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946A -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946A
KR20220054946A KR1020200138916A KR20200138916A KR20220054946A KR 20220054946 A KR20220054946 A KR 20220054946A KR 1020200138916 A KR1020200138916 A KR 1020200138916A KR 20200138916 A KR20200138916 A KR 20200138916A KR 20220054946 A KR20220054946 A KR 2022005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unit
seaweed
protein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열
송우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38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4946A/ko
Publication of KR2022005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발효 미역귀 분말을 단백질 원료와 혼합하는 단백질 쉐이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미역귀의 유용성분을 보다 쉽게 섭취 가능하도록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한 후 발효 추출물을 단백질 보충식품과 혼합하여 단백질 보충은 물론 변비예방, 정장작용, 중금속 배출 및 콜레스테롤의 혈관 침착 방지, 체중조절(다이어트)등의 기능성을 가진 체중조절용 다이어트 단백질 보충식품 제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Protein shake for weight contro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김치 유래인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발효한 마카분말을 단백질 원료와 혼합하는 단백질 쉐이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보충용 식품은 분말로 제조되어 물이나 음료에 용해하여 섭취하거나, 처음부터 음료 형태로 제조되어, 스포츠 음료, 에너지 음료, 피트니스 음료 등의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463414호는 분말 상태의 스포츠인용 영양보조식품에 관한 것으로, 당류와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각종 비타민이나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것으로, 단백질 함량이 13 중량% 이하이고 탄수화물 함량이 60중량% 이상으로서 단백질 보충용 식품으로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5113호는 카제인 가수분해물과 이소말툴로스를 함유하는 스포츠 음료에 관한 것으로, 단백질이 가수분해될 경우 쓴 맛은 상승하지만 용해성이 증가하므로 분말의 용해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없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6-0033723호의 경우에는 트레할로스와 분리유청단백을 함유하는 음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원재료의 분말 혼합이 아닌 액상에서 혼합한 후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트레할로스와 단백질의 결합을 형성하게 하는 것으로, 용해성이 뛰어난 분리유청단백이나 트레할로스만을 사용하였기에 용해성 문제는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그러나 아미노산 조성 및 용해성이 다른 대두단백 또는 난백단백을 단백질 공급원으로 추가하거나, 당류와 달리 수용해성이 낮은 곡류를 추가할 경우 분말 형태로 제조되는 단백질 보충용 식품 조성물은 용해성이 낮아 영양학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사용 편이성을 나쁘게 하고, 용해되지 않은 분말 덩어리가 잔존하게될 경우 섭취시 이물감을 부여하여 기호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0312호 (2014.02.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74268호 (2013.06.05)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마카의 유용성분을 보다 쉽게 섭취 가능하도록 물김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고 분말가공한 후 단백질 보충식품과 혼합하여 운동능력 향상과 피로회복, 골밀도 증강, 호르몬 조절작용 등의 기능성을 가진 더욱 우수한 단백질 보충제를 제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 발효 마카분말이 함유된 단백질 보충제의 경우 마카의 유용성분인 alkaloid, sterol, glucosinolate, tannin, saponin 등을 보다 쉽게 섭취할 수 있도록 물김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으로 발효하였고, 이를 기존 단백질 보충제에 첨가하여 단백질 보충을 물론 운동능력 향상과 피로회복, 골밀도 증강, 호르몬 조절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유산균 발효 마카분말 함유 단백질 보충제의 경우 ‘근감소증’예방을 위해 단백질 및 고영양성분이 필요한 고령자는 물론 근육을 만들기 위해 무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나 균형잡힌 식단 관리가 어려운 사람, 체중조절을 하는 일반인, 피로회복과 영양섭취가 필요한 직장인 및 수험생 등에게 단백질 보충제 및 간편식으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종적으로 물김치 유산균으로 발효한 마카분말의 경우 다양한 식품군 등에 활용이 가능하며, 제품 제조 시 본 원료를 첨가할 경우 체내 섭취가 용의한 마카의 다양한 생리활성의 효능을 가지는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중 사용되는 분말혼합장치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중 사용되는 분말혼합장치의 사용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말혼합장치의 분말봉투개방부(1300)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분말혼합장치의 분말투입부(500)의 개폐뚜껑(520)에 대한 도면
이다.
