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958A -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958A
KR20220051958A KR1020200135704A KR20200135704A KR20220051958A KR 20220051958 A KR20220051958 A KR 20220051958A KR 1020200135704 A KR1020200135704 A KR 1020200135704A KR 20200135704 A KR20200135704 A KR 20200135704A KR 20220051958 A KR20220051958 A KR 2022005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scent
fragrance
fragrant
sc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솜
Original Assignee
이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솜 filed Critical 이솜
Priority to KR1020200135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958A/ko
Publication of KR2022005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aroma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가 개시된다. 향기나는 뜸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뜸 장치는 환자의 피부 위에 올려져서 온열 치료를 제공하는 온구기, 상기 온구기에 안착되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향기나는 뜸을 포함하고, 상기 뜸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뜸과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AROMATIC MOXIBUSTION AND MOXA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들은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뜸은 뜸을 연소시켜 이로부터 발생하는 향과 열기를 피부에 노출시켜 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뜸 치료는 온열 자극과 약물의 효과가 경락 및 경혈을 통과하여 몸 속의 기혈을 정상적으로 소통되게 하고 정기를 회복하게 함으로써 인체 생리 기능의 평형을 찾아주는 한방 특유의 시술 방법이다.
환자는 뜸 시술을 받을 때 베드 위에 눕거나 엎드린 뒤 환부에 연소시킨 뜸을 올려 둔 채 일정 시간 동안 부동자세를 취해야 한다. 이 때, 뜸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로 인해 환자가 평정심을 유지하지 못하고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뜸 시술은 밀폐된 공간에서 진행하게 되는데, 환기 장치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으면 뜸 냄새로 인해 환자의 불편함이 더 심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뜸 시술을 받는 환자가 뜸 특유의 냄새로 인해 시술 중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향기나는 뜸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발향 부재료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발향 부재료는 210℃ 내지 220℃의 온도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뜸의 연소 온도는 220℃ 내지 220℃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는 아로마 오일이 주입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는 연소 시점부터 10분 동안 주입된 아로마 오일의 향이 발향되고, 그 이후에는 5분 동안 커피향이 발향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의 발향 범위는 10 m3 내지 14 m3의 범위까지 발향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발향 부재료가 탑재될 수 있도록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뜸 장치는, 환자의 피부 위에 올려져서 온열 치료를 제공하는 온구기, 상기 온구기에 안착되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향기나는 뜸을 포함하고, 상기 뜸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뜸과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는 아로마 향과 커피 향을 발향함으로써, 환자가 뜸 시술을 받는 동안 편안하게 치료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를 이용하여 뜸 시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실험예1 내지 3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측정한 표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1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2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예3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향기나는 뜸(1)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2)에 대해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2)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2)를 이용하여 뜸 시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향기나는 뜸(1)은,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다. 바디(10)의 형상은 원추형, 다각뿔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바디(10)의 상부에는 바디(10)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하여 산소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구멍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디(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발향 부재료(20)가 탑재될 수 있도록 수용부(1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수용부(11)의 크기는 탑재되는 발향 부재료(20)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바디(10)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10)의 재료로 쑥, 뽕나무 가지, 및 복숭아 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바디(10)의 재료로 서로 다른 재료를 배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디(10)는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한다. 바디(10)는 연소 시에 220℃ 내지 220℃의 온도로 발열된다.
바디(10)는 연소되면 피부를 통하여 환자에게 온열 자극을 주고, 발향하여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준다. 여기서, 온열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는 바디(10)를 피부 위에 직접 올려놓고 연소시키는 직접구 방식, 바디(10)를 후술하는 온구기(30)에 올려서 간접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간접구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뜸 시술을 복부에 하는 경우, 직접구 방식으로는 바디(10)를 복부 위에 배치하여 시술을 하게 되고, 간접구 방식으로는 바디(10)를 온구기(30)에 올려서 복부 위에 배치하여 시술을 하게 된다.
발향 부재료(20)는 바디(10)가 연소될 때 함께 연소되어 발향한다.
여기서, 발향 부재료(20)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을 사용한다. 커피나무에서 채취된 생두는 여러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만, 자연 채취 상태 자체로는 일반적으로 원두에서 나는 향미가 거의 나지 않는다. 커피 원료인 생두에 포함된 여러 성분이 조화로운 향을 내게 하려면 로스팅 과정을 거쳐야 한다. 로스팅은 생두에 열을 가해 조직을 팽창시켜 생두가 가진 여러 성분들인 수분, 지방분, 섬유질, 당질, 카페인, 유기산, 및 탄닌 등을 조화롭게 한다.
발향 부재료(20)는 210℃ 내지 220℃의 온도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을 사용한다. 발향 부재료(20)는 로스팅 과정을 거쳐 700~800가지의 향미를 낼 수 있다.
여기서,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에는 아로마 오일이 주입된다.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에 아로마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아로마 향이 뜸 시술을 받는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켜줄 수 있다.
또한, 바디(10)가 완전히 연소하고 난 후에도 발향 부재료(20)는 지속적으로 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뜸 장치(2)는 온구기(30), 바디(10) 및 발향 부재료(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는 온구기(30)에 안착시켜 사용 가능하다. 뜸 장치(2)는 바디(10)와 발향 부재료(20)를 안착시킨 온구기(30)를 환자의 피부에 올려서 뜸 시술을 한다.
온구기(30)는 내부에 바디(10)가 수용되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온구기(30)는 온구기(30) 내부로 바디(10)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뜸 장치(2)는, 바디(10)가 직접적으로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도 향기나는 뜸(1)의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시술을 할 수 있고, 바디(10)의 열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2)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우선, 환자의 뜸 시술 부위에 일 실시예에 따른 뜸 장치(2)를 배치시킨다. 예를 들어, 뜸 시술 부위가 복부인 경우, 복부 상에 뜸 장치(2)를 올려 놓을 수 있다.
뜸 장치(2)는 뜸 시술을 하는 동안 바디(10) 및 발향 부재료(20)에서 발향되는 향에 의해서 환자의 심신을 안정시키고, 뜸 시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1)과 실험예들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4는 실시예 및 실험예1 내지 3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측정한 표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실험예1에 따른 시간에 따른 뜸의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실험예2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실험예3에 따른 뜸의 시간에 따른 발향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참고적으로, 이하의 설명에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발향 부재료(20)로서 커피 원두콩이 사용되는 향기나는 뜸(1)이고, "실험예1"은 발향 부재료로서 코코넛 껍질 탄소를 사용한 뜸이고, "실험예2"는 발향 부재료로서 진흙을 사용한 뜸이고, "실험예3"은 발향 부재료를 사용하지 않은 뜸이다. 그리고 실험예1 내지 3에서 뜸은, 바디는 실시예에 따른 뜸의 바디(10)와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또한, 실시예 및 실험예1 내지 2는 바디와 발향 부재료에 모두 아로마 향을 주입하였고, 실험예3은 발향 부재료가 없으므로 바디에만 아로마 향을 주입하였다.
그리고, 실험 과정에서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으로 온구기(30)를 준비하고, 실시예 및 실험예1 내지 3의 바디(10)를 연소시켜서 온구기(30)에 삽입 후 15분까지 발향의 세기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발향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훈련을 통해 검증된 패널들을 모집하여 향의 세기를 측정하는 관능검사법을 채택하였다. 발향의 세기의 단위는, 주입한 원료 대비 발향의 정도를 %로 나타내었다.
도 4에는 실시예와 실험예1 내지 3에 대해서 연소 직후부터 15분까지 측정한 발향의 세기를 기재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향기나는 뜸(1)은 연소 후 13분이 지나자 최대 100%까지 발향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연소 후 11분까지는 아로마 향이 발향되었고, 11분에서 12분 사이에는 아로마 향과 커피 향이 혼합되어 발향되었으며, 12분부터 15분까지는 커피 향이 발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시예는 발향 범위가 10 m3 내지 14 m3의 범위까지 발향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실험예1 에서는 연소 후 8분 뒤 발향의 세기가 최대 10%까지 상승했다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12분 후에는 발향의 세기가 0%가 되는데, 이는 코코넛 껍질이 완전 연소되었음을 의미한다. 즉, 실험예1에서는 아로마 향을 주입 시 코코넛 껍질은 쉽게 타버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험예2에서는 연소 후 6분 뒤 발향의 세기가 최대 10%까지 상승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실험예2 역시 9분 후에는 발향의 세기가 0%가 되어서 완전 연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2에서는 뜸이 연소되는 동안, 타는 냄새가 발생하므로, 진흙은 발향 부재료로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실험예3에서는 연소 후 4분 뒤 발향의 세기가 최대 10%까지 상승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실험예3에서도 9분 후에는 발향의 세기가 0%가 되었다. 즉 실험예 3에서도 뜸의 바디에 주입된 아로마 오일은 뜸이 모두 연소하기도 전에 소실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발향 부재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 따르면, 실시예에서와 같이 발향 부재료(20)로서 커피 원두콩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로마 오일을 잘 흡수하고 발향을 잘 유지하며, 발향의 세기도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향기나는 뜸(1)은 아로마 향과 커피 향을 발향함으로써, 환자가 뜸 시술을 받는 동안 편안하게 치료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향기나는 뜸(1)은 뜸 특유의 타는 냄새를 경감시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는다. 또한, 향기나는 뜸(1)은 간단한 구성으로도 쉽게 뜸 치료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향기나는 뜸
2 뜸 장치
10 바디
11 수용부
20 발향 부재료
30 온구기

