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222A -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222A
KR20220053222A KR1020200137413A KR20200137413A KR20220053222A KR 20220053222 A KR20220053222 A KR 20220053222A KR 1020200137413 A KR1020200137413 A KR 1020200137413A KR 20200137413 A KR20200137413 A KR 20200137413A KR 20220053222 A KR20220053222 A KR 20220053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hydrogen storage
lower block
blo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607B1 (ko
Inventor
임준영
이석진
김희천
유계형
박민욱
강준영
Original Assignee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7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07B1/ko
Priority to US18/032,504 priority patent/US20230408039A1/en
Priority to EP21883107.1A priority patent/EP4235014A4/en
Priority to CN202180072173.2A priority patent/CN116507847A/zh
Priority to PCT/KR2021/014125 priority patent/WO2022086036A1/ko
Publication of KR2022005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4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small-sized storage vessels, e.g. compressed gas cylinders or bottles, disposable gas vessels, vessels adapted for automotiv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5Size
    • F17C2201/056Small (<1 m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03Exterior arrangements
    • F17C2205/0107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Abstract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는: 수소저장탱크; 수소저장탱크가 안착되는 프레임부; 및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를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슬라이딩블럭부를 포함하고, 슬라이딩블럭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럭부; 수소저장탱크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하부블럭부와 요철 결합되는 상부블럭부; 및 노즐부의 외측면을 감싸고, 하부블럭부와 상부블럭부 사이에 개재되며, 노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HYDROGEN STORAGE TANK}
본 발명은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저장탱크의 팽창 및 축 변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잇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소저장탱크(Hydrogen Storage Tank)는 부피가 큰 수소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용기로서, 수소연료전기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에 수소를 공급한다.
수소의 중량당 에너지 밀도는 가솔린의 3~4배인 반면, 면적당 에너지 밀도는 가솔린의 25% 수준이므로, 수소저장탱크는 수소를 최대한 압축하여 저장해야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수소저장탱크를 지지하는 마운팅 블럭은 부품 수가 많아 조립 시간이 증가되고, 생산성이 떨어져, 가격 경쟁력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소저장탱크가 커지고, 노즐의 직경이 커질수록 노즐을 지지하는 스냅링의 사이즈도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6917호(2019.02.19 공개, 발명의 명칭: 고압 용기 유닛 및 연료 전지 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저장탱크의 팽창 및 축 변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잇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는: 수소저장탱크; 상기 수소저장탱크가 안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슬라이딩블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럭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럭부;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상기 하부블럭부와 요철 결합되는 상부블럭부; 및 상기 노즐부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상부블럭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노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블럭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럭베이스부; 상기 하부블럭베이스부에서 상기 상부블럭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볼부를 수용하는 하부블럭몸체부; 및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에서 상기 상부블럭부를 향해 볼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럭부와 요철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의 최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블럭부는,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에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볼부를 수용하는 상부블럭몸체부; 및 상기 상부블럭몸체부에서 상기 볼록부에 대향되게 오목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요철 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오목홈부; 및 상기 오목홈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걸림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오목홈부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의 3면을 감싸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슬라이딩블럭부는,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상부블럭부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측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타측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블럭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C"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는 수소저장탱크(10), 프레임부(20), 고정블럭부(30), 슬라이딩블럭부(40)를 포함한다.
수소저장탱크(10)는 내부 공간에 수소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용기이다. 수소저장탱크(10)는 수소연료전기차에서 수소가 충전되어 차량 운행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한다. 수소저장탱크(10)는 양단부가 타원형인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소 압력에 대한 파손을 방지한다.
프레임부(20)는 수소저장탱크(10)가 수소연료전기차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프레임부(20)는 수소저장탱크(10)가 일측면(도 1 기준 상측면)에 안착된다.
