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842A -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842A
KR20220053842A KR1020200138062A KR20200138062A KR20220053842A KR 20220053842 A KR20220053842 A KR 20220053842A KR 1020200138062 A KR1020200138062 A KR 1020200138062A KR 20200138062 A KR20200138062 A KR 20200138062A KR 20220053842 A KR20220053842 A KR 20220053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button
rod
button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707B1 (ko
Inventor
이준형
김범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7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2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push button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 버튼 조작시 로드로의 힘 전달이 원활하고, 이질감 없이 고급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 컨트롤 시스템{GEAR KNOB APPARATUS FOR A VEHICLE AND SHIFT CONTROL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프트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을 수행하기 위한 기어 노브 장치 및 변속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어 노브를 포함하는 변속 컨트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기어 노브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기어 노브(10)는 시프트레버(20)의 로드(30)와 결합되어, 기어 노브(10)를 조작함으로써 로드(30)에 의해 변속단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기어 노브(10)는 버튼 캡(11)이 버튼 푸쉬단(12)과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버튼 푸쉬단(12)이 힌지(13)에 의해 노브 인서트에 체결되며, 버튼 푸쉬단(12)을 누를 시 버튼 푸쉬단(12)의 후단이 로드(30) 상단에 결합된 슬리브(14)를 가압함으로써 로드(14)가 하방향으로 눌러지도록 구성된다.
오토레버(AT lever)는 P/R/N/D 단에 대해 운전자의 의지를 레버의 시프트 포지션을 통해 변속기에 기계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오토레버의 변속 시 P단에서 타단 변속(R/N/D 단) 및 N/D 단에서 R단 변속시 위와 같이 기어 노브(10)의 버튼을 조작하여야만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버튼 캡(11), 버튼 푸쉬단(12) 및 슬리브(14)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로드(30)에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로드(30)와 버튼 사이에 힘의 전달력이 낮고 부품수가 많게 된다.
또한, 로드(30)의 상단면이 평면이라 힘 전달시 불명확한 누름감으로 고급감이 저하된다.
즉, 기존 프론트 버튼의 경우 내부 구조는 버튼과 로드 사이에 별도의 슬리브가 존재하여 로드를 직선방향으로 밀어 로드의 반력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여 누름감(빨려들어가는 느낌)이 명확하지 않아 고급감이 부족하고, 플라스틱 사출물끼리 마찰로 인해서 이질감(거친감,밋밋함)이 존재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74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브 버튼 조작시 로드로의 힘 전달이 원활하고, 이질감 없이 고급감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속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는,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 바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 바의 끝단 형상은 쐐기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바는 상기 버튼 바디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 바디의 내측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 측부가 개방된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인서트에는 힌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 바디의 전방에는 캡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노브 인서트의 외측을 커버하는 노브 커버에 형성된 버튼 홀을 관통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버튼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는,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바디의 하면에 해당하는 누름면이 상기 로드에 안착되어 상기 로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면은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면의 폭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은,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의 상단부의 일 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누름 바디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로드의 상단부의 타 측면에는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 바디의 내측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 측부가 개방된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인서트에는 힌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 바디의 끝단은 상기 노브 인서트의 내벽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에 의하면, 버튼 캡과 스토퍼를 삭제하여 일체형 버튼 푸쉬와 슬리브를 바 형상의 물체로 대체하여 양방향 U자형 로드와 접촉으로 인해 고급감 구현 및 이질감 제거가 가능하다.
그리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원가 및 중량이 감소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어 노브의 단면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를 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의 일부 단면 형상으로서, 도 4는 버튼 조작 전, 도 5는 버튼 조작 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푸쉬 버튼과 힌지, 노브 인서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기어 노브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조작감을 나타낸 것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작감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를 분해 도시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의 일부 단면 형상으로서, 도 4는 버튼 조작 전, 도 5는 버튼 조작 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기어 노브 장치는 노브 커버(110) 내측에 뼈대를 구성하는 노브 인서트(120)가 내장되고, 노브 인서트(120)의 상하 방향으로 시프트레버의 로드(200)가 삽입된다.
