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578A -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578A
KR20220002578A KR1020217038965A KR20217038965A KR20220002578A KR 20220002578 A KR20220002578 A KR 20220002578A KR 1020217038965 A KR1020217038965 A KR 1020217038965A KR 20217038965 A KR20217038965 A KR 20217038965A KR 20220002578 A KR20220002578 A KR 20220002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ain resource
repetition
signal
reference signal
repet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 쑹
레이 장
저 천
셴쥔 양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2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3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참고 신호 송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송신기 단이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한다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상기 송신기 단이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한다 - 참고 신호들의 위치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실제 반복(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에 따라 실제 repetition에서 참고 신호들의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참고 신호들의 송신 및 수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본 개시내용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NR(New Radio) 시스템에서는, 일부 저-지연 및 고-신뢰성 서비스 시나리오들, 예컨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공장 자동화, 원격 구동을 포함하는 운송 시나리오들, 및 분산 전력 시스템 제어 등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서비스는 0.5ms-1ms의 지연 요건 및 1e-6의 신뢰성 요건을 갖는다. 따라서, 5세대(5G)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들 서비스 시나리오를 만족시키기 위해 고-신뢰성 및 저-지연을 갖는 송신 기술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송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릴리스 15(Rel-15)는 데이터 채널들의 반복 송신(약칭하여 반복(repetition)이라고 지칭됨)을 지원하였는데, 즉, 동일한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의 다수의 용장 버전이 다수의 연속적인 슬롯(slot)에서 반복하여 송신된다. 송신의 신뢰성을 계속 유지하고 송신 지연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반복 송신의 시간 영역 리소스들을 조정하여 가능한 최단 시간에 다수의 반복의 송신을 완료하는 것, 예컨대 하나의 슬롯에서 다수의 repetition을 송신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배경에 대한 상기 설명은 단지 본 개시내용의 분명하고 완전한 설명을 위해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한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해결 방안이 본 개시내용의 배경에서 설명되어 있으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한편, 송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RAN1(Radio Access Network Working Group 1)의 96차 회의(#96)에서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또는 신호의 송신을 위한 3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그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TB를 스케줄링하여 다수의 repetition을 수행하고, 다수의 repetition은 다수의 연속적인 업링크 부호를 점유할 수 있어, 갭이 필요 없고, 슬롯 경계 또는 다운링크(DL)/업링크(UL) 전환점과 마주칠 때, 부가의 처리가 요구되는데, 즉, 하나의 repetition이 다수의 repetition으로 분열되어, 각각의 repetition이 하나의 슬롯의 하나의 UL 사이클에서 송신되도록 할 것이다. Rel-15의 반복과 비교하여, 그러한 반복의 송신 지연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Rel-15의 규약(specification)에 따르면, 복조 참고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의 송신이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의 송신과 연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나의 repetition이 다수의 repetition으로 분열될 때, DMRS가 분열될 필요가 있는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분열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해결 방안이 없다.
상기 문제들 또는 다른 유사한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1 방면에 따르면, 송신기 단에 적용가능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송신기 단에 의해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및
상기 송신기 단에 의해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2 방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반복의 지시를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대응하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3 방면에 따르면, 송신기 단에 구성되는,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및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4 방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대응하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5 방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방면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6 방면에 따르면, 상기 제3 또는 상기 제4 방면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제7 방면에 따르면, 상기 제5 방면에서 설명된 단말 기기와 상기 제6 방면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방면에 따르면, 단말 기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방면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의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 기기에서 상기 제1 방면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방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방면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또 다른 방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방면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점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적어도 하나의 방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점에 존재한다.
다음의 설명 및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상세히 개시되고, 본 개시내용의 원리 및 사용 방식들이 지시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조항들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들, 수정들, 및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 및/또는 예시되는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들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또는 그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한다/포함하는(comprises/comprising/includes/including)"이라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하나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부가의 도면 또는 실시예에서 묘사된 요소들 및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이 여러 도면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지정하고, 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들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에 대한 진일보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포함되고, 본 설명과 함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을 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이고,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창의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도 이들 첨부 도면에 따라 다른 첨부 도면들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PUSCH repetition의 3개의 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repetition의 참고 신호의 위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3의 반복의 지시를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 4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도 9는 실시예 5의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6의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7의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8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추가의 방면들 및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명백할 것이다. 본 설명 및 도면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방식들 중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세히 개시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대응하여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 및 조항들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수정들 및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들은 명칭들에 관하여 상이한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이들 요소의 공간적 배열 또는 시간적 순서들을 지시하지 않고, 이들 요소는 이들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열거된 용어들 중 어느 하나 및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포함하다(contain)", "포함하다(include)" 및 "갖다(have)"라는 용어들은 언급된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를 지칭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또는 어셈블리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단수 형식들 "a", 및 "the" 등은 복수의 형식을 포함하고, 넓은 의미에서 "일종의" 또는 "한 유형의"로서 이해되어야 하지만, "하나"의 의미로서 정의되어서는 안 되고; "the"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단수 형식과 복수 형식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에 따라"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따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에 기초하여"라는 용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 기초하여"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다음의 통신 표준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롱 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및 고속 패킷 액세스(high-speed packet access, HSPA) 등.