고정블럭부(30)는 수소저장탱크(10)를 프레임부(20)에 고정한다. 고정블럭부(30)는 수소저장탱크(10)를 프레임부(20)에 고정하여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수소저장탱크(10)가 프레임부(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블럭부(30)는 제3체결부(600)에 의해 프레임부(20)에 고정되고, 제3체결부(600)에 의해 고정블럭부(30)의 개폐를 조정한다. 여기서 제3체결부(600)는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하기에서 기술하는 제1체결부(400) 및 제2체결부(500)도 제3체결부(600)와 같이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나사 등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블럭부(40)는 수소저장탱크(10)의 노즐부(11)를 프레임부(20)에 고정한다. 슬라이딩블럭부(40)는 수소저장탱크(10)에 수용된 가스의 압력에 의한 팽창 등으로 노즐부(11) 또는 수소저장탱크(10)의 축이 프레임부(20)에서 불일치될 때, 그 변화량을 흡수하여 수소저장탱크(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노즐부(11)는 수소저장탱크(10)에서 수소가 분사되는 것으로, 노즐(13)과 개폐부(15)를 포함한다. 노즐(13)은 수소저장탱크(10)에서 수소가 분사된다. 노즐(13)의 내측면은 개폐부(15)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개폐부(15)는 노즐(13)의 내측면과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슬라이딩블럭부(40)는 하부블럭부(100), 상부블럭부(200), 슬라이드볼부(300), 제1체결부(400), 제2체결부(500)를 포함한다.
하부블럭부(100)는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하부블럭부(100)는 프레임부(20)에 용접 또는 제2체결부(500)에 의해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하부블럭부(100)는 하부블럭베이스부(110), 하부블럭몸체부(120), 볼록부(130)를 포함한다.
하부블럭베이스부(110)는 프레임부(20)의 일측면(도 3 기준 상측면)에 안착되고,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하부블럭베이스부(110)는 프레임부(20)에 용접 또는 제2체결부(500)에 의해 프레임부(20)에 고정된다. 하부블럭베이스부(110)는 수소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된다.
하부블럭베이스부(110)의 양단부에는 제2체결부(500)를 관통시키는 제1하부관통공부(111)가 관통 형성된다. 제1하부관통공부(111)의 내측면은 제2체결부(500)가 관통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거나, 제2체결부(500)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부(500)는 제1하부관통공부(111)를 관통하거나 제1하부관통공부(111)와 나사 체결되면서, 프레임부(20)와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제2체결부(500)에 의해 하부블럭부(100)의 하부블럭베이스부(110)와 프레임부(20)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하부블럭몸체부(120)는 하부블럭베이스부(110)에서 상부블럭부(200)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슬라이드볼부(300)를 수용한다. 하부블럭몸체부(120)는 제2체결부(50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하부블럭베이스부(110)에 단차지게 연장 형성된다.
하부블럭몸체부(120)는 일측면(도 7 기준 상측면)에 슬라이드볼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하부수용홈부(123)가 형성된다. 하부수용홈부(123)는 노즐부(11)의 노즐(13)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볼부(300)가 3축 회전(도 6 기준 X축, Y축, Z축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볼부(3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3차원 곡면으로 형성된다.
하부블럭몸체부(120)에는 상부블럭부(200)의 상부관통공부(211)와 연통되는 제2하부관통공부(121)가 형성된다. 제2하부관통공부(121)의 내측면은 제1체결부(400)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400)는 상부관통공부(211)를 관통하거나 나사 체결되면서, 제2하부관통공부(121)와 나사 체결되어, 상부블럭부(200)와 하부블럭부(100)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볼록부(130)는 하부블럭몸체부(120)에서 상부블럭부(200)의 오목부(220)를 향해 볼록 형성되고, 상부블럭부(200)의 오목부(220)와 요철 결합된다. 볼록부(130)는 상부블럭부(200)의 오목부(220)와 요철 결합되어, 결합 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볼록부(130)는 수소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으로 하부블럭몸체부(120)의 최외측에 돌출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볼록부(130)는 하부블럭몸체부(120)의 상측에서 최외측에 배치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부블럭부(200)는 수소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도 1 기준 Y축방향)과 폭방향(도 1 기준 X축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하부블럭부(100)와 요철 결합된다. 상부블럭부(200)는 상부블럭몸체부(210)와 오목부(220)를 포함한다.
