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640A -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640A
KR20220053640A KR1020227010198A KR20227010198A KR20220053640A KR 20220053640 A KR20220053640 A KR 20220053640A KR 1020227010198 A KR1020227010198 A KR 1020227010198A KR 20227010198 A KR20227010198 A KR 20227010198A KR 20220053640 A KR20220053640 A KR 20220053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oreset
domain
ssb
sub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친옌 장
쯔요시 시모무라
메이이 자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53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에는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이 제공한다. 장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이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 제1 SS/PBCH 블록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음 -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들(예컨대, Rel-15 NR)에서, 0 내지 100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글로벌 동기화/주파수 래스터 또는 동기화 래스터/SS 래스터가 정의된다. 동기화 래스터는, 단말 장비가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포지션을 표시하는 명시적 시그널링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시스템 관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또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으로서 지칭됨)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특징짓고, 하나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에 대응한다. 이에 기초하여, GSCN의 값 범위들은 NR 동작 대역들의 일부에 대해 각각 정의되는데, 즉, 대응하는 이용가능한 동기화 래스터들이 정의된다.
비허가(unlicensed) 주파수 대역들은 스펙트럼 자원들의 중요한 부분들이다. 현재, 많은 시스템은, Wi-Fi, 및 LTE(Long Term Evolution) LAA(license assisted access)와 같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한다. 그러나, 현재, 뉴 라디오(NR) 시스템은 비허가 주파수 대역들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는다.
배경기술에 대한 위의 설명은 본 개시내용의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위의 기술적 솔루션이 본 개시내용의 배경기술에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SSB는 4개의 심벌을 포함할 수 있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SSB는 240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다시 말해서, 그것은 20개의 RB를 포함하고, 각각의 RB는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도 1a는 SSB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구조의 개략도이다. 주파수 도메인으로부터 보면, SSB는 동기화된 래스터 상에 위치될 수도 있고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SSB의 부반송파들 및 동기화 래스터가 사전 정의된 맵핑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SSB는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한다. 이에 반해, SSB의 부반송파들 및 동기화 래스터가 사전 정의된 맵핑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SSB는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사전 정의된 맵핑 관계는, 예를 들어, 동기화 래스터가 SSB의 특정 부반송파에 대응하고, 특정 부반송파가 사전 정의된다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부반송파는 SSB의 제121 부반송파이고; 다시 말해, 특정 부반송파는 SSB의 제10 PRB의 제1 부반송파이다. 사전 정의는 통신 프로토콜에서의 정의를 지칭한다.
기존의 NR 시스템 설계에서, SSB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그것이 주로 단말 장비에 의한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셀 선택 또는 재선택을 위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비가 SSB에 따라 SIB1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그러나, NR 시스템의 추가 진화로, 단말 장비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은 SSB에 따라 SIB1을 수신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발명자들에 의해 추가로 발견되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제어 자원 세트와 연관되며, 제어 자원 세트는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PDCCH를 수신한 후에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획득할 수 있고, PDSCH에서 반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획득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음 -;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는 단계;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이 장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의 단말 장비 및 제6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단말 장비에서 실행될 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단말 장비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단말 장비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1 양태에 따르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장점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제어 자원 세트와 연관되고, 제어 자원 세트는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PDCCH를 수신한 후에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획득할 수 있고, PDSCH에서 반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획득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개시내용의 특정한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의 방식들이 표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조건의 사상들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수정들 및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고/되거나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방식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및/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거나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한다(comprises/comprising/includes/including)"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진술되는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도록 취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컴포넌트,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도면 또는 실시예에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비슷한 참조 번호들은 여러 도면 전체에서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하나보다 많은 실시예에서 비슷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추가 이해를 제공하도록 포함되고,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대해, 창의적 노력을 하지 않고 이들 첨부 도면들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들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도면들에서:
도 1a는 SSB의 시간-주파수 도메인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1b는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된 SSB의 개략도이고;
도 1c는 동작 주파수 대역 내의 부대역 분할의 일례이고;
도 1d는 제1 동기화 래스터와 부대역 사이의 포지션 관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제1 동기화 래스터 및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개략도이고;
도 5는 제1 SSB와 제2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대응 관계의 개략도이고;
도 6a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개략도이고;