그리고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은, 예를 들어, 다음의 통신 규약들: 1G(generation), 2G, 2.5G, 2.75G, 3G, 4G, 4.5G, 및 미래의 5G 및 NR(new radio) 등, 및/또는 현재 알려져 있거나 미래에 개발될 다른 통신 규약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스테이지에서의 통신 규약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단말 기기에 액세스하고 단말 기기에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음의 기기: 기지국(base station, B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송신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브로드캐스트 송신기, 이동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게이트웨이, 서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지국은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된 노드 B(eNodeB 또는 eNB), 및 5G 기지국(gNB)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그것은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 중계기(relay), 또는 저전력 노드(예컨대 펨토, 및 피코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라는 용어는 그것의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기지국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셀"이라는 용어는 기지국 및/또는 그것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고, 이는 서빙 셀로서 표현될 수 있고, 용어의 문맥에 따라서는 매크로 셀 또는 피코 셀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수신하는 기기를 지시하고, "단말 기기(terminal equipment, TE)"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일 수 있고,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또는 스테이션 등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단말 기기는 다음의 디바이스들: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머신-유형 통신 디바이스, 랩톱, 무선 전화, 스마트 셀 폰, 스마트 워치, 및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등의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기기는 또한 모니터링 또는 측량을 수행하는 머신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머신-유형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 단말, 차량 탑재 통신 단말,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단말, 및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의 시나리오들이 예들로서 아래에 설명될 것이지만;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예로 든 경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단말 기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간소화를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단말 기기만을 가지는 예가 주어진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gNB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와 단말 기기(102) 사이에 기존의 트래픽들 또는 미래에 구현될 수 있는 트래픽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트래픽들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기기(102)는, 예를 들어, 그랜트-프리(grant-free) 송신 방식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1)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1)는 하나 이상의 단말 기기(102)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보(예컨대 확인응답 정보 ACK 또는 부정-확인응답 정보 NACK)를 단말 기기(102)에 피드백할 수 있고, 단말 기기(102)는 피드백 정보에 따라 송신 프로세스의 종료를 확인응답할 수 있거나, 새로운 데이터 송신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거나, 데이터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일부 개념들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는, 2가지 유형의 DMRS, 즉 앞에 실린 DMRS(front-loaded DMRS) 및 부가 DMRS(additional DMRS)가 존재한다. front-loaded DMRS는 항상 존재하고, 즉, 그것은 항상 송신될 것이고, additional DMRS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존재의 위치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provision in a specification)에 의존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2가지 유형의 PUSCH 송신, PUSCH mapping type A(type A PUSCH라고 지칭됨)와 PUSCH mapping type B(type B PUSCH라고 지칭됨)가 있고, 이들 2가지 송신 유형에 대응하는 DMRS 송신 포맷들은 상이하다. type A PUSCH에 대해서는, front-loaded DMRS는 슬롯의 제3 또는 제4 부호, 예컨대 symbol 0으로부터 시작하여 번호가 매겨진 symbol 2 또는 symbol 3 상에 항상 존재한다. type B PUSCH에 대해서는, front-loaded DMRS는 스케줄링된 PUSCH의 제1 부호 상에 항상 존재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서, PUSCH의 업링크 송신 허가(UL grant)는 DCI의 형식일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스케줄링 허가일 수 있고, 이는 제1 repetition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time-domain resource assignment, TDRA)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repetition들의 시간 영역 리소스들은 제1 repetition의 TDRA 및 부호들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 방향들에 따라 추가로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PUSCH repetition의 분열의 3개의 예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각의 repetition이 4개의 부호를 점유하고, 총 2회의 repetition이 있음을 지시하고; 도 2의 (b)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각의 repetition이 4개의 부호를 점유하고, 총 4회의 repetition이 있음을 지시하고; 도 2의 (c)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각각의 repetition이 14개의 부호를 점유하고, 총 1회의 repetition이 있음을 지시하고; 도 2의 (c)의 예에서는, S+L>14가 요구되고; 여기서, S는 부호들의 시작 위치이고, L은 부호들의 지속기간이고; 그 정의에 대해서는 기존의 표준들을 참고할 수 있다.
