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151B1 - 전신 지압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지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151B1
KR102360151B1 KR1020200134906A KR20200134906A KR102360151B1 KR 102360151 B1 KR102360151 B1 KR 102360151B1 KR 1020200134906 A KR1020200134906 A KR 1020200134906A KR 20200134906 A KR20200134906 A KR 20200134906A KR 102360151 B1 KR102360151 B1 KR 10236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fixed
concave
convex portion
cam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진
Original Assignee
신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진 filed Critical 신은진
Priority to KR102020013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18C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2Enhanced rubb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베이스판에 횡설한 안내공에 다수개의 지압봉을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미세하게 조절 설치하여 누운 상태에서 머리에서 발까지 원하는 경혈을 부위별로 지압과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전신 지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간격 조정이 가능한 지압봉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여 지압시에 작용하는 강한 힘에 의해 지압봉이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혈의 자극과 마사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압봉을 다양한 형태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으로 경혈의 지압과 마사지를 가능하게 한 전신 지압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신 지압기구{the tool massaging the whole body}
본 발명은 일정크기의 베이스판에 횡설한 안내공에 다수개의 지압봉을 사용자의 체형에 맞춰 미세하게 조절 설치하여 누운 상태에서 머리에서 발까지 원하는 경혈을 부위별로 지압과 마사지를 할 수 있도록 한 전신 지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세 간격 조정이 가능한 지압봉을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여 지압시에 작용하는 강한 힘에 의해 지압봉이 움직이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경혈의 자극과 마사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압봉을 다양한 형태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으로 경혈의 지압과 마사지를 가능하게 한 전신 지압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컴퓨터, 휴대폰, 장시간 운전 등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고 단순노동의 반복으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한데 기인한 여러 가지의 통증들이 유발되고 있고, 한쪽으로 치우친 자세, 바쁜 생활로 인한 피로누적, 각종 스트레스로 인하여 근육이 뭉쳐서 통증들이 발생함으로써 생활이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뼈를 감싸고 있는 근육들이 약해지면서 자신도 모르게 좌우의 몸이 변형되기 시작하고, 나이가 들어가면서 몸을 지탱하는 뼈의 퇴행성과 뼈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들이 풀어지면서 통증들이 더욱더 유발되고 있다.
특히, 경추는 베개를 받치는 과정에서 머리가 목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 만곡된 형태가 역으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경추에 부담을 주고, 장시간 동안 베개를 사용할 경우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어 목이 뻐근해지고 심하면 디스크의 탈출이나 협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특허 공개번호 10-2020-0016483호 신체 지압기구는 본체에 다수개의 설정공을 뚫어 이에 다수의 지압봉을 꽂아 원하는 신체 부위를 용이하게 자극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지압봉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본체보다 매우 작은 직경으로서 설정공에 끼우거나 또는 나사 식 또는 자석을 이용한 자력으로 입설시키는 구조이므로 지압봉의 설치구조가 안정성이 없어 지압을 하기 위해 신체를 대고 힘을 가하면 지압봉이 설정공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쓰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강한 자극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경추 등 특정 지압부위만 지압할 수 있어 여러 부위의 경혈을 지압할 수 없으며, 사람의 신체 구조나 체형에 맞춰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베이스판에 지압봉을 사용자의 신체구조나 체형에 맞춰 위치를 미세 간격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하여 머리에서 발까지 정확한 경혈과 경혈 주위를 지압하고 마사지를 할 수 있게 하며, 지압봉이 설치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지압시에 힘을 가해도 지압봉이 유동 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한 전신 지압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베이스판과, 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 벽에 수직 방향의 고정요철부을 형성한 장공과 상기 장공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지압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은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되어 보울트로서 조립되며, 상판과 하판의 접합면 내부에는 장공의 고정요철부 반대편으로 확장되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이에 캠을 가진 캠축이 안치되고 상기 캠축에는 고정요철부와 마주보는 이동요철부가 유설되어 캠축의 회전에 따른 캠의 작동으로 이동요철부가 고정요철부 쪽으로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캠축의 선단에는 