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2120A -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 Google Patents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2120A
KR20220052120A KR1020200136096A KR20200136096A KR20220052120A KR 20220052120 A KR20220052120 A KR 20220052120A KR 1020200136096 A KR1020200136096 A KR 1020200136096A KR 20200136096 A KR20200136096 A KR 20200136096A KR 20220052120 A KR20220052120 A KR 2022005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user
spine
support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7551B1 (ko
Inventor
김우준
Original Assignee
김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준 filed Critical 김우준
Priority to KR102020013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55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1Size reducing arrangements when not in use,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69Passive exercise driven by movement of healthy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Pulling device for spine and pelvis}
본 발명은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며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나이가 들면서 중력의 잡아당김에 저항할 근력이 줄어들어 몸이 앞으로 굽게 되며, 일상생활 속 잘못된 자세를 취함에 따라 척추 또는/및 골반이 틀어지게 된다. 이처럼 틀어진 척추 또는/및 골반은 신경을 눌러 통증이나 질병을 유발하고 장기의 기능을 약화시킨다.
이에 따라, 척추 및 골반의 틀어짐을 교정하기 위한 다양한 스트레칭 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스트레칭 기구는 공원, 가정, 헬스장 등에 일명 '거꾸리'라 불리우는 기구가 있으며, 물리치료실,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전문교정기구가 있다.
전문교정기구는 각종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 쉽게 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거꾸리'의 경우 전문교정기구 대비 가격이 저렴한바 가정에 설치하여 쉽게 접할 수 있기는 하나, 사용자를 소정의 높이에서 회전시켜야 하는 기구의 특성상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 보관이나 이동이 어려워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347호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는,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지지판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된 제1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지지판의 일단부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사용자의 상체부터 대퇴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된 제2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걸이구는 지지판이 바닥에 놓여질 시, 및 지지판이 발걸이구에 의해 기립될 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지지판에 누워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손잡이부를 밀어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는 틀어진 척추를 바로 세울 수 있으며, 골반의 벌어짐을 교정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장기 아이들의 키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스스로가 지지판 상에서 손잡이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한바, 무게가 다른 스트레칭 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이 바닥에 놓여지고 그 상측에 사용자가 누운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적용되는 제1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트레칭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에 적용되는 제2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트레이칭 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가 세워져 보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공간적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스로 스트레칭을 하여 틀어진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할 수 있도록,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를 포함하며, 연결바(300) 및 고정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판이며,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놓여진 지지판(100)의 상측에 사용자가 눕게 되는데, 이때 지지판(100)은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지판(100)이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부터 엉덩이를 지나 대퇴부의 일부에 이르기까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가 지지되는 지점과 인접한 지지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판(100)의 일단이라 하며, 그 반대편인 지지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판(100)의 타단이라 한다.
지지판(100)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함에 있어, 사용자의 어깨가 위치하는 부분이 적어도 사용자의 어깨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어깨 전체가 지지판(10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후술할 제2 손잡이부(110b)의 사용을 고려하였을 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은 점차 줄어들게끔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부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에 이르기까지의 폭이 점차 줄어들게 형성되지 않더라도, 지지판(100)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판 전체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지지판(100)의 상측에서 보다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가 맞닿는 각 부분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등이 맞닿는 부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이를 기준으로 지지판(100)의 일단과 타단을 향해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측 저면이 바닥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는데, 지지판(100)이 바닥에 놓여질 시 일단부와 타단부 측도 안정적으로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저면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제1 지지돌부(130)와 제2 지지돌부(1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돌부(130)와 제2 지지돌부(140)는 일 예로, 지지판(100)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과 함께 바닥에 맞닿을 수 있게끔 돌출형성되며, 지지판(100)의 폭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돌부(130)는 지지판(100)의 이동시 사용자가 이를 통해 지지판(100)을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부분이 소정의 길이만큼 함입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판(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제1 지지돌부(130)의 함입된 부분에 손을 넣어 지지판(100)을 들거나 끌어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지점에 상측에 누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손잡이부(110)는 지지판(100)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된 제1 손잡이부(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손잡이부(110a)가 형성되는 지지판(100)의 일단부는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누운 사용자가 팔을 올린 후 어깨보다 넓게 팔을 벌린 상태에서도 제1 손잡이부(110a)를 잡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부분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손잡이부(110a)는 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끔 지지판(100)의 일단부 중 두 군데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손으로 두 개의 제1 손잡이부(110a)를 각각 파지하고 당길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손잡이부(110a)는 손목 통증을 지닌 사용자가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스트레칭을 함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두 개의 제1 손잡이부(110a) 사이 지점은, 제1 손잡이부(110a)에 비해 내측으로 함입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울 시 머리가 위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어디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1 손잡이부(110a)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지지판(100)의 일단부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손잡이부(110a)와 바닥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으로 손가락을 넣으며 제1 손잡이부(110a)를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손잡이부(110)는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된 제2 손잡이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손잡이부(110b)는 이와 일단측으로 인접한 지지판(100) 부분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손잡이부(110b)는 지지판(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끔 두 군데 형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양 손으로 두 개의 제2 손잡이부(110b)를 각각 밀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손잡이부(110b)는 어깨 통증을 지닌 사용자가 척추 및 골반을 교정하기 위한 스트레칭을 함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판(100)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지지판(100)의 상측에 누운 상태에서 팔을 뻗어 양손이 두 개의 제2 손잡이부(110b)에 맞닿음에 있어, 팔꿈치가 바닥과 맞닿거나 지지판(100)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므로 안정적으로 제2 손잡이부(110b)를 밀 수 있다.