도 6b는 CRB에 기초한 표시 정보에 의해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7은 제1 SSB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와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 사이의 대응 관계의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의 단말 장비의 시스템적 구조의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러한 그리고 추가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방식들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하게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대응하는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된다.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과 조건 내에 오는 모든 변경, 수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제1(first)" 및 "제2(second)" 등은 명칭들에 관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들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요소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용어 "및/또는(and/or)"은 하나 이상의 관련되어 열거된 용어 중 어느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포함하다(contain, include)" 및 "갖다(have)"는, 진술된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요소, 컴포넌트 또는 어셈블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일 형태들 "한(a)", 및 "그(the)" 등은 복수 형태를 포함하고, 넓은 의미에서 "의 종류(a kind of)" 또는 "의 타입(a type of)"으로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어서는 안 되고; 용어 "그(the)"는, 달리 명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일 형태 및 복수 형태 둘 다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용어 "~에 따라"는, 달리 명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용어 "~에 기초하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기초하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롱 텀 에볼루션(LTE),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SPA) 등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프로토콜들: 1G(generation), 2G, 2.5G, 2.75G, 3G, 4G, 4.5G, 및 5G, 및 미래의 NR(new radio), 및/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스테이지에서의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network device)"는, 예를 들어, 단말 장비를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단말 장비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장비: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AP), 송신 수신 포인트(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모바일 관리 엔티티(MME), 게이트웨이, 서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기지국 제어기(BSC)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그것은 원격 라디오 헤드(RRH), 원격 라디오 유닛(RRU), 중계기, 또는 저전력 노드(예컨대, 펨토, 및 피코)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base station)"은 그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용어 "셀"은, 그 용어의 문맥에 따라, 기지국 및/또는 그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용어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단말 장비(terminal equipment, TE)"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장비를 지칭한다. 사용자 장비는 고정 또는 모바일일 수 있고,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또는 스테이션 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머신-타입 통신 디바이스, 랩톱, 코드리스 전화,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머신-타입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차량 장착형 통신 단말,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단말, 및 머신 투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단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시나리오들이 예들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예들로서 취해지는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201) 및 단말 장비(202)를 포함할 수 있다(편의상, 단지 하나의 단말 장비를 갖는 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주어진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 기존의 트래픽들 또는 미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와 단말 장비(202)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트래픽들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비(202)는, 무승인 방식(grant-free manner)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비(20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확인응답(ACK)/비-확인응답(NACK) 정보와 같은, 정보를 단말 장비(2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단말 장비(202)는 송신 프로세스의 종료를 확인할 수 있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수신단(receiver end)으로서 취해지고 단말 장비가 송신단(transmitter end)으로서 취해진 것을 예로서 취하는 것에 의해 주어질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이 이에 제한되지 않고, 송신단 및/또는 수신단은 또한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장비 사이의 업링크 무승인 송신(uplink grant-free transmission)에 적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2개의 단말 장비 사이의 사이드링크 무승인 송신(sidelink grant-free transmission)에도 적용한다.
본 개시내용에 관련된 약어들의 영어 명칭들은 다음과 같다:
CORESET: control resource set
CRB: common resource block
PRB: physical resource block(이는 일부 경우들에서 RB와 상호교환가능/동등함)
RB: resource block
RE: resource element
BWP: bandwidth part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PSS: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L1: layer 1(물리 계층)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또는 synchronization signal/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SIB: system information block
SIB1(또한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로서 지칭됨): system information block 1- 이는 또한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로서 지칭됨 -
GSCN: global synchronization channel number
NR: New Radio
NR-ARFCN: NR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SCS: subcarrier spacing
FR: frequency range
CD-SSB(Cell-defining SSB): RMSI와 연관된 SSB
CORESET#0: control resource set CORESET#0- 이는 적어도 SIB1 스케줄링을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임 -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양태들에서, "사전 결정된(predetermined)"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preset)" 파라미터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전 정의되거나 설정되는 파라미터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에서, 학습, 결정 및 판단과 같은 그러한 단어들의 의미들은 유사하고, 일부 경우들에서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1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 예컨대, 단말 장비(202)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301: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이 수신되고-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음 -;
동작 30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수신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수신되는 경우에, PDCCH가 수신되는데,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PDCCH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비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획득하고, PDSCH에서 반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획득할 수 있다.