베이스판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이 설치되어 베이스판의 외부에서 핸들의 조작으로 캠축을 회전시켜 이동요철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은 캠축과 기어로서 치합 설치되어 지지판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한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일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에는 하판의 괘정공에 삽탈되는 록킹바가 설치되어 캠축을 회전시킬 때에는 핸들을 당겨 록킹바를 괘정공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캠축을 고정시킬 때에는 핸들을 원상태로 놓아 록킹바가 괘정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압봉은 나무 또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서 이루어져 신체에 접촉되는 지압부와 고정요철부 및 이동요철부에 치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장공의 고정요철부와 이동요철부와 치합된 상태에서 캠축의 회전으로 이동요철부가 이동되어 고정요철부와의 사이에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압봉은 지압부와 고정부를 분리 결합하는 조립식으로서 구성하여 지압봉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지압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변형 지압봉은 지압부의 외면에 걸림턱이 양단에 형성된 변형 ∩자 형상의 계합구가 일정 간격으로 다단 종설되고, 고정부의 내벽에는 계합구에 계합되는 돌기가 일정간격으로 다단 종설되어 지압부를 고정부에 계합구와 돌기의 선택적인 계합으로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판의 장공 표면에는 고정요철부와 이동요철부의 요철에 대응하는 눈금자가 표시되어 지압봉을 mm 단위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지압봉이 베이스판에 형성된 안내공에서 기어식 치합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지압시 힘을 가해도 절대 이탈되거나 유동 되지 않게 됨에 따라 강한 자극으로 지압과 마사지를 할 수 있으며, 지압봉 간의 간격을 미세한 간격으로 정밀하고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체구조나 체형에 맞추어 경혈을 정확히 자극할 수 있으며, 발부터 다리까지 신체 전체를 효율적으로 지압 및 마사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일자목 또는 거북목으로 인한 심한 통증을 완화 시켜주고 뼈의 교정효과와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작용을 하며, 허리디스크 증상에 따른 고통을 완화하고 척추의 불균형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립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
도 3은 조립상태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4는 지압봉이 체결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도 3의 "가-가"선 단면도
도 5는 지압봉이 체결 고정된 상태의 도 3의 "가-가"선 단면도
도 6은 지압봉의 형태에 따른 예시도
도 7은 지압봉의 길이 차이에 따른 예시도
도 8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식 지압봉의 예시도
도 9의 (a)는 지압봉과 외관의 분해상태와 높이조절 구조의 전개도
도 9의 (b)는 지압봉이 외관에 끼워진 가변상태와 높이조절 구조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캠축의 가압 조정구조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나-나"선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경추의 지압상태 사용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흉추와 요추의 지압상태 사용예시도
도 15는 인체부위에 따른 전신지압기구의 사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신 지압기구는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베이스판(50)과, 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벽에 수직 방향의 고정요철부(61)을 형성한 장공(60)과 상기 장공(6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압봉(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50)은 나무 또는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로서 상판(51)과 하판(52)으로 분리되어 보울트(53)로서 조립되며, 상판(51)과 하판(52)의 접합면 내부에는 장공(60)의 고정요철부(61) 반대편으로 확장되는 요입부(54)가 형성되어 이에 캠(55)을 가진 캠축(56)이 안치되고 상기 캠축(56)에는 고정요철부(61)와 마주보는 이동요철부(57)가 유설되어 캠축(56)의 회전에 따른 캠(55)의 작동으로 이동요철부(57)가 고정요철부(61) 쪽으로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캠축(56)의 선단에는 베이스판(50)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58)이 설치되어 베이스판(50)의 외부에서 핸들(58)의 조작으로 캠축(56)을 회전시켜 이동요철부(57)을 고정요철부(61)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58)은 캠축(56)과 기어(80)로서 치합 설치되어 지지판(81)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한 스프링(8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일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58)에는 하판(52)의 괘정공(82)에 삽탈되는 록킹바(83)가 설치되어 캠축(56)을 회전시킬 때에는 핸들(58)을 당겨 록킹바(83)를 괘정공(82)으로 부터 이탈시키고 캠축(56)을 고정시킬 때에는 핸들(58)을 원상태로 놓아 록킹바(83)가 괘정공(82)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51)의 장공(60) 표면에는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의 요철에 대응하는 눈금자(84)가 표시되어 지압봉(70)을 mm 단위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압봉(70)은 나무 또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서 이루어져 신체에 접촉되는 지압부(70a)와 고정요철부(61) 및 이동요철부(57)에 치합되는 고정부(7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70b)는 요철돌기(85)가 형성되어 장공(60)의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와 치합된 상태에서 캠축(56)의 회전으로 이동요철부(57)가 이동되어 고정요철부(61)와의 사이에서 협지된다.