도 2로부터, 비록 분열이라고 불리지만, 송신된 TB는 하나의 repetition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의 (b)를 예로 들면, repetition은 4개의 부호를 점유하고, 총 4회의 repetition이 있다; 그러나, 슬롯 경계에서는, PUSCH가 이전 슬롯에서 송신될 필요가 있고, 다음 슬롯에서 다시 repetition이 송신되어, 결과적으로 5회의 repetition이 생기고, 제3 repetition 및 제4 repetition은 제각기 2개의 부호를 점유한다. 그러나, 슬롯 경계 전의 repetition이 DMRS를 포함하고 있다면, repetition을 어떻게 분류할지 그리고 그 안의 DMRS도 분열될 필요가 있는지 여부가 기존의 방안들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된 repetition을 예로 들면, repetition이 7개의 부호를 점유하고, 제1 부호가 front-loaded DM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5 부호가 additional DM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른 부호들이 데이터 채널들 또는 신호들, 예컨대 PDSCH 또는 PUSCH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면, 현재 슬롯에 4개의 부호만이 남아 있다면, 어느 부호 또는 부호들이 DMRS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지를 규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기기가 일치하는 이해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능성은 4개의 부호 중 2개의 부호가 DMRS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다른 가능성은 4개의 부호 중 1개의 부호만이 DMRS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등등이다. DMRS가 위치한 부호의 RE들의 부분도 어쩌면 데이터 채널들 또는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실시예는 참고 신호가 DMRS이고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가 업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예컨대 PUSCH)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참고 신호는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와 연관된 다른 참고 신호일 수도 있고,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는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신호, 예컨대 PDSCH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구현들이 설명될 것이다. 이들 구현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는, 송신기 단에 적용가능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4는 이 실시예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401: 송신기 단이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한다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그리고
단계 402: 상기 송신기 단이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한다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이 실시예에서, 송신기 단은 단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한 반복 횟수 및 참고 신호의 유형에 따라서가 아니라, 실제 repetition(상기 송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따라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가 참고 신호의 송신에 대해 일치하는 이해를 갖도록 하고, 이로써 참고 신호 송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한 반복 횟수는 나중에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중에서, 하나 또는 일부 신호들이 데이터 채널들 및 참고 신호들 양쪽 모두를 포함할 수 있거나, 하나 또는 일부 신호들이 데이터 채널들만을 포함하고 참고 신호들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각각이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든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고, 예컨대 전송 블록의 2회의 repetition이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제각기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단은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1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및 제3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신호도 상기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데, 즉, 상기 제1 신호,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전송 블록의 repetition들이다. 상기 제3 신호도 데이터 신호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송신기 단은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제3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상기 제3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하나 이상의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가 있을 수 있고,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제3 신호가 있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송 블록의 반복 횟수, 즉, 상기 repetition의 횟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하지 않지만, 실제로 발생한다. 각각의 repetition에서 참고 신호의 위치가 해당 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따라 결정되고, 이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기기에 의한 참고 신호의 송신에 대해 불일치하는 이해를 피하고, 참고 신호의 송신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TDRA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예를 들어, 참고 신호의 위치가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 단은 UL grant에서 지시된 TDRA에 따라 각각의 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를 결정하고, 그 후 각각의 repetition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에 따라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는 상기 참고 신호가 점유한 부호의 위치를 지칭하고, 따라서, 참고 신호들의 수가 암시적으로 포함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표현들은 동일한 의미들을 갖는다. 상기 UL grant는 DCI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그것은 별개의 시그널링 또는 파라미터 또는 지시일 수도 있다.
실제로 송신된 repetition의 횟수는 N이고, repetition들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의 부호 길이들은 K1, K2, ..., KN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DMRS 위치들의 표가 규약에서 정의될 수 있고, DMRS 위치들은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의 부호 길이들(K1, K2, ..., KN)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는, 현재 규약 TS38.211에서의 표 6.4.1.1.3-3을 따를 수 있고, 표에서의 ld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의 부호 길이들(K1, K2,..., KN)로 치환되거나, ld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의 부호 길이들(K1, K2,..., KN)로 해석될 수 있는데, 즉, ld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의 부호 길이들(K1, K2,..., KN)이다. 현재 규약 TS38.211에서의 표 6.4.1.1.3-3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1
다른 예로서, 참고 신호의 위치가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TDRA의 구성 또는 지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L grant에서의 TDRA가 S+L≤14를 구성 또는 지시하면,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에 더하여, 각각의 repetition(상기 신호)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S+L>14이면, 각각의 repetition(상기 신호)은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만을 포함한다; 여기서, S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시작 위치이고, L은 지시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이다. 여기서,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은, 예를 들어, 상기 front-loaded DMRS이고,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은, 예를 들어, 상기 additional MDRS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표현들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참고 신호의 위치가 실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및 TDRA가 구성 또는 지시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에 기초하여 공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예컨대 실제 이용 가능한 업링크 부호들의 수)가 K이고 TDRA가 구성 또는 지시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가 L이면, L>K이면, 참고 신호의 위치가 실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K)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7이고, 참고 신호는 DMRS이고 그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예로 들면, K=4일 때, DMRS의 부호들의 수는 2에서 1로 감소될 수 있다; K=5일 때, DMRS의 부호들의 수는 2로 설정될 수 있다; L=K이면, DMRS의 위치는 상기 구성 또는 지시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L)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규약에서는, DMRS 위치 표도 정의될 수 있고, DMRS의 위치는 실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K) 및 TDRA가 구성 또는 지시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L)에 따라 조회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송신기 단은 규약에서의 규정에 따라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송신기 단이 단말 기기인 것을 예로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기기를 반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때, 단말 기기는 규약에서의 규정에 따라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데, 즉, 단말 기기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즉,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의 위치가 항상 'pos0'이라고 기대한다. 여전히 송신기 단이 단말 기기인 것을 예로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기기를 반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한다면, 단말 기기는 규약에서의 규정에 따라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즉, 그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여 수행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는 시나리오에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실시예들은 상기 신호 내의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고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만을 구성하는 시나리오에도 적용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은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 및/또는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채널은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 및/또는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한다. 여기서, 제1 유형은, 예를 들어, 상기 type A이고, 제2 유형은, 예를 들어, 상기 type B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표현들은 동일한 의미들을 가지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한다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들에서의 데이터 채널들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된다면, 상기 신호들에서 참고 신호들의 위치들이 데이터 채널들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는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거나, 데이터 채널들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거나,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거나, 데이터 채널들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는 R15에서의 상황 및 데이터 채널들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들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서와 같이,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은 항상 스케줄링된 데이터 채널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의 제1 부호 상에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된다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의 것일 수 있는데, 즉, 각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가 참고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채널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time-domain resource allocation, TDRA)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된다면, 상기 신호에서 참고 신호의 위치도 상기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된다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의 것, 예컨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또는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2 부호, 또는 상기 제1 유형에 대응하는 참고 신호의 위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된다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는 R15에서의 상황 및 데이터 채널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는 상황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는 R15에서의 상황에 따라 결정되고,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가 상기 참고 신호의 부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가 대응하는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또는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2 부호일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다른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만을 구성한다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유형의 하나 이상의 참고 신호를 구성한다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의 것, 예컨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또는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2 부호, 또는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및 제2 부호일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은 제1 유형 또는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결정되는지 또는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는지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만을 구성한다면,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일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만을 구성한다면, 기존의 표준에 따라, 하나 또는 일부 repetition(예컨대 제2 repetition)은 참고 신호를 갖지 않는다. 주파수 호핑이 수행된다면, 해당 repetition을 위해 이용 가능한 참고 신호가 없게 될 것이다. 이 구현의 방법에 따르면, 참고 신호는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고정된 시간 영역 위치(제1 부호 및/또는 제2 부호)에서 송신되고, 이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TDRA가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임을 구성 또는 지시하더라도, 제2 및 후속 실제 repetition들이 R15에서의 type B로서 간주될 수 있는데, 즉, 각각의 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에서 참고 신호가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repetition이 R15에서의 type B로서 간주될 수 있는데, 즉, 각각의 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상에서 참고 신호가 송신된다.
