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132B1 -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132B1
KR102477132B1 KR1020210132617A KR20210132617A KR102477132B1 KR 102477132 B1 KR102477132 B1 KR 102477132B1 KR 1020210132617 A KR1020210132617 A KR 1020210132617A KR 20210132617 A KR20210132617 A KR 20210132617A KR 102477132 B1 KR102477132 B1 KR 10247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tate
storage means
transfer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Priority to KR1020210132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132B1/ko
Priority to PCT/KR2021/014433 priority patent/WO202305880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Abstract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BATTERY TRANSPORT APPARATUS FOR TRANSPORT BATTERY OF ELECTRIC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TTERY TRANSPORT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부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자동차의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 자동차와 관련된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의 기술에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나, 전기 자동차의 이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관련된 기술이 필수적이고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방전을 최소화하고 충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기술이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기술의 개발과 발전에도 불구하고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영구적인 사용이 불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일정 수준 이하의 효율을 가지게 되는 경우,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 외 다른 대상에 사용되는 재사용 배터리로 이용되거나 다른 대상에 재사용이 불가하여 폐배터리로 분류되어 폐기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사용 배터리나 폐배터리는 일정한 이송 수단을 통해 재사용을 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폐기 처리를 위한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를 이송하는 수단은 배터리 이송 장치가 미리 설치된 차량 등과 같은 교통 수단을 의미할 수 있고, 각 배터리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보관 및 이송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이송 장치를 통해 이송되는 배터리는 이송되는 동안 별도로 충전을 수행하지 않아 방전이 될 수 있고, 배터리에 대한 온도나 습도 등과 같은 상태를 위한 수단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재사용 배터리에 대한 효율도 감소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터리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부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배터리의 온도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외부에 전력을 공급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습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가 요구되는 제어 대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어 대상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각 배터리 보관 수단에 대하여 제어가 요구되는 상태를 상기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대상 정보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보관 수단이 서로 다른 조건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 배터리가 사용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상태,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2 설정 상태 및 배터리가 자연 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3 설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를 상기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군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의 요청을 전송한 충전 요청 장치로부터 사용이 필요한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사용 필요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군에 포함된 배터리 중 상기 사용 필요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적합한 배터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상기 각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 보관 수단 중 제3 설정 상태로 전환이 요구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상기 제3 설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태 유지 수단으로 상기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하도록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기 자동차 등에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배터리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응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배터리의 사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사용의 요청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배터리 이송 장치(100),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이송 장치(100)의 주도적인 동작에 의해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전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할 수 있는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를 배터리 보관 수단에 장착하여 이송 가능한 교통 수단 등에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포함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은 배터리를 내부에 수용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배터리에 대한 사용이 필요한 경우, 외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수단은 전력 변환 수단 및 전력 충전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전력의 공급이 요구되는 복수의 장치들로부터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사용에 적합한 배터리를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결정된 배터리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사용을 요청한 외부의 장치인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각 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사용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보관 수단과 배터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배터리 이송 장치(100)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배터리 보관 수단에 장착된 배터리에 대한 충전 진행 여부 및 충전된 정도를 의미하는 충전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100)는 배터리가 보관되고 있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사용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배터리를 이용하여 외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는 배터리를 통해 전력의 공급으로 동작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100),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100)로 예를 들어 설명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배터리 이송 장치(100)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의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4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4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4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420) 및 저장 장치(4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4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4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4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450) 및 저장 장치(4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이송 장치(4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4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의미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이송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동작 방법과 관련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100), 제1 장치(200) 및 제2 장치(300)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장치 및 제2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하기 위한 보구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수행되는 동작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과 배터리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배터리 보과 수단들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에 배터리가 장착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감지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습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수단(예를 들어, 온도를 측정 가능한 센서 등과 같은 수단을 의미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 측정 수단(예를 들어, 습도를 측정 가능한 센서 등과 같은 수단을 의미할 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320).
여기서, 배터리 이송 장치에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가 요구되는 제어 대상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S321).
