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212A -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212A
KR20220055212A KR1020200139457A KR20200139457A KR20220055212A KR 20220055212 A KR20220055212 A KR 20220055212A KR 1020200139457 A KR1020200139457 A KR 1020200139457A KR 20200139457 A KR20200139457 A KR 20200139457A KR 20220055212 A KR20220055212 A KR 20220055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mobility
battery
control signal
power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로운
우재열
김수빈
우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9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212A/ko
Priority to US17/462,679 priority patent/US11993160B2/en
Priority to DE102021210401.0A priority patent/DE102021210401A1/de
Publication of KR2022005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4Personal mobility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서버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PERSONAL MOBILITY,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MOBILITY}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는 개인용 이동 수단으로, 전동휠, 전동킥보드, 전동스케이트보드 및/또는 전기자전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 증가와 함께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들이 증가하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배터리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 체크, 수리 및/또는 재배포 등을 위해 퍼스널 모빌리티를 개별로 관리하고 운송하고 있다.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는 구조 상 적재가 어려우며, 일련의 단위로 관리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들이, 퍼스널 모빌리티를 개별 관리할 때, 반복적인 일련의 작업이 발생되어, 관리 시간의 증가 및 경제적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왔으며, 이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들의 비즈니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퍼스널 모빌리티를 일련의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운영 프로세스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개별 단위가 아닌 번들(bundle) 단위로 관리할 수 있는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번들 단위의 관리가 용이한 박스형 바디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및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번들 단위에서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충전 알고리즘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서버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충전 중인 제1 배터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3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 이후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전력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결정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2 도전성 코일을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bundle)에 포함되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는, 도전성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회로; 연결 단자; 배터리;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연결 단자,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력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회로의 제어와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전성 코일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도전성 코일에 유도된 제2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력을 송신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의 제어와 관련된 제2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전성 코일이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상기 도전성 코일을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박스 형태의 프레임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핸들 및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상기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충전 중인 제1 배터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3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개별 단위가 아닌 번들(bundle) 단위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번들 단위의 관리가 용이한 박스형 바디 형태의 퍼스널 모빌리티 및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번들 단위에서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충전 알고리즘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종래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가 퍼스널 모빌리티를 개별 단위로 관리함으로써 발생되었던 시간 낭비 및 비용 상승 등의 운영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퍼스널 모빌리티의 공유 서비스 업체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개별 단위의 배터리 충전, 배터리의 충전 상태 체크, 수리 및/또는 재배포 등의 관리가 아닌 퍼스널 모빌리티를 일련의 번들 단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1 퍼스널 모빌리티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유도 방식에 기초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배티러 충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100, 150) 및 서버(10)를 포함하는 시스템(1)의 블록도이다.
퍼스널 모빌리티(100)(제1 퍼스널 모빌리티라고도 함)는 통신 장치(102), 연결 단자(104), 코일(106), 배터리(108), 저장 장치(110) 및/또는 제어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2)(또는 통신 회로라고도 함)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와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서버(10) 간의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2)는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04)는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외부 전자 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단자(104)는 USB 커넥터 및/또는 HDMI 커넥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연결 단자(104)를 통해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전력(제1 전력이라고도 함)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단자(104)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프레임(미도시)의 일부 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코일(106)은 나선형으로 권선된 도전성 패턴의 도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06)은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프레임(미도시)의 적어도 일부 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108)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통신 장치(102), 저장 장치(110) 및/또는 제어 장치(11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8)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저장 장치(110)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통신 장치(102), 배터리(108) 및/또는 제어 장치(112))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10)는 메모리,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2) (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라고도 함)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예: 통신 장치(102), 배터리(108), 및/또는 저장 장치(110))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2)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2)는 무선 충전 회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114)는 코일(1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114)는 제어 장치(112)의 제어에 기초하여 코일(106)을 통해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150)에 무선으로 전력(제2 전력 또는 무선 충전 전력이라고도 함)을 송신 및/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회로(114)는 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적재 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간의 이격 거리가 짧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다음의 표 1을 참조하면, 자기 공진 방식에 비해 자기 유도 방식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 방식