이 예에서, C-RNTI, 또는 CS-RNTI, 또는 MCS-C-RNTI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DCI format, 또는 새로운 DCI 포맷(예컨대 DCI format 0-2, 및 1-2 등)이 사용될 때, 또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단말 기기를 R16에서의 PUSCH repeti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때, UL grant에서의 TDRA 필드 또는 RRC를 통해 구성된 PUSCH TDRA가 PUSCH의 유형이 type A의 것임을 지시하더라도, 단말 기기는 모든 repetition들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 또는 제1 repetition이 점유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를 제외한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들이 R15에서의 type B의 참고 신호 송신 방식을 채용한다고 기대한다. 따라서, PUSCH repetition 및 다른 서비스들을 지원할 때, PUSCH TDRA table 또는 동일한 PUSCH TDRA 구성들이 사용되고, URLLC 서비스들을 지원할 때 RRC 재구성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모든 구현들이 모든 DMRS 구성들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데이터 채널은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 및/또는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채널은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들 및/또는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또한 데이터 채널들 또는 전송 블록들의 반복, 예컨대 R15에서의 슬롯 레벨의 반복 또는 R16에서의 저-지연을 갖는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그것은 단말 기기에 명령을 송신하고, 명령을 통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들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기기에 대해, 그것은 명령을 수신하고,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한 반복을 결정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들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할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 및 DCI 시그널링의 조합을 통해 상기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들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간단히 반복이라고 지칭한다.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반복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반복 및 반복 횟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반복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라미터(약칭하여 제1 파라미터라고 지칭됨), 예컨대 pusch-AggregationFactor-r16을 RRC 시그널링에 부가하여, 단말 기기에게 상기 저-지연 및 고-신뢰성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통지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UL grant가 하나의 TB의 2개 이상의 반복을 스케줄링하고, 이들 2개 이상의 반복이 하나의 슬롯에 있을 수 있거나, 슬롯 경계들에 걸쳐 다수의 연속적인 슬롯들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파라미터는 후속 반복 횟수, 예컨대 1, 2, 4, 6, 8 등을 통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반복 횟수는 단지 명목상 송신 횟수이다. 실제 송신에서는, 하나의 반복이 슬롯 경계 또는 업링크-다운링크(DL/UL) 전환점과 마주칠 때 다수의 반복들로 분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파라미터의 포맷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nA, nB 및 nC는 반복 횟수를 표시하고, 그 값들은 자연수들이고, 구성된 반복 횟수의 수도 자연수이다. pdsch-AggregationFactor-r16이 구성되지 않을 때,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기기를 저-지연 및 고-신뢰성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거나, 또는 반복 횟수가 1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측이 DCI 시그널링을 통해 명목상 반복 횟수를 동적으로 지시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상기 RRC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number of dynamic nominal repetitions)"를 인에이블(enable)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인에이블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DCI 시그널링에서의 필드를 통해 명목상 반복 횟수를 동적으로 지시할 것임을 의미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디스에이블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DCI에서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는 관련 시그널링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될 때, 상기 반복들도 대응하여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반복들도 대응하여 디스에이블된다.
이 구현에서는, 반복이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조건이 부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반복들이 인에이블되고, 상기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되거나, 또는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지만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값보다 작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반복들이 디스에이블된다.
이 구현에서, 상기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는 DCI 시그널링을 통해 지시될 수 있고, 상기 필드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은 상기 제2 파라미터를 통해 실현된다.
예를 들어,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의 지시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것으로서 구성될 때, 반복들도 동시에 인에이블된다; 반대로,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의 지시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는 것으로서 구성될 때, 반복들도 동시에 디스에이블된다.
다른 예로서,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의 지시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후보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1 값(예컨대 0, 1, 및 2 등)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할 때, 반복들도 동시에 인에이블된다; 반대로,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의 지시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는 것으로서 구성되거나,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되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후보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값(예컨대 0, 1, 및 2 등)보다 작거나 그와 동등할 때, 반복들도 동시에 디스에이블된다.
이 구현에서, 상기 반복이 구성 또는 지시되는지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이 반복 횟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관련 파라미터가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16'이고, 그 파라미터가 반복 횟수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면, 이는 반복이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는 반복이 구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다른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3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필드는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지시함 -.