한편,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걸이구(200)는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10), 지지프레임(220), 지지봉(230), 걸이봉(2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프레임(220)은 일 예로, '
Figure pat00001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를 이루면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제1 지지프레임(221)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두 개의 제1 지지프레임(221) 중앙을 연결하는 제2 지지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봉(230)은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일 제1 지지프레임(221)의 양단을 통해 일 제1 지지프레임(221)에 억지끼워질 수 있다. 또한, 지지봉(230)은 종단면이 원형을 이룰 수도 있으나, 다각형 형태를 이루어 원형인 경우에 비해 바닥과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지지프레임(221)에는 지지봉(230)의 외측으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210)가 구비될 수 있다. 바퀴(210)는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되도록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과도하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 후술할 걸이봉(240)과 함께 지면에 맞닿을 경우, 그 중심 간의 높이 차이가 크게 되므로, 지지봉(230)의 너비보다 1mm 내지 5mm 정도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걸이봉(240)은 지지봉(23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타 제1 지지프레임(221)의 양단을 통해 타 제1 지지프레임(221)에 억지끼워질 수 있다. 또한, 걸이봉(240)도 종단면이 원형을 이룰 수 있으나, 다각형 형태를 이루어 원형인 경우에 비해 바닥과 상대적으로 많은 면적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운 상태에서 지지봉(230)과 걸이봉(240) 사이로 발을 넣고 발목 부근에 걸이봉(240)이 맞닿게끔 함으로써 발을 걸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가 하체를 편 상태에서 발을 고정시킬 수 있게끔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의 타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이러한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과 분리된 구성일 수 있으나, 발걸이구(200)의 고정과 보관 등의 편의성 측면에서 지지판(100)과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를 연결하는 연결바(300)와, 연결바(300)를 지지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바(300)는 직선인 바(bar) 형태를 이루며 제1 지지프레임(221)에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지지봉(230)의 중심과 걸이봉(2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라인과, 연결바(300)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예각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봉(230)의 중심과 걸이봉(24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라인과, 연결바(300)가 이루는 각도는 80°~90°임이 바람직하다.
연결바(300)는 지지판(100)의 타단측에서 내부로 삽입되게끔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제2 고정홀(31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00)의 타단측 상면에는 삽입된 연결바(300)가 지나는 적어도 일 지점에 제1 고정홀(120)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핀(400)은 제1 고정홀(120)과 복수 개의 제2 고정홀(310) 중 어느 하나를 한꺼번에 관통하게끔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 간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핀(400)은 제1 고정홀(120)과 복수 개의 제2 고정홀(310)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하게 끼워질 시, 그 상단이 지지판(100)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끼워진 고정핀(400)를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 지지판(100)에는 제1 고정홀(120)과 인접한 부분이 내측으로 함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바퀴(210)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장소로 본 발명을 이동시킨 후, 지지판(100)을 바닥에 놓는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게끔 연결바(300)를 지지판(100)으로부터 인출하고 고정핀(400)을 꽂아 발걸이구(2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지지판(100)에 누워 발걸이구(200)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잡고 당기거나 손잡이부(110)를 밀어 사용자 스스로 스트레칭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사용자는 틀어진 척추를 바로 세울 수 있으며, 골반의 벌어짐을 교정 및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성장기 아이들의 키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스스로가 지지판(100) 상에서 손잡이부(110)를 이용한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한바, 무게가 다른 스트레칭 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부피가 작아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본 발명을 통한 운동을 한 후, 고정핀(400)을 뽑아 지지판(100)과 발걸이구(200)가 인접하게끔 연결바(300)를 지지판(100) 내로 삽입하고 고정핀(400)을 꽂아 고정시킨 다음, 바퀴(210)를 이용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하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봉(240)과 바퀴(210)가 바닥에 맞닿게끔 지지판(100)을 기립시켜 보관시 최소 부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100 : 지지판 110 : 손잡이부