전송 거리 수 mm 내외 10m 이내
전송 효율 수 mm 이내 90퍼센트 1m에서는 90퍼센트2m에서는 40퍼센트
이에 따라, 무선 충전 회로(114)가 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구현 방식 및/또는 적재 방식 등에 따라, 무선 충전 회로(114)가 자기 유도 방식 대신 자기 공진 방식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무선 충전 회로(114)는 공지된 기술로 세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퍼스널 모빌리티(150)(제2 퍼스널 모빌리티라고도 함)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2), 연결 단자(104), 코일(106), 배터리(108), 저장 장치(110) 및/또는 제어 장치(112)와 대응되는(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부(12), 메모리(14) 및/또는 제어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또는 통신 회로라고도 함)는 서버(10)와 외부 장치,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50) 간의 유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는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2)는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서버(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통신부(12) 및/또는 제어부(1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예를 들어,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는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공유 및/또는 관리와 관련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에는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식별 번호, 위치 정보, 및/또는 상태 정보 등 복수 개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6)(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라고도 함)는, 서버(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 요소(예: 하드웨어 구성 요소(예: 통신부(12) 및/또는 메모리(14))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소프트웨어 프로그램))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메모리(14)에 저장된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또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포함하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bundle)로 식별할 수 있으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은, 적재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bundle)로 식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들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배터리들 각각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를 전력원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코일(106)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가 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제1 제어 신호라고도 함)를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전력 공급원 역할을 하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코일(106)에서 나머지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퍼스널 모빌리티들, 예를 들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코일로 전력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들 일부, 예를 들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전력원 역할을 하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코일(미도시)이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가 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미도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제2 제어 신호라고도 함)를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전력원 역할을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는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배터리들의 충전 우선 순위(또는 충전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결정된 충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전력원 역할을 하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순차적으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전력을 송신하고 이후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3 퍼스널 모빌리티(미도시)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된 퍼스널 모빌리티가 전력원 역할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배터리가 충전 완료 시,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로 전력을 송신하도록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는, 통신부(12)를 통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배터리가 충전 완료 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무선 충전 회로(미도시)가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코일(미도시)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송신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무선 충전 회로(114)가 제어 장치(112)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충전 회로(114)는 제어 장치(112)와 별도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하나의 코일(106)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복수개의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코일들 각각은 프레임의 일부면 또는 내부의 상이한 부분에 위치 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동작, 예를 들어, 회전 방향 및/또는 회전 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핸들, 휠, 발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레이더, 전방 라이트, 오디오 장치, 후륜 커버, 제동 장치, 서스펜션, 브레이크 레버, 압력 센서, 후방 라이트 및/또는 햅틱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시스템(1)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시스템(1)은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들, 예를 들어, 제3 퍼스널 모빌리티 및/또는 제4 퍼스널 모빌리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은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구성들과 대응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예: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개별 단위가 아닌 일련의 단위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프레임(208)은 적재가 용이한 박스 형태의 프레임 구조(박스형 바디 쉐이프 구조 또는 사각형 형태의 구조라고도 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퍼스널 모빌리티들 사이의 적재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킥 스텐드(204), 핸들(202), 휠(206)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이 박스 형태의 프레임(208)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a)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의 핸들(202), 킥 스텐드(204), 및 휠(206)은 프레임(208)의 내부로 슬라이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의 프레임(208)의 내부로 퍼스널 모빌리티의 구성 요소들이 삽입되었을 때 퍼스널 모빌리티의 프레임(208)은 도 2의 (b), (c), (d) 및 (e)와 같이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일 수 있다. 도 2의 (b)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프레임(208)의 내부로 퍼스널 모빌리티의 구성 요소들이 삽입되었을 때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프레임(208)의 내부로 퍼스널 모빌리티의 구성 요소들이 삽입되었을 때의 퍼스널 모빌리티의 프레임(208)의 측면, 상면 및 전면 각각은 도 2의 (c), (d) 및 (e)와 같을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0)은 4개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의 (a) 및 (b)와 같이 퍼스널 모빌리티들이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는 하단에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는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들 사이에는 체결 구조(301)를 위치시켜, 퍼스널 모빌리티들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또는 서버(10)의 제어부(16))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서버(10)는 통신부(12)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 및/또는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로부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01).