NR 시스템들의 추가 진화로, 일부 시나리오들에서, 단말 장비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SSB에 따라 SIB1을 수신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NR 시스템은 가능하게는 비허가 대역(NR_U)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비허가 대역 상에서, 다수의 오퍼레이터들의 네트워크들은 가능하게는 동일한 채널 상에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이한 오퍼레이터들의 네트워크들 사이에 PCI 혼동/충돌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가능한 솔루션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장비에게 셀의 CGI-관련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도록 지시하는 것이고, CGI-관련 정보는 오퍼레이터-관련 정보, 예컨대,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 식별자(PLMN ID)를 적어도 포함한다. 셀의 CGI-관련 정보는 SIB1에서 송신된다. 셀의 SSB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단말 장비가 셀의 CGI-관련 정보를 획득 및 보고할 수 있기 위하여, 단말 장비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SSB에 따라 셀의 SIB1을 수신하는 것이 요구된다.
SIB1은 PDSCH에 의해 반송되고, PDSCH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되기 때문에, 단말 장비가 셀의 SIB1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단말 장비는 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PDS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에 대한 정보, 예컨대, PDCCH를 송신하고, 이로써 PDCCH를 모니터링 및 수신하고, 그리하여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 장비가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SSB에 따라 SIB1을 수신해야 하는 경우, 단말기 장비는 적어도 SSB에 따라 위의 제어 자원 세트를 알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Rel-15는 단지 NR 시스템이 허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때문에, 비허가 대역 내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한 대응하는 이용가능한 동기화 래스터는 NR 시스템상의 기존의 프로토콜들에서 정의되지 않는다. 따라서, NR 시스템이 비허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대응하는 이용가능한 동기화 래스터가 비허가 대역 내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정의되는 것이 요구된다. SSB의 포지션을 표시하는 명시적 시그널링이 수신되지 않을 때 SSB를 수신하는 단말 장비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더 적은 이용가능한 동기화 래스터들이 정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비허가 대역 내의 동작 주파수 대역에 정의된 이용가능한 동기화 래스터는 이후에 제1 동기화 래스터로서 지칭된다. 동작 주파수 대역은 하나 이상의 부대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이한 부대역들의 대역폭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예를 들어, X(예를 들어, X=1)개의 제1 동기화 래스터는 부대역에서 사전 정의된다. 제1 동기화 래스터는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관련하여 아래 설명된 제2 동기화 래스터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제1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Y(예를 들어, Y는 1.44의 정수배)MHz이다.
비허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 주파수 대역(예컨대, n46)이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는 F1(예컨대, 5150) ~ F2(예컨대, 5925)MHz인 것으로 가정된다. 동작 주파수 대역을 예로 들면, 도 1c는 동작 주파수 대역 내의 부대역 분할의 예이다. 도 1c에서, 다수의 부대역의 대역폭들은 동일하고, 부대역의 대역폭은 20MHz이다.
도 1d는 제1 동기화 래스터와 부대역 사이의 포지션 관계의 개략도이고, 여기서 제1 동기화 래스터(100)는 부대역에서 사전 정의된다.
Rel-15 NR에서, 0-100 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정의된 동기화 래스터(즉, 제2 동기화 래스터들)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에 따르면, 동작 주파수 대역이 대응하는 주파수 범위에서, 2개의 인접한 제2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간격은 1.44MHz이다.
주파수 범위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SS REF GSCN GSCN의 범위
0-3000MHz N*1200kHz+M*50kHz,
N=1:2499, M∈ {1,3,5}(주의)
3N+(M-3)/2 2-7498
3000-24250MHz 3000MHz+N*1.44MHz
N=0:14756
7499+N 7499-22255
24250-100000MHz 24250.08MHz+N*17.28MHz
N=0:4383
22256+N 22256-26639
주의: 단지 부반송파 간격을 지원하는 간격 채널 래스터의 동작 주파수 대역의 디폴트 값은 M=3이다.