이 구현에서, 상기 지시 필드는 다음의 것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는데, 즉, 지시 필드는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반복 방식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및
명목상 반복 횟수 및/또는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의 방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DCI 필드에 대해, 예를 들어, 그것은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별개의 DCI 필드일 수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DCI 필드가 인에이블됨을 지시하고 DCI 필드가 반복 횟수가 값(예컨대 0, 1, 및 2 등)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함을 지시할 때, 단말 기기에게 반복을 수행하도록 지시된다. 상기 별개의 DCI 필드는 1 비트 또는 2 비트의 것일 수 있고, 명목상 반복 횟수는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 및 MAC-CE 시그널링일 수 있는데, 즉, 상기 RRC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반복 횟수의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구성하고, 상기 MAC-CE 시그널링은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을 선택한다.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DCI 필드에 대해, 예를 들어, 상기 DCI 필드가 S+L>14임을 지시할 때, 이는 단말 기기에게 반복을 수행하도록 통지됨을 의미한다.
반복 방식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정보 필드에 대해, 예를 들어, R15에서 슬롯-레벨 반복이 지원되고, R16에 저-지연 및 고-신뢰성의 반복이 포함된다(R16 반복이라고 지칭됨). 이 구현에서는, 동적 전환의 지시 및/또는 R15 및 R16 반복에서의 반복 횟수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필드가 사용된다.
이 구현에서는, 반복 방식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1 비트 또는 2 비트 또는 3 비트 또는 다른 비트 값들의 정보 필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필드의 상이한 비트 값들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을 지시하거나,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 반복 횟수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필드는 2 비트일 수 있고,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상이한 비트 값들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3
즉,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0'일 때, 이는 'R15 반복'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1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0'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2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3임'을 지시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의 상기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DCI 필드의 정보 필드 비트들과 지시된 의미들 간의 대응 관계도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 및 MAC-CE 시그널링일 수 있는데, 즉,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반복 횟수의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구성하고, 상기 MAC-CE 시그널링은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을 선택한다.
다른 예로서, 정보 필드는 1 비트의 것일 수 있고,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그것의 상이한 비트 값들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4
즉,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일 때, 이는 'R15 반복'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수임'을 지시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의 상기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DCI 필드의 정보 필드 비트들과 지시된 의미들 간의 대응 관계도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 및 MAC-CE 시그널링일 수 있는데, 즉,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반복 횟수의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구성하고, 상기 MAC-CE 시그널링은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을 선택한다.
추가의 예로서, 정보 필드는 2 비트의 것일 수 있고,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또는 반복 횟수, 그리고 반복 횟수가 명목상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위해 그것의 상이한 비트 값들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5
즉,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0'일 때, 이는 'R15 반복, 그리고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1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1'일 때, 이는 'R15 반복, 그리고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2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0'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1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2임'을 지시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의 상기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DCI 필드의 정보 필드 비트들과 지시된 의미들 간의 대응 관계도 예시적인 것이고, R15 반복 또는 R16 반복을 지시하기 위한 정보 필드의 비트 수도 예시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 및 MAC-CE 시그널링일 수 있는데, 즉,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반복 횟수의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구성하고, 상기 MAC-CE 시그널링은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을 선택한다. R15 반복 및 R16 반복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은 동일한 파라미터의 것일 수 있거나, 상이한 파라미터들의 것일 수 있고, 이들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정보 필드는 3 비트의 것일 수 있고, 아래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또는 반복 횟수, 그리고 반복 횟수가 명목상일 수 있음을 지시하기 위해 그것의 상이한 비트 값들이 사용된다:
Figure pct00006
즉,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00'일 때, 이는 'R15 반복, 그리고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1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01'일 때, 이는 'R15 반복, 그리고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2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10'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1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01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2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00'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3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0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4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10'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5임'을 지시한다; 정보 필드의 비트 값이 '111'일 때, 이는 'R16 반복, 그리고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 값 6임'을 지시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의 상기 값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DCI 필드의 정보 필드 비트들과 지시된 의미들 간의 대응 관계도 예시적인 것이고, R15 반복 또는 R16 반복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들의 비트 수도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R15 및 R16 반복 관련 지시를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들의 비트 수는 또한 1 및 7, 3 및 5, 4 및 4, 5 및 3, 6 및 2, 및 7 및 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일 수 있거나, RRC 시그널링 및 MAC-CE 시그널링일 수 있는데, 즉, 상기 RRC 시그널링은 상기 반복 횟수의 하나 이상의 후보 값을 구성하고, 상기 MAC-CE 시그널링은 그로부터 하나 이상의 값을 선택한다. R15 반복 및 R16 반복의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은 동일한 파라미터의 것일 수 있거나, 상이한 파라미터들의 것일 수 있고, 이들은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명목상 반복 횟수 및/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의 방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정보 필드에 대해, 예를 들어, 그것은 명목상 반복 횟수와 TDRA 필드의 공동 인코딩(joint encoding)일 수 있다. 명목상 반복 횟수가 값(예컨대 0, 1, 및 2 등)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하고 TDRA 필드가 리소스 할당 방식(예컨대 S+L>14)를 지시할 때, 이는 단말 기기에게 반복을 수행하도록 통지하는 것을 지시한다.
다른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4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 상기 제4 파라미터는 상기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이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와 연관됨 -.
