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904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3904A KR20220053904A KR1020200138227A KR20200138227A KR20220053904A KR 20220053904 A KR20220053904 A KR 20220053904A KR 1020200138227 A KR1020200138227 A KR 1020200138227A KR 20200138227 A KR20200138227 A KR 20200138227A KR 20220053904 A KR20220053904 A KR 202200539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unit
- touch
- circuit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Spiral spring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 H03K2217/96076—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with spring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형성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노출면을 형성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이격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터치부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로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부와 상기 회로부를 연결하고, 상기 터치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터치 패널 배면에 밀착하는 전도성 및 탄성 금속 재질의 스프링 형상의 부재를 적용하여 내구성 및 전도성을 개선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말하며,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복수의 코스 및 옵션이 기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코스 와 옵션 중에 원하는 특정 코스와 옵션을 지정하여 의류의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코스 또는 옵션을 설정할 때 조작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물리적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를 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었다.
관련문헌 CN201323564Y에는 터치 패널을 터치 했을 때 발생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금속 재질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회로에 전달하여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조작부를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선행 문헌이 개시하는 터치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스프링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선행 문헌에 개시된 터치조작부는 터치패널(91)과 회로(92) 사이에 금속 스프링(93)이 배치되어 있으며, 스프링(93)의 직경은 회로(92)에서 터치패널(91)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회로(92)에 금속 리벳(94)이 삽입되고, 금속 리벳(94)이 스프링(93)의 하부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터치패널(91)과 회로(92)를 전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다. 또한, 금속 리벳(94)은 스프링(93)이 접촉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서 납땜과 같은 결합체(95)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터치패널(91)과 회로(92)는 스프링(93) 단일구조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스프링(93)과 금속 리벳(94) 이중 구조를 통해 결합 및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변경하여 단일 면적에서 터치패널과 스프링의 접촉 밀도를 높여 더 많은 터치 버튼을 구현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가까워질수록 스프링의 직경이 감소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프링을 PCB에 고정하기 위해 Flow, Reflow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를 단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패널과 PCB기판을 리벳과 스프링으로 구성된 2중구조를 통해 연결하지 않고, 단일 구조의 스프링으로 터치패널과 PCB기판을 연결하며, 이를 통해 스프링의 접촉 신뢰성을 높여 터치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스프링의 상부는 터치패널과 접촉 면적을 높이기 위해 터치패널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넓은 면적의 스프링을 터치패널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스프링의 하부는 PCB기판과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PCB기판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고, 스프링과 PCB기판의 배면은 Flow공정을 통해 고정되고, PCB기판의 전면은 Reflow공정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Flow고정이 용이하도록 스프링의 하부는 PCB의 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는 PCB의 두께와 같거나 크게 제작될 수 있다.
스프링은 부식 방지를 위해 SUS계열의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고, 접촉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물리적 결합이 없는 단일 형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형성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노출면을 형성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이격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터치부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로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부와 상기 회로부를 연결하고, 상기 터치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터치부에 접촉되는 터치스프링부, 상기 회로부에 결합되는 회로스프링부 및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상기 회로스프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프링부 및 상기 회로스프링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스프링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가 결합되는 회로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스프링부는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에서 상기 회로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2스프링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2스프링선은 상기 터치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선은 상기 터치부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터치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스프링선의 일면이 상기 터치부와 모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로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며, 상기 회로부에 접촉되는 접촉스프링부 및 상기 접촉스프링부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3스프링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3스프링선은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스프링부의 직경은 상기 회로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고, 상기 삽입스프링부의 높이는 상기 회로관통홀의 깊이와 같거나 큰 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스프링선은 상기 회로부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회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3스프링선의 일면이 상기 회로부와 모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는 상기 회로부에 접촉되게 고정되고, 상기 