도 4는 제1 동기화 래스터와 제2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포지션 관계의 개략도이다. 5150-517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부대역을 예로 들면, 부대역 내의 제2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및 대응하는 GSCN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하나의 제1 동기화 래스터(401)는 부대역에서 사전 정의되는데, 제1 동기화 래스터(401)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GSCN = 8996에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동일하다. 즉, GSCN = 8996에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이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는 것은 제1 SSB 부반송파가 제1 동기화 래스터와 사전 정의된 맵핑 관계를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칭한다. 사전 정의된 맵핑 관계는,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래스터가 제1 SSB의 특정 부반송파에 대응하는 것을 지칭하며, 특정 부반송파는 사전 정의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제어 자원 세트는 RMSI/SIB1을 반송하는 PDCCH를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다시 말해, 제어 자원 세트는 Type0-PDCCH CSS 세트의 제어 자원 세트이다). 제어 자원 세트는 CORESET#0이다. 제어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 자원들 및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자원 세트는 시간 도메인에서 1개 또는 2개의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도메인에서 48개의 물리 자원 블록(부반송파 간격 SCS가 30KHz인 경우에) 또는 96개의 물리 자원 블록(부반송파 간격 SCS가 15KHz인 경우에)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주파수 도메인에서 제어 자원 세트의 자원들은 또한 부반송파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단말 장비(202)는 적어도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의 포지션들을 알 필요가 있고, 주파수-도메인 자원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수신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제어 자원 세트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과 연관되고,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동작 303: 단말 장비(202)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및/또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에 의해 반송되는 표시 정보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전에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RMSI/SIB1을 반송하는 PDCCH를 스케줄링하는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과 연관되고, 그리하여, 단말 장비(202)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303의 구현들은 상이한 구현들에 따라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구현 1
단말 장비(202)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구현 1이 아래 설명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 자원 세트와 제1 SSB 사이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관계는 사전 정의된다. 예를 들어,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사전 설정된 자원(즉, 사전 결정된 자원)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사전 설정된 자원(즉, 사전 결정된 자원)의 상대적 포지션 또는 오프셋은 제1 사전 결정된 값(즉, 사전 정의된 값)이다. 따라서, 단말기 장비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및 제1 사전 결정된 값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사전 결정된 자원은 제어 자원 세트에서 제n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 여기서, n은 자연수임 -, 예컨대, 제어 자원 세트에서 f개의 제1 부반송파일 수 있다.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사전 결정된 자원은 제1 SSB에서 제k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 여기서 k는 자연수임 -, 예컨대, 제1 SSB에서 제1 부반송파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정의되고, 제어 자원 세트가 위치하는 부대역과 제1 SSB가 위치하는 부대역 사이의 포지션 관계가 사전 정의된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제1 SSB가 위치하는 부대역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가 위치하는 부대역을 결정할 수 있고,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사전 정의됨에 따라, 단말 장비는 결정된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SSB가 위치하는 부대역은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이다. 사전 결정된 자원은, 예를 들어, 제1 SSB에서 제s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 여기서 s는 자연수임 -, 예컨대, 중간 부반송파, 즉, 제121 부반송파, 또는 PRB(10)의 제1 부반송파이다. 제어 자원 세트가 위치하는 부대역 내지 제1 SSB가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 또는 오프셋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즉, 사전 정의된 값)이고; 예를 들어, 제2 사전 결정된 값은 0과 동일할 수 있고, 즉, 제어 자원 세트가 위치하는 부대역은 제1 SSB가 위치하는 부대역이다. 하나의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다음의 포지션: 하나의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관련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으로서 사전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관련된 하나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사전 결정된 값을 더하거나 빼는 것에 의해 획득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하나의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의 제2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과 관련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SSB는 하나의 서브 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고; 예를 들어, 관련된 하나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2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에 사전 결정된 값을 더하거나 빼는 것에 의해 획득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구현 2
단말 장비(202)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에 의해 반송되는 표시 정보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제어 자원 세트를 결정한다.
구현 2가 아래 설명될 것이다.
구현 2에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예를 들어, CORESET#0)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표시 정보는, 제1 동기화 신호들/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들에서의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에서, 일차 동기화 신호(PSS), 및/또는 이차 동기화 신호(SSS), 및/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및/또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복조 참조 신호(PBCH DMRS)로 반송되는 것과 같이,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에서 반송될 수 있다.