도 7은 불량이 발생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이하,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단백질 쉐이크는 물김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티늄(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발효한 마카분말을 단백질원료와 혼합시킴으로써 기능성 단백질 쉐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백질 쉐이크를 제조하는 방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단백질 보충제 제조방법은 물김치유산균배양단계(S1), 마카배지제조단계(S2), 마카배지멸균단계(S3), 마카발효액배양단계(S4), 마카발효액멸균단계(S5), 마카발효액동결건조단계(S6), 마카발효분말제조단계(S7),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포장단계(S8)로 순서가 진행된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물김치유산균배양단계
물김치유산균배양단계(S1)는 물김치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Lactobacillus plantarum)의 유산균 수가 108cfu/ml 이상이 되도록 24~48시간 배양하는 단계이다.
S2) 마카배지제조단계
마카배지제조단계(S2)는 마카분말과 증류수를 혼합하여 마카배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카배지제조단계(S2)는 마카분말과 증류수를 1~5:5~9의 비율로 혼합하여 마카배지를 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3) 마카배지멸균 단계
마카배지멸균단계(S3)는 상기 마카배지제조단계(S2)를 통해 제조된 마카배지를 80~180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한 후, 가열된 마카배지를 소정의 시간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냉각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마카배지멸균단계(S3)는 바람직하게는 마카배지를 110~130도의 온도에서 15~30분 동안 가열함으로써 마카배지를 멸균한다. 이후, 멸균된 마카배지를 적정온도인 25~40도 사이가 되도록 실온에서 방치시키어 마카배지를 냉각시킨다.
S4) 마카발효액배양단계
마카발효액배양단계(S4)는 상기 마카배지멸균단계(S3)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마카배지를 소정 크기의 거름망에 넣어 발효조에 투입한 후, 상기 물김치유산균배양단계(S1)를 통해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 유산균을 마카배지에 접종한 후, 상기 발효조에서 10~50도의 온도에서 30~250rpm의 조건으로 30~120시간 배양함으로써 마카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또한 마카발효액배양단계(S4)는 물김치유산균배양단계(S1)를 통해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늄 유산균을 마카배지 전체량의 5~25%의 비율(v/v)로 접종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카발효액배양단계(S4)는 25~40도의 온도에서 50~200rpm의 조건으로 48~96시간 배양시킴으로써 유산균수가 108cfu/ml 이상이 되도록 한다.
S5) 마카발효액후처리단계
마카발효액후처리단계(S5)는 상기 마카발효액배양단계(S4)를 통해 제조된 마카발효발효액을 90~150도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가열한 후 영하 10~60도의 온도로 동결건조하여 마카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카발효액후처리단계(S5)는 110~130도의 온도에서 15~30분 동안 마카발효액을 가열하여 유산균이 불활성화되도록 유산균을 멸균시킨다. 이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30~-40도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어 동결건조함으로써 마카발효물이 제조된다.
S6) 마카발효분말제조단계
마카발효분말제조단계(S6)는 상기 마카발효액후처리단계(S5)를 통해 제조된 마카발효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분쇄하여 마카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카발효분말제조단계(S6)는 분쇄기를 이용하여 마카발효물이 40~80메쉬의 크기가 되도록 곱게 분쇄하여 마카발효분말을 제조한다.
S7)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는 상기 마카발효분말제조단계(S6)를 통해 제조된 마카발효분말을 단백질원료와 혼합하여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S7)는 마카발효분말과 단백질원료, 비타민혼합재료, 기타원료를 혼합하여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을 제조한다.
단백질원료로는 WPC, WPI, WPH, ISP 등이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두개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타민혼합재료로는 비타민 A, B1, B2, B6, C, E 및 나이신, 엽산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비타민혼합재료의 비타민 함량은 영양소 기준치의 25%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타원료는 칼슘, 철, 아연과 같은 미네랄과 기타부재료를 혼합한 것으로, 미네랄의 경우 영양소 기준치의 10%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의 혼합비율는 마카발효분말 1~10%와 단백질원료 30~45%와 비타민혼합재료 4~10%와 기타원료 30~4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는 단백질쉐이크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단백질쉐이크를 제조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백질쉐이크제조장치(1)는 분말믹싱부(100), 분말배출로(200), 압력조절부(300), 에어통과로(400), 분말투입부(500), 게이트(600), 제1분말이동부(700), 제2분말이동부(800), 제어부(900), 분말봉투제공부(1000), 분말봉투이동부(1100),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1200), 분말봉투개방부(1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는 단백질쉐이크제조장치(1)의 분말믹싱부(100), 분말배출로(200), 압력조절부(300), 에어통과로(400), 분말투입부(500), 게이트(600), 제1분말이동부(700), 제2분말이동부(800), 제어부(900)를 이용한다.