상부블럭몸체부(210)는 하부블럭몸체부(120)에 안착되고, 슬라이드볼부(300)를 수용한다. 상부블럭몸체부(210)에는 하부블럭부(100)의 제2하부관통공부(12)와 연통되는 상부관통공부(211)가 형성된다. 상부관통공부(211)의 내측면은 제1체결부(400)가 관통되거나 제1체결부(400)와 나사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부(400)는 상부관통공부(211)를 관통하거나 나사 체결되면서, 제2하부관통공부(121)와 나사 체결되어, 상부블럭부(200)와 하부블럭부(100)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부블럭몸체부(210)는 일측면(도 7 기준 좌측면)에 슬라이드볼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상부수용홈부(213)가 형성된다. 상부수용홈부(213)는 노즐부(11)의 노즐(13)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볼부(300)가 3축 회전(도 6 기준 X축, Y축, Z축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볼부(300)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오목한 3차원 곡면으로 형성된다.
오목부(220)는 상부블럭몸체부(210)에서 볼록부(130)에 대향되게 오목 형성되고, 볼록부(130)와 요철 결합된다. 오목부(220)는 오목홈부(221)와 걸림턱부(223)를 포함한다.
오목홈부(221)는 볼록부(130)를 수용하는 것으로, 볼록부(130)의 형상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된다. 걸림턱부(223)는 오목홈부(221)에서 돌출 형성되어, 볼록부(130)의 외측면의 3면을 감싼다. 즉 걸림턱부(223)는 도 7 기준으로 Y축방향으로 볼록부(130)의 2면을 감싸고, 하부블럭몸체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볼록부(130)의 1면을 감싸게 형성되어, 수소저장탱크(1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슬라이드볼부(300)는 중공형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3차원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슬라이드볼부(300)는 노즐부(11)의 노즐(13)의 외측면을 감싸고, 하부블럭부(100)와 상부블럭부(200) 사이에 개재되며, 노즐부(11)의 노즐(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슬라이드볼부(300)는 하부블럭부(100)의 하부수용홈부(123)와 상부블럭부(200)의 상부수용홈부(213) 사이에 3차원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어 노즐부(11)의 노즐(13) 또는 수소저장탱크(10)의 팽창 등에 대해 각각 3차원 회전될 수 있다.
제1체결부(400)는 하부블럭부(100)와 상부블럭부(200)를 체결하고, 제2체결부(500)는 하부블럭부(100)와 프레임부(20)를 체결한다.
제1체결부(400)는 상부관통공부(211)를 관통하거나 나사 체결되면서, 제2하부관통공부(121)와 나사 체결되어, 상부블럭부(200)와 하부블럭부(100)를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체결부(500)는 제1하부관통공부(111)를 관통하거나 제1하부관통공부(111)와 나사 체결되면서, 프레임부(20)와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제2체결부(500)에 의해 하부블럭부(100)의 하부블럭베이스부(110)와 프레임부(20)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부품의 수가 감소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수소저장탱크 11: 노즐부
13: 노즐 15: 개폐부
20: 프레임부 30: 고정블럭부
40: 슬라이딩블럭부 100: 하부블럭부
110: 하부블럭베이스부 111: 제1하부관통공부
120: 하부블럭몸체부 121: 제2하부관통공부
123: 하부수용홈부 130: 볼록부
200: 상부블럭부 210: 상부블럭몸체부
211: 상부관통공부 213: 상부수용홈부
220: 오목부 221: 오목홈부
223: 걸림턱부 300: 슬라이드볼부
400: 제1체결부 500: 제2체결부
600: 제3체결부

Claims (7)

  1. 수소저장탱크;
    상기 수소저장탱크가 안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노즐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슬라이딩블럭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블럭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럭부;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게, 상기 하부블럭부와 요철 결합되는 상부블럭부; 및
    상기 노즐부의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상부블럭부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노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럭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하부블럭베이스부;
    상기 하부블럭베이스부에서 상기 상부블럭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볼부를 수용하는 하부블럭몸체부; 및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에서 상기 상부블럭부를 향해 볼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블럭부와 요철 결합되는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수소저장탱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의 최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부는,
    상기 하부블럭몸체부에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볼부를 수용하는 상부블럭몸체부; 및
    상기 상부블럭몸체부에서 상기 볼록부에 대향되게 오목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와 요철 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오목홈부; 및
