 전체의 백본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통신 기술로서, 설치가 간단하고 저렴하며 유선으로 되어 있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데, 이러한 액티브 태그(130)는 주위에 있는 라우터(140)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신호 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그 결과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선박 내에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수신처인 라우터(140)의 위치도 함께 변화하게 된다. 액티브 태그(130)는 RFID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티브 태그(130)의 경우 현재 카드형으로 매우 작게 출시되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휴대하기가 편하고 배터리의 경우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실 내부가 모두 철로 되어 있어서, 육상에서는 1~2m 내에서만 통신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고 할지라도 선실 내에서는 어느 구역이든 쉽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승무원 또는 승객들의 위치를 거의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손목에 걸치는 팔찌의 형태 또는 몸에 소지하는 표찰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몸에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잃어버리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티브 태그(130)에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 연령,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서 제어컴퓨터(160)를 통하여 특정 액티브 태그(130)를 소지하고 있는 자의 위치와 그 자의 인적 사항을 동시에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우터(140)는 지그비 통신망(110)의 노드에 다수 개가 존재하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한다.
이때,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은 지그비 통신망(110)과 전력선 통신망(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터(140)로부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다시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전달)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라우터(140)는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선실에 부착됨으로써 선박 내의 모든 구역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 내부는 각 선실이 철로 막혀 있기 때문에 각 선실 내의 안테나끼리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만약 간섭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라우터(140)의 전송 출력 강도를 조절하여 각 선실별, 또는 두 개 이상의 선실을 포함하는 영역별로 제한된 공간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라우터(140)는 상호간에 정보를 호핑(hopping)하는 바, 라우터(140)가 각 승무원 또는 승객이 소지한 액티브 태그(130)를 읽으면, 그 정보는 근처의 라우터(140)로 호핑되고, 호핑된 정보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통해 전력선 통신 송신기로 이동하고, 당해 정보는 기설되어 있는 전력선 통신망(120)을 따라 이동하여 전력선 통신 수신기에서 수집되고, 최종적으로 중앙의 조타실에 있는 제어컴퓨터(160)로 모이게 된다.
제어컴퓨터(160)는 전력선 통신망(120)과 연결되어 있어서 이러한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컴퓨터(160)는 상기 과정을 거쳐서 각각의 액티브 태그(130)에서 올라온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승무원 또는 승객들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어컴퓨터(160)는 액티브 태그(130)의 신 호를 읽은 라우터(140)의 위치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해당 액티브 태그(130)를 소지한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컴퓨터(160)가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보여주는 경우에는 액티브 태그(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을 스크린 상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승무원 또는 승객이 누구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컴퓨터(260)는 여객선에서 위험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당해 구역에 알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이로써 승객들을 위험으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 1 형에 따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을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3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120)과 지그비 통신망(1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320 단계; 지그비 통신망(1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라우터(140)를 설치하는 제 330 단계; 액티브 태그(1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340 단계; 라우터(140)가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제 3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이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 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제 3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160)가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370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상기한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과 관련한 세부적인 기술 사항은 전술한 시스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2. 제 2 형(도 2 및 도 3 참조)
본 발명은, 제 1 형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라우터(140)’를 ‘RFID 리더(240)’로 대체한 발명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2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23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4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 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260)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과,
상기 제 2 형에 따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을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4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220)과 지그비 통신망(2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420 단계; 지그비 통신망(2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RFID 리더(240)를 설치하는 제 430 단계; 액티브 태그(2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440 단계; RFID 리더(240)가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제 4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이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제 4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2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260)가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470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 2 형에 따른 발명의 세부적인 기술 사항은 전술한 제 1 형에 따른 발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 1 형 및 제 2 형에 따른 발명에 의하여, 선박의 운항자는 실시간으로 각 승무원 및 승객의 위치를 판단하고 필요 시 승무원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임무 및 공지 사항 등을 전달하여 원활히 의사소통할 수 있으며, 여객선에서 위험한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인지 없이 접근할 경우 자동으로 알람을 주어 승객들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 250)로써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간의 전력선 통신을 연결하여 백본망으로 사용한다면 향후 각종 기기의 제어신호나 선박 내 무선-전력선 통신 전화 등의 파급 기술 개발 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선박의 경우는 안전을 위해 설비 및 장비들을 2중화 또는 3중화하여 비상시에도 백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지니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지그비-전력선 통신을 이용하면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기존의 통신 방법상에서 작동하던 시스템을 그대로 백업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 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선박 상갑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을 선박에 적용했을 때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 무기고 2 : 위험구역
3 : 엘리베이터 구역 4 : 서버실
6 : 직진형 안테나 8 :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케이블
10 : 전원 콘센트 12: 전력선 수신기
110, 210 : 지그비 통신망
120, 220 : 전력선 통신망
130, 230 : 액티브 태그
140 : 라우터 240 : RFID 리더