구현 2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표시 정보는 부대역 및/또는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한 구현에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제어 자원 세트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또는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은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에 의해 표현될 수 있고,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할 때, 단말 장비는 표시 정보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비는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대역에서 그것이 위치하는 제어 자원 세트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설정된 위치(즉,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사전 설정됨), 또는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하는 경우에,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대역의 인덱스는 숫자 값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채널을 표시하는 경우에, 표시 정보는 또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채널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구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SSB에서의 제k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으며, 여기서 k는 자연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하는 경우에,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제1 사전 정의된 자원의 채널에서 동기화 래스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채널에서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제1 SSB와 제2 동기화 래스터 사이의 대응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SB는 제1 동기화 래스터(500)에서 송신되지 않지만, 제1 SSB의 자원 블록(10)의 제1 부반송파는 제2 동기화 래스터(501)의 것과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데, 즉, 제1 SSB는 제2 동기화 래스터(501)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동기화 래스터(501)는 제1 SSB가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이다. 제어 자원 세트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예컨대, 자원 블록 0)이 위치하는 부대역(502)에는, 제2 동기화된 래스터(503)가 존재한다.
단말기 장비는 제2 동기화 래스터(501)의 GSCN 및 위의 오프셋 값에 따라 제2 동기화 래스터(503)의 GSCN을 획득할 수 있고, 제2 동기화 래스터(503)의 GSCN에 따라 제2 동기화 래스터(503)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부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사전 정의됨에 따라, 단말기 장비는 제2 동기화 래스터(503)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따라 제2 동기화 래스터(503)가 위치하는 부대역(502)을 결정할 수 있고, 채널(502)은 제어 자원 세트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때, 단말 장비는 표시 정보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정의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의해 단말 장비(202)에 표시되는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1 SSB의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은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에서의 제m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이고,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며, m은 자연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또한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은 제2 SSB의 주파수-도메인 자원에서의 제L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일 수 있으며, L은 자연수이다. 특정한 구현에서,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정의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고 또는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예를 들어, 표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또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모든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채널에 있음)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정의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정의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고, 또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예를 들어, 표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도 6a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의 개략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1)은 제1 SSB에서 제1 자원 블록(예를 들어, 자원 블록 0) 또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2)은 제2 SSB에서 제1 자원 블록(예를 들어, 자원 블록 0) 또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3)은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자원 블록(예를 들어, 자원 블록 0) 또는 부반송파가 위치하는 채널(600)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604)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다.
도 6a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601, 602 및 603) 중 하나일 수 있다.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2)일 때, 표시 정보(T)는 (제1 자원 블록 또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같은)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5)에 대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602)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표시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상대적 포지션은 RB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 및/또는 부반송파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의 수 및/또는 부반송파들의 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대적 포지션들은 K1개의 자원 블록, 또는 K2개의 부반송파, 또는 K3개의 자원 블록 + K4개의 부반송파일 수 있다.
특정한 구현에서, 표시 정보는 CRB에 기초하여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b는 CRB에 기초하여 표시 정보에 의해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의 제1 RB에 대응하는 RB 인덱스와 제2 SSB의 제1 RB와 중첩하는 제1 CRB가 대응하는 RB 인덱스 사이의 오프셋, 즉 RB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 예컨대 도 6a에서 offset_1을 표시하고; 및/또는, 표시 정보는 제2 SSB의 제1 RB와 중첩하는 제1 CRB의 제1 부반송파와 제2 SSB의 제1 부반송파 사이의 오프셋, 즉, 부반송파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 예컨대 도 6a에서 offset_2를 표시한다.
이에 반해, 표시 정보는 PBCH의 MIB에 포함될 수 있다.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들의 수정을 최소화하고 제품 생산 사이클들 및 비용들을 낮추기 위하여, 표시 정보는, 예를 들어, Rel-15 NR에서의 MIB의 controlResourceSetZero 및/또는 subCarrierSpacingCommon이 대응하는 비트들에 대응한다. 즉, 위의 상대적 포지션은 controlResourceSetZero 및/또는 subCarrierSpacingCommon 및/또는 ssb-SubcarrierOffset을 다중화함으로써 표시된다. 예를 들어, RB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은 controlResourceSetZero 및/또는 subCarrierSpacingCommon을 다중화함으로써 표시되고, 부반송파 레벨의 상대적 포지션은 ssb-SubcarrierOffset을 다중화함으로써 표시된다.
