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140A -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140A
KR20220055140A KR1020200139308A KR20200139308A KR20220055140A KR 20220055140 A KR20220055140 A KR 20220055140A KR 1020200139308 A KR1020200139308 A KR 1020200139308A KR 20200139308 A KR20200139308 A KR 20200139308A KR 20220055140 A KR20220055140 A KR 20220055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micro lens
optical
core
polym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김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신저스
주식회사 샤펜프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신저스, 주식회사 샤펜프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신저스
Priority to KR102020013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140A/ko
Publication of KR20220055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lens focusing means positioned between opposed fibr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간 광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제1 광케이블; 절단된 말단을 구비한 제2 광케이블; 마이크로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제2 광케이블의 말단에 노출된 코어로 입사하도록, 제1 광케이블의 말단과 제2 광케이블의 말단을 마주보게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시키는 결속기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OPTICAL FIBER WITH MICRO LENS AND METHOD FOR FORMING MICRO LENS ONTO OPTICAL FIBER, AND OPTICAL CONNECTOR UTILIZING OPTICAL FIBER WITH MICRO LENS}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섬유를 이용한 광통신이 기존의 전기 통신에 비해 주목되고 있다.
한편,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에서는, 하나의 광섬유와 다른 하나의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사용되는데, 광섬유의 말단에서 나온 광은 확산하기 때문에 광섬유의 말단 간 간격이 커지면 광전송 손실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광섬유의 말단 간 간격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광섬유의 말단들을 서로 접촉시키는 형태의 커넥터가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커넥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즉, 커넥터 내에서 마주하는 광섬유들을 분리하고 연결하는 과정이 반복될수록, 광섬유의 말단들이 서로 마찰하여 서로를 손상시키거나 말단들 사이에 개재된 이물질이 광섬유의 말단들을 손상시킬 수 있어서, 광전송 손실이 커지게 된다.
한편, 광섬유의 말단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손상되었더라도 광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커넥터 내에서 광섬유 간에 일정 간격을 만들고 중간에 렌즈 구조를 삽입하는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예시로서, 공개특허 제10-2014-0036037호(2014.03.24.) (명칭: 광섬유 커넥터)(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를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32)가 배열된 플레이트(126)를 포함하는 구조의 커넥터(100)를 개시한다.
한편, 종래 기술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투명 기판 위에 렌즈를 형성할 물질을 도포하고, (b) 렌즈의 형태에 대응하는 포토 마스크를 준비하고, (c) 포토 마스크를 이용하여 투명 기판 위에 도포된 물질 중 일부를 제거하고 및 경화시키고, (d)(e) 제거되지 않은 부분의 물질을 경화된 부분으로 확산시키고, (f) 형성된 물질을 전부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 렌즈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고가의 기술이므로, 커넥터 제품의 가격이 2배 이상으로 비싸지게 된다. 또한, 조립 부품이 늘어남에 따라 생산성 및 생산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전송 효율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광케이블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구조를 제공하되, 마이크로 렌즈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 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간 광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을 피펫에 충전하고; 상기 피펫의 토출부에 상기 폴리머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을 상기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폴리머 용액은, 경화후 굴절률이 상기 코어의 굴절률과 ±10% 범위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준비하는 것;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을 피펫에 충전하는 것; 상기 피펫의 토출부에 상기 폴리머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하는 것;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을 상기 메니스커스에 접촉시켜서,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에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경화후 굴절률이 상기 코어의 굴절률과 ±10% 범위 내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직경 및 초점거리는, 상기 메니스커스의 크기,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 상기 폴리머 용액의 경화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며,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제1 광케이블;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며, 절단된 말단을 구비한 제2 광케이블; 상기 마이크로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케이블의 말단에 노출된 코어로 입사하도록, 상기 제1 광케이블의 말단과 상기 제2 광케이블의 말단을 마주보게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시키는 결속기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광케이블은, 절단된 말단에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광케이블 간의 광전송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간단한 방법에 의해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하여, 광전송 효율이 우수한 광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커넥터 구조물에 마이크로 렌즈를 제조하는 기존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의 말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의 말단을 보여주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광케이블의 말단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될 것이다.
더욱, 이하에서 설명되어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설명한다.