150, 250 :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
160, 260 : 제어컴퓨터

Claims (41)

  1.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1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13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라우터(140);
    상기 지그비 통신망(1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160)
    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130)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손목에 걸치는 팔찌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몸에 소지하는 표찰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130)에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 연령,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140)는,
    상호간에 정보의 호핑(hopping)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140)는,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선실에 부착되어 선박 내의 모든 구역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140)는,
    선실 상호간에 간섭이 일어날 경우 전송 출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각 선실별 또는 두 개 이상의 선실을 포함하는 영역별로 제한된 공간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160)는,
    상기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은 상기 라우터(140)의 위치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160)는,
    상기 액티브 태그(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160)는,
    여객선에서 위험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구역에 알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12. 제 1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110)을 다 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3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120)과 지그비 통신망(1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320 단계;
    지그비 통신망(1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라우터(140)를 설치하는 제 330 단계;
    액티브 태그(1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340 단계;
    라우터(140)가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제 3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이 라우터(1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120)으로 송출하는 제 3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1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160)가 전력선 통신망(1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370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30 단계에서,
    라우터(140)는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선실에 부착되어 선박 내의 모든 구역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30 단계에서,
    라우터(140)는 선실 상호간에 간섭이 일어날 경우 전송 출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각 선실별 또는 두 개 이상의 선실을 포함하는 영역별로 제한된 공간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130)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손목에 걸치는 팔찌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1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몸에 소지하는 표찰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130)에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 연령,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50 단계에서,
    라우터(140)는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정보의 호핑(hopping)에 의하여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15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160)는 액티브 태그(130)의 신호를 읽은 해당 라우터(140)의 위 치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160)는 액티브 태그(1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160)는 여객선에서 위험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구역에 알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23.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서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되는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
    선박 내 무선통신이 불가능한 구역에 배치되는 유선 통신망으로서,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에 의하여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연결되는 전력선 통신망(220);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소지하는 액티브 태그(23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의 노드에 존재하며,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40);
    상기 지그비 통신망(210)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박 내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 내의 지그비 통신과 무선통신이 가능하지 못한 구역들 상호간의 전력선 통신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 및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과 연결되며, 상기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컴퓨터(260)
    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230)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2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손목에 걸치는 팔찌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2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몸에 소지하는 표찰의 형태를 갖도록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태그(230)에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 연령,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240)는,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선실에 부착되어 선박 내의 모든 구역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260)는,
    상기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은 상기 RFID 리더(240)의 위치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260)는,
    상기 액티브 태그(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260)는,
    여객선에서 위험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구역에 알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32. 제 23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무선통신이 가능한 구역에 무선 통신망인 지그비 통신망(210)을 다수 개의 노드를 갖도록 배치하는 제 41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을 설치하여 기존에 선박 내에 배치되어 있던 전력선 통신망(220)과 지그비 통신망(210)을 상호 연결하는 제 420 단계;
    지그비 통신망(210)의 다수 개의 노드에 다수 개의 RFID 리더(240)를 설치하는 제 430 단계;
    액티브 태그(230)를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들에게 장착하는 제 440 단계;
    RFID 리더(240)가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어서 이를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로 전송하는 제 450 단계;
    지그비-전력선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250)이 RFID 리더(240)로부터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전력선 통신망(220)으로 송출하는 제 460 단계; 및
    전력선 통신망(22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260)가 전력선 통신망(220)을 통하여 수신한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 정보를 처리하는 제 470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30 단계에서,
    RFID 리더(240)는 선박 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선실에 부착되어 선 박 내의 모든 구역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30 단계에서,
    RFID 리더(240)는 선실 상호간에 간섭이 일어날 경우 전송 출력의 강도를 조절하여 각 선실별 또는 두 개 이상의 선실을 포함하는 영역별로 제한된 공간에 걸쳐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230)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2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손목에 걸치는 팔찌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230)는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 또는 승객들이 몸에 소지하는 표찰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40 단계에서,
