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563B1 -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563B1
KR102204563B1 KR1020190006512A KR20190006512A KR102204563B1 KR 102204563 B1 KR102204563 B1 KR 102204563B1 KR 1020190006512 A KR1020190006512 A KR 1020190006512A KR 20190006512 A KR20190006512 A KR 20190006512A KR 102204563 B1 KR102204563 B1 KR 102204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ody portion
conductive
input device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808A (ko
Inventor
이상철
임철
박현건
Original Assignee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반도체(주) filed Critical 에이디반도체(주)
Priority to KR102019000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5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01B5/04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wound or coi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장치{APPARATUS FOR TOUCH INPUT}
본 발명은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탄성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내구성과 조립성이 향상되고, 전기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 터치 입력 장치는 인체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치봉과,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 터치 판넬에 인체의 터치가 이루어질 때, 눌려지는 조작감을 주기위해 터치 판넬과 터치봉 사이에 우레탄폼이나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이러한 탄성 부재에 전도성 피복을 설치하여 터치 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탄성 부재와 전도성 피복의 경우 내구성이 높지 않아서 전기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양한 제품 형상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립성이 좋지 않고 조립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8726호(2011년 1월 10일 등록, 발명의 명칭 : 터치감지패드 일체형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탄성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내구성과 조립성이 향상되고, 전기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도전성 터치봉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몸체부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홈ㄱ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걸림턱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 걸림턱과, 제2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3 상부 걸림턱과, 제3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합홈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4 상부 걸림턱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와 기판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되는 기판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고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작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2 도전성 터치봉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도전성 터치봉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와, 몸체부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5 결합홈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5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5 상부 걸림턱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5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5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상부 걸림턱과, 제6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7 상부 걸림턱과, 제7 상부 걸림턱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7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부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8 결합홈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8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8 상부 걸림턱과, 몸체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8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8 하부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부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와 기판 결합부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걸림되는 기판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1 서포터와,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서포터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제1 서포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코팅액 유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과, 터치 판넬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작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가 결합되는 제2 도전성 터치봉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2 서포터와,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 서포터에는 인쇄회로기판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제2 서포터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2 코팅액 유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탄성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내구성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기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1 도전성 터치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터치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서포터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2 서포터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1 도전성 터치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1 도전성 터치봉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과,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한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는 터치 판넬(10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제1 펼침부(210)와, 직경이 일정하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220)와,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 제1 가변부(230)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240)를 포함한다.
제1 펼침부(210)는 제1 고정부(220)보다 직경이 큰 제1 하단부(211)와 터치 판넬(100)과 접촉되고 직경이 가장 큰 제1 상단부(212)를 포함하며, 제1 상단부(212)의 직경을 최대한 크게 형성하여 터치 판넬(100)의 조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고정부(220)는 축 방향을 따라 틈이 없도록 형성되어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되지 않으며, 이러한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벌크 포장시나 도금시 또는 운반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변부(230)는 축 방향을 따라 틈이 있도록 형성되어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터치 판넬(100)의 눌림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축 방향 압축 복원 작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220)와 제1 가변부(230)의 내경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직경보다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부(240)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하측에 1단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도전성 터치봉(300)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접촉 면적이 최대한 늘어나서 낮은 전기 저항 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240)의 내경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결합부(240)의 최하단부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에 결합시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1 결합부(240)의 최하단부 내경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10)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몸체부(31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320)와, 몸체부(310)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310)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400)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높이(L3)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최대 눌림 높이(L2)보다 약 1mm 낮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처럼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높이(L3)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제1 도전성 터치봉(300)에 의해 터치 판넬(100)에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와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녹 발생이 방지되고, 부식에 의한 특성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하측에 형성된 기판 결합부(330)의 상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PCB 방수 몰딩시 우레탄 등의 몰딩액에 단턱부가 잠기게 함으로써 기판 결합부(330)의 부식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을 인쇄회로기판(400)에 납땜하기 위해, 제1 도전성 터치봉(300)에는 특수 니켈 도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20)는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홈(321)과,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결합홈(3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걸림턱(322)과,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 결합홈(32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걸림턱(323)을 포함한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제1 결합부(240)는 제1 결합홈(321)에 결합되며, 제1 상부 걸림턱(322) 및 제1 하부 걸림턱(323)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4에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20)는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 걸림턱(324)과, 제2 상부 걸림턱(324)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 걸림턱(325)을 포함한다.