삽입스프링부는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스프링부는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며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상기 회로스프링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변경하여 단일 면적에서 터치패널과 스프링의 접촉 밀도를 높여 더 많은 터치 버튼을 구현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가까워질수록 스프링의 직경이 감소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프링을 PCB에 고정하기 위해 Flow, Reflow 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를 단일 형상의 스프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치패널과 PCB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조작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스프링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 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스프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터치스프링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의 스프링구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 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스프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터치스프링부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투입구(211)를 구비하며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과, 상기 의류투입구(211)를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투입구(211) 및 도어(22)가 캐비닛(21) 전방에 구비되어 있는 프론트 로드 타입(front load type) 의류처리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뿐 아니라 캐비닛의 상면에 의류투입구 및 도어가 구비되는 탑 로드 타입(front load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일련의 작동명령을 입력 받거나, 표시하거나, 수행하는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명령은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이나,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00)에는 상기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을 수행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모든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에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washing cycle)과 수분이 함유된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행정(drying cyc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일련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임의의 코스 또는 옵션이 미리 저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코스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단계와, 상기 의류의 이물질과 세제를 분리하는 헹굼단계와, 상기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임의의 옵션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복수의 건조단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0)에는 상기 코스를 수행할 때 상기 코스의 부가적인 조건을 변경하는 임의의 옵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옵션은 세탁단계, 헹굼단계, 탈수단계의 횟수, 각 단계을 수행할 때의 드럼회전속도, 일정시간 동안 드럼이 회전하는 시간의 비율(실동률), 급수밸브의 개방시간 또는 물의 양(수위), 전기의 사용량, 수온, 스팀공급 등의 여부, 각 단계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임의의 옵션은 건조단계의 횟수, 건조단계을 수행할 때의 드럼회전속도, 일정시간 동안 드럼이 회전하는 시간의 비율(실동률), 전기의 사용량, 스팀공급 등의 여부, 건조단계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는 일련의 제어방법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패널(100)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부(120)와,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받는 상기 조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00)의 일부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130)와 조작부(150)의 기능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동시에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부(130)와 조작부(150)가 별도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21), 상기 캐비닛(21)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의류투입구(211)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241)가 형성되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1)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조작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세탁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2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23), 상기 터브(2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3)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5), 상기 터브(23)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6), 상기 터브(23)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1)가 건조기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21)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4)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터브(23)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또는 히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23)의 투입구 및 캐비닛(2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부(26)는 급수밸브(262)와 급수관(26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수부(27)는 배수펌프(271)와 배수관(2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5)는 상기 터브(23)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251)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252)와, 상기 로터(252)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드럼(24)을 회전시키는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3)는 상기 캐비닛(21)에 지지부에 의해 진동이 감쇠되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닛(21)과 상기 터브(23)를 연결하여 진동을 감쇠할 수 있는 댐퍼(282)와 스프링(2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5), 상기 급수부(26), 상기 배수부(27), 열풍공급부(29)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컨트롤패널(100) 또는 제어부(110)에 설정된 코스와 옵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구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된 코스와 옵션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261)가 개방되고, 상기 구동부(25)를 회전시키며, 상기 배수펌프(271)를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서버 또는 외부단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 4에 나타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할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는 의류처리창치라면 세탁기, 건조기를 포함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조작부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스프링부를 