예를 들어, 단말 기기가 DCI format을 검출할 때, 상기 DCI format는 상기 단말 기기에게 URLLC 관련 송신들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구성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검출된 DCI format 및/또는 구체적인 DCI 시그널링 필드를 통해 반복을 수행하도록 상기 단말 기기에게 지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이 주어진다. 특정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단말 기기에 대해 상기 구성 또는 지시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 기기에 구성 정보 또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일 수 있고 단말 기기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구성 또는 지시를 획득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 또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2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5는 이 실시예의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50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구성한다 -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과 명목상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을 포함함 -; 및
단계 502: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일부 경우들에서, 데이터 채널들이 제1 유형 및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될 때, 참고 신호들의 송신 방식들이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TDRA 필드에서 데이터 채널 유형을 지시하지 않고, 명목상 반복 횟수의 지시를 부가하거나, 데이터 채널 유형과 명목상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을 부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15에서, TDRA 지시의 예는 다음과 같은 표 6.1.2.1.1-2이다:
Figure pct00007
이 실시예에서, 제2 열에서의 'PUSCH 매핑 유형'은 제거되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명목상 반복 횟수의 값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제1 유형(즉, type A)은 제거되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명목상 반복 횟수의 값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제2 유형(즉, type B)은 제거되어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되는 명목상 반복 횟수의 값으로 치환될 수 있고, 상기 제2 열은 '데이터 채널 유형과 명목상 반복 횟수'의 공동 지시로 수정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의 표 5 및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상기 값들 A, B, C 및 D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고, 자연수들이다.
상기 수정된 표와 상기 표 6.1.2.1.1-2는 공존할 수 있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데이터 채널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때는, 상기 수정된 표가 효력을 발휘하고,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이 데이터 채널의 반복을 수행하도록 구성하지 않을 때는, 상기 표 6.1.2.1.1-2가 효력을 발휘한다.
이 실시예에서, TDRA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컨대 R15에서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10
그 후 R16에서, 명목상 반복 횟수의 구성 'nrofrepetition'이 TDRA에 부가될 수 있는데, 이는 아래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pct00011
상기 예에서,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은 또한 R16에서의 동일한 기능을 갖는 새로이 부가된 파라미터, 예컨대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16' 등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명목상 반복 횟수 'nrofrepetition'의 구성가능한 값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PUSCH-TimeDomainResourceAllocation-16'으로부터 'mappingType'의 구성이 제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 TDRA와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이 실현된다.
실시예 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한, 반복의 지시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이 실시예의 반복의 지시를 위한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60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단계 602: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필드는, 예를 들어, 1 비트 또는 2 비트 또는 3 비트 또는 다른 비트의 것이고, 상이한 비트 값들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을 지시하거나,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 대응하는 반복 횟수를 지시할 수 있고,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표 1 내지 표 4를 참고할 수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필드의 상이한 비트 값들이 상이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의 방식들 및 반복 방식들, 예컨대 실시예 2에서의 표 5 내지 표 6의 예들을 지시할 수도 있고,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TDRA와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이 실현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반복 방식이 지시될 수 있고, 반복 횟수가 추가로 지시될 수 있고, 단말 기기가 그에 따라 송신된 신호에서 참고 신호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이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그에 따라 송신된 신호에서 참고 신호의 위치를 추가로 결정할 수 있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가 참고 신호의 송신에 대해 일치하는 이해를 갖도록 하고, 참고 신호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4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송신기 단, 예컨대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1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구현에 대해서는 실시예 1에서의 방법의 구현을 참고할 수 있고, 동일한 부분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7은 이 실시예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는 단말 기기에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700)는 생성 유닛(701) 및 송신 유닛(702)을 포함한다. 상기 생성 유닛(701)은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상기 송신 유닛(702)은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한다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참고 신호들의 위치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701)은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제각기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이 실시예에서, 송신 유닛(701)은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3 신호를 추가로 송신할 수 있다 -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전송 블록에 대응하고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이 예에서,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대응하여, 제3 신호의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참고 신호의 위치들이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TDRA)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들을 구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송신 유닛(701)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규약에서의 규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이다.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이다: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이다: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상기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2 부호, 및 상기 제1 유형에 대응하는 참고 신호 위치.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 또는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및/또는 제2 부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700)는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703) - 상기 명령은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함 -. 그리고 또한, 상기 수신 유닛(703)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다른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및 반복 횟수를 지시함 -.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함 -.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디스에이블된다.
이 구현에서, 그것은 또한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때, 또는 상기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지만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값보다 작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디스에이블된다.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3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필드는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지시함 -.
이 구현에서, 상기 지시 필드는 다음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반복 방식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및 명목상 반복 횟수 및/또는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의 방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일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한다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4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이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와 연관됨 -.
도 8은 이 실시예의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의 다른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800)는: 생성 유닛(801) 및 송신 유닛(802)을 포함한다 - 상기 생성 유닛(801) 및 상기 송신 유닛(802)의 구현들은 도 7에 도시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700)의 생성 유닛(701) 및 송신 유닛(702)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임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800)는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단말 기기에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명령을 통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803).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반복의 구성 방식은 도 7에 도시된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700)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되었다 - 그 내용이 여기에 포함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임 -.
이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 유닛(802)은 다른 구성 정보를 단말 기기에 추가로 송신할 수 있고, 이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다.
실시예 5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2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구현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의 방법의 구현을 참고할 수 있고, 동일한 부분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9는 이 실시예의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900)는: 구성 유닛(901) 및 송신 유닛(902)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유닛(901)은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구성한다 -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과 명목상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을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송신 유닛(902)은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송신한다.