여기서, 미리 설정된 상태는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보관 수단이 서로 다른 조건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상태는 배터리가 사용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상태,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2 설정 상태 및 배터리가 자연 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3 설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상태는 아래의 표 1과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설정 상태 구분 내부 온도 내부 습도
제1 설정 상태 제1 설정 온도 제1 설정 습도
제2 설정 상태 제2 설정 온도 제2 설정 습도
제3 설정 상태 제3 설정 온도 제3 설정 습도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에서 결정하는 제어 대상 정보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배터리 이송 장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상태를 만족하도록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상태가 제어 대상 정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태들 중 제1 설정 상태가 되도록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확인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와 미리 설정된 상태 중 제1 설정 상태에 따른 제1 설정 온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 대상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가 제1 설정 온도와 동일한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 대상 정보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는 확안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와 미리 설정된 상태 중 제1 설정 상태에 따른 제1 설정 습도를 비교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가 제1 설정 습도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 대상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가 제1 설정 습도와 동일한 경우,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를 제어 대상 정보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결정된 제어 대상 정보에 상응하여 각 배터리 보관 수단에 대하여 제어가 요구되는 상태를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S322).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결정된 제어 대상 정보에 포함된 상세한 상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이송 장치는 결정된 제어 대상 정보에 상응하여 제어가 요구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제어 대상 정보에 상응하여 제어가 필요한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해당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냉각 수단 및 가열 수단 등과 같은 온도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를 제어할 수 있는 건조 수단 및 가습 수단 등과 같은 습도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들이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의 상태를 배터리의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S330).
여기서, 배터리 이송 장치에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사용의 요청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를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에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군으로 결정할 수 있다(S331).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외부의 장치(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1 장치 및 제2 장치 등)로부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장치는 배터리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동작할 수 있는 장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의 장치는 '충전 요청 장치'라 칭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의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외부의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 이송 장치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하여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의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대하여 확인된 설정 상태 중 제2 설정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확인된 배터리 보관 수단에 장착된 배터리를 배터리의 사용에 대하여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하기 위한 후보의 배터리로 결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결정된 후보의 배터리가 포함된 후보군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사용의 요청을 전송한 충전 요청 장치로부터 사용이 필요한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사용 필요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S332).
즉, 배터리 이송 장치는 사용의 요청을 전송한 충전 요청 장치(즉, 외부의 장치)로 사용이 필요한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장치인 충전 요청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로부터 사용이 필요한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충전 요청 장치는 배터리를 통해 충전이나 사용이 필요한 전력의 량을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인 사용 필요 정보를 배터리 이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이송 장치는 충전 요청 장치로부터 사용 필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후보군에 포함된 배터리 중 사용 필요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요청에 상응하는 적합한 배터리로 결정할 수 있다(S333).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획득된 사용 필요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요청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후보군에 포함된 배터리 중 충전 요청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의 량보다 미리 설절된 량 이상의 충전 상태인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미리 설절된 량 이상의 충전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 배터리를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에 상응하는 적합한 배터리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이송 장치는 후보군에 포함된 배터리 중 충전 요청 장치에서 요구되는 전력의 량보다 미리 설절된 량 이상의 충전 상태인 배터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량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감소된 미리 설정된 량 이상의 충전 상태인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충전 요청 장치의 요청에 상응하여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한 배터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결정된 적합한 배터리를 충전 요청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충전 요청 장치로 결정된 적합한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배터리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에 대한 정보인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충전 요청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이 감소하는 속도가 충전 요청 장치에서 필요한 전력의 량을 만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에 대한 정보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배터리 이송 장치는 충전 요청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관리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50).
먼저,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충전 상태나 잔여 충전 량을 의미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이송 장치는 실시간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 보관 수단 중 제3 설정 상태로 전환이 요구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결정할 수 있다(S360).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복수의 배터리들이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설정된 미리 설정된 상태가 제2 설정 상태로 설정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제2 설정 상태로 설정된 것으로 확인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충전 상태 정보가 확인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충전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이 미리 설정된 량 이상인 배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의 잔여 충전 량이 미리 설정된 량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배터리의 배터리 보관 수단을 제3 설정 상태로 전환이 요구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배터리 이송 장치는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제3 설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태 유지 수단으로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S370).