측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터치스프링부를 상면에서 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터치부, 회로부 사이에 스프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조작부(150)는 상기 캐비닛(21)의 외측으로 노출면을 형성하는 터치부(160), 상기 터치부(160)와 이격되어 상기 캐비닛(21)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부(1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50)는 일단부가 상기 터치부(160)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로부(170)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부(160)와 상기 회로부(170)를 연결하고, 상기 터치부(160)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회로부(170)에 전달하는 스프링부(180)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부(160)는 도 3에서 조작부(150)의 노출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부(160)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의류처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고, 캐비닛(21) 내부에 위치하는 스프링부(180) 및 회로부(170)를 통해 터치부(160)의 입력이 전달되어 제어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부(160)의 입력을 전달받아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180)는 상기 터치부(160)에 접촉되는 터치스프링부(181), 상기 회로부(170)에 결합되는 회로스프링부(182) 및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상기 회로스프링부(18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 및 상기 회로스프링부(182)의 직경은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의 직경과 같거나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180)는 사용자가 직접 터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터치부(160)를 터치할 경우에 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PCB기판으로 구성되는 회로부(17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링부(180)는 금속 재질의 단일 스프링선(L)이 연속적인 원을 형성하도록 선회하며 연장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3차원 공간 상에서 선회하며 연장되는 helix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180)를 이루는 스프링선(L)은 전기가 통하는 전기 전도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선의 재질은 구리, 알루미늄, 은 등 다양한 전도체 및 전도체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재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부(160)와 회로부(170)를 전기적을 연결하여 터치패널을 구현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로부(170)에는 회로부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로관통홀(17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CB기판에는 부품의 전극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로관통홀(171)은 일반적인 PCB에 형성되는 홀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회로관통홀(17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질수 있으며 부품이 삽입되는 방향의 회로부(170)의 일면에는 회로관통홀(171)의 둘레를 따라 동박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180)는 동박에 접촉되도록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해 상기 터치부(160)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회로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로관통홀(171)에는 회로스프링부(182)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되어 상기 회로부(170)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회로스프링부(182)는 납땜과 같은 방식을 통해 상기 회로부(17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로스프링부(182)와 상기 회로부(170)의 상면도 Reflow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이 필요한 물질이 회로스프링부(182)와 접촉되는 회로부(170)의 상단에 미리 도포되고, 상기 스프링부(180)를 압축한 뒤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 방식에 국한되어 회로스프링부(182)가 회로부(170)에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상기 회로부(170)의 상면 또는 배면 중 일부만 고정될 수 있으며, 양 면이 전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및 결합 방법에는 상기 스프링부(180)와 상기 회로부(170)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 상기 회로스프링부(18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3차원 공간 상에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helix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부(180)의 길이방향에 따라 직경이 변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 상기 터치부(160)의 배면에 가까워질수록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는 상기 터치부(160)를 향해 연장될수록 측면에서 바라보는 직경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압축되지 않는 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 스프링부(180)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치부(160)와 상기 회로부(170) 사이에서 압축되어 결합되었을 때, 즉 스프링부(180)의 높이 방향으로 압축되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터치스프링부(181)는 터치부(16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터치스프링부(181)가 접촉되는 면이 곡면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터치스프링부는 해당 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압축되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하나의 곡선상에 배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금속선이 연장되되, 점점 내부를 향해 나선형으로 말려 들어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기 터치부(160)의 배면에 밀착되어 압축될 경우, 동일 면적 내에서 터치부(160)와의 접촉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연장되므로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의 직경보다 작은 면적에서 터치 버튼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부(160)에 더욱 많은 터치 버튼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 많은 터치 버튼이 구현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를 더욱 세부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다 작은 터치부(160)에 기존의 터치 버튼을 모두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의 터치패널을 소형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L1)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2스프링선(L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스프링선(L)이 연장되어 일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터치스프링부(18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스프링선(L)이 상기 스프링부(180) 전체를 형성하되,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일부분을 제1스프링선(L1)이라고 명명하고, 다른 일부를 제2스프링선(L2) 또는 제3스프링선(L3)과 같이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다.