광케이블은, 광섬유 코어와 코어를 둘러싸는 클래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케이블의 말단은 대체로 절단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코어가 노출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코어가 노출된 광케이블의 말단에, 적어도 코어를 덮는 형태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다. 마이크로 렌즈는, 예를 들면, 반구 형태일 수 있다. 도 3의 좌측에는 평탄한 표면, 예를 들면 광케이블의 말단에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를 보여준다. 도면의 우측에는 적어도 코어가 마이크로 렌즈로 덮인 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도 4의 (a)는, 광케이블의 말단에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b)는 광케이블의 말단을 수직으로 내려다 본 것을 보여준다. (c)는 적어도 코어가 마이크로 렌즈로 덮인 형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 렌즈는, 폴리머 용액의 액적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은, 경화후 굴절률이 적어도 코어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10% 범위 내의 차이를 갖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물질로는,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광케이블의 말단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준비하고,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을 피펫에 충전하고, 피펫의 토출부에 폴리머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고, 광케이블의 말단을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마이크로 렌즈가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렌즈는, 광케이블의 말단 전부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데, 적어도 광케이블의 말단으로 노출된 코어를 덮을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의 직경 및 초점거리 등 렌즈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피펫의 토출부의 직경, 토출부에 형성된 메니스커스의 크기,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의 점도, 폴리머 용액을 경화시키기 위한 주변 조건들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말단을 용액의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킨 후 대기하는 시간, 접촉하는 깊이, 접촉 후 떼어내는 속도 및 시간 등을 추가로 제어함으로써, 마이크로 렌즈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렌즈를 반구 형태뿐만 아니라, 광케이블의 광방출 방향으로 긴 원통형 구조 또는 직경이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테이퍼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폴리머 로드'로 지칭할 수 있다.
특히, 폴리머 로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피펫에 충전되는 폴리머 물질의 용액이 피펫의 토출부에서 메니스커스를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점도를 가져야 하는데, 특히, 굴절률이 1.3 내지 2.0인, 또는 굴절률이 광케이블의 코어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10% 범위 내의 차이를 갖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구체적으로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SU-8 등의 에폭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로드 형성용 물질 용액은, 상기 폴리머 물질이 용매에 용해된 형태인데, 상기 용매는 공기중에서 및 제조실 조건에서 증발이 잘 되는 물질(휘발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폴리머 로드는 광원에서 방출되는 파장에 대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투과 성능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펫은 피펫 풀러를 이용하여 토출부를 원하는 직경으로 제조할 수 있다.
폴리머 로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피펫을 광케이블의 말단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고, 피펫의 토출부에 폴리머 로드 제조용 물질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한다.
피펫을 폴리머 로드 제조용 물질 용액의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킨 후 메니스커스를 유지하면서 인출하게 되면, 용액 내부의 용매가 빠르게 증발하면서 폴리머 물질이 응고되어 기둥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피펫은 광케이블에서 광이 방출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즉 폴리머 로드가 광케이블의 말단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폴리머 로드를 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폴리머 로드는, 직경이 광케이블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가늘어지거나 굵어지는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상은 피펫의 인출 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또는, 피펫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폴리머 로드의 굵기를 제어할 수 있는데, 피펫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점차 증가시키게 되면 폴리머 로드 제조용 물질 용액의 토출량이 늘어나면서 폴리머 로드의 직경이 점차 커지게 되고, 반대로 피펫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점차 감소시키게 되면 폴리머 로드 제조용 물질 용액의 토출량이 줄어들면서 폴리머 로드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된다.
폴리머 로드는 광케이블의 말단에 접하는 부분의 직경이 1mm 이하이고, 높이가 10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폴리머 로드의 직경과 높이의 비는 1:5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내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광커넥터의 내부에서는 광케이블들의 말단들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특히, 광케이블들의 노출된 코어들이 마주보게 배치됨),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광케이블의 말단에는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되어 있다. 각 광케이블들은 결속기구에 의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입사광을 전달하는 광케이블 A의 코어에서 방출되는 광이 마이크로 렌즈에 의하여 집속될 수 있으며, 집속된 광은 연결된 광케이블 B의 코어로 입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출된 광이 확산하지 않으므로, 광결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하여 광을 집속시키게 되면, 광빔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므로, 광케이블 A와 광케이블 B의 코어들의 정렬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광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마이크로 렌즈가 없는 광케이블의 말단들을 서로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에서 광전송 효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광케이블 간에 약간의 간격을 두는 것이 더 향상된 효율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광이 집속되는 효과를 증명한다.
