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956A -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 Google Patents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956A
KR20220052956A KR1020227008325A KR20227008325A KR20220052956A KR 20220052956 A KR20220052956 A KR 20220052956A KR 1020227008325 A KR1020227008325 A KR 1020227008325A KR 20227008325 A KR20227008325 A KR 20227008325A KR 20220052956 A KR20220052956 A KR 2022005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hloroprene
less
rubb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쓰노리 곤도
와타루 니시노
스구루 오누키
Original Assignee
덴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덴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136/1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08F136/16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 C08F136/18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2Polymerisation in water-in-oil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with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3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236/0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236/14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 C08F236/16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 C08F236/18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containing halogen containing chl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1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와, 말레이미드 화합물 0.50∼4.0질량부와, 유기 과산화물 0.10∼2.0질량부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 당해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 및, 당해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

Description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본 발명은, 고무 조성물, 가황물, 가황 성형체 등에 관한 것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기계 특성, 내오존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그 특성을 살려 자동차 부품, 접착제, 각종 공업용 고무 부품 등의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기술로서는, 하기 특허문헌 1∼3에 기재된 고무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6-2319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2-1118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268239호 공보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에 대해서는, 우수한 내열성 및 저발열성(발열이 적은 특성)을 갖는 가황물을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우수한 내열성 및 저발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는 것이 가능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클로로프렌계 고무에 대해서 특정량의 말레이미드 화합물 및 유기 과산화물을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및 저발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는 것에 성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와, 말레이미드 화합물 0.50∼4.0질량부와, 유기 과산화물 0.10∼2.0질량부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술한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전술한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우수한 내열성 및 저발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는 것이 가능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치 범위의 「A 이상」이란, A, 및, A를 초과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수치 범위의 「A 이하」란, A, 및, A 미만의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느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다른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치 또는 하한치는,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A 또는 B」란, A 및 B의 어느 한쪽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양쪽 모두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하는 재료는,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1종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한 공정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에도 그 공정의 소기의 작용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및, 그것에 대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적어도 한쪽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 등의 다른 유사한 표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고무 조성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1) 클로로프렌(2-클로로-1,3-뷰타다이엔)계 고무 100질량부와, (2) 말레이미드 화합물 0.50∼4.0질량부와, (3) 유기 과산화물 0.10∼2.0질량부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에 의하면, 당해 고무 조성물을 가황하여 얻어지는 가황물로서, 우수한 내열성 및 저발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클로로프렌계 고무에 대해서 전술한 특정량의 말레이미드 화합물 및 유기 과산화물을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는 것에 성공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을 수도 있다.
(1) 클로로프렌계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고, 클로로프렌을 단량체 단위(클로로프렌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다. 클로로프렌 중합체로서는,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클로로프렌의 공중합체(클로로프렌과 클로로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중합체의 폴리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로로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서는,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류((메트)아크릴산 메틸, (메트)아크릴산 뷰틸, (메트)아크릴산 2-에틸헥실 등),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류(2-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 1-클로로-1,3-뷰타다이엔,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에틸렌,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로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는 1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클로로프렌의 공중합체는, 클로로프렌을 포함하는 3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한 공중합체여도 된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클로로프렌과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의 공중합체, 및, 클로로프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및, 클로로프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과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의 공중합체는,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와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클로로프렌과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을 단량체 단위(클로로프렌 단량체 단위 및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 공중합체이다. 클로로프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는,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와 아크릴로나이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클로로프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을 단량체 단위(클로로프렌 단량체 단위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단량체 단위)로서 갖는 공중합체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공중합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를 초과하고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다.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100질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3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1질량%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클로로프렌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공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클로로프렌에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공중합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 및, 이들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에 의한 효과를 발현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미만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다.