상기 제2스프링선(L2)은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나선형을 이루면서 상기 터치부(16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나선형을 이루는 상기 제2스프링선(L2)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부분은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제2스프링선(L2)이 나선형으로 회전하며 연장될 때 360도를 형성하는 부분마다 연속적으로 제1구간(L2a), 제2구간(L2b), 제3구간(L2c)과 같이 명명할 수 있다. 상기 구간 번호는 연속적으로 계속 붙여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구간(L2b)은 제1구간(L2a)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되되 제3구간(L2c)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구간(L2a)은 압축되었을 경우 외측을 둘러싸는 제2구간(L2b)과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되고, 제3구간(L2c)은 압축되었을 경우 제2구간(L2b)을 둘러싸되 위치되되 반경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프링부(181)가 상술한 내용과 같이 형성될 경우,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는 상기 터치부(160)에 의해 압축될 때, 인접한 제2스프링선(L2)끼리 서로 중첩되어 상기 터치부(160)와 접촉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터치스프링부(181)와 터치부(160)사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제1구간(L2a), 제2구간(L2b), 제3구간(L2c) 등 모든 터치스프링부(181)를 구성하는 제2스프링선(L2)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터치부(16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 같이 터치부(160)에 접촉되는 경우 터치부(160)와 터치스프링부(181)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접촉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터치부(160)의 터치 민감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성이 증대되고 정확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스프링선(L2)은 상기 터치부(160)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터치부(160)와 마주하는 상기 제2스프링선(L2)의 일면이 상기 터치부(160)와 모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스프링선(L2)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구간(L2a), 제2구간(L2b), 제3구간(L2c) 등 터치스프링부(181)를 형성하는 제2스프링선(L2)의 모든 구간이 서로 인접한 구간끼리 중첩되지 않고, 상기 터치부(160)에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2스프링선(L2)이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선일 경우 상기 제2스프링선(L2)은 터치부(160)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상기 터치부(160)와 선접촉 할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부(160)와 마주하는 상기 제2스프링선(L2)의 일면'의 의미는 터치부(160)와 접촉하는 제2스프링선(L2)의 접촉지점을 연결하는 하나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선(L2)이 압축되어 변형되고 터치부(160)와 면접촉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부(160)와 마주하는 상기 제2스프링선(L2)의 일면'은 면접촉하는 모든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터치부(160)와 마주하여 제2스프링선(L2)과 접촉 가능한 부분을 의미하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터치스프링부(181)가 형성될 경우 동일 면적 내에서 접촉 비율이 증가될 수 있고, 접촉 비율이 증가되면 터치의 민감도, 안정성 및 신뢰성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부(180)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로부터 연장되는 회로스프링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스프링부(182)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스프링부(182)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부터 helix형상으로 연장되되 연장될수록 직경이 감소하고,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일정한 직경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스프링부(182)는 터치부(160)와 마주하는 회로부(170)의 일면에 접촉되는 접촉스프링부(184) 및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스프링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삽입스프링부(185)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helix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앞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로부터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나선형을 이루며 직경이 점차 감소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터치스프링부(181)가 피라미드 형상으로 제작된다면,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나, 상기 회로부(170)에 접촉되며 압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의 전체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압축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스프링부(184)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접촉스프링부(184)가 접촉 및 압축되는 회로부(170)의 일면이 곡면을 이로는 경우에는 해당 곡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압축되어 회로부(170)에 접촉되는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기 회로관통홀(171)의 둘레를 따라 회로부(170)의 일면에 형성되는 동박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동박과 접촉하는 밀도가 향상되어 전기적 신호를 상기 회로부(170)에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부(160)에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와 같은 전기 신호를 더욱 안정적으로 전달하여 의류처리장치의 사용성 및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L1)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3스프링선(L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금속선이 연장되어 일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할 수 있고, 일부는 상기 터치스프링부(181)를 형성하고, 다른 일부는 접촉스프링부(18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금속선이 상기 스프링부(180) 전체를 형성하되,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일부분을 제1스프링선(L1)이라고 명명하고, 터치스프링부(181)를 형성하는 일부분을 제2스프링선(L2), 상기 제1스프링선(L1)을 기준으로 제2스프링선(L2)의 반대측에 위치한 일부를 제3스프링선(L3)이라고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프링선(L3)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스프링부(185)를 형성하는 부분은 제4스프링선(L4)이라고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L1)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3스프링선(L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3스프링선(L3)은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3스프링선(L3)이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경우 접촉스프링부(184)는 회로부(170)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서 상술한 터치스프링부(181)와 터치부(160)의 관계처럼 회로부(170)와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50)의 조립 단계에서 접촉스프링부(184)와 회로부(170)가 접촉되는 부분에 접착제 등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열을 가했을 때 상태가 변하여 양 부재를 접촉시키는 성질을 띨 수 있다. 