110a : 제1 손잡이부 110b : 제2 손잡이부
120 : 제1 고정홀 130 : 제1 지지돌부
140 : 제2 지지돌부
200 : 발걸이구 210 : 바퀴
220 : 지지프레임 221 : 제1 지지프레임
222 : 제2 지지프레임 230 : 지지봉
240 : 걸이봉
300 : 연결바 310 : 제2 고정홀
400 : 고정핀

Claims (5)

  1. 바닥에 놓여져 적어도 상측에 누운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지지판(100);
    상기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의 발을 걸 수 있는 발걸이구(200);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100)은 적어도 일지점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밀 수 있는 손잡이부(1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00)에 누운 사용자가 발걸이구(200)에 발을 건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 척추 및 골반을 견인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10)는, 지지판(100)의 일단부에서 사용자의 머리보다 외측에 위치하게끔 형성된 제1 손잡이부(110a)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손잡이부(110a)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지지판(100)의 일단부 저면이 가장자리를 향해 상향 경사짐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은 사용자의 상체부터 대퇴부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110)는, 대퇴부가 지지되기 시작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이, 상체가 지지되는 지지판(100) 부분의 폭보다 넓어져 형성된 제2 손잡이부(1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00) 중 상체가 지지되는 부분은, 사용자의 팔꿈치가 지지판(100)의 외측에 위치되게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걸이구(200)는 지지판(100)이 바닥에 놓여질 시, 및 지지판(100)이 발걸이구(200)에 의해 기립될 시, 바닥과 맞닿으면서 회전가능한 바퀴(2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KR1020200136096A 2020-10-20 2020-10-20 신체 견인기구 KR10246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ko) 2020-10-20 2020-10-20 신체 견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ko) 2020-10-20 2020-10-20 신체 견인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2120A true KR20220052120A (ko) 2022-04-27
KR102467551B1 KR102467551B1 (ko) 2022-11-15

Family

ID=8139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096A KR102467551B1 (ko) 2020-10-20 2020-10-20 신체 견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5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57A (ko) * 2003-02-10 2003-08-25 정재호 신체를 상하 양방(兩方)에서 견인(牽引)하는 전신 관절근력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KR20040111228A (ko) * 2004-04-06 2004-12-31 이현석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00008607U (ko) * 2009-02-20 2010-08-30 한송욱 척추 복합 견인기
KR101649347B1 (ko) 2014-11-07 2016-08-18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57A (ko) * 2003-02-10 2003-08-25 정재호 신체를 상하 양방(兩方)에서 견인(牽引)하는 전신 관절근력운동 및 물리치료용 장치
KR20040111228A (ko) * 2004-04-06 2004-12-31 이현석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100008607U (ko) * 2009-02-20 2010-08-30 한송욱 척추 복합 견인기
KR101649347B1 (ko) 2014-11-07 2016-08-18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하지 정맥 예방 및 척추질환예방 스트레칭 견인 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551B1 (ko)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5190B2 (en) Backrest device
US7373942B1 (en) Adjustable width walker
JP3180637U (ja) ストレッチャー
US7070074B2 (en) Hosiery donning aid
KR102022567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JP5219149B2 (ja) 脊髄治療装置
US20200060927A1 (en) Adjustable muscle massage board
US20070249971A1 (en) Portable physiotherapy apparatus for providing resistive exercise mov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220052120A (ko) 척추 및 골반 견인기구
JP6088110B1 (ja) ストレッチ用具及びストレッチ方法
KR102022569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N206152201U (zh) 一种健身训练器械
CN206355200U (zh) 颈椎腰椎悬吊牵引装置
JP3034536U (ja) 起き上がり用補助具
JP3135714U (ja) ベッド家具のヘッド部の構造
JP2002035161A (ja) 筋力の鍛練器具
CN205729582U (zh) 反弓式脊椎康复装置
WO2011038541A1 (zh) 健身器材
JP3235152U (ja) 肩と背中と腰と内蔵のストレッチ具
KR102360151B1 (ko) 전신 지압기구
JP3093204U (ja) 健康器具
JPH0648641U (ja) ベッド用側柵
JP3071354U (ja) ぶら下がり健康器具
KR101838866B1 (ko) 상단지지대와, 하단지지대에 의한 네발걷기
JP2006314473A (ja) 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