    액티브 태그(230)에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 연령, 성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9.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260)는 액티브 태그(230)의 신호를 읽은 해당 RFID 리더(240)의 위치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260)는 액티브 태그(23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승무원 또는 승객의 성명에 대한 정보를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41.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7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260)는 여객선에서 위험 구역이나 비인가 구역에 승객들이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당해 구역에 알람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KR1020070083809A 2007-08-21 2007-08-21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088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809A KR100886847B1 (ko) 2007-08-21 2007-08-21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809A KR100886847B1 (ko) 2007-08-21 2007-08-21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410A true KR20090019410A (ko) 2009-02-25
KR100886847B1 KR100886847B1 (ko) 2009-03-04

Family

ID=4068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809A KR100886847B1 (ko) 2007-08-21 2007-08-21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84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14B1 (ko) * 2011-06-28 2013-03-06 (주)피케이티 알에프 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크루즈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1357545B1 (ko) * 2012-06-18 2014-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긴급상황 훈련 시스템 및 훈련 방법
KR101443834B1 (ko) * 2013-05-23 2014-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훈련시 대피 인원수와 탈출시간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방법
KR101466272B1 (ko) * 2013-06-27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2962930A1 (en) * 2014-07-03 2016-01-06 Astrium GmbH Improving the safety on-board of large vehicles for many passengers
KR20160014422A (ko) 2014-07-29 2016-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DE102016205129A1 (de) * 2016-03-29 2017-10-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formationssystem und Informationsverfahren zum Ausgeben wenigstens einer Information an eine Person in einem Fahrzeug
KR20180042655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WO2023083856A1 (en) 2021-11-09 2023-05-19 Sealution BV Crew safet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3792B2 (en) * 2009-08-28 2012-08-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ision system for monitoring humans in dynamic environments
KR20160012535A (ko) 2014-07-24 2016-02-03 (주)보타바이오 승선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KR20170007639A (ko) 2015-07-10 2017-01-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10027661A (ko) 2019-08-30 2021-03-11 (주)에이티솔루션 Lpwan을 이용한 스마트 모니터링 및 수색 스캐닝 시스템과 그 방법
KR102553054B1 (ko) 2021-01-26 2023-07-10 김경수 항공 및 선박 탑승객 위치추적시스템
NO347347B1 (en) 2021-11-09 2023-09-25 Dimeq As Adaptable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ssel
KR102587098B1 (ko) 2022-02-24 2023-10-10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승선원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168405A (ko) 2022-06-07 2023-12-14 한화오션 주식회사 선박용 스마트 워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선원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882A (ko) * 2003-11-11 2003-12-03 주식회사 사일릭스 Rfid를 이용한 피혁가공공정 및 물류관리시스템
KR100653369B1 (ko) * 2005-11-28 2006-12-05 (주)한국무선네트워크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아이디 태그 및 이를 이용한위험지역 안내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14B1 (ko) * 2011-06-28 2013-03-06 (주)피케이티 알에프 아이디 시스템을 이용한 크루즈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1357545B1 (ko) * 2012-06-18 2014-0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긴급상황 훈련 시스템 및 훈련 방법
KR101443834B1 (ko) * 2013-05-23 2014-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비상탈출훈련시 대피 인원수와 탈출시간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방법
KR101466272B1 (ko) * 2013-06-27 2014-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승선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EP2962930A1 (en) * 2014-07-03 2016-01-06 Astrium GmbH Improving the safety on-board of large vehicles for many passengers
KR20160014422A (ko) 2014-07-29 2016-02-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 비상상황 대응용 재난대피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 휴대단말과 연동하는 선박 재난대피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DE102016205129A1 (de) * 2016-03-29 2017-10-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formationssystem und Informationsverfahren zum Ausgeben wenigstens einer Information an eine Person in einem Fahrzeug
KR20180042655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비온시이노베이터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WO2023083856A1 (en) 2021-11-09 2023-05-19 Sealution BV Crew safet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847B1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847B1 (ko) 선박 내 승무원 또는 승객의 위치를 추적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100085323A (ko) 선박 장비의 이상 작동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21404A1 (en) Precise positioning system enabled product location method
KR100703092B1 (ko) Rfid를 이용한 위치 인식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위치 인식용 무선 통신 장치
US20090009327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loca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80324933A1 (en) Lighting Control With Location Based Communication
CN102498680A (zh) 借助于选择性轮询的功率高效的对象检测
CN101719304A (zh) 基于手机蓝牙的个人物品监测系统
JP2003532208A (ja) イベント駆動型情報システム
EP3596960A1 (en) Precis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04374996U (zh) 一种酒店房卡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3065167A (zh) 一种机柜内设备位置的监控系统及方法
EP2168265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ireless location detection
US20230298448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ag location verification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CN108255067A (zh) 一种基于无线传感网络的云计算家居控制系统
CN103343654A (zh) 基于rfid银行提款箱监控系统
CA26640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s to communicate wirelessly using rfid air protocols
CN210271009U (zh) 一种基于双总线的安全门装置
CN204375011U (zh) 一种酒店入住控制系统
Zignani et al. Ultra-wideband (UWB) for the IoT–a fine ranging revolution
Bernardy et al. Basic Methodology for cyber physical system modelling
CN101276424A (zh) 一种单机图形化控制管理的射频识别装置及其控制管理方法
Ali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Location Based Technologies Inorder To Develop IOT Applications
KR100660150B1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 태그의감지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