따라서, 회로부(170)의 일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스프링부(180)를 압축시켜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와 회로부(170)를 밀착시킨 뒤에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스프링부(180)와 회로부(170)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Reflow 방식으로 스프링부(180)를 회로부(170)에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스프링선(L3)은 상기 회로부(170)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회로부(170)와 마주하는 상기 제3스프링선(L3)의 일면이 상기 회로부(170)와 모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3스프링선(L3)이 회로부(170)에 의해 압축되는 경우에 제3스프링선(L3)끼리 서로 중첩되지 않고 제3스프링선(L3)이 회로부(170)에 모두 접촉되어 접촉 밀도가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3스프링선(L3)의 단면이 원형을 갖는 경우에는 '제3스프링선(L3)의 일면'은 평면과 접촉되는 특정한 선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3스프링선(L3)이 압축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회로부(170)와 면 접촉 하는 경우에는 해당 접촉면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삽입스프링부(185)의 직경은 상기 회로관통홀(171)의 직경과 같거나 작고, 상기 삽입스프링부(185)의 높이는 상기 회로관통홀(171)의 깊이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스프링부(185)는 제4스프링선(L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스프링선(L4)이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선회하며 상기 접촉스프링부(184)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스프링부(185)는 상기 회로관통홀(171)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더라도 삽입스프링부(185)는 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회로관통홀(171)에 의해 압축되며 형태가 변형되고 상기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스프링부(185)의 직경이 회로관통홀(171)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스프링부(180)를 회로부(170)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삽입 이후에 다른 결합부재 또는 결합방법을 이용하여 스프링부(18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삽입스프링부(185)의 길이가 회로관통홀(171)보다 긴 경우 삽입스프링부(185)의 단부가 회로부(170)의 반대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삽입스프링부(185)의 단부를 회로부(170)에 납땝하는 방식으로 스프링부(18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 방법은 납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로에 부품을 고정하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스프링부(182)를 구성하는 접촉스프링부(184)는 회로부(170)에 접촉되게 고정되고, 삽입스프링부(185)는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Reflow 방식에 의해 접촉스프링부(184)와 회로부(170)가 결합되고, 삽입스프링부(185)가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되어 납땜과 같은 방식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스프링부(182)가 회로부(170)의 양면에서 고정 결합되어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고, 스프링부(180)의 결합이 증가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150)를 터치 조작할 경우 터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는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며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상기 회로스프링부(18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L1)은 제2스프링선(L2) 또는 제3스프링선(L3)과 달리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선회하며 연장될 수 있다.
연결스프링부(183)는 터치스프링부(181)와 회로스프링부(18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회로부(170)와 터치부(160) 사이에서 압축되어 스프링부(180)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연결스프링부(183)가 helix형태로 연장되는데 일정한 직경을 유지하지 않는 채로 연장될 경우 연결스프링부(183)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압축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감소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결스프링부(183)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면 압축되었을 때 더욱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연결스프링부(183)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L1)은 높이 방향으로 인접한 제1스프링선(L1)이 서로 하중 또는 압축력을 지지하며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스프링부(183)의 직경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스프링부(180)의 형태를 유지하여 조작부(15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스프링부(180)가 터치부(160)와 회로부(170)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터치부(160)의 노출면이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의류처리장치의 설계에 따라서 터치부(160)의 노출면이 의류투입구(211)가 형성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양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8을 기준으로 결합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실제 실시예는 도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과 같이 스프링부(180)가 터치부(160)와 회로부(170) 사이에 결합되는 형태를 측면에서 도시했을 때, 상기 터치스프링부(181)와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압축되어 연결스프링부(18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연결스프링부(183)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터치스프링부(181)와 접촉스프링부(184)는 스프링부(180)의 높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터치부(160)와 회로부(170)의 접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각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부(160) 또는 회로부(170)가 곡면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직선이 아닌 동일 곡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터치스프링부(181)와 접촉스프링부(184)가 터치부(160)와 회로부(170)에 각각 접촉 및 압축되어 연결스프링부(183) 내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므로 도면상에서 터치스프링부(181)와 접촉스프링부(184)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삽입스프링부(185)는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측면에서 도시한 도 8을 참고하면, 삽입스프링부(185)가 연결스프링부(183)에서 바로 연장된 것처럼 나타난다. 하지만 실제로는 접촉스프링부(184)가 연결스프링부(183) 내부에 위치하여 도시되지 않은 것이므로 삽입스프링부(185)는 연결스프링부(183) 내부에 위치하는 접촉스프링부(184)에서 연장되어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된 것이다.