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0질량%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상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질량%를 초과하고 50질량% 이하이다. 마찬가지의 관점에서, 아크릴로나이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은, 전술한 각 범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계 고무(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클로로프렌의 공중합체 등)는, 황 변성 클로로프렌계 고무, 머캅탄 변성 클로로프렌계 고무, 잔토겐 변성 클로로프렌계 고무, 다이싸이오카보네이트계 클로로프렌계 고무, 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계 클로로프렌계 고무, 카바메이트계 클로로프렌계 고무 등이어도 된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로서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를 이용하는 경우,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는,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머캅탄 변성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 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분자량의 다분산도, Mw/Mn)는,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하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103g/mol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3g/mol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103g/mol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103g/mol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400×103g/mol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450×103g/mol 이상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00×103g/mol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103g/mol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00×103g/mol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103g/mol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800×103g/mol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500×103g/mol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103∼5000×103g/mo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3∼2000×103g/mol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00×103∼1000×103g/mol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103g/mol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03g/mol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103g/mol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3g/mol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00×103g/mol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30×103g/mol 이상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103g/mol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103g/mol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0×103g/mol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103g/mol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200×103g/mol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50×103g/mol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103∼1000×103g/mol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3∼500×103g/mol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103∼300×103g/mol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3.2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4 이상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3.8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4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1.0∼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5∼4.0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 평균 분자량(Mn)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하여, 폴리스타이렌 환산함으로써 얻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은, 고무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무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를 초과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95질량%를 초과하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96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9질량% 이상이다. 고무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무 성분은, 클로로프렌계 고무로 이루어지는(고무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무 성분의 실질적으로 100질량%가 클로로프렌계 고무인) 태양이어도 된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은, 고무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45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50질량%를 초과하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55질량%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5질량%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0∼9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70질량%이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제조 방법은, 클로로프렌을 포함하는 원료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중합 공정을 구비한다.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예를 들어, 유화 분산제를 이용하여, 중합 반응의 촉매, 촉매 활성화제,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등의 존재하에서, 클로로프렌을 포함하는 원료 단량체(예를 들어, 클로로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원료 단량체)를 유화 중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유화 분산제로서는, 탄소수가 6∼22인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로진산 또는 불균화 로진산의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로진산 칼륨), β-나프탈렌설폰산의 폼알린 축합물의 알칼리 금속염(예를 들어 나트륨염)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반응의 촉매로서는, 황산 칼륨 등의 무기 과산화물; 케톤 퍼옥사이드류, 퍼옥시케탈류,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 다이알킬퍼옥사이드류, 다이아실퍼옥사이드류 등의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촉매 활성화제로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칼륨, 산화 철(II), 안트라퀴논, β-설폰산 나트륨, 폼아미딘설폰산, L-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공지된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과산화 수소,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클로로프렌의 유화 중합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공지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할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n-도데실머캅탄, t-도데실머캅탄, n-옥틸머캅탄 등의 장쇄 알킬 머캅탄류; 다이아이소프로필잔토겐다이설파이드, 다이에틸잔토겐다이설파이드 등의 잔토겐 화합물; 아이오도폼; 벤질 1-피롤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벤질 1-피롤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벤질페닐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1-벤질-N,N-다이메틸-4-아미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1-벤질-4-메톡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1-페닐에틸이미다졸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1-페닐에틸이미다졸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벤질-1-(2-피롤리딘온)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벤질-1-(2-피롤리딘온)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벤질프탈이미딜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벤질프탈이미딜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2-사이아노프로프-2-일-1-피롤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2-사이아노프로프-2-일-1-피롤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2-사이아노뷰트-2-일-1-피롤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2-사이아노뷰트-2-일-1-피롤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벤질-1-이미다졸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별명 