또한, 푸쉬 버튼(130)은 힌지(140)에 의해 노브 인서트(120)에 결합되어, 노브 인서트(120)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여 동작 가능하며, 노브 커버(110)에 형성된 버튼 홀(111)을 통해 노브 커버(1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노브 인서트(120)와 노브 커버(110) 간에 스커트(151) 및 노브 클립(152)이 구성되고, 노브 인서트(120) 상단에는 커버 베젤(161), 어퍼 커버(162) 및 노브 캡(163)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어 노브 장치는 기존의 버튼 캡과 버튼 푸쉬단을 일체형으로 하고, 버튼과 로드 간의 슬리브를 삭제하는 대신 누름 바를 이용하여 표면에 굴곡 있는 로드를 회전 운동하며 밀어 줌으로써, 조작시 고급감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누름 바를 이용함으로써 마찰감이 적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푸쉬 버튼(130)은 버튼 바디(131)와 푸쉬 버튼(13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된 누름 바(132)로 구성된다.
기존에 버튼 캡과 버튼 푸쉬단이 구분되어 형성되던 데 반해, 본 발명의 버튼 바디(131)는 별도의 버튼 캡 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즉, 버튼 바디(131)의 전단부에 해당하는 캡부는 버튼 바디(131)에 일체화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노브 커버(110) 내부에 삽입된 부분은 후방으로 연장된 바디로서, 노브 인서트(120) 및 노브 커버(110) 내측의 형상에 따라 정형화되지 않은 형상을 가진다.
다만, 후방으로 일정 부분 연장된 형상에 의해서 노브 인서트(120) 내부에 삽입된 로드(200)를 푸쉬할 수 있게 마련된다.
후술할 힌지(140)에 의해 노브 인서트(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 후 외력이 해제되면 복원되기 위한 스프링(미도시)이 버튼 바디(131)와 노브 인서트(120) 간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바디(131)의 상단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스토퍼에 의해 버튼 바디(131)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저지된다.
버튼 바디(13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누름 바(132)는 바 형상을 가지며, 푸쉬 버튼(13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로드(2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푸쉬 버튼(130)이 회전 동작되면 누름 바(132)가 회전 동작하여 로드(200)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로드(200)를 누르게 된다.
로드(200)는 도 6과 같이 상단부에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단부의 일 측면에도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누름 바 안착부(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누름 바(132)가 로드(200) 상단부의 일 측면에 형성된 누름 바 안착부(210)에 안착되며, 동작시 누름 바 안착부(210)를 누르게 된다.
나아가, 누름 바(132)가 회전에 의해 로드(200)를 누를 시 원활한 동작을 위해 위 설명의 누름 바 안착부(210)와 대향되는 타 측면에도 누름 바 안착부와 같은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200)가 사각 단면 형상일 경우에는 도시와 같이 네 측면에 오목 홈이 모두 형성되는 것이 부품 제조상 바람직하다.
그리고, 누름 바(132)는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금속 소재의 누름 바(132)와 로드(200)의 상단부 형상에 의해 마찰감을 적게 하고, 고급감의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누름 바가 로드의 굴곡진 상단부를 회전 운동으로 밀기 때문에 누름감 확인이 가능하게 되며, 이 같은 구조에 의해 슬리브의 삭제가 가능하다.
나아가, 누름 바(132)는 버튼 바디(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는 푸쉬 버튼(330)이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변형된 것으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어 노브 장치의 푸쉬 버튼(330)은 버튼 바디(331)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누름 바가 돌출된 것이 아닌, 누름 바디(332)가 돌출 연장된 구성을 가진다.
누름 바디(332)는 로드(200)를 누를 수 있는 바디로 구성되며, 측면 형상이 대략적으로 삼각 형상을 가지는 바디로 구성된다.