상기 접촉스프링부(184)는 상술한 내용과 같이 회로부(170)와 접촉되는 면에서 결합물질에 의해서 회로부(170)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해당 결합부분 또한 연결스프링부(18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관통홀(171)에 삽입된 삽입스프링부(185)는 회로관통홀(17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회로부(170)의 일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삽입스프링부(185)의 돌출된 부분은 결합 물질을 이용하여 납땜 처리 등의 방식으로 회로부(17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스프링부(183)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스프링부(183)가 동일한 직경으로 계속 연장될 경우 높이방향으로 인접한 제1스프링선(L1)의 사이에 지지력이 발생하므로 연결스프링부(183)가 원기둥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조작부(150)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0: 컨트롤패널
120: 전원부
130: 표시부 150: 조작부 160: 터치부
170: 회로부 171: 회로관통홀 180: 스프링부
181: 터치스프링부 182: 회로스프링부 183: 연결스프링부
184: 접촉스프링부 185: 삽입스프링부 21: 캐비닛
211: 의류투입구 22: 도어 23: 터브
24: 드럼 241: 드럼개구부 25: 구동부
26: 급수부 27: 배수부 L: 스프링선
L1: 제1스프링선 L2: 제2스프링선 L3: 제3스프링선
L4: 제4스프링선
130: 표시부 150: 조작부 160: 터치부
170: 회로부 171: 회로관통홀 180: 스프링부
181: 터치스프링부 182: 회로스프링부 183: 연결스프링부
184: 접촉스프링부 185: 삽입스프링부 21: 캐비닛
211: 의류투입구 22: 도어 23: 터브
24: 드럼 241: 드럼개구부 25: 구동부
26: 급수부 27: 배수부 L: 스프링선
L1: 제1스프링선 L2: 제2스프링선 L3: 제3스프링선
L4: 제4스프링선
Claims (12)
- 외관을 형성하며 의류투입구가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의류투입구와 연통하는 드럼개구부가 형성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및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를 처리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노출면을 형성하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와 이격되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회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터치부에 접촉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로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부와 상기 회로부를 연결하고, 상기 터치부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회로부에 전달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터치부에 접촉되는 터치스프링부;
상기 회로부에 결합되는 회로스프링부; 및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상기 회로스프링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프링부 및 상기 회로스프링부의 직경은 상기 연결스프링부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가 결합되는 회로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스프링부는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에서 상기 회로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2스프링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터치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2스프링선은 상기 터치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선은 상기 터치부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터치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2스프링선의 일면이 상기 터치부와 모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되고, 연장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며, 상기 회로부에 접촉되는 접촉스프링부; 및
상기 접촉스프링부에서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프링부는
상기 연결스프링부를 형성하는 제1스프링선에서 연장되어 나선형을 이루는 제3스프링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제3스프링선은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스프링부의 직경은 상기 회로관통홀의 직경과 같거나 작고, 상기 삽입스프링부의 높이는 상기 회로관통홀의 깊이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스프링선은 상기 회로부에 의해 압축 시 상기 회로부와 마주하는 상기 제3스프링선의 일면이 상기 회로부와 모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스프링부는 상기 회로부에 접촉되게 고정되고, 상기 삽입스프링부는 상기 회로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스프링부는 동일한 직경을 유지하며 상기 터치스프링부와 상기 회로스프링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227A KR20220053904A (ko) | 2020-10-23 | 2020-10-23 | 의류처리장치 |
CN202111215097.4A CN114481552B (zh) | 2020-10-23 | 2021-10-19 | 衣物处理装置 |
US17/508,448 US20220127774A1 (en) | 2020-10-23 | 2021-10-2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227A KR20220053904A (ko) | 2020-10-23 | 2020-10-23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3904A true KR20220053904A (ko) | 2022-05-02 |
Family
ID=8125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8227A KR20220053904A (ko) | 2020-10-23 | 2020-10-23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27774A1 (ko) |
KR (1) | KR20220053904A (ko) |
CN (1) | CN114481552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27774A1 (en) * | 2020-10-23 | 2022-04-28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62219A (en) * | 1991-02-12 | 1991-11-05 | Speed Queen Company | Air flow apparatus for clothes dryer |
US6968632B2 (en) * | 2002-04-10 | 2005-11-29 |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 Laundry appliance |