구현 2에서, 표시 정보는 또한 부대역 및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둘 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트는 채널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표시 정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비트는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채널을 표시하고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 방식들은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채널들 및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의 다수의 조합이 사전 정의될 수 있고, 표시 정보는, 부대역 및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공동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조합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 구현 1 및 구현 2는 조합될 수 있는데, 즉,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의 일부는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파라미터들의 다른 부분은 표시 정보의 표시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추가로, 파라미터들의 나머지 부분은 통신 프로토콜들에서 사전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비(202)는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따라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을 결정하고, 표시 정보에 따라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기초하여 표시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획득하며, 여기서 사전 정의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어 자원 세트가 위치하는 부대역의 제1 동기화 래스터이다.
구현 1 및 구현 2에서, 제1 SSB의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 유지되는 제1 SSB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는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와 일치하거나 그 사이에 고정된 오프셋이 존재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위의 고정된 맵핑 관계에서 제1 SSB 및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제1 SSB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와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 사이의 대응 관계의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SSB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에서, 물리 자원 블록(10)의 시작 주파수(701)와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의 시작 주파수(702) 사이에 고정된 오프셋(703)이 존재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7에서, 물리적 자원 블록(10)의 시작 주파수(701) 및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의 시작 주파수(702)는 동일할 수 있는데, 즉, 제1 SSB의 물리적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는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적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와 일치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SSB를 수신하는 경우에, 단말 장비는 제1 SSB 그리드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에 따라 제1 SSB와 연관된 제어 자원 세트의 물리 자원 블록 그리드(PRB 그리드)를 학습할 수 있고,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다른 정보에 따라 획득된다. 다른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 자원 세트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시작 주파수가 위치하는 채널, 및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이다. 다른 정보는 사전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위의 표시 정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단말 장비가 제1 SSB를 수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측정 구성을 통해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및/또는 제1 SSB가 대응하는 PCI을 표시할 수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측정 구성에 따라 제1 SSB를 수신한다. 그리고 측정 구성은 단말 장비에게 PCI가 대응하는 셀의 CGI-관련 정보를 보고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셀의 SIB1이 수신된 후에, 셀의 CGI-관련 정보가 보고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을 수신하는 경우에, PDCCH가 수신되는데,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PDCCH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비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획득하고, PDSCH에서 반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2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적용되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01: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이 송신되고;
동작 802: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 송신되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있어서, 동작 802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과 연관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자원들 상에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동작 803: 네트워크 디바이스(201)는 측정 구성을 단말 장비(202)에 송신하여, 단말 장비(202)는 측정 구성에 따라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사전 정의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1 사전 결정된 값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이고, 여기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동일한 부대역에 위치되고,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은 부대역 내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에 위치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표시 정보를 반송할 수 있으며,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으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할 때,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인덱스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할 때, 표시 정보는 또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정보가 부대역을 표시할 때, 표시 정보는 또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이 대응하는 동기화 래스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한다.
표시 정보가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할 때,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대적 포지션은 자원 블록들의 수 및/또는 부반송파들의 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1 SSB의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설정된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의해 표시되는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의해 송신된 제1 SSB의 각각의 물리적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의 각각의 물리적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을 송신하는 경우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SSB와 연관된 제어 자원 세트 상에서 PDCCH를 송신하며, PDCCH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는데 사용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PDCCH를 수신한 후에, 단말 장비는 PDCCH에 의해 스케줄링된 PDSCH를 획득하고, PDSCH에서 반송되는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3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는 단말 장비, 예컨대, 단말 장비(202)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는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는 제1 송신 유닛(901)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유닛(901)은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송신 유닛(901)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들의 제1 양태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4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컨대, 네트워크 디바이스(201)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이러한 장치는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양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는 제2 송신 유닛(1001)을 포함한다.