제2 상부 걸림턱(324)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하부 걸림턱(325)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제1 결합부(240)의 상방향 이탈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제1 결합부(240)는 제2 상부 걸림턱(324)과 제2 하부 걸림턱(325)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상부 걸림턱(324) 및 제2 하부 걸림턱(325)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5에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20)는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3 상부 걸림턱(326)과, 제3 상부 걸림턱(32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하부 걸림턱(327)을 포함한다.
제3 상부 걸림턱(326)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3 하부 걸림턱(327)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제1 결합부(240)는 제3 상부 걸림턱(326)과 제3 하부 걸림턱(327) 사이에 배치되며, 제3 상부 걸림턱(326) 및 제3 하부 걸림턱(327)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6에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320)는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합홈(328)과,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결합홈(328)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4 상부 걸림턱(329a)과,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 결합홈(328)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하부 걸림턱(329b)을 포함한다.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제1 결합부(240)는 제4 결합홈(328)에 결합되며, 제4 상부 걸림턱(329a) 및 제4 하부 걸림턱(329b)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의 제4 실시예는 몸체부(310)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310)와 기판 결합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400)에 걸림되는 플랜지 형상의 기판 걸림턱(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정전용량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터치 판넬(100)에 인체(F)가 접촉되면 전기적 신호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 및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을 통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전달되어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탄성 부재와 제2 도전성 터치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에 적용된 제2 도전성 터치봉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과,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고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작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과,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한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는 터치 판넬(10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2 펼침부(510)와, 터치 판넬(100)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520)와,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 제2 가변부(530)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540)를 포함한다.
제2 펼침부(510)는 제2 고정부(520)보다 직경이 큰 제2 하단부(511)와, 제2 고정부(520)보다 직경이 작은 제2 상단부(512)를 포함한다. 제2 펼침부(510)는 제2 상단부(512)와 제2 하단부(511)의 직경 차이로 인해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터치 판넬(100)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터치 판넬(100)과 접촉되는 부분인 제2 상단부(512)의 직경을 작게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도 제2 하단부(511)의 직경을 최대한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길이가 가변될 때, 제2 상단부(512)가 하강하여 제2 하단부(511)가 터치 판넬(100)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터치 판넬(100)의 조작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2 고정부(520)는 제2 하단부(511)와 인접한 고정 상단부(521)와, 고정 상단부(521)보다 직경이 작은 고정 하단부(522)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520)는 고정 상단부(521)와 고정 하단부(522)의 직경 차이로 인해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펼침부(510)의 안쪽 중심에는 제2 펼침부(510)의 절단부가 위치되어 벌크 포장시나 도금시 또는 운반시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가변부(530)는 축 방향을 따라 틈이 있도록 형성되어 축 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터치 판넬(100)의 눌림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축 방향 압축 복원 작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520)와 제2 가변부(530)의 내경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직경보다 조금 큰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540)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하측에 1단 이상으로 형성된다. 제2 도전성 터치봉(600)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접촉 면적이 최대한 늘어나서 낮은 전기 저항 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540)의 내경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결합부(540)의 최하단부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에 결합시 수평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2 결합부(540)의 최하단부 내경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610)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몸체부(610)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620)와, 몸체부(610)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몸체부(610)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400)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630)를 포함한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높이(L6)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최대 눌림 높이(L5)보다 약 1mm 낮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처럼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높이(L6)를 낮게 설정함으로써 제2 도전성 터치봉(600)에 의해 터치 판넬(100)에 긁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와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녹 발생이 방지되고, 부식에 의한 특성변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하측에 형성된 기판 결합부(630)의 상측에는 단턱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PCB 방수 몰딩시 우레탄 등의 몰딩액에 단턱부가 잠기게 함으로써 기판 결합부(630)의 부식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을 인쇄회로기판(400)에 납땜하기 위해, 제2 도전성 터치봉(600)에는 특수 니켈 도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1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620)는 몸체부(6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5 결합홈(621)과,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5 결합홈(6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5 상부 걸림턱(622)과,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5 결합홈(621)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5 하부 걸림턱(623)을 포함한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제2 결합부(540)는 제5 결합홈(621)에 결합되며, 제5 상부 걸림턱(622) 및 제5 하부 걸림턱(623)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10에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620)는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상부 걸림턱(624)과, 제6 상부 걸림턱(624)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하부 걸림턱(625)을 포함한다.