상기 지압봉(70)은 지압부(70a)가 지압의 강도 및 신체 접촉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길이로 이루어지고, 또한, 지압부(70a)와 고정부(70b)를 분리 결합하는 조립식으로서 구성하여 지압봉(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으로도 실시 가능한 것으로, 지압봉(70)의 길이는 30mm∼130mm 내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지압봉(70)의 지압부(70a)에 대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지압부(70a)가 지압의 강도가 강한 구형에서 점차적으로 완만해져 강도가 약해지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7과 같이 지압부(70a)의 길이를 변화시켜 전체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은 지압봉(70)의 가변형을 예시한 것으로서, 지압부(70a)와 고정부(70b)를 분리하여 지압부(70a)를 고정부(70b)에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높이를 5∼25mm 정도 범위내에서 가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지압부(70a)의 외면에는 양단에 걸림턱(90)이 형성된 변형 ∩자 형상의 계합구(91)가 일정 간격으로 다단 종설되고, 고정부(70b)의 내벽에는 계합구(91)에 계합되는 돌기(92)가 일정간격으로 다단 종설되어 지압부(70a)를 고정부(70b)에 계합구(91)와 돌기(92)의 선택적인 계합으로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판(50)을 원형으로 구성하고, 이동요철부(57)의 이동을 보울트(93)의 회전에 의해 이동자재되는 가압판(94)의 작동으로 이동요철부(57)를 가압 조정하여 지압봉(70)을 가압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조립상태에 따르면, 상판(51)과 하판(52)은 캠축(56)의 핸들(58)만이 노출된 상태로서 보울트(53)에 의해 조립되고 상판(51)의 장공(60)에 다수개의 지압봉(70)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압봉(7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 개 이상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데 지압봉(70)을 삽입하여 고정할 때에는 지압봉(7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고정부(70b)의 요철이 장공(60)의 양측 벽에 형성된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와 치합되도록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58)을 먼저 잡아 당겨 록킹바(83)를 괘정공(82)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 캠축(56)을 회전시키면 캠축(56)의 캠(55)에 의해 이동요철부(57)가 고정요철부(61) 쪽으로 이동되어 그 사이에 삽입된 지압봉(70)을 협지하게 되는 데 이 상태에서 스프링(86)을 압축시키면서 잡아 당긴 핸들(58)을 놓게 되면 스프링(86)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58)은 원위치에 복귀됨과 동시에 록킹바(83)가 하판(52)의 괘정공(82)에 삽입되므로 이동요철부(57)를 가압하는 캠축(56)은 움직이지 않고 장공(60)속에 삽입된 지압봉(7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60)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압봉(70)을 사용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또 경혈에 일치하는 간격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신장이나 다양한 체형에 맞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지압봉(70)은 지압부(70a)와 고정부(70b)로 구성되어 지압부(70a)는 신체에 접촉하여 지압효과를 발휘하고 고정부(70b)는 장공(60) 속에 삽입되어 지압봉(7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압봉(70)은 지압부(70a)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의 강도가 강한 구형에서 점차적으로 완만해져 강도가 약해지는 다양한 형태와 높이가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지압할 위치에 따라 필요한 지압봉(70)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지압봉(70)은 지압부(70a)와 고정부(70b)가 일체로 된 단일체 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부(70a)와 고정부(70b)를 분리하여 지압부(70a)의 높이를 기호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으로도 실시 가능한 바, 이때에는 지압부(70a)와 고정부(70b)에 다단으로 형성된 계합구(91)와 돌기(92)를 선택하여 필요한 높이로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지압부(70a)의 계합구(91)는 걸림턱(90)이 양단에 형성되고 고정부(70b)의 돌기(92)는 계합구(91)의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지압부(70a)를 고정부(70b)에 삽입한 상태에서 돌기(92)를 선택하여 계합구(91)의 사이에 돌기(92)가 계합되도록 지압부(70a)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계합 시키게 되면 지압구의 높이가 조정되므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지압봉(70)의 높이로 조절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경추의 경혈을 지압하는 예시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와 형태의 것으로 선택한 한 쌍의 지압봉(70)을 베이스판(50)의 장공(60)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위치(천주의 경혈자리 부근, 56mm∼60mm 사이)에 눈금자(84)를 활용하여 눈금자(84) 중심에서 좌우로 동일한 간격으로 삽입 고정하고 사람의 피부와 접촉되는 지압부(70a)에 는 수건 등을 덮어 지압 또는 마사지하게 된다.
Figure 112020110002617-pat00001
Figure 112020110002617-pat00002
상기 그림을 참조하여 첫 시작 지점은 머리 뒤 꼭지 아래 부분에 지압봉(70)을 갖다놓고 머리 무게로 눌러 줄고 이때 턱을 당겨 목 뒤 부분이 일자가 되게 하여 긴장을 풀어준다. 그리고 천천히 턱을 들어올려 좌우상하로 조금씩 머리를 돌려 지압을 한다.