벤질-1-이미다졸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2-사이아노프로프-2-일-N,N-다이메틸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벤질-N,N-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사이아노메틸-1-(2-피롤리돈)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2-(에톡시카보닐벤질)프로프-2-일-N,N-다이에틸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1-페닐에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2-페닐프로프-2-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1-아세트산-1-일-에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1-(4-메톡시페닐)에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벤질다이싸이오아세테이트, 에톡시카보닐메틸다이싸이오아세테이트, 2-(에톡시카보닐)프로프-2-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2-사이아노프로프-2-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t-뷰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2,4,4-트라이메틸펜타-2-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2-(4-클로로페닐)-프로프-2-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3-바이닐벤질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4-바이닐벤질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벤질다이에톡시포스핀일다이싸이오포메이트, t-뷰틸트라이싸이오퍼벤조에이트, 2-페닐프로프-2-일-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나프탈렌-1-카복실산-1-메틸-1-페닐-에틸에스터, 4-사이아노-4-메틸-4-싸이오벤질설판일뷰티르산, 다이벤질테트라싸이오테레프탈레이트, 카복시메틸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말단기를 갖는 폴리(산화 에틸렌), 4-사이아노-4-메틸-4-싸이오벤질설판일뷰티르산 말단기를 갖는 폴리(산화 에틸렌), 2-[(2-페닐에테인싸이오일)설판일]프로판산, 2-[(2-페닐에테인싸이오일)설판일]석신산, 3,5-다이메틸-1H-피라졸-1-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칼륨, 사이아노메틸-3,5-다이메틸-1H-피라졸-1-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사이아노메틸메틸-(페닐)다이싸이오카바메이트, 벤질-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페닐메틸-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4-나이트로벤질-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페닐프로프-2-일-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1-사이아노-1-메틸에틸-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3-클로로-2-뷰텐일-4-클로로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2-클로로-2-뷰텐일다이싸이오벤조에이트, 벤질다이싸이오아세테이트, 3-클로로-2-뷰텐일-1H-피롤-1-다이싸이오카복실산, 2-사이아노뷰탄-2-일-4-클로로-3,5-다이메틸-1H-피라졸-1-카보다이싸이오에이트, 사이아노메틸메틸(페닐)카바모다이싸이오에이트, 2-사이아노-2-프로필도데실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다이벤질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뷰틸벤질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2-[[(뷰틸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프로피온산, 2-[[(도데실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프로피온산, 2-[[(뷰틸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석신산, 2-[[(도데실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석신산, 2-[[(도데실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2-메틸프로피온산, 2,2'-[카보노싸이오일비스(싸이오)]비스[2-메틸프로피온산], 2-아미노-1-메틸-2-옥소에틸뷰틸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벤질-2-[(2-하이드록시에틸)아미노]-1-메틸-2-옥소에틸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3-[[[(t-뷰틸)싸이오]싸이옥소메틸]싸이오]프로피온산, 사이아노메틸도데실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다이에틸아미노벤질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다이뷰틸아미노벤질트라이싸이오카보네이트 등의 싸이오카보닐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중합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유화 중합이 행해지는 온도로서, 바람직하게는 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이다. 전술한 중합 공정에서 얻어지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최종 중합률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0∼100%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 전화율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소망하는 전화율이 되었을 때에, 중합 반응을 정지시키는 중합 정지제를 첨가하여 중합을 정지시킬 수 있다.
중합 정지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 이용되고 있는 중합 정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중합 정지제로서는, 싸이오다이페닐아민(별명 페노싸이아진), 4-t-뷰틸카테콜, 2,2-메틸렌비스-4-메틸-6-t-뷰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중합 공정에 의해 얻어진 중합액으로부터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그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스팀 스트리핑법을 들 수 있다. 그 후, pH를 조정하고, 통상적인 방법의 동결 응고, 수세, 열풍 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얻을 수 있다.
(2) 말레이미드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은, 말레이미드에서 유래하는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은,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가황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말레이미드 화합물로서는, N,N'-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N,N'-o-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N,N'-p-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등), N,N'-다이페닐메테인비스말레이미드(N,N'-(4,4'-다이페닐메테인)비스말레이미드 등), 2,2-비스-[4-(4-말레이미드페녹시)페닐]프로페인, 비스(3-에틸-5-메틸-4-말레이미드페닐)메테인, 비스페놀 A 다이페닐 에터 비스말레이미드, 3,3'-다이메틸-5,5'-다이에틸-4,4'-다이페닐메테인비스말레이미드, 4-메틸-1,3-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1,6'-비스말레이미드-(2,2,4-트라이메틸)헥세인 등의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은, 가황물(예를 들어 가황 성형체)의 내열성, 저발열성 및 내압축영구변형성이 향상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비스말레이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N'-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및 N,N'-다이페닐메테인비스말레이미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N,N'-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고,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0.50∼4.0질량부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0.50질량부 이상이면, 고무 조성물의 가황이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가황물의 저발열성이 향상됨과 함께 가황물의 내압축영구변형성이 향상되기 쉽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4.0질량부 이하이면, 가황물(예를 들어 가황 성형체)의 고무 탄성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가황물의 내열성(예를 들어 열노화 후의 절단시 신도)이 향상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70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8질량부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8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질량부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3.2질량부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2.8질량부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2.5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2질량부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70∼3.0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질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2.0질량부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2.2질량부 이상, 2.5질량부 이상, 2.8질량부 이상, 또는, 3.0질량부 이상이어도 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1.8질량부 이하, 1.5질량부 이하, 1.2질량부 이하, 1.0질량부 이하, 또는, 0.70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고무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0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0.70질량%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2질량% 이상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8질량%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3질량%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0∼3.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2.8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0∼2.0질량%이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1.3질량% 이상, 1.5질량% 이상, 또는, 1.8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은, 1.2질량% 이하, 1.0질량% 이하, 0.70질량% 이하, 0.50질량% 이하, 또는, 0.40질량% 이하여도 된다.