이에 관한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말믹싱부(100)는 내부에 형성된 축(110)에 믹싱블레이드(120)가 삽입되어 투입된 분말 즉, 단백질보충제를 믹싱한다. 구체적으로는 마카발효분말과 분말가루 형태의 단백질원료를 분말믹싱부(100)에 투입하여 뒤섞기 위한 것으로, 분말믹싱부(100)로부터 믹싱된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은 분말믹싱부(100)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부(130)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에서 마카발효분말, 단백질원료 등이 혼합된 단백질쉐이크분말을 줄여 분말과 혼용하여 기재되었다.
도 4는 분말믹싱부(100)의 내부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믹싱블레이드(120)가 회전함으로써 분말 즉,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70)을 골고루 섞는다.
분말배출로(200)는 상기 분말믹싱부(100)의 배출부(120)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분말투입부(500)와 연결되어 분말믹싱부(100)로부터 분말투입부(500)로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조절부(300)는 일측에 위치하되 분말투입부(50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투입부(500) 내부에서 압력조절부(300)로 에어를 배출시키어 분말투입부(500) 내부로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이 들어오게 하거나 압력조절부(300)에서 분말투입부(500)로 에어를 주입시키어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이 제1분말이동부(700)로 이동되도록 한다.
에어통과로(400)는 압력조절부(300)로부터 분말투입부(500)로 에어를 주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해 일측이 상기 압력조절부(300)와 연결되며 타측이 분말투입부(5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분말투입부(500)는 상기 분말배출로(200)로부터 이송된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수용된다.
상기 분말투입부(500)는 몸체부(510), 개폐뚜껑(520), 필터부(5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몸체부(510)는 일측(상부)이 개방되고 분말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개폐뚜껑(520)은 상기 몸체부(510)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510)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폐뚜껑(520)은 몸체부(5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바닥면에 에어실린더부(521)가 형성된다.
솔레노이드(540)는 몸체부(510)의 일측에 형성된다.
타이머(550)는 몸체부(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부(900)를 통해 설정된 시간동안 압력조절부(300)가 동작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수분제거기(560)는 몸체부(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부(51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게이트(600)는 분말투입부(500)와 제1분말이동부(700) 사이에 위치하고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600)는 제1게이트(610)와 제2게이트(620)로 이루어지며, 압력조절부(300)에 의해 에어가 분말투입부(500)로 주입될 때 닫혀있던 제1게이트(610)와 제2게이트(620)가 열리어 분말투입부(500)에 내장된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제1분말이동부(700)로 이동된다.
제1분말이동부(700)는 상기 분말투입부(5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분말이동부(700)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분말이동부(700)로부터 이동되는 단백질보충제(10)가 한꺼번에 분출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제2분말이동부(800)는 상기 제1분말이동부(7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분말이동부(700)는 제1분말이동부(700)로부터 이동된 단백질쉐이크분말(10)을 소정의 포장용기에 담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포장용기는 선반(1) 위에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분말이동부(800)의 하단에 형성된 노즐로부터 배출된 단백질쉐이크분말(10)이 배출되어 포장용기에 담기게 된다.
제어부(900)는 분말믹싱부(100)의 블레이드 동작을 제어하고, 압력조절부(300)의 압력동작을 제어하고, 게이트(600)의 개폐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900)를 통해 시간을 설정하여 일정시간동안 압력조절부(300)로부터 에어가 빨려올라가도록 설정한다면, 설정된 시간동안 분말투입부(500) 내로 단백질보충제(10)가 투입되며 게이트(60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압력조절부(300)가 에어를 분출할 수 있도록 하며 에어가 분출되는 동안은 게이트(6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 분말투입부(500)로부터 제1분말이동부(700)로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분말이동부(700)와 제2분말이동부(800) 사이에도 개폐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분말이동부(700)로부터 제2분말이동부(800)로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이동될 때도 제어부(900)를 통해 제어함으로써 일정량의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S8)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포장단계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포장단계(S8)는 상기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를 통해 이동된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카발효단백질쉐이크분말포장단계(S8)는 단백질쉐이크제조장치(1)의 분말봉투제공부(1000), 분말봉투이동부(1100),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1200), 분말봉투개방부(1300)를 이용한다.