제6 상부 걸림턱(624)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6 하부 걸림턱(625)보다 더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제2 결합부(540)의 상방향 이탈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제2 결합부(540)는 제6 상부 걸림턱(624)과 제6 하부 걸림턱(625) 사이에 배치되며, 제6 상부 걸림턱(624) 및 제6 하부 걸림턱(625)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11에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620)는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7 상부 걸림턱(626)과, 제7 상부 걸림턱(62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7 하부 걸림턱(627)을 포함한다.
제7 상부 걸림턱(626)은 삼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7 하부 걸림턱(627)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제2 결합부(540)는 제7 상부 걸림턱(626)과 제7 하부 걸림턱(627) 사이에 배치되며, 제7 상부 걸림턱(626) 및 제7 하부 걸림턱(627)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12에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620)는 몸체부(6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8 결합홈(628)과,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8 결합홈(628)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8 상부 걸림턱(629a)과,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8 결합홈(628)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8 하부 걸림턱(629b)을 포함한다.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제2 결합부(540)는 제8 결합홈(628)에 결합되며, 제8 상부 걸림턱(629a) 및 제8 하부 걸림턱(629b)에 걸림되어 상방향 및 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의 제4 실시예는 몸체부(610)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몸체부(610)와 기판 결합부(630) 사이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400)에 걸림되는 플랜지 형상의 기판 걸림턱(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정전용량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터치 판넬(100)에 인체(F)가 접촉되면 전기적 신호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 및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을 통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전달되어 스위칭이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서포터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과,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와,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1 서포터(350)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인 터치 판넬(100)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와 제1 도전성 터치봉(300)과 인쇄회로기판(400)을 동일하게 포함한다. 다만,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제1 도전성 터치봉(30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추가적으로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1 서포터(3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서포터(3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서포터(350)는 원형의 관체 형상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2 서포터(65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구체적인 형상과 설치 구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제2 서포터(650)를 참조한다.
제1 서포터(350)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뒤틀림을 막아주고,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인쇄회로기판(40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압축되는 최저 높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1 서포터(350)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열풍을 이용하여 제1 서포터(350)를 팽창시켜서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끼운 후, 상온에서 수축시켜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제1 서포터(350)는 결합이나 접착없이 단일 구성품으로 형성되며,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서포터(35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낮은 전기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터치 판넬(100)의 터치 전기신호를 인쇄회로기판(400)으로 전달한다.