따라서, 측면을 기준으로 3면 중 도시상 하면에 해당하는 누름면(332-1)이 로드(200)의 상면에 안착되며, 외력에 의해 푸쉬 버튼(330)이 회전 동작되면 누름 바디(332)가 회전 동작하여 누름면(332-1)이 로드(200)에 하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로드(200)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3면 중 지지면(332-2)이 버튼 바디(331)와 일체로 결합되는 면을 형성하고, 나머지 한 면은 자유도를 가지며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면(332-1)은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고급적인 누름감이 발휘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누름면(332-1)의 폭은 로드(20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로드(200) 상면에 굴곡진 안착부에 알맞게 안착될 수 있게 한다.
이하의 추가적인 구성 및 기능 또한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에도 적용되며, 이하의 추가적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 4 내지 도 6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푸쉬 버튼은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푸쉬 버튼을 인서트에 고정 후에 힌지를 측방에서 밀어서 결합시키면, 힌지가 노브 외측으로 노출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버튼 내측에만 힌지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적용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버튼 바디의 내측에는 힌지 삽입부(133)가 형성된다. 즉, 버튼 바디(131)의 대향되는 양 측 내측면으로부터 상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며, 일 측부가 개방된 힌지 삽입부(133)가 형성되어, 힌지 삽입부(133)의 개방된 일 측부를 통해 힌지(140)가 끼워져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노브 인서트(120)에도 힌지(140)의 결합을 위해 돌출된 힌지 결합부(121)가 형성되고, 힌지 결합부(121)에 힌지 결합홈(122)이 형성된다.
그래서, 버튼 바디(131)에 결합된 힌지(140)를 노브 인서트(120)의 힌지 결합홈(122)에 삽입되게 결합한다.
따라서, 버튼 바디(130)에 힌지(140)를 끼우는 방향과 노브 인서트(120)에 힌지(140)를 끼우는 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노브 인서트(120)에 힌지(140)가 체결 완료되면 힌지(140)가 이탈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또한, 푸쉬 버튼(130)을 누르는 힘의 방향이 노브 인서트(120) 쪽으로 힘을 가해주기 때문에 푸쉬 버튼(130)과 힌지(140)의 이탈도 방지하는 구조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기존에 버튼 푸쉬단이 회전 작동시 이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구성을 요하지 않는다.
대신, 도 12와 같이 버튼 바디(131) 회전시 버튼 바디(131)의 하단이 노브 인서트(120)에 형성된 단턱(123)에 맞닿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는 도 7의 실시예에서도 적용되며, 도 7의 실시예의 경우에 단턱(123)과 별도로 버튼 바디(331) 또는 누름 바디(332)의 하면에 별도의 스토퍼가 사출에 의해 추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과 같이 누름 바(132)의 길이 설정에 의해 버튼 바디(131)의 최대 회전시 누름 바(132)의 끝단이 노브 인서트(120)의 내벽에 맞닿음으로써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현시에는 도 14와 같이 누름 바(132)의 끝단을 쐐기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노브 인서트(120)와 쐐기면이 선접촉하여 마찰을 줄이며 저지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쐐기형은 도 7의 실시예에 의한 누름 바디(33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누름 바디(332) 내지 누름면(332-1)의 끝단을 쐐기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노브 인서트(120)와 쐐기면이 선접촉하여 마찰을 줄이며 저지시킬 수가 있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조작감을 나타낸 것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작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 버튼의 회전 운동과 다른 직선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고급감 및 누름감이 부족한 반면, 도 16과 같이 본 발명은 버튼의 회전 운동과 같은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고, 로드의 상단부 굴곡 및 누름 바의 금속 재질로 인해 마찰력이 감소되며 고급감 및 누름감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노브 커버
111 : 버튼 홀
120 : 노브 인서트
121 : 힌지 결합부
122 : 힌지 결합홈
123 : 단턱
130 : 푸쉬 버튼
131 : 버튼 바디
132 : 누름 바
133 : 힌지 삽입부
140 : 힌지
151 : 스커트 152 : 노브 클립
161 : 커버 베젤 162 : 어퍼 커버 163 : 캡
200 : 로드
210 : 누름 바 안착부

Claims (16)

  1.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바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바의 끝단 형상은 쐐기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바는 상기 버튼 바디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바디의 내측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 측부가 개방된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인서트에는 힌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바디의 전방에는 캡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부는 상기 노브 인서트의 외측을 커버하는 노브 커버에 형성된 버튼 홀을 관통하고,
    상기 캡부는 상기 버튼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 바의 끝단은 상기 노브 인서트의 내벽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8.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 바디의 하면에 해당하는 누름면이 상기 로드에 안착되어 상기 로드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누름면은 폭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면의 폭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기어 노브 장치.