(3) 유기 과산화물
유기 과산화물은, 고무 조성물에 있어서 가황 조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다이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1,1-비스(t-뷰틸퍼옥시)-3,5,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뷰티릴퍼옥사이드, 큐밀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다이-n-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아이소프로필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sec-뷰틸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다이(4-t-뷰틸사이클로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다이(2-에틸헥실)퍼옥시다이카보네이트, t-헥실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뷰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뷰틸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t-헥실퍼옥시피발레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다이(3,5,5-트라이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다이라우로일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석신산 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세인,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4-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t-뷰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다이(3-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벤조일(3-메틸벤조일)퍼옥사이드, 다이벤조일퍼옥사이드, 1,1-다이(t-뷰틸퍼옥시)-2-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t-헥실퍼옥시)-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t-헥실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1,1-다이(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세인, 2,2-다이(4,4-다이-(t-뷰틸퍼옥시)사이클로헥실)프로페인, t-헥실퍼옥시아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뷰틸퍼옥시말레산, t-뷰틸퍼옥시-3,5,5-트라이메틸헥사노에이트, t-뷰틸퍼옥시라우레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뷰틸퍼옥시-2-에틸헥실모노카보네이트,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 2,5-다이메틸-2,5-다이(벤조일퍼옥시)헥세인,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2,2-다이-(t-뷰틸퍼옥시)뷰테인, t-뷰틸퍼옥시벤조에이트, n-뷰틸-4,4-다이-(t-뷰틸퍼옥시)발레레이트, 1,4-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다이-t-헥실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세인,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p-멘테인하이드로퍼옥사이드, 2,5-다이메틸-2,5-다이(t-뷰틸퍼옥시)헥신-3, 다이아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1,3,3-테트라메틸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t-뷰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은, 가황물(예를 들어 가황 성형체)의 저발열성 및 내압축영구변형성이 향상되기 쉽다는 관점에서, 퍼옥시케탈류 및 다이알킬퍼옥사이드류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뷰틸-4,4-다이-(t-뷰틸퍼옥시)발레레이트 및 1,4-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4-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0.10∼2.0질량부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0.10질량부 이상이면, 고무 조성물의 가황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것에 의해 가황이 충분히 진행되기 때문에, 가황물의 내열성(예를 들어 열노화 후의 절단시 신도) 및 저발열성이 향상됨과 함께 가황물의 내압축영구변형성이 향상되기 쉽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이 2.0질량부 이하이면, 가황 밀도의 급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에 가황물의 내열성(예를 들어 열노화 후의 절단시 신도)이 향상된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5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질량부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0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질량부 이상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8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질량부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질량부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0.80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50질량부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40질량부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5∼1.8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1.0질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0∼0.80질량부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0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0질량부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질량부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1.7질량부 이상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0.30질량부 이하, 0.20질량부 이하, 또는, 0.15질량부 이하여도 된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고무 조성물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06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7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0.10질량%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2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4질량% 이상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내열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질량%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0.80질량%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질량%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2.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5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20∼0.80질량%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우수한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5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0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0질량%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80질량%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다.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은, 0.24질량% 이하, 0.20질량% 이하, 0.15질량% 이하, 0.10질량% 이하, 0.07질량% 이하, 또는, 0.06질량% 이하여도 된다.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 A의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 B에 대한 질량비 A/B는, 하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비 A/B는, 내열성, 저발열성 및 내압축영구변형성의 균형이 우수한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질량비 A/B는, 가황 밀도의 급상승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내열성(예를 들어 열노화 후의 절단시 신도) 및 내압축영구변형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기 때문에, 내열성, 저발열성 및 내압축영구변형성의 균형이 우수한 가황물을 얻기 쉽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이하이고, 극히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매우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고,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이들의 관점에서, 질량비 A/B는, 바람직하게는 1.0∼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1.0∼7.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0∼7.0이다. 질량비 A/B는,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10 이상, 또는, 15 이상이어도 된다. 질량비 A/B는,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5 이하, 1.3 이하, 또는, 1.2 이하여도 된다.
(4) 그 외의 화합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과는 상이한 성분으로서, 고무 성분(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제외한다); 가황제(말레이미드 화합물을 제외한다); 가황 촉진제; 가황 조제(유기 과산화물을 제외한다); 가소제; 카본 블랙; 충전재(보강재); 가공 조제; 노화 방지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고무 성분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해도 되고,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염소화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고무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무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질량% 이하, 5질량% 미만, 3질량% 이하, 1질량% 이하, 또는, 1질량% 미만이어도 된다.