구체적으로, 배터리 이송 장치는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제3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제3 설정 온도 및 제3 설정 습도가 유지되도록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인 제2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설정 온도를 제3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제3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인 제2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설정 습도를 제3 설정 상태에 상응하는 제3 설정 습도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 이송 장치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설정 상태에서 제3 설정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제2 설정 상태가 의미하는 충전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충전 량만큼 충전이 완료된 배터리를 제3 설정 상태가 의미하는 자연 방전 중인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고, 언제든지 외부의 장치로부터 배터리의 사용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요청에 상응하는 적합한 배터리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 중 배터리 이송 장치는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배터리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배터리가 보관되고 있는 공간의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배터리가 장착되어 보관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이 수행된 후 수행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의 순서와 관계없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이송 장치 200: 제1 장치
300: 제1 장치 400: 배터리 이송 장치
410: 프로세서 420: 메모리
4130: 송수신 장치 4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4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460: 저장 장치
470: 버스

Claims (8)

  1.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배터리가 사용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상태,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2 설정 상태 및 배터리가 자연 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3 설정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습도 측정 수단에 의해 획득되는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어가 요구되는 제어 대상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어 대상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각 배터리 보관 수단에 대하여 제어가 요구되는 상태를 상기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대상 정보는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온도에 대한 정보 및 배터리 보관 수단의 내부 습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사용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 보관 수단이 서로 다른 조건의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를 상기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후보군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의 요청을 전송한 충전 요청 장치로부터 사용에 요구되는 전력의 량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사용 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군에 포함된 배터리 중 상기 사용 정보에 상응하는 기준을 만족하는 배터리를 상기 요청에 상응하는 적합한 배터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기반으로 상기 각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설정 상태인 배터리 보관 수단 중 제3 설정 상태로 전환이 요구되는 배터리 보관 수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가 상기 제3 설정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상태 유지 수단으로 상기 결정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8.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된 이력이 존재하는 복수의 배터리들을 이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로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로 장착되는 배터리를 감지하여 감지된 배터리가 장착된 배터리 보관 수단의 현재 상태를 의미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한 상태가 미리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배터리 이송 장치에 포함된 상태 유지 수단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 보관 수단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보관 수단들에 장착된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에 대한 사용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복수의 배터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기반으로 전력을 제공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상기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제어하도록 실행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상태는
    배터리가 사용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1 설정 상태, 배터리가 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2 설정 상태 및 배터리가 자연 방전중인 경우에 유지가 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제3 설정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KR1020210132617A 2021-10-06 2021-10-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7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17A KR102477132B1 (ko) 2021-10-06 2021-10-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PCT/KR2021/014433 WO2023058804A1 (ko) 2021-10-06 2021-10-18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617A KR102477132B1 (ko) 2021-10-06 2021-10-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7132B1 true KR102477132B1 (ko) 2022-12-13

Family

ID=84438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617A KR102477132B1 (ko) 2021-10-06 2021-10-06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7132B1 (ko)
WO (1) WO202305880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03A (ko) * 2015-06-04 2016-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차량의 배터리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탈장착 방법
KR20190079906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터리 저장 장치 및 시스템과, 배터리 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008A (ja) * 1992-01-07 1993-07-23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バッテリ交換装置
KR101682788B1 (ko) * 2015-01-28 2016-12-12 중소기업은행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704359B1 (ko) * 2016-10-10 2017-02-22 송성훈 배터리 충전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3903A (ko) * 2015-06-04 2016-1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전기차량의 배터리교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탈장착 방법
KR20190079906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배터리 저장 장치 및 시스템과, 배터리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04A1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2915B (zh) 无线电池管理装置和包括该装置的电池组
CN103279370B (zh) 一种数据处理的方法、终端、服务器及系统
US202303912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ower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ing ess
US20100123435A1 (en) Reduction of peak current requirements
US11347679B2 (en) Hybrid system-on-chip for power and performance prediction and control
US20090284071A1 (en) Feed intermediate apparatus, feeding system, and feed intermediate method
US11068292B2 (en) Computing system translation to promote efficiency
KR102477132B1 (ko)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를 이송하는 배터리 이송 장치 및 배터리 이송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55212A (ko) 퍼스널 모빌리티, 서버 및 퍼스널 모빌리티 관리 방법
US10962948B2 (en) Power system, energy system, energy exchange method, program, terminal, and mobile object
CN111816939A (zh) 一种电池包维护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0560329B2 (en) Auto-commissioning of electrical devices
US20230091486A1 (en) Using a predicted workload to improve preparedness of backup power source
CN112667643B (zh) 基于双芯智能电表的掉电数据保存方法和装置
KR102484220B1 (ko) 게이트웨이 전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4601296B (zh) 用于机器人执行上仓转移任务的目标上仓确定方法和装置
US20230419742A1 (en) Task management device, system, vehicle, and task management method
CN107315551B (zh) 成像盒芯片、成像盒及数据处理方法
US20230008376A1 (en) Memory system, control method, and power control circuit
CN113452119B (zh) 充电设备调配方法、装置及系统
US20230065085A1 (en) System and method of optimizing communication in an iot mesh network
KR20230082313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의 운영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배터리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CN116137448A (zh) 充电控制方法、芯片、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7783912A (zh) 一种电池故障检测系统、方法、设备及介质
JP2021191115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