제2 송신 유닛(1001)은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송신 유닛(1001)에 의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예들의 제2 양태를 참조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5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는,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양태의 단말 장비(1100)의 체계적인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1100)는 프로세서(1110) 및 메모리(1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111)는 프로세서(1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도면은 단지 예시적이고, 이러한 구조를 보완 또는 대체하고 전기통신 기능(telecommunications function)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타입들의 구조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의 구현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110)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110)는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 및 프로세서(1110)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는 프로세서(1110)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9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11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1100)는 통신 모듈(1130), 입력 유닛(1140), 디스플레이(1150) 및 전원(11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비(1100)가 반드시 도 11에 도시된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말 장비(1100)는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전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10)는 때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논리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제어기 또는 동작 컨트롤로서 지칭된다. 프로세서(1110)는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장비(1100)의 컴포넌트들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120)는, 예를 들어,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모바일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관련된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110)는 메모리(112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이전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 장비(11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6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는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서 설명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양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프로세서(1210) 및 메모리(1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에 결합된다. 메모리(1220)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1230)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10)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1230)을 실행하여,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게 한다.
하나의 구현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210)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 및 프로세서(1210)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는 프로세서(1210)에 접속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1000)의 기능들은 프로세서(121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송수신기(1240) 및 안테나(1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의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이전 기술에서의 것들과 유사하며,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가 반드시 도 12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전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제7 양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양태는, 실시예들의 제6 양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서 설명된 단말 장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위의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하여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논리 디바이스에 의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그 논리 디바이스가 위에 설명된 장치나 컴포넌트들을 수행하는 것, 또는 위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위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절차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또는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각각 도면들에 도시된 단계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사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강화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형태들의 임의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어, 프로세서는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메모리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메모리 매체는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 매체는 ASIC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모바일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또한 플러그가능 모바일 단말(pluggable mobile terminal)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비(예컨대, 모바일 단말)가 비교적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큰 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채용하는 경우, 소프트 모듈들은 큰 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기능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도 및/또는 기능 블록도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또한 컴퓨팅 장비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 DSP와 통신 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그러한 설명이 단지 예시적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원리에 따라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만들 수 있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위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구현들에 관하여, 다음의 보충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1.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음 -;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
2. 보충 1에 따른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및/또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에 의해 반송되는 표시 정보에 따라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기 전에 단말 장비에 의해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3. 보충 2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어 자원 세트와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의 관계가 사전 정의된다.
4. 보충 2 또는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1 사전 결정된 값이다.
5. 보충 2 또는 3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이고;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동일한 부대역에 위치되고,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은 부대역 내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에 위치한다.
6. 보충 5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이한 부대역들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7. 보충 5 또는 6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들에 대해, 동일한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8. 보충 2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8a. 보충 2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기초하여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9. 보충 8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고;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10. 보충 9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인덱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 정보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동기화 래스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11. 보충 10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내의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한다.
12. 보충 9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 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한다.
13. 보충 12에 따른 방법으로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사전 정의되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표시된다.
14. 보충 13에 따른 방법으로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1 SSB의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정의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다.
15. 보충 12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대적 포지션은 자원 블록들의 수 및/또는 부반송파들의 수이다.
16. 보충 2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SSB의 각각의 물리적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각각의 물리적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17.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는 단계; 및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
18. 보충 17에 따른 방법으로서,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과 연관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자원들 상에서 송신된다.
19.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 구성을 단말 장비에 송신하는 단계- 측정 구성은 단말 장비에게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취득하도록 지시함 -.
20.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 영역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1 사전 결정된 값이다.
21.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이고;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동일한 부대역에 위치되고,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은 부대역 내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에 위치한다.
22. 보충 21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이한 부대역들에서의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3. 보충 21 또는 22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들에 대해, 동일한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4.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표시 정보를 반송하고,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25.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또는 부대역에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고;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26. 보충 25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인덱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 정보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동기화 래스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27. 보충 26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이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한다.
28. 보충 25에 따른 방법으로서,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제어 자원 세트(CORESET) 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한다.
29. 보충 28에 따른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 단계.
30. 보충 29에 따른 방법으로서,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제1 SSB의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제어 자원 세트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정의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다.
31. 보충 28에 따른 방법으로서,
상대적 포지션은 자원 블록들의 수 및/또는 부반송파들의 수이다.
32. 보충 18에 따른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제1 SSB의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제어 자원 세트(CORESET)에서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한다.