가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 산화물이 바람직하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산화 납, 사산화 삼납, 삼산화 철, 이산화 타이타늄, 산화 칼슘,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황제(말레이미드 화합물을 제외한다)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3∼15질량부여도 된다.
가황 촉진제로서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가황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가황 촉진제로서는, 싸이오유레아계, 구아니딘계, 티우람계, 싸이아졸계 등의 가황 촉진제; 다이메틸암모늄 하이드로젠 아이소프탈레이트; 1,2-다이머캅토-1,3,4-싸이아다이아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싸이오유레아계의 가황 촉진제로서는, 에틸렌싸이오유레아, 다이에틸싸이오유레아, 트라이메틸싸이오유레아, 트라이에틸싸이오유레아, N,N'-다이페닐싸이오유레아 등을 들 수 있고, 트라이메틸싸이오유레아 및 에틸렌싸이오유레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고무 조성물의 가황 속도 또는 가황 밀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가황 조제로서, 2작용성 에스터 화합물 및 3작용성 에스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2작용성 에스터 화합물 및 3작용성 에스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에틸렌 글라이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알릴 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서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와 상용성이 있는 가소제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식물유(채종유 등),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DOS, DOA, 에스터계 가소제, 폴리에터에스터계 가소제, 싸이오에터계 가소제, 아로마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등을 들 수 있고, 고무 조성물에 요구되는 특성에 맞추어 1종 또는 복수종을 사용할 수 있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5∼50질량부여도 된다.
충전재(보강재)로서는, 카본 블랙, 실리카, 클레이, 탤크, 탄산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충전재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5∼100질량부여도 된다.
가공 조제로서는, 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 폴리에틸렌 등의 파라핀계 가공 조제; 지방산 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가공 조제(유기 과산화물을 제외한다)의 함유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에 대해서 0.5∼5질량부여도 된다.
노화 방지제로서는, 아민계 노화 방지제, 이미다졸계 노화 방지제, 카밤산 금속염, 페놀계 노화 방지제,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의 개량 효과가 큰 아민계 노화 방지제로서는, 4,4'-비스(α,α-다이메틸벤질)다이페닐아민, 옥틸화 다이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고, 4,4'-비스(α,α-다이메틸벤질)다이페닐아민의 내열성의 개량 효과가 특히 크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을 그 가황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혼련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련 장치로서는, 믹서, 밴버리 믹서, 니더 믹서, 2본 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미가황 성형체,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의 성형체(성형품)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가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을 성형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가황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을 이용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의 성형체(성형품)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에 관해서, JIS K 6262:2013에 준거하여 130℃(시험 온도), 72시간(시험 시간)의 시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가황 성형체의 압축영구변형의 변화율은,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는, 가황 성형체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말레이미드 화합물을 0.01∼2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을 가황하여 얻어지는 가황물을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성형체를 가황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 성형체의 제조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가황물을 성형하는 공정, 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가황 성형체를 가황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가황 성형체,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는, 건축물, 구축물, 선박, 철도, 탄광, 자동차 등의 각종 공업 분야의 고무 부품으로서 이용 가능하고, 자동차용 고무 부재(예를 들어 자동차용 실링재), 호스재, 고무형물, 개스킷, 고무 롤, 산업용 케이블,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 등의 고무 부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고무 조성물(미가황 상태) 및 가황물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프레스 성형, 압출 성형, 캘린더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고무 조성물을 가황하는 온도는, 고무 조성물의 조성에 맞추어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140∼2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190℃이다. 고무 조성물을 가황하는 가황 시간은, 고무 조성물의 조성, 미가황 성형체의 형상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고, 10∼60분이어도 된다.