제1 정보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의 충전량 및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정보를 기초로, 통신부(120)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송신할 수 있다(403).
서버(10)는, 제1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충전 중인 제1 배터리(예: 배터리(108))를 포함하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제어 신호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제1 배터리의 제1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을 기초로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통신부(120)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송신할 수 있다(405).
제2 제어 신호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할 때,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2 전력 송신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시간과 대응되는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신호는,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할 때,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4))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하는 시간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서버(10)는 통신부(12)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초로,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이후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로, 전력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결정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는 통신부(12)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2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도 3과 같은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bundle)(30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100)(또는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제어 장치(112))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연결 단자(104)와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50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1 전력을 기초로 배터리(108)를 충전할 수 있다(503).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통신 장치(102)를 통해 서버(10)로부터 무선 충전 회로(114)의 제어와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505)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배터리의 충전 및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도전성 코일(106)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507).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무선 충전 회로(114)를 통해 도전성 코일(106)에 유도된 제2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예: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 및/또는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로 송신할 수 있다(509).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배터리(108)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회로(114)를 통해 제2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력을 송신할 순서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회로(114)를 통해 제2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통신 장치(102)를 통해, 배터리(108)의 충전량, 배터리(108)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배터리(108)의 충전량, 배터리(108)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송신에 응답하여, 서버(10)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무선 충전 회로(114)의 제어와 관련된 제2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도전성 코일(106)이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도전성 코일(106)이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된 이후, 배터리(108)의 충전 완료 시, 도전성 코일(106)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또는 서버(10)의 제어부(116)),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제어 장치(112))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또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어 장치))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또는 서버(10)의 제어부(116)),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제어 장치(112))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또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유도 방식에 기초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배티러 충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배터리(108)를 충전할 수 있다(601).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연결 단자(104)에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기초로 배터리(108)를 충전할 수 있다.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603).
제1 정보는, 도 7과 같이, 배터리(108)의 충전량 및 배터리(108)가 충전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는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상단에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가 위치한다는 정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측면에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가 위치한다는 정보 및/또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측면과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상단에 제4 퍼스널 모빌리티가 위치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는 제3 정보 및 제4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605).
제3 정보는, 도 7과 같이, 배터리의 충전량 및 배터리가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정보는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하단에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위치한다는 정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측면에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가 위치한다는 정보 및/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측면과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하단에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가 위치한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 및/또는 제4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07).
예를 들어, 서버(10)는 통신부(12)를 통해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 및/또는 제4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배터리(108)가 충전 중임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배터리(108)가 충전 중인 것에 기초하여, 제1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제어 신호를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송신할 수 있다(609).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611).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통신 장치(102)를 통해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배터리(108)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정보, 제2 정보, 제3 정보, 및/또는 제4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613).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3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배터리가 충전 중이 아님과 배터리의 충전량을 식별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배터리가 충전 중이 아닌 것 및/또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기초하여, 제2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2 제어 신호를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전송할 수 있다(615).
예를 들어, 서버(10)는 통신 장치(102)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는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617).
예를 들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는 통신 장치를 통해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에 유도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또는 공급이라고도 함)할 수 있다(619).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하여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에 유도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무선 충전 전력에 기초하여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621).