이 실시예의 장치에 의해, TDRA와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이 실현된다.
실시예 6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의 원리들이 실시예 3의 방법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이 장치의 구현에 대해서는 실시예 3에서의 방법의 구현을 참고할 수 있고, 동일한 부분들은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0은 이 실시예의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1000)는: 생성 유닛(1001) 및 송신 유닛(1002)을 포함한다. 상기 생성 유닛(1001)은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대응하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송신 유닛(1002)은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정보 필드는 1 비트 또는 2 비트 또는 3 비트 또는 다른 비트의 것이고, 상기 비트 값들은 반복 방식들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들과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표 1 내지 표 4에서의 예들을 참고함 -,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과 반복 횟수를 지시할 수 있다 -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예 2의 표 5 내지 표 6에서의 예들을 참고함 -.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7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를 제공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단말 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1100)는 중앙 처리 유닛(1101) 및 메모리(11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102)는 중앙 처리 유닛(1101)에 결합된다. 이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이 구조를 보충 또는 치환하고 전기통신 기능 또는 다른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유형들의 구조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101)에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1101)은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한다.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이 여기에 포함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와 중앙 처리 유닛(1101)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1101)에 연결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101)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기기(1100)는 통신 모듈(1103), 입력 유닛(1104), 오디오 처리 유닛(1105), 디스플레이(1106) 및 전원(1107)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말 기기(1100)가 반드시 도 11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단말 기기(1100)는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관련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유닛(1101)은 때때로 제어기 또는 조작 컨트롤(operational control)이라고 지칭되고,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 디바이스들 및/또는 로직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1101)은 입력을 수신하고 단말 기기(1100)의 컴포넌트들의 동작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102)는, 예를 들어, 버퍼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모바일 매체,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들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이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또한, 관련 정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처리 유닛(1101)은 메모리(1102)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정보 저장 또는 처리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부분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단말 기기(1100)의 부분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단말 기기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8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 구현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중앙 처리 유닛(CPU)(1201) 및 메모리(1202)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1202)는 중앙 처리 유닛(1201)에 결합된다. 메모리(1202)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그것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중앙 처리 유닛(1201)의 제어 하에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 기기에 의해 송신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양한 정보를 상기 단말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일 구현에서,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201)에 통합될 수 있고, 중앙 처리 유닛(1201)은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을 실행한다.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이 여기에 포함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른 구현에서,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와 중앙 처리 유닛(1201)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는 중앙 처리 유닛(1201)에 연결된 칩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은 중앙 처리 유닛(1201)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트랜시버(1203) 및 안테나(12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은 관련 기술의 것들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가 반드시 도 12에 도시된 모든 부분들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도 12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관련 기술을 참고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실시예 9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기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실시예 8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이고, 단말 기기는, 예를 들어, 실시예 7에서 설명된 단말 기기(1100)이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기기는, 예를 들어, gNB에 의해 서빙되는 UE이고, 실시예 4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에 더하여 단말 기기의 종래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실시예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NR에서의 gNB일 수 있고, 실시예 5 또는 6에서 설명된 장치의 기능들에 더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종래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실시예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기기 양쪽 모두에 의한 참고 신호들의 송신에 대한 이해들이 일치하고, 참고 신호들의 송신의 신뢰성이 보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단말 기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단말 기기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하여금 단말 기기에서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시예 1 또는 2 또는 3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실시예 1 또는 2 또는 3에서 설명된 방법을 수행하게 할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을 저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장치들 및 방법들은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와 조합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이 로직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때, 로직 디바이스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컴포넌트들을 수행하거나,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 또는 단계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 예컨대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 DVD,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도 관련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방법들/장치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 및/또는 그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프로시저들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에 대응하거나, 하드웨어 모듈들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단계들에 제각기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를 이용하여 소프트 모듈들을 고화시키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RAM, 플래시 메모리, ROM, EPROM, 및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CD-ROM,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식의 메모리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메모리 매체가 프로세서에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서가 메모리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메모리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게 되거나; 또는 메모리 매체가 프로세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소프트 모듈들은 이동 단말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플러그 가능한 이동 단말의 메모리 카드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기(예컨대 이동 단말)가 비교적 대용량의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다면, 소프트 모듈들은 MEGA-SIM 카드 또는 대용량의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및/또는 그 기능 블록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본 출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들로서 실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 및/또는 그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은 컴퓨팅 기기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프로세서, DSP와 통신 조합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실현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본 개시내용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그러한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다양한 변형들 및 수정들을 만들 수 있고, 그러한 변형들 및 수정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들에 개시된 구현들에 관하여, 다음의 부기들이 추가로 개시된다.
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대응하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2. 부기 1에 따른 장치로서, 상기 정보 필드는 1 비트 또는 2 비트 또는 3 비트의 것이고, 상이한 비트들이 상이한 반복 방식들을 지시하거나, 또는 상이한 반복 방식들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는, 장치.