US6941679B1 (en) * | 2004-06-22 | 2005-09-13 | Alliance Laundry Systems Llc | Laundry machine with malfunction detection systems |
WO2009026591A1 (en) * | 2007-08-23 | 2009-02-26 | Meb Ip, Llc | Heat delivery system for a fabric care appliance |
WO2013064572A1 (en) * | 2011-11-04 | 2013-05-10 | Arcelik Anonim Sirketi | A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touch button |
AU2013394134A1 (en) * | 2013-07-09 | 2016-01-21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with enhanced operation flexibility |
KR102229975B1 (ko) * | 2014-07-15 | 2021-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WO2016017925A1 (ko) * | 2014-08-01 | 2016-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CN106149302B (zh) * | 2015-04-13 | 2020-07-07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洗衣机触摸按键 |
JP2016220719A (ja) * | 2015-05-27 | 2016-12-28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洗濯機 |
KR20180052281A (ko) * | 2016-11-10 | 2018-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JP2020078478A (ja) * | 2018-11-14 | 2020-05-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洗濯機 |
KR102204563B1 (ko) * | 2019-01-18 | 2021-01-20 | 에이디반도체(주) | 터치 입력 장치 |
CN209844935U (zh) * | 2019-04-15 | 2019-12-24 | 深圳和而泰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 电容触摸按键及洗衣机 |
CN211142545U (zh) * | 2019-08-13 | 2020-07-31 | 南京创维家用电器有限公司 | 一种带触摸功能显示屏的洗衣机 |
US11655584B2 (en) * | 2020-10-01 | 2023-05-23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ryer appliance nuisance trip detection |
KR20220053904A (ko) * | 2020-10-23 | 2022-05-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1692299B2 (en) * | 2020-11-11 | 2023-07-04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ryer appliance and methods for improved operation |
US11692295B2 (en) * | 2020-11-18 | 2023-07-04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Laundry appliance having one or more wirelessly powered features |
US11773531B2 (en) * | 2021-05-27 | 2023-10-03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Method of operating a dryer appliance based on the remaining moisture content of a load of clothes |
US11946195B1 (en) * | 2021-10-26 | 2024-04-02 | Russell Glenn Petrie | Programmable automated clothes washer, transfer, and dryer system |
US20240093421A1 (en) * | 2022-09-16 | 2024-03-21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machine |
-
2020
- 2020-10-23 KR KR1020200138227A patent/KR20220053904A/ko unknown
-
2021
- 2021-10-19 CN CN202111215097.4A patent/CN114481552B/zh active Active
- 2021-10-22 US US17/508,448 patent/US20220127774A1/en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27774A1 (en) * | 2020-10-23 | 2022-04-28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127774A1 (en) | 2022-04-28 |
CN114481552A (zh) | 2022-05-13 |
CN114481552B (zh) | 2023-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89792B2 (en) | Washing machine | |
KR101999701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1198964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22005390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57391B1 (ko)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536018B1 (ko) | 사용자 감지 기능을 갖는 세탁 기기 | |
KR20180099588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09523052A (ja) | 位置変更式の制御部付き洗濯器機及びデュアル洗濯器機 | |
JP4469540B2 (ja) | 洗濯機 | |
KR20090039182A (ko) | 세탁장치의 업데이트 시스템 | |
US10681809B2 (en) | Composite printed circuit board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6214141B2 (ja) | 洗濯機 | |
US20240167213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lothes treating system | |
US12043940B2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 |
US20240301605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 |
EP3348697A1 (en) | Appliance comprising one or more sensors | |
US20240167212A1 (en) | Clothes treating system | |
EP4365361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US20240352639A1 (en) |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230157124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S6035508Y2 (ja) | 洗濯機の水位検知装置 | |
KR20240076647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시스템 | |
AU2022302640A1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CN117580989A (zh) | 界面和具有该界面的衣物处理设备 | |
JP2003275493A (ja) | ランドリーシステ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