인쇄회로기판(400)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결합 부분에는 코팅액(미도시)이 주입된다. 제1 서포터(350)에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제1 서포터(35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코팅액 유도 홈(351)이 형성되며, 제1 서포터(350)의 내측으로 유입된 코팅액은 인쇄회로기판(400)과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여 결합 부분이 분리되거나 부식되는 문제, 결합 부분에서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 등을 해결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터치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2 서포터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과,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작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와, 제2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과,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2 서포터(650)를 포함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시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장치의 구성인 터치 판넬(100)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와 제2 도전성 터치봉(600)과 인쇄회로기판(400)을 동일하게 포함한다. 다만,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제2 도전성 터치봉(600)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고, 추가적으로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2 서포터(6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 서포터(6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서포터(650)는 원형의 관체 형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뒤틀림을 막아주고,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인쇄회로기판(400)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또한,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압축되는 최저 높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서포터(650)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열풍을 이용하여 제2 서포터(650)를 팽창시켜서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끼운 후, 상온에서 수축시켜 밀착력이 증대되도록 한다.
제2 서포터(650)는 결합이나 접착없이 단일 구성품으로 형성되며,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서포터(65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낮은 전기 저항값을 갖도록 형성되어 터치 판넬(100)의 터치 전기신호를 인쇄회로기판(400)으로 전달한다.
인쇄회로기판(400)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결합 부분에는 코팅액(미도시)이 주입된다. 제2 서포터(650)에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제2 서포터(65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2 코팅액 유도 홈(651)이 형성되며, 제2 서포터(650)의 내측으로 유입된 코팅액은 인쇄회로기판(400)과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의 결합 부분을 보강하여 결합 부분이 분리되거나 부식되는 문제, 결합 부분에서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문제 등을 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판넬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 형상의 도전성 탄성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내구성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전기신호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터치 판넬 200: 제1 도전성 탄성 부재
300: 제1 도전성 터치봉 310: 몸체부
320: 결합부 321: 제1 결합홈
322: 제1 상부 걸림턱 323: 제1 하부 걸림턱
324: 제2 상부 걸림턱 325: 제2 하부 걸림턱
326: 제3 상부 걸림턱 327: 제3 하부 걸림턱
328: 제4 결합홈 329a: 제4 상부 걸림턱
329b: 제4 하부 걸림턱 330: 기판 결합부
350: 제1 서포터 351: 제1 코팅액 유도 홈
400: 인쇄회로기판 621: 제1 결합홈
622: 제5 상부 걸림턱 623: 제5 하부 걸림턱
624: 제6 상부 걸림턱 625: 제6 하부 걸림턱
626: 제7 상부 걸림턱 627: 제7 하부 걸림턱
628: 제8 결합홈 629a: 제8 상부 걸림턱
629b: 제8 하부 걸림턱 630: 기판 결합부
650: 제2 서포터 651: 제2 코팅액 유도 홈

Claims (18)

  1.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
    상기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
    상기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는 제1 도전성 터치봉(300);
    상기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1 서포터(350); 및
    상기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터치봉(300)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310);
    상기 제1 도전성 탄성 부재(200)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320);
    상기 몸체부(310)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홈(321);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상부 걸림턱(322); 및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1 하부 걸림턱(3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상부 걸림턱(324); 및
    상기 제2 상부 걸림턱(324)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하부 걸림턱(3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3 상부 걸림턱(326); 및
    상기 제3 상부 걸림턱(32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 하부 걸림턱(32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20)는,
    상기 몸체부(3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합홈(329a);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4 상부 걸림턱(329a); 및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4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4 하부 걸림턱(329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10)와 상기 기판 결합부(3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걸림되는 기판 걸림턱(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8.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판넬(100);
    상기 터치 판넬(100)의 내측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터치 판넬(100)의 눌려짐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터치 판넬(100)에 근접할수록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커지고 일정 길이 영역에서는 직경이 작아지는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
    상기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결합되는 제2 도전성 터치봉(600);
    상기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관체 형상의 제2 서포터(650); 및
    상기 도전성 터치봉이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성 터치봉(600)은,