이때 가능한 양다리는 골반 가까이 붙여주고 지압봉(70)의 위치가 경추1번 쪽으로 조금씩 내려올 수 있도록 양발의 힘으로 상체를 올려주고 동일하게 지압을 하면 된다. 경추3번부터는 양손을 깍지 끼고 머리를 받쳐서 좌우상하로 돌려 지압의 강도를 조절하면서 경추 7번(흉추 1번) 또는 흉추 2 ~ 3번까지 내려가면서 지압을 하면 된다. 그리고 지압의 강도에 따라 자신이 할 수 있는 부분까지 지압을 하고 나면 반드시 깍지를 낀 양손은 머리를 받쳐서 옆으로 돌아서 일어나면 된다.
일자목, 거북목의 증상이 있는 사람은 참을 수 없는 만큼 고통이 따르므로 처음부터 무리하게 지압을 하지 마시고 사용자가 인내할 수 있는 범위까지 하고, 조금씩 자주하면 경추7번까지 할 수 있다. 가능한 자주 실시하여 경추에 따른 통증 부위가 조금씩 좋아지면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잘못된 행동이나 자세를 유심히 관찰하여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고, 목에서 허리까지 뼈를 감싸고 있는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하면 일자목, 거북목에 따른 통증이 조금씩 없어지기 시작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또한, 흉추, 요추, 천골을 지압 또는 마사지하는 방법은 누워서 사용자의 척추 뼈에 닿지 않는 부위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지압봉(70)을 4개 또는 6개를 장공(60)에 삽입하고 핸들(58)을 돌려 고정한 후 사용하면 된다.
Figure 112020110002617-pat00003
상기 그림을 참조하여 첫 시작 지점은 흉추 2~3번 부분에 지압봉(70)을 갖다놓고 몸의 무게로 눌러 마사지하면 되고, 이때 견갑골 뼈 부분에 닿는 위치에는 지압봉(70) 위에 두터운 수건을 놓고 하는 것이 좋고, 양다리는 골반 가까이 붙여주고 양발을 지탱하여 골반을 들어올리고/내리고 하면서 압력의 강도를 조절하면 되고, 지압 지점을 옮기는 방법은 경추 지압방법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은 요추5번과 천골 사이에 지압봉(70)을 놓고 요추1~2번이 최대한 바닥에 붙여 요추1~5번 사이의 뼈가 활 모양처럼 최대한 휘어지게 하고 양발을 들어올려서 좌우 상하로 조금씩 흔들어 준다.(혼자서 할 수 없을 때에는 옆 사람에게 도움을 받아서 해야 한다.)
허리가 안 좋은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행동이나 자세를 유심히 관찰하여 잘못된 습관을 고치는 것이 우선이며, 허리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하여야 하며, 요추와 경추는 서로 연결된 근육이므로 목, 어깨, 척추, 허리를 지탱하고 있는 근육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꼭 실천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또, 허벅지에서 발까지 마사지할 때에는 허벅지 중앙 부위 부근 위치에 지압봉(70) 2개씩을 베이스판(50)에 고정하고 대퇴부에서 발까지 내려가면서 지압을 하면 통증이나 시원함을 느끼게 되며, 이때, 허벅지 아랫부분부터는 앉아서 하면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균등한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50 : 베이스판 51 : 상판 52 : 하판 53 : 보울트 54 : 요입부 55 : 캠 56 : 캠축 57 : 이동요철부 58 : 핸들 60 : 장공 61 : 고정요철부 70 : 지압봉 70a : 지압부 70b : 고정부 80 : 기어 81 : 지지판 82 : 괘정공 83 : 록킹바 84 : 눈금자 85 : 요철돌기 86 : 스프링 90 : 걸림턱 91 : 계합구 92 : 돌기 93 : 보울트 94 : 가압판

Claims (7)

  1.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베이스판(50)과, 이의 중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측벽에 수직 방향의 고정요철부(61)을 형성한 장공(60)과 상기 장공(6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압봉(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판(50)은 나무 또는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로서 상판(51)과 하판(52)으로 분리되어 보울트(53)로서 조립되며, 상판(51)과 하판(52)의 접합면 내부에는 장공(60)의 고정요철부(61) 반대편으로 확장되는 요입부(54)가 형성되어 이에 캠(55)을 가진 캠축(56)이 안치되고 상기 캠축(56)에는 고정요철부(61)와 마주보는 이동요철부(57)가 유설되어 캠축(56)의 회전에 따른 캠(55)의 작동으로 이동요철부(57)가 고정요철부(61) 쪽으로 미세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캠축(56)의 선단에는 베이스판(50)의 외부로 노출된 핸들(58)이 설치되어 베이스판(50)의 외부에서 핸들(58)의 조작으로 캠축(56)을 회전시켜 이동요철부(57)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전신 지압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58)은 캠축(56)과 기어(80)로서 치합 설치되어 지지판(81)과의 사이에 탄력 설치한 스프링(86)에 의해 축방향으로 일부 인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핸들(58)에는 하판(52)의 괘정공(82)에 삽탈되는 록킹바(83)가 설치되어 캠축(56)을 회전시킬 때에는 핸들(58)을 당겨 록킹바(83)를 괘정공(82)으로부터 이탈시키고 캠축(56)을 고정시킬 때에는 핸들(58)을 원상태로 놓아 