Claims (20)

  1. 송신기 단에 구성되는,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는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함 -; 및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 -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참고 신호들의 위치들이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1 신호를 송신하고,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2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 대응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는 제각기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1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제2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2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유닛은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서 제3 신호를 송신하고 -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전송 블록에 대응하고 데이터 채널 및 참고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상기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됨 -;
    상기 제3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수는 하나 이상이고, 대응하여, 상기 제3 신호의 수는 하나 이상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은 다음의 것들: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TDRA)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지시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단은 단말 기기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규약에서의 규정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부호 길이,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구성 또는 지시, 상위 계층 시그널링 구성, 및 규약에서의 규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제2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다음의 것들: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상기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2 부호, 및 상기 제1 유형에 대응하는 참고 신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1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및/또는 제2 부호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제1 유형의 참고 신호를 구성하고, 상기 신호에서의 상기 데이터 채널이 제2 유형의 것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신호에서 상기 참고 신호의 위치가 대응하는 시간 영역 리소스 세그먼트의 제1 부호 및/또는 제2 부호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단이 단말 기기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 - 상기 명령은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함 - 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단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기기에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명령을 통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지시하거나,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 및 반복 횟수를 지시함 - 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만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2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함 - 을 포함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1 값보다 크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인에이블되고,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디스에이블되거나, 또는 동적인 명목상 반복 횟수가 상기 제2 파라미터에 의해 인에이블되지만 명목상 반복 횟수가 제2 값보다 작거나 그와 동등할 때,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이 디스에이블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3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지시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필드는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를 지시함 - 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필드는 다음의 것들: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DCI 필드;
    반복 방식 및/또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및
    명목상 반복 횟수 및/또는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의 방식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이 데이터 채널 또는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는 것 - 상기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제4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라미터는 상기 전송 블록의 반복을 구성 또는 지시하고,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이 상기 반복을 인에이블할지 여부와 연관됨 - 을 포함하는, 장치.
  19.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 횟수의 구성을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구성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 -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는 데이터 채널 유형과 명목상 반복 횟수의 공동 인코딩을 포함함 -; 및
    상기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20.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성되는, 반복의 지시를 위한 장치로서,
    이 장치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 유닛 -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는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필드는 반복 방식을 지시하거나 반복 방식 및 대응하는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거나, 시간 영역 리소스 할당 및 명목상 반복 횟수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217038965A 2019-04-30 2019-04-30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2200025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85365 WO2020220342A1 (zh) 2019-04-30 2019-04-30 参考信号的发送方法、装置和通信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578A true KR20220002578A (ko) 2022-01-06

Family

ID=7302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965A KR20220002578A (ko) 2019-04-30 2019-04-30 참고 신호의 송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45792A1 (ko)
EP (1) EP3965491A4 (ko)
JP (1) JP7327509B2 (ko)
KR (1) KR20220002578A (ko)
CN (1) CN113711667B (ko)
WO (1) WO2020220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53353A1 (en) * 2020-08-14 2022-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and reporting for multi-beam operations
US11792799B2 (en) * 2021-04-26 2023-10-17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transmission with multiple transport blocks
US20230216605A1 (en) * 2022-01-06 2023-07-06 Qualcomm Incorporated Self-decodable data portion for physical uplink repeti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2044B (zh) * 2012-11-15 2019-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WO2014153777A1 (en) * 2013-03-29 2014-10-02 Nec(China) Co.,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4349458B (zh) * 2013-08-08 2019-05-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道的传输方法、传输处理方法、通信节点及终端
CN106162908B (zh) * 2015-04-09 2021-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调度请求的方法和装置
WO2016187744A1 (zh) * 2015-05-22 2016-12-01 富士通株式会社 参考信号的资源配置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US10455514B2 (en) * 2015-07-1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69333B2 (en) * 2016-12-16 2020-12-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grant-free and grant-based uplink transmissions
CN108401292B (zh) * 2017-02-04 2023-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接收方法、装置、基站及终端
US10548079B2 (en) * 2017-02-06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Tracking reference signal for new radio
KR102264030B1 (ko) * 2017-03-21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0448414B2 (en) * 2017-03-23 2019-10-15 Sharp Kabushiki Kaisha Downlink control channel for uplink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KR102318438B1 (ko) * 2017-04-26 2021-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dmrs 위치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8227337A1 (en) * 2017-06-12 2018-12-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signaling regarding bandwidth dependent control size
EP3666001B1 (en) * 2017-08-10 2022-10-05 Sharp Kabushiki Kaisha Procedures, base stations and user equipments for uplink transmission without grant
CN109660324B (zh) * 2017-10-11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解调参考信号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US10624118B2 (en) * 2017-12-01 2020-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215340A1 (en) * 2018-05-11 2019-11-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 signalling for a repeated transmission
US11350416B2 (en) * 2018-07-20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petition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11667B (zh) 2024-02-27
EP3965491A4 (en) 2022-08-17
JP2022530801A (ja) 2022-07-01
EP3965491A1 (en) 2022-03-09
WO2020220342A1 (zh) 2020-11-05
US20220045792A1 (en) 2022-02-10
CN113711667A (zh) 2021-11-26
JP7327509B2 (ja)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8898B2 (en) Beam ind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310675B2 (en) Uplink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plink signal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EP380656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bandwidth part indicator,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A3063789C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KR102198579B1 (ko) 업링크 송신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20210168846A1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10410124A1 (en) Signal reception o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202200457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system
EP3584973A1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feedback method and device
US20210243790A1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feedback information
US20210168636A1 (en) Method for assessing radio link quality, parameter configuration method, apparatuses thereof and system
KR20220031091A (ko)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시스템
US20230246788A1 (e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KR20220076490A (ko) 무선 통신 방법, 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202202557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arameter
KR102289117B1 (ko)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12004099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40015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and a system
US2022021770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1032957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30269753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CN114080040A (zh) 一种下行信道传输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