이에 관한 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말봉투제공부(1000)는 일측에 위치하되 분말봉투(10)가 투입되어 이동됨으로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1200)로 분말봉투(10)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분말봉투이동부(1100)는 상기 분말봉투제공부(1000)의 일측에 위치하되, 분말봉투제공부(1000)로부터 공급되는 분말봉투(10)가 일측에 형성된 분말봉투글램핑부(1130)로 글램핑되되, 중심으로부터 반원반경으로 회전하는 회전동작에 의해 분말봉투개방부(1300)를 향하여 회전이동한다.
상기 분말봉투이동부(1100)는 이동축부(1100), 회전부(1120), 분말봉투글램핑부(1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축부(1100)는 분말봉투제공부(1000)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회전부(1120)는 이동축부(1100)의 상부에 위치하되, 회전동작을 하는 것이다.
분말봉투글램핑부(1130)는 상기 회전부(112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되, 분말봉투(10)의 폭과 대응되도록 소정의 수용공간을 가지되, 상기 수용공간에 분말봉투(10)가 수용되어 분말봉투(10)의 상부 일측과 타측을 글램핑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분말봉투이동부(1100)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부(1120)가 회전함으로써 분말봉투글램핑부(1130)에 글램핑된 분말봉투(10)가 이동하게 된다.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1200)는 분말봉투제공부(1100)의 회전부(1120)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일측이 분말봉투개방부(1300)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1200)는 연결부(1210)와 이동가이드라인부(1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부(1210)는 일측이 분말봉투개방부(130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동가이드라인부(1220)는 연결부(1210)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일측이 볼록한 곡선형태로 형성되되 일단은 분말봉투개방부(1300)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분말봉투제공부(1100)의 회전부(112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도 3은 이동가이드라인부(1220)의 일측 모습이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분말봉투(10)가 이동가이드라인부(1220)를 지나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분말봉투(10)가 흐물흐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말봉투(10)의 하부 일측을 지나가도록 이동가이드라인부(1220)가 형성됨으로써 분말봉투(10)의 하부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분말봉투개방부(1300)는 분말봉투제공부(1100)의 일측에 형성되되, 분말봉투제공부(1100)를 통해 이동되는 분말봉투(10)의 양측면을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
베이스부(1310)는 분말봉투제공부(1100)의 일측에 형성된다.
제1프레임(1320)는 베이스부(13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제2프레임(1330)는 베이스부(1310)의하부 일측에 형성되되, 제1프레임(1320)과 제2프레임(1330) 모두 가운데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봉투개방가이드부(1340)는 상기 제1프레임(1320)에 형성된 공간의 일측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2봉투개방가이드부(1350)는 상기 제1프레임(1320)에 형성된 공간의 타측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제3봉투개방가이드부(1360)는 상기 제2프레임(1330)에 형성된 공간의 일측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제4봉투개방가이드부(1370)는 상기 제2프레임(1330)에 형성된 공간의 타측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에어주입관(1380)는 일측이 상기 제1,2,3,4봉투개방가이드부(1340,1350,1360,1370)에 각각 연결되고 타측이 에어공급부(1390)에 연결되어 에어공급부(139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1,2,3,4봉투개방가이드부(1340,1350,1360,1370)로 전달한다.
제1에어주입관(1381)는 제1봉투개방가이드부(134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2에어주입관(1382)는 제2봉투개방가이드부(135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3에어주입관(1383)은 제3봉투개방가이드부(136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4에어주입관(1384)은 제4봉투개방가이드부(137)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제1,2,3,4봉투개방가이드부(1340,1350,1360,1370)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제3봉투개방가이드부(1360)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3봉투개방가이드부(1360)는 연결관(1361)과 압착부(1362)로 이루어지며, 연결관(136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제2프레임(1330)과 연결되며 제3에어주입관(1383)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는다.