록킹바(83)가 괘정공(82)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압봉(70)은 나무 또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서 이루어져 신체에 접촉되는 지압부(70a)와 고정요철부(61) 및 이동요철부(57)에 치합되는 고정부(70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70b)는 요철돌기(85)가 형성되어 장공(60)의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와 치합된 상태에서 캠축(56)의 회전으로 이동요철부(57)가 이동되어 고정요철부(61)와의 사이에서 협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압봉(70)은 지압부(70a)와 고정부(70b)를 분리 결합하는 조립식으로서 구성하여 지압봉(7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지압봉(7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가변형 지압봉(70)은 지압부(70a)의 외면에 걸림턱(90)이 양단에 형성된 변형 ∩자 형상의 계합구(91)가 일정 간격으로 다단 종설되고, 고정부(70b)의 내벽에는 계합구(91)에 계합되는 돌기(92)가 일정간격으로 다단 종설되어 지압부(70a)를 고정부(70b)에 계합구(91)와 돌기(92)의 선택적인 계합으로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판(51)의 장공(60) 표면에는 고정요철부(61)와 이동요철부(57)의 요철에 대응하는 눈금자(84)가 표시되어 지압봉(70)을 mm 단위로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지압기구.
KR1020200134906A 2020-10-19 2020-10-19 전신 지압기구 KR10236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6A KR102360151B1 (ko) 2020-10-19 2020-10-19 전신 지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6A KR102360151B1 (ko) 2020-10-19 2020-10-19 전신 지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151B1 true KR102360151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906A KR102360151B1 (ko) 2020-10-19 2020-10-19 전신 지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1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68A (ja) * 1991-12-24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機
KR200224697Y1 (ko) * 2000-11-23 2001-05-15 노주석 척추 치료기
KR20130032935A (ko) * 2011-09-26 2013-04-03 조기환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KR20170006463A (ko) * 2015-07-08 2017-01-18 차우진 척추 맛사지 기구
KR20200000661U (ko) * 2018-09-18 2020-03-26 주수정 전신운동 및 지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668A (ja) * 1991-12-24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マッサージ機
KR200224697Y1 (ko) * 2000-11-23 2001-05-15 노주석 척추 치료기
KR20130032935A (ko) * 2011-09-26 2013-04-03 조기환 온열 침대와 결합 된 지압구동모듈의 구동장치
KR20170006463A (ko) * 2015-07-08 2017-01-18 차우진 척추 맛사지 기구
KR20200000661U (ko) * 2018-09-18 2020-03-26 주수정 전신운동 및 지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8307A1 (en) Functional pillow for manipulation therapy
US9192503B1 (en) Mechanical massage and traction apparatus
JP5219149B2 (ja) 脊髄治療装置
US10512580B2 (en) Chiropractic device
KR101480334B1 (ko) 물리치료용 일자목 교정기
JP5114783B2 (ja) 健康運動器具
KR102360151B1 (ko) 전신 지압기구
CN116723816A (zh) 斜方肌指压型按摩装置
KR101379511B1 (ko) 흉추 지압용 의자등받이
KR101214848B1 (ko) 자세교정의자
KR101604216B1 (ko) 인체공학적 복합경침
KR200483101Y1 (ko)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JP2007044389A (ja) 運動補助具
CN206543220U (zh) 一种人体舒展牵引设备
TW201524489A (zh) 指壓器具、具備該指壓器具的指壓器具組及其配置方法
JP5709245B2 (ja) マッサージ器
JP2015107380A (ja) マッサージ器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JP3244980U (ja) 脊柱管狭窄症用指圧マット
KR200423406Y1 (ko) 경락과 혈자리를 지압하기 위한 지압구
CN111281773A (zh) 用于治疗人体的治疗装置和手柄
KR200473823Y1 (ko) 지압기
CN210698643U (zh) 一种可调曲度的腰椎康复锻炼治疗器
KR101284193B1 (ko) 경추 자극용 목침
JP3075282U (ja) 加圧刺激式健康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