실시예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의 제조>
가열 냉각 재킷 및 교반기를 구비한 내용적 3리터의 중합 캔에, 클로로프렌 단량체 24질량부, 아크릴로나이트릴 단량체 24질량부, 다이에틸잔토겐다이설파이드 0.5질량부, 순수 200질량부, 로진산 칼륨(하리마 화성 주식회사제) 5.00질량부, 수산화 나트륨 0.40질량부, 및, β-나프탈렌설폰산 폼알린 축합물의 나트륨염(가오 주식회사제) 2.0질량부를 첨가했다.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 칼륨 0.1질량부를 첨가하고, 중합 온도 40℃에서 질소 기류하에서 유화 중합을 행했다. 전술한 클로로프렌 단량체는, 중합 개시 20초 후부터 분첨(分添)하고, 중합 개시부터의 10초간의 냉매의 열량 변화를 바탕으로 분첨 유량(流量)을 전자 밸브로 조정하고, 이후 10초마다 유량을 재조절함으로써 연속적으로 행했다. 클로로프렌 단량체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단량체의 합계량에 대한 중합률이 50%가 된 시점에서, 중합 정지제인 페노싸이아진 0.02질량부를 가하여 중합을 정지시켰다. 그 후, 감압하에서 반응 용액 중의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함으로써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를 얻었다.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의 전술한 중합률은,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를 풍건했을 때의 건조 질량으로부터 산출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I)에 의해 계산했다. 식 중, 「고형분 농도」란, 샘플링한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 2g을 130℃에서 가열하여, 용매(물), 휘발성 약품, 원료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한 고형분의 농도[질량%]이다. 「총투입량」이란, 중합 개시부터 어느 시각까지 중합 캔에 투입한 원료, 시약 및 용매(물)의 총량이다. 「증발잔분」이란, 중합 개시부터 어느 시각까지 투입한 약품 및 원료 중, 130℃의 조건하에서 휘발되지 않고 폴리머와 함께 고형분으로서 잔류하는 약품의 질량이다. 단량체 투입량은, 중합 캔에 초기에 투입한 단량체, 및, 중합 개시부터 어느 시각까지 분첨한 단량체의 양의 합계이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단량체」란, 클로로프렌 단량체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단량체의 합계량이다.
중합률[%]={(총투입량[g]×고형분 농도[질량%]/100)-(증발잔분[g])}/단량체 투입량[g]×100 ···(I)
전술한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의 pH를, 아세트산 또는 수산화 나트륨을 이용하여 7.0으로 조정한 후, -20℃로 냉각시킨 금속판 상에서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라텍스를 동결 응고시킴으로써 유화 파괴하는 것에 의해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수세한 후, 130℃에서 15분간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고형상의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를 얻었다.
전술한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를 THF로 샘플 조정 농도 0.1질량%의 용액으로 한 후, 고속 GPC 장치(TOSOH HLC-8320GPC: 도소 주식회사제)에 의해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 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Mw/Mn)를 측정했다(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 그 때, 프리컬럼으로서 TSK 가이드 컬럼 HHR-H를 사용하고, 분석 컬럼으로서 HSKgelGMHHR-H를 3개 사용하여, 샘플 펌프압 8.0∼9.5MPa, 유량 1mL/min, 40℃에서 유출시켜, 시차 굴절계로 검출했다.
유출 시간 및 분자량은, 이하에 드는 분자량 기지의 표준 폴리스타이렌 샘플 합계 9점을 측정하여 작성한 교정 곡선을 이용하여 얻었다.
Mw=8.42×106, 1.09×106, 7.06×105, 4.27×105, 1.90×105, 9.64×104, 3.79×104, 1.74×104, 2.63×103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473×103g/mol이고, 수 평균 분자량(Mn)은 138×103g/mol이고, 분자량 분포(Mw/Mn)는 3.4였다.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 중의 아크릴로나이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 중의 질소 원자의 함유량으로부터 산출했다. 구체적으로는, 원소 분석 장치(수미그래프 220F: 주식회사 스미카 분석 센터제)를 이용하여, 100mg의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 중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의 함유량을 측정하여, 아크릴로나이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을 산출했다. 아크릴로나이트릴 유래의 구조 단위량은 9.9질량%였다.
전술한 원소 분석은 다음과 같이 행했다. 전기로 온도로서 반응로 900℃, 환원로 600℃, 컬럼 온도 70℃, 검출기 온도 100℃로 설정하고, 연소용 가스로서 산소를 0.2ml/min, 캐리어 가스로서 헬륨을 80ml/min 플로했다. 검량선은, 질소 함유량이 기지인 아스파라긴산(10.52%)을 표준 물질로서 이용하여 작성했다.
<고무 조성물의 제조>
표 1에 기재된 클로로프렌계 고무, 말레이미드 화합물 및 유기 과산화물과, 산화 아연 5질량부와, 산화 마그네슘 4질량부와, 가소제 10질량부와, 충전재 40질량부와, 가공 조제 1질량부와, 노화 방지제 3질량부를 8인치 오픈 롤로 혼련하는 것에 의해 실시예 1∼9 및 비교예 1∼6의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표 1에 기재된 클로로프렌계 고무와, 산화 아연 5질량부와, 산화 마그네슘 4질량부와, 가소제 10질량부와, 충전재 40질량부와, 가공 조제 1질량부와, 노화 방지제 3질량부와, 가황 촉진제 1질량부를 8인치 오픈 롤로 혼련하는 것에 의해 비교예 7의 고무 조성물을 얻었다.