Claims (20)

  1. 단말 장비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1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수신- 상기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음 -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수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유닛은,
    상기 단말 장비에 의해, 상기 PDCCH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및/또는 상기 제1 SSB에 의해 반송되는 표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자원 세트(CORESET)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자원 세트와 상기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의 관계가 사전 정의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과 상기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이고,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동일한 부대역에 위치하고, 상기 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은 상기 부대역 내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에 위치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기초하여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 장치.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상기 제어 자원 세트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장치.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에 대한, 상기 CORESET에서의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은 상기 제1 SSB의 제3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제2 SSB의 제4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상기 제1 동기화 래스터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포지션은 자원 블록들의 수 및/또는 부반송파들의 수인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에서의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인덱스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에 대한,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에서의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에서의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동기화 래스터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에서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와 상기 제1 SSB가 대응하는 제2 동기화 래스터의 글로벌 동기화 채널 번호(GSCN) 사이의 오프셋을 표시하는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B의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상기 CORESET에서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하는 장치.
  14.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제2 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유닛은,
    제1 동기화 래스터 상에 위치되지 않는 제1 동기화 신호/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PBCH 블록, SSB)을 송신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송신- 상기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은 나머지 최소 시스템 정보/시스템 정보 블록 1(RMSI/SIB1)을 반송하기 위한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PDCCH는 상기 제1 SSB와 연관된 제어 자원 세트(CORESET)의 자원들 상에서 송신되는 장치.
  1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이 위치하는 부대역과 상기 제1 SSB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이 위치하는 부대역 사이의 상대적 포지션은 제2 사전 결정된 값이고,
    상기 CORESET의 상기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은 동일한 부대역에 위치하고, 상기 CORESET의 사전 결정된 자원은 상기 부대역 내의 사전 결정된 포지션에 위치하는 장치.
  1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SSB는 표시 정보를 반송하고,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1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의 제1 사전 결정된 자원이 위치하는 부대역; 및/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들 또는 상기 CORESET의 주파수-도메인 자원들에서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사전 결정된 자원 및 상기 제2 사전 결정된 자원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하는 상기 제1 SSB의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과 상기 CORESET에서 각각의 물리 자원 블록의 주파수-도메인 포지션 사이에 고정된 맵핑 관계가 존재하는 장치.
  20.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장비; 및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27010198A 2019-09-30 2019-09-30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2200536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109264 WO2021062575A1 (zh) 2019-09-30 2019-09-30 信号的传输方法、装置和通信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640A true KR20220053640A (ko) 2022-04-29

Family

ID=7533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0198A KR20220053640A (ko) 2019-09-30 2019-09-30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17662A1 (ko)
EP (1) EP4040876A4 (ko)
JP (1) JP7428243B2 (ko)
KR (1) KR20220053640A (ko)
CN (1) CN114424639A (ko)
WO (1) WO20210625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8916B2 (en) 2017-11-17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Designs for 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 (RMSI) control resource set (CORESET) and other system information (OSI) CORESET
JP6974482B2 (ja) 2017-11-17 2021-12-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下りリンクチャネル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1070333B2 (en) * 2017-12-21 2021-07-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S/PBCH block frequency location indication
US20190222340A1 (en) * 2018-01-12 2019-07-18 Nokia Technologies Oy Enhanced Cell Search
CN110035493B (zh) * 2018-01-12 2022-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指示、确定方法、终端及基站
CN110034891B (zh) * 2018-01-12 2020-10-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系统信息配置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49690A (ja) 2022-11-28
EP4040876A4 (en) 2022-10-05
CN114424639A (zh) 2022-04-29
EP4040876A1 (en) 2022-08-10
WO2021062575A1 (zh) 2021-04-08
JP7428243B2 (ja) 2024-02-06
US20220217662A1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476B2 (en) Communication of direct current (DC) tone location
US117784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on a wireless network
JP6990305B2 (ja) システムインフォメーションの送信技術
EP3637818B1 (en) Signal send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11997655B2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1905919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4937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801254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220140591A (ko) 업링크 송신 방법 및 장치
CN107710822B (zh) 载波跳转的方法、终端和基站
KR20220002578A (ko)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20230071890A1 (en)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8565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US20220217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and communication system
US1200409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32957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JPWO201801245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23013212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2324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CN117796090A (zh) 收发信号的方法、装置和通信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