    상기 오목홈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는 상기 오목홈부에서 상기 볼록부의 외측면의 3면을 감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블럭부는,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상부블럭부를 체결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하부블럭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체결하는 제2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1020200137413A 2020-10-22 2020-10-22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102410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13A KR102410607B1 (ko) 2020-10-22 2020-10-22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US18/032,504 US20230408039A1 (en) 2020-10-22 2021-10-13 Hydrogen tank support apparatus
EP21883107.1A EP4235014A4 (en) 2020-10-22 2021-10-13 HYDROGEN TANK SUPPORT DEVICE
CN202180072173.2A CN116507847A (zh) 2020-10-22 2021-10-13 氢罐支撑装置
PCT/KR2021/014125 WO2022086036A1 (ko) 2020-10-22 2021-10-13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413A KR102410607B1 (ko) 2020-10-22 2020-10-22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222A true KR20220053222A (ko) 2022-04-29
KR102410607B1 KR102410607B1 (ko) 2022-06-20

Family

ID=8142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413A KR102410607B1 (ko) 2020-10-22 2020-10-22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0607B1 (ko)
CN (1) CN11650784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80B1 (ko) * 2001-10-30 2006-03-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고압용기의 지지구조 및 지지방법
JP4413776B2 (ja) * 2002-06-14 2010-02-10 ジェネラル・ダイナミックス・アーマメント・アンド・テクニ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収容円筒体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KR101646462B1 (ko) * 2015-05-06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압력용기 시스템
JP6468234B2 (ja) * 2016-04-01 2019-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車両
KR101925886B1 (ko) * 2017-04-20 2019-02-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압탱크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280B1 (ko) * 2001-10-30 2006-03-27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고압용기의 지지구조 및 지지방법
JP4413776B2 (ja) * 2002-06-14 2010-02-10 ジェネラル・ダイナミックス・アーマメント・アンド・テクニカル・プロダクツ,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流体収容円筒体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KR101646462B1 (ko) * 2015-05-06 2016-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압력용기 고정장치 및 압력용기 시스템
JP6468234B2 (ja) * 2016-04-01 2019-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を搭載した車両
KR101925886B1 (ko) * 2017-04-20 2019-02-2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압탱크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607B1 (ko) 2022-06-20
CN116507847A (zh)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606B1 (ko)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102410607B1 (ko)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20180066305A (ko) 수소연료 저장용기용 밸브
JPH1144399A (ja) 耐圧容器
JPH10332084A (ja) 耐圧容器
US8360027B2 (en) Fuel tank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assembly
CN105655951A (zh) 金具和绝缘子及其复合横担和输电塔
KR102022558B1 (ko) 고압용기 체결기구
CN110281756A (zh) 一种汽车电池组安装支架
US20230408039A1 (en) Hydrogen tank support apparatus
KR20220093707A (ko) 수소저장탱크 지지 장치
KR102201793B1 (ko) 고압 탱크의 실링장치 및 이를 포함한 고압 탱크
KR20240056923A (ko) 압력용기 고정장치
WO2022048594A1 (zh) 壳体及平衡车
CN218396703U (zh) 一种电池模组焊接工装
CN1862173A (zh) 冰箱高度调节装置
JP7433589B2 (ja) タンク集合装置
CN212407716U (zh) 一种汽车用高温高压无泄漏电磁阀
CN220163669U (zh) 安装支架以及汽车
CN206010268U (zh) 一种法兰头夹具
CN220810449U (zh) 一种方便固定的塑料桶用抱箍
CN216940486U (zh) 拆除工具
CN214788532U (zh) 一种转轴套件及电子设备
EP4023927A1 (en) Pressure vessel
CN215257265U (zh) 一种防拆卸插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