고무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 이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클로로프렌계 고무 1: 전술한 방법으로 제작한 클로로프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 고무
클로로프렌계 고무 2: 머캅탄 변성 클로로프렌계 고무(머캅탄 변성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생고무, 무니 점도 ML1+4(100℃)=60, 덴카 주식회사제
말레이미드 화합물 1: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오우치 신코 화학공업제 「벌녹(등록상표) PM」
말레이미드 화합물 2: N,N'-(4,4'-다이페닐메테인)비스말레이미드, 오와 화성사제 「BMI-1000」
유기 과산화물 1: 1,4-비스[(t-뷰틸퍼옥시)아이소프로필]벤젠, 니혼 유지 주식회사제 「퍼뷰틸(등록상표) P-40」
유기 과산화물 2: n-뷰틸-4,4-다이-(t-뷰틸퍼옥시)발레레이트, 니혼 유지 주식회사제 「퍼헥사(등록상표) V-40」
산화 아연: 가황제, 사카이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산화 아연 2종」
산화 마그네슘: 가황제, 교와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교와마그(등록상표) 30」
가소제: 폴리에터에스터계 가소제, 주식회사 ADEKA제 「아데카사이저(등록상표) RS-700」
충전재: 카본 블랙, 아사히 카본 주식회사제 「아사히#60UG」
가공 조제: 활제, 스테아르산, 신닛폰 리카 주식회사제 「스테아르산 50S」
노화 방지제: 4,4'-비스(α,α-다이메틸벤질)다이페닐아민, 오우치 신코 화학공업 주식회사제 「노크랙(등록상표) CD」
가황 촉진제: 오우치 신코 화학공업제 「녹셀러 TMU」
<가황 성형체의 제조>
전술한 고무 조성물을 180℃×30분의 조건에서 프레스 가황하는 것에 의해 두께 2mm의 시트상의 가황 성형체를 제작했다.
<가황 성형체의 평가>
전술한 가황 성형체의 평가를 이하와 같이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내열성)
전술한 가황 성형체를 이용하여, JIS K 6251:2010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절단시 신도 X1(Eb)을 측정했다. 130℃, 72시간의 조건에서 가황 성형체를 방치한 후, JIS K 6257:2017에 준거하여 인장 시험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절단시 신도 X2(Eb)를 측정했다. 하기 식에 따라 절단시 신도의 변화율(ΔEb, 단위: %)을 산출했다. 절단시 신도의 변화율이 -30% 이상인 경우를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변화율(%)=[(X2-X1)/X1]×100
(내압축영구변형성(CS))
JIS K 6262:2013에 준거하여 130℃, 72시간의 시험 조건에서 전술한 가황 성형체를 방치하는 전후의 압축영구변형의 변화율을 측정했다. 압축영구변형의 변화율이 40% 이하인 경우를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저발열성)
저발열성의 평가를 굿리치 플렉소미터(Goodrich Flexometer: JIS K 6265)에 의해 행했다. 굿리치 플렉소미터는, 가황 고무 등의 시험편에 동적 반복 부하를 가하여, 시험편 내부의 발열에 의한 피로 특성을 평가하는 시험 방법이며, 상세하게는, 일정한 온도 조건에서 시험편에 정적 초기 하중을 가하고, 일정 진폭의 정현 진동을 추가로 가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하는 시험편의 발열 온도 및 크리프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전술한 가황 성형체를 이용하여, JIS K 6265:2018에 준거하여, 온도 50℃, 변형 0.175인치, 하중 55파운드, 진동수 매분 1800회의 조건에서 발열량(ΔT, 단위: ℃)을 측정했다. 발열량이 40℃ 이하인 경우를 양호하다고 판단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고무 조성물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 저발열성 및 우수한 내압축영구변형성을 갖는 가황물(가황 성형체)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가황물은, 각종 고무 부품으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클로로프렌계 고무 100질량부와, 말레이미드 화합물 0.50∼4.0질량부와, 유기 과산화물 0.10∼2.0질량부를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미드 화합물의 함유량 A의 상기 유기 과산화물의 함유량 B에 대한 질량비 A/B가 1.0∼10인, 고무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가, 클로로프렌의 단독중합체, 클로로프렌과 2,3-다이클로로-1,3-뷰타다이엔의 공중합체, 및, 클로로프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함유량이, 당해 고무 조성물에 함유되는 고무 성분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98질량% 이상인, 고무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무 조성물의 가황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무 조성물의 가황 성형체.