압착부(1362)는 연결관(1361)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도6의 확대도와 같이 가운데에 원형형상(m)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되, 원형형상의 주변에 소정 개수의 원형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되 원형의 사이사이가 공간이 생기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이유는 에어가 배출될 때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에어공급부(1390)는 에어주입관(138)과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판삽입부(1400)는 상기 분말봉투개방부(1300)의 일측에 위치하되 일측에 가이드판(1410)이 형성되어 분말봉투개방부(1300)로 이동된 분말봉투(10)의 개방된 상부에 삽입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가이드판(1410) 이 삽입되지 않았을때 나타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데, 기계의 특성상 제1봉투개방가이드부(1340)와 제2봉투개방가이드부(1350) 그리고 제3봉투개방가이드부(1360)와 제4봉투개방가이드부(1370)가 서로 딱 맞도록 맞물리지 못하도록 제조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각 부품이 파손되거나 분말봉투(1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가이드판(1410)이 분말봉투(10)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된 후 분말봉투개방부(1300)가 작동함으로써 원활하게 분말봉투(10)를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0 분말혼합장치
100 분말믹싱부
110 축
120 믹싱블레이드
130 배출부
200 분말배출로
300 압력조절부
400 에어통과로
500 분말투입부
510 몸체부
520 개폐뚜껑
521 에어실린더부
521a 에어압축부
521b 피스톤하우징
521c 공압피스톤
521d 에어호스
530 필터부
540 솔레노이드
550 타이머
560 수분제거기
600 게이트
700 제1분말이동부
800 제2분말이동부
900 제어부
1000 분말봉투제공부
1100 분말봉투이동부
1110 이동축부
1120 회전부
1130 분말봉투글램핑부
1131 제1분말봉투글램핑부
1132 제2분말봉투글램핑부
1133 제3분말봉투글램핑부
1200 분말봉투이동가이드부
1210 연결부
1220 이동가이드라인부
1300 분말봉투개방부
1310 베이스부
1320 제1프레임
1330 제2프레임
1340 제1봉투개방가이드부
1350 제2봉투개방가이드부
1360 제3봉투개방가이드부
1370 제4봉투개방가이드부
1380 에어주입관
1381 제1에어주입관
1382 제2에어주입관
1383 제3에어주입관
1384 제4에어주입관
1390 에어공급부
1400 가이드판삽입부
1410 가이드판

Claims (3)

  1. 미역귀와 증류수를 혼합하여 미역귀배지를 제조하는 미역귀배지제조단계(S1);
    상기 미역귀배지제조단계(S1)를 통해 제조된 미역귀배지를 80~180도에서 소정 시간동안 가열한 후, 가열된 미역귀배지를 소정의 시간동안 실온에 방치하여 냉각시키는 미역귀배지후처리단계(S2);
    상기 미역귀배지후처리단계(S2)를 통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미역귀배지를 소정 크기의 거름망에 넣어 발효조에 투입한 후, 유산균을 미역귀배지에 접종하는 유산균접종단계(S3);
    상기 유산균접종 발효조에서 10~50도의 온도에서 30~250rpm의 조건으로 30~120시간 배양함으로써 미역귀발효액을 제조하는 발효단계(S4);
    상기 발효단계(S4)를 통해 제조된 미역귀발효액을 90~150도의 온도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가열한 후 영하 10~60도의 온도로 동결건조하여 미역귀발효물을 제조하는 미역귀발효액후처리단계(S5);
    상기 미역귀발효액후처리단계(S5)를 통해 제조된 미역귀발효물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분쇄하는 미역귀발효물분쇄단계(S6);
    분말혼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미역귀발효물분쇄단계(S6)를 통해 분쇄된 미역귀발효물을 단백질원료와 혼합함으로써 단백질쉐이크분말을 제조하는 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를 포함하되,
    상기 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의 분말혼합장치는
    내부에 형성된 축(110)에 믹싱블레이드(120)가 삽입되어 투입된 단백질원료와 분쇄된 미역귀발효물을 믹싱하기 위한 분말믹싱부(100);
    상기 분말믹싱부(100)의 배출부(120)와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분말투입부(500)와 연결되는 분말배출로(200);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300);
    일측이 상기 압력조절부(300)와 연결되며 타측이 분말투입부(5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에어통과로(400);
    상기 분말배출로(200)로부터 이송된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수용되는 분말투입부(500);
    분말투입부(500)와 제1분말이동부(700) 사이에 위치하고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600);
    상기 분말투입부(5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1분말이동부(7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말투입부(500)는
    일측이 개방되고 단백질쉐이크분말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510);
    상기 몸체부(510)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510)를 개폐하기 위해 형성되며 몸체부(5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바닥면에 에어실린더부(521)가 형성되는 개폐뚜껑(520);를 포함하되,
    상기 개폐뚜껑(520)은
    몸체부(5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에어를 압축하는 역할을 하며 하단 일측에 홀이 형성되는 에어압축부(521a);