  10. 변속을 위한 시프트레버의 로드;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노브 인서트; 및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노브 인서트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노브 인서트의 개방된 일 측을 관통하는 버튼 바디; 및
    상기 버튼 바디의 후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시 상기 로드를 하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누름 바디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단부의 일 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오목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누름 바디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상단부의 타 측면에는 상기 안착부와 동일한 형태의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바디의 내측면에는, 원통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일 측부가 개방된 힌지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브 인서트에는 힌지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버튼 바디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누름 바디의 끝단은 상기 노브 인서트의 내벽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KR1020200138062A 2020-10-23 2020-10-23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KR10245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62A KR102452707B1 (ko) 2020-10-23 2020-10-23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062A KR102452707B1 (ko) 2020-10-23 2020-10-23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842A true KR20220053842A (ko) 2022-05-02
KR102452707B1 KR102452707B1 (ko) 2022-10-11

Family

ID=8159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062A KR102452707B1 (ko) 2020-10-23 2020-10-23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7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46A (ko) * 1999-11-19 2001-06-15 이계안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10)
KR20020081991A (ko) * 2001-04-21 2002-10-30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포토 인터럽터
KR101519272B1 (ko) * 2013-12-20 2015-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탑 힌지 버튼 타입 오토 노브
KR101777477B1 (ko) 2015-12-17 2017-09-11 현대다이모스(주) 변속기의 기어 노브
JP2017171206A (ja) * 2016-03-25 2017-09-28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9003372A (ja) * 2017-06-14 2019-01-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ボタン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46A (ko) * 1999-11-19 2001-06-15 이계안 자동 변속기의 변속 레버(10)
KR20020081991A (ko) * 2001-04-21 2002-10-30 한국 고덴시 주식회사 포토 인터럽터
KR101519272B1 (ko) * 2013-12-20 2015-05-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탑 힌지 버튼 타입 오토 노브
KR101777477B1 (ko) 2015-12-17 2017-09-11 현대다이모스(주) 변속기의 기어 노브
JP2017171206A (ja) * 2016-03-25 2017-09-28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19003372A (ja) * 2017-06-14 2019-01-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ボタ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707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368A (en) Push-to-release cable operating apparatus
US7972072B2 (en)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JPH06147382A (ja) 特に2成分の物質の二重分配カートリッジのための手動作動の分配装置
JPH08338513A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KR102452707B1 (ko) 자동차의 변속 컨트롤 시스템
US6931963B2 (en) Automatic shift knob actuator
JPS6246739A (ja) 座席部分のポケツトに没入して設けられるバツクル
US7272988B2 (en) Shift knob
EP1253351A3 (en) Shift lever device with locking mechanism
KR880010953A (ko) 주차자물쇠 조립품
JP2007283819A (ja) At用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0211394A (ja) ゲ―ト式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パ―キングロック機構
KR20220151186A (ko) 차량용 변속기의 조작 장치 및 차량
JP4870465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構造
US10532680B2 (en) Headrest, a seat comprising a headrest and a method of actuating a headrest
JP2001010367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装置
CN110871681A (zh) 换挡杆装置
KR20240032331A (ko) 콘솔 슬라이딩 암레스트
WO2022120815A1 (zh) 电子换挡器
KR100607083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4694155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JP4435347B2 (ja) シフトレバー用ロックカムの構造
FR2688820A1 (fr) Verrou a pistons anti-effra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220083130A (ko) 변속케이블 댐핑 장치 및 변속 시간 지연 댐퍼 부재
JPH1076858A (ja) 変速操作レバーのノ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