실험용 샘플의 구조 광출력(μW)
마이크로 렌즈가 없는 광케이블의 말단들을 직접 접촉시키는 방식 [비교 기준] 313
마이크로 렌즈가 없는 광케이블의 말단들을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방식 (간격 = 0.25mm) 171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식 말단들을 직접 접촉시킴
(간격 = 0mm)
400 [비교 기준] 대비 128% 출력 향상
말단들의 간격을 두고 결합시킴
(간격 = 0.25mm)
550 [비교 기준] 대비 176% 출력 향상
도 7은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의 마이크로 렌즈가 없는 광케이블에 있어서는, 코어에서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손실되기 때문에, 광전송의 효율이 낮다(a).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마이크로 렌즈를 구비한 광케이블은, 코어에서 방출되는 광이 집속되어 연결된 광케이블의 코어로 손실없이 입사될 수 있다(b).

Claims (8)

  1.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간 광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을 피펫에 충전하고;
    상기 피펫의 토출부에 상기 폴리머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을 상기 메니스커스에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간 광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경화후 굴절률이 상기 코어의 굴절률과 ±10% 범위 이내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 간 광전송 효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4.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을 준비하는 것;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할 폴리머 용액을 피펫에 충전하는 것;
    상기 피펫의 토출부에 상기 폴리머 용액의 메니스커스를 형성하는 것;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을 상기 메니스커스에 접촉시켜서, 상기 광케이블의 절단된 말단에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용액은, 경화후 굴절률이 상기 코어의 굴절률과 ±10% 범위 내의 차이를 갖도록 설계된, 폴리스티렌,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에폭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직경 및 초점거리는,
    상기 메니스커스의 크기, 상기 폴리머 용액의 점도, 상기 폴리머 용액의 경화 조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7.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며, 절단된 말단에서 적어도 상기 코어를 덮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제1 광케이블;
    코어 및 클래드를 포함하며, 절단된 말단을 구비한 제2 광케이블;
    상기 마이크로 렌즈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케이블의 말단에 노출된 코어로 입사하도록, 상기 제1 광케이블의 말단과 상기 제2 광케이블의 말단을 마주보게 소정의 거리를 두고 위치시키는 결속기구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케이블은, 절단된 말단에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KR1020200139308A 2020-10-26 2020-10-26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KR20220055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08A KR20220055140A (ko) 2020-10-26 2020-10-26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308A KR20220055140A (ko) 2020-10-26 2020-10-26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140A true KR20220055140A (ko) 2022-05-03

Family

ID=8159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308A KR20220055140A (ko) 2020-10-26 2020-10-26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1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5044B1 (en) Optical structure
US7455462B2 (en) Zone two fiber optic cable
EP0627641A1 (en) Optical fiber array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0582867C (zh) 制造微透镜阵列的方法
JPH0133801B2 (ko)
JP2007163969A (ja) 光結合器、光コネクタ及び光結合器の製造方法
JP2002182073A (ja) 光源−光ファイバ結合器
KR20040061704A (ko) 광결합 소자의 제작 방법, 광결합 소자, 광결합 소자조립체 및 광결합 소자를 이용한 렌즈 결합형 광섬유
EP0650080A1 (en) A method of fabricating molded optical waveguides
KR20220055140A (ko)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렌즈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KR20220055188A (ko) 마이크로 폴리머 로드가 형성된 광케이블 및 광케이블에 마이크로 폴리머 로드를 형성하는 방법, 그리고 마이크로 폴리머 로드가 형성된 광케이블을 이용한 광커넥터
US6553174B2 (en) Optical fiber array assembly with preform for supporting fibers
WO2018186723A1 (ko) 평면 광도파로 및 광 모듈
CN114265151A (zh) 一种光纤准直器及其制作方法
US7460748B2 (en) Lensed tip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136205B2 (ja)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CN102147511B (zh) 制造聚合物微型透镜的方法及具有该聚合物透镜的准直器
JPS6029085B2 (ja) 光源結合器とその製造法
US20230194776A1 (en)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assemblies, and optical connections having an array of optical fibers
JPH04284401A (ja) マイクロレンズ及び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
CN217034312U (zh) 一种光纤准直器
US11714242B2 (en) Optical fiber array and optical fiber connection structure
JP2005309092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652106B2 (ja) 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光コネクタ
JP2008040028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