도 8을 참조하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프레임(208) 내부(또는 충전 가능한 대역 내)에 있는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신호는 호환되는 수신 코일, 즉,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프레임 내부에 있는 제2 도전성 코일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도전성 코일의 감지 시, 전자기 유도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 내부에 있는 전자들이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 주변을 흐르기 시작하여 자기장이 발생되고, 제2 도전성 코일 내의 전자들이 발생된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2 도전성 코일 내부에 갖힌 전자들이 자기장으로 인해 제2 도전성 코일 주위로 흐르기 시작하며, 이러한 전자들의 흐름이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배터리(108)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6))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무선 충전 회로(114)를 제어하도록 하는 정보는,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되거나, 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의 저장 장치(11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2 제어 신호는,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할 때,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2 전력 송신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시간과 대응되는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신호는,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할 때,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 및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간의 이격 거리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신호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4))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하는 시간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 각각도 상술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과 대응되는(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는 제5 정보 및 제6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5 정보는 도 7과 같이,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배터리의 충전량 및 배터리가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정보는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와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정보 및 제6 정보를 수신한 서버(10)는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는 제3 제어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하고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부터의 무선 충전 전력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배터리는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는 제7 정보 및 제8 정보를 서버(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7 정보는 도 7과 같이,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배터리의 충전량 및 배터리가 충전 중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8 정보는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와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7 정보 및 제8 정보를 수신한 서버(10)는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제4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4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4 퍼스널 모빌리티(3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는 제4 제어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제4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하고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부터의 무선 충전 전력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배터리는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서버(10)는 제1 내지 제4 퍼스널 모빌리티(100, 150, 300, 35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퍼스널 모빌리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퍼스널 모빌리티가 복수개인 경우, 무선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송신할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내지 제4 퍼스널 모빌리티(100, 150, 300, 350) 각각의 배티리의 충전량을 기초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퍼스널 모빌리티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하인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를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퍼스널 모빌리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초로, 무선 충전 전력을 순차적으로 송신할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가장 적은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를 첫 번째 순서로 결정하고,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배터리의 충정량이 많은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를 두 번째 순서로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결정된 순서가 포함된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가 첫 번째 순서이고,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가 두 번째 순서라는 정보가 포함된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는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에 먼저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고,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배터리 충전의 완료 시,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추가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 및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가 도전성 코일들을 전력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시점은,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하는 시점에 대응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2 퍼스널 모빌리티(100)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준비가 완료된 경우,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가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신호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1 도전성 코일(예: 코일(104))을 전력 송신 상태로 전환하는 시간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는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이후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코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준비가 완료된 경우,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가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제어 신호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도전성 코일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을 완료한 시간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는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이후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코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로 무선 충전 전력을 송신할 준비가 완료된 경우,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가 제4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제어 신호에는,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가 제1 제어 신호를 송신한 이후, 제2 퍼스널 모빌리티(150)의 제2 도전성 코일로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완료하고, 이후 제3 퍼스널 모빌리티(300)의 제3 도전성 모일로 무선 충전 전력 송신을 완료한 시간에 기초한 딜레이 시간이 반영된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4 퍼스널 모빌리티(350)는 전환 시점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이후, 제4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 코일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서버(10)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배터리들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의 충전 유무(또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와 외부 전원과의 연결 유무)를 기초로,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0)에 포함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이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0)로 포함되면,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0)에 포함된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예를 들어, 제1 퍼스널 모빌리티(100)를 통해 다른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개별로 충전(충전 단자의 단일화)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300)에 포함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충전 상태(SOC; state of charge)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10)는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치 관계 및 충전 상태를 통합하여, 어떤 퍼스널 모빌리테에서 어떤 퍼스널 모빌리티로 전력을 이동시켜야하는지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외부 전력원을 통해 충전중인 퍼스널 모빌리티의 코일을 전력 송신 상태, 나머지 충전 상태가 미리 결정된 기준 값 보다 낮은 충전 상태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코일은 전력 수신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여, 전력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는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에 포함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의 충전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효율적인 전력 배분 시스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 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시스템 100: 퍼스널 모빌리티
102: 통신 장치 104: 연결 단자
106: 코일 108: 배터리
110: 저장 장치 112: 제어 장치
114: 무선 충전 회로 150: 퍼스널 모빌리티
10: 서버 12: 통신부
14: 메모리

Claims (20)

  1.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충전 중인 제1 배터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를 식별하는,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서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3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가,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 이후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전력을 순차적으로 송신하도록 하는 순서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결정된 순서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2 도전성 코일을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서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으로부터 인접한 퍼스널 모빌리티들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 번들(bundle)에 포함되는 것으로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
  9. 도전성 코일;
    상기 무선 충전용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 충전 회로;
    연결 단자;
    배터리;
    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 충전 회로, 상기 연결 단자, 상기 배터리 및 상기 통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연결 단자와 연결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1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전력을 기초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서버로부터 상기 무선 충전 회로의 제어와 관련된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 및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전성 코일이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며,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도전성 코일에 유도된 제2 전력을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에 포함된 전력을 송신할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상기 제2 전력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로 순차적으로 송신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이라는 정보 및 상기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보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무선 충전 회로의 제어와 관련된 제2 제어 신호의 수신 시, 상기 제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도전성 코일이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된 이후, 상기 배터리의 충전 완료 시, 상기 도전성 코일을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무선 충전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박스 형태의 프레임 내부로 슬라이딩되는 핸들 및 휠을 더 포함하는,
    퍼스널 모빌리티.