  7. 제 6 항에 있어서,
    JIS K 6262:2013에 준거하여 130℃, 72시간의 시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압축영구변형의 변화율이 40% 이하인, 가황 성형체.
KR1020227008325A 2019-08-23 2020-08-12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KR20220052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52721 2019-08-23
JPJP-P-2019-152721 2019-08-23
PCT/JP2020/030668 WO2021039396A1 (ja) 2019-08-23 2020-08-12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956A true KR20220052956A (ko) 2022-04-28

Family

ID=74684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325A KR20220052956A (ko) 2019-08-23 2020-08-12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25071A1 (ko)
EP (1) EP3954732A4 (ko)
JP (1) JP7438226B2 (ko)
KR (1) KR20220052956A (ko)
CN (1) CN113891911A (ko)
WO (1) WO2021039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3897A1 (ja) * 2020-11-27 2022-06-02 デンカ株式会社 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該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の加硫物、および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の加硫成形体
WO2023189908A1 (ja) * 2022-03-29 2023-10-05 デンカ株式会社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239A (ja) 1996-01-31 1997-10-14 Nippon Zeon Co Ltd 低発熱性ゴム組成物およびロール
JP2012111899A (ja) 2010-11-26 2012-06-14 Denki Kagaku Kogyo Kk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JP2016023191A (ja) 2014-07-16 2016-02-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7022B2 (ko) * 1973-01-12 1982-10-06
JP2001173724A (ja) * 1999-12-22 2001-06-26 Bando Chem Ind Ltd 歯付ベルト
JP2001288304A (ja) 2000-04-03 2001-10-16 Denki Kagaku Kogyo Kk 水素化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
JP2003342419A (ja) * 2002-05-29 2003-12-03 Denki Kagaku Kogyo Kk 水素化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
JP2003342420A (ja) * 2002-05-29 2003-12-03 Denki Kagaku Kogyo Kk 水素化クロロプレン系ゴム組成物
JP2007120759A (ja) 2005-09-30 2007-05-17 Mitsuboshi Belting Ltd 伝動ベルト
JP5283353B2 (ja) 2007-07-30 2013-09-0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バネ用ゴム組成物及び空気バネ
CN105419034A (zh) * 2015-12-31 2016-03-23 崇夕山 一种具有优异热稳定性的摩托车发动机橡胶垫片
JP6706854B2 (ja) * 2016-02-12 2020-06-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耐熱性架橋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熱性製品
CN107778592A (zh) * 2016-08-26 2018-03-09 特变电工股份有限公司 低温硫化氯丁橡胶电缆护套料及其制备方法、电缆护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239A (ja) 1996-01-31 1997-10-14 Nippon Zeon Co Ltd 低発熱性ゴム組成物およびロール
JP2012111899A (ja) 2010-11-26 2012-06-14 Denki Kagaku Kogyo Kk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JP2016023191A (ja) 2014-07-16 2016-02-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38226B2 (ja) 2024-02-26
JPWO2021039396A1 (ko) 2021-03-04
WO2021039396A1 (ja) 2021-03-04
CN113891911A (zh) 2022-01-04
EP3954732A4 (en) 2022-06-08
US20220325071A1 (en) 2022-10-13
EP3954732A1 (en)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95625B1 (en)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rubber, and molded article of said vulcanized rubber
CN105026483A (zh) 橡胶组合物和硫化成型体
KR20220052956A (ko) 고무 조성물, 가황물 및 가황 성형체
WO2018110369A1 (ja) キサントゲン変性クロロプレンゴム及びそのゴム組成物、並びにその加硫成形体
WO2022091518A1 (ja)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JP7365888B2 (ja) ゴム組成物、該ゴム組成物の加硫成形体
WO2020095961A1 (ja)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加硫成形体
EP3835331A1 (en) Acrylic copolymer and rubber material
WO2022085270A1 (ja)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加硫成形体
EP4253466A1 (en)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object obtained from said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molded object obtained from said rubber composition
EP3862389B1 (en) Chloroprene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ation molded body
US20230399497A1 (en) Chloroprene-based rubber composition, vulcanized object obtained from said chloroprene-based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molded object obtained from chloroprene-based rubber composition
WO2020162080A1 (ja) ゴム組成物、加硫物及び成形品
EP4353756A1 (en) Acrylic copolymer, acrylic-copolymer-containing composition, and crosslinked acrylic c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