    상부 몸체부(5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솔레노이드 신호를 받아 공압피스톤(521c)의 피스톤동작을 제어하되 일측에 에어가 분출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피스톤하우징(522b);
    상기 피스톤하우징(522b)에 수용되되 에어압축부(521a)의 홀을 개폐하도록 피스톤하우징(521b)에 의해 피스톤 동작을 수행하는 공압피스톤(521c);
    일측이 게폐뚜껑(520)과 연결된 에어통과로(400)와 연결되며, 타측은 피스톤하우징(521b)의 일측에 연결되되 에어가 통과되는 에어호스(521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의 분말혼합장치의 제1분말이동부(700)는 일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내부면적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쉐이크분말제조단계(S7)의 분말혼합장치는
    상기 제1분말이동부(700)의 하부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제2분말이동부(800);
    분말믹싱부(100)의 믹싱 동작을 제어하고, 압력조절부(300)의 압력동작을 제어하고, 게이트(600)의 개폐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KR1020200138916A 2020-10-26 2020-10-26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KR20220054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16A KR20220054946A (ko) 2020-10-26 2020-10-26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16A KR20220054946A (ko) 2020-10-26 2020-10-26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46A true KR20220054946A (ko) 2022-05-03

Family

ID=8159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16A KR20220054946A (ko) 2020-10-26 2020-10-26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49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273A (ko) 2022-10-31 2024-05-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세 식이섬유가 함유된 단백질 쉐이크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8B1 (ko) 2011-07-26 2013-06-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맥강 단백질 이용한 미네랄 결합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370312B1 (ko) 2012-11-05 2014-03-05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용해성이 향상된 단백질 보충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268B1 (ko) 2011-07-26 2013-06-1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맥강 단백질 이용한 미네랄 결합 펩타이드의 제조방법
KR101370312B1 (ko) 2012-11-05 2014-03-05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용해성이 향상된 단백질 보충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273A (ko) 2022-10-31 2024-05-1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백세 식이섬유가 함유된 단백질 쉐이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23295B (zh) 一种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911118B (zh) 一种开菲尔冻干菌粉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489669A (zh) 一种植物酵素益生菌粉及其制备方法
KR102006143B1 (ko)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CN105815640A (zh) 一种促消化调整肠胃果蔬益生菌产品及其制备方法
CN110353144A (zh) 一种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工艺
EP2177110A1 (en) Immunostimulating composition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CN106690327A (zh) 一种混合益生菌片剂及其低温包衣制备方法
CN104585762A (zh) 一种铁皮石斛发酵制品及其制备方法
CN106578064A (zh) 一种阿胶乳酸菌饮品及其制备方法
CN1915042A (zh) 直投式酸奶发酵菌剂的生产方法
CN110447722A (zh) 一种酒酿酸奶预拌粉及其制备方法
CN108782758A (zh) 一种发酵型合生元羊奶粉及其制备方法
Martínez-Villaluenga et al. Raffinose family of oligosaccharides from lupin seeds as prebiotics: application in dairy products
CN109430456A (zh) 一种茶酵素及其制备方法
CN110720578A (zh) 一种复合益生菌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20054946A (ko) 마카분말을 이용한 체중조절용 단백질 쉐이크 제조방법
CN108018243A (zh) 植物乳杆菌、复合益生菌枸杞子制品及其制备方法
CN113208077A (zh) 一种益生菌枸杞醋果冻的制备方法
WO2023001127A1 (zh) 一种益生元酸奶粉和制备方法
Mukisa et al. Proximate composition, acceptability and stability of probiotic dairy yoghurt containing cooking banana/matooke puree and Lactobacillus rhamnosus yoba.
CN105594854A (zh) 一种酸奶发酵菌剂、全菌酸奶及其制备方法
CN108902314B (zh) 一种富含活性植物乳杆菌的双蛋白发酵乳饮品及制备方法
KR20030022942A (ko) 식물성 액상 발효유(醱酵乳) 및 분말 발효유의 제조방법
Gürakan et al. Probiotic dairy beverages: microbiology and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