  16. 서버의 통신부를 통해,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배터리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 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을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1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2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2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제2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및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각각의 상기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충전 중인 제1 배터리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를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충전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값 이상인 것을 기초로 상기 제1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1 도전성 코일이 상기 전력 송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들 중 제3 퍼스널 모빌리티의 제3 도전성 코일을 전력 수신을 위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3 제어 신호를, 상기 제3 퍼스널 모빌리티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의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KR1020200139457A 2020-10-26 2020-10-26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KR20220055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57A KR20220055212A (ko) 2020-10-26 2020-10-26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US17/462,679 US11993160B2 (en) 2020-10-26 2021-08-31 Personal mobility, server, and method of managing personal mobility
DE102021210401.0A DE102021210401A1 (de) 2020-10-26 2021-09-20 Persönliche mobilität, server und verfahren zum verwalten einer persönlichen mobilitä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457A KR20220055212A (ko) 2020-10-26 2020-10-26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212A true KR20220055212A (ko) 2022-05-03

Family

ID=8107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457A KR20220055212A (ko) 2020-10-26 2020-10-26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3160B2 (ko)
KR (1) KR20220055212A (ko)
DE (1) DE1020212104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3735A1 (de) 2022-05-04 2023-11-09 Hyundai Mobis Co., Ltd. Leuchte für fahrze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807B1 (ko) * 2020-08-18 2021-05-28 (주)그린파워 무선충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1746A1 (en) * 2007-03-05 2008-09-11 Plishner Paul J System for providing or receiving electric power from a parked vehicle
US8922049B2 (en) * 2010-12-02 2014-12-30 Hydrive Vehicles, Incorporated System for extracting electrical power from an electric vehicle
US20220366468A1 (en) * 2015-02-27 2022-11-17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90244284A1 (en) * 2016-10-26 2019-08-08 Kyocera Corporation Management system, bicy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NL2019015B1 (en) * 2017-06-02 2018-12-11 Univ Delft Tech Contactless charger system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JP6485566B1 (ja) * 2018-02-23 2019-03-20 株式会社Ihi 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010244A (ja) * 2019-07-01 2021-01-28 株式会社東芝 送電装置、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送電方法
US11981223B2 (en) * 2019-10-21 2024-05-14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Electric vehicle charg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5398767A (zh) * 2020-04-06 2022-11-25 三菱电机株式会社 充电电力管理装置以及充电电力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33735A1 (de) 2022-05-04 2023-11-09 Hyundai Mobis Co., Ltd. Leuchte für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3160B2 (en) 2024-05-28
DE102021210401A1 (de) 2022-04-28
US20220126707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06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reason wireless charging is stopping
KR20220055212A (ko)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US61305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KR102405847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08141056A (zh) 电子设备、充电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1296518B2 (en) Power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2899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based 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US11509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US20160378155A1 (en) Charge process in usb setup
KR20220091393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모바일 배터리
US20230182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including battery
US202301826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including battery
JP2018148598A (ja) 充電装置、充電システム、充電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11157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230087326A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77132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970950B (zh) 充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US2020025924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
CN110970948A (zh) 充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分体式电子设备
KR20230161207A (ko)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15895A1 (en) Electronic device for stopping charging of battery and/or providing user interface based on over-discharged state of batte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12277667B (zh) 移动体的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20240045936A (ko) 전력 변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230346629A1 (en) Walking Assist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EP434401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power supply efficiency of wireless charging circuit while connected to wired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