    봉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610);
    상기 제2 도전성 탄성 부재(500)가 결합되어 걸림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결합부(620);
    상기 몸체부(610)의 일 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삽입 설치되는 기판 결합부(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20)는,
    상기 몸체부(610)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5 결합홈(621);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5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5 상부 걸림턱(622); 및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5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5 하부 걸림턱(6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20)는,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상부 걸림턱(624); 및
    상기 제6 상부 걸림턱(624)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6 하부 걸림턱(6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20)는,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7 상부 걸림턱(626); 및
    상기 제7 상부 걸림턱(626)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7 하부 걸림턱(62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20)는,
    상기 몸체부(61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8 결합홈(628);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8 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8 상부 걸림턱(629a); 및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8 결합홈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8 하부 걸림턱(629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610)의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610)와 상기 기판 결합부(6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걸림되는 기판 걸림턱(6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포터(35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상기 제1 서포터(35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1 코팅액 유도 홈(3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17. 삭제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터(650)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주입되는 코팅액이 상기 제2 서포터(65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하는 제2 코팅액 유도 홈(6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0190006512A 2019-01-18 2019-01-18 터치 입력 장치 KR102204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12A KR102204563B1 (ko) 2019-01-18 2019-01-18 터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512A KR102204563B1 (ko) 2019-01-18 2019-01-18 터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08A KR20200089808A (ko) 2020-07-28
KR102204563B1 true KR102204563B1 (ko) 2021-01-20

Family

ID=7183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512A KR102204563B1 (ko) 2019-01-18 2019-01-18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4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247A (ko) 2022-05-23 2023-11-30 동국 김 터치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904A (ko) * 2020-10-23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91Y1 (ko)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스위치
JP2009038005A (ja) * 2007-07-06 2009-02-19 Kitagawa Ind Co Ltd 表面実装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822B1 (ko) * 2000-01-15 2002-01-05 장기영 크기를 조절하는 노트북 컴퓨터 키보드 및 그 제작방법
DE102005008758A1 (de) * 2004-09-29 2006-04-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apazitiver Annäherungs- und/oder Berührungsschalter
KR100832471B1 (ko) * 2006-04-04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터치식 스위치
KR101225973B1 (ko) * 2006-06-09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전자기기의 정전 용량형 스위치
KR20120000131A (ko) * 2010-06-25 2012-01-02 이용하 스프링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완구총
KR101696240B1 (ko) * 2011-01-14 2017-01-13 리노공업주식회사 프로브
KR101370376B1 (ko) * 2011-12-30 2014-03-13 주식회사 우정하이텍 정전용량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191Y1 (ko) 2002-10-30 2003-02-06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스위치
JP2009038005A (ja) * 2007-07-06 2009-02-19 Kitagawa Ind Co Ltd 表面実装コンタク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247A (ko) 2022-05-23 2023-11-30 동국 김 터치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08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8669A2 (en)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KR102204563B1 (ko) 터치 입력 장치
US7507110B1 (en) Probe connector
KR101098635B1 (ko) 정전용량 센서
CN103177891B (zh) 防水手表按钮
US8038450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938032B1 (ko) 방수 기능을 갖는 스프링 커넥터
US10068722B2 (en) Push-butt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20190155408A1 (en) Electrical stylus tip and stylus using the same
JP2006032307A (ja) Rfスイッチを備えた同軸コネクタ
EP2568491A1 (en) Water-proof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CN103887671A (zh) 检查用同轴连接器
US7789719B1 (en) Probe connector
US6104350A (en) Retractable angled antenna assembly
EP3065299A1 (en) A sensor element and a capacitive touch button comprising such a sensor element
CN102365790B (zh) 检查用同轴连接器
CN103915703A (zh) 微型射频连接器
KR20190047447A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 방법
US9146649B1 (en) Passive touch pen
US20110020059A1 (en) Probe Connector
CN107709889B (zh) 用于带有集成熔断器的管状加热设备的端接装置
US20190220108A1 (en) Stylus having pen tip assembly and end cover synchronized in motion
KR20190068135A (ko) 스타일러스 펜 및 그 제조 방법
CN103018625A (zh) 连接器检测装置
CN108879134B (zh) 用于导线联接端子的导电组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