Claims (9)

  1.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와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
    를 포함하는 향기나는 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 부재료는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인 향기나는 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 부재료는 210℃ 내지 220℃의 온도로 로스팅된 커피 원두콩인 향기나는 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뜸의 연소 온도는 220℃ 내지 220℃인 향기나는 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는 아로마 오일이 주입되는 향기나는 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는 연소 시점부터 10분 동안 주입된 아로마 오일의 향이 발향되고, 그 이후에는 5분 동안 커피향이 발향되는 향기나는 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상기 발향 부재료의 발향 범위는 10 m3 내지 14 m3의 범위까지 발향되는 향기나는 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상기 발향 부재료가 탑재될 수 있도록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향기나는 뜸.
  9. 환자의 피부 위에 올려져서 온열 치료를 제공하는 온구기;
    상기 온구기에 안착되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향기나는 뜸;
    을 포함하고,
    상기 뜸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되는 형상을 갖고, 연소되어 발열 및 발향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뜸과 함께 연소되어 발향하는 발향 부재료;
    를 포함하는 뜸 장치.
KR1020200135704A 2020-10-20 2020-10-20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KR20220051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04A KR20220051958A (ko) 2020-10-20 2020-10-20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04A KR20220051958A (ko) 2020-10-20 2020-10-20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58A true KR20220051958A (ko) 2022-04-27

Family

ID=8139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04A KR20220051958A (ko) 2020-10-20 2020-10-20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95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087B1 (ko) 전기 온구기
KR20220051958A (ko) 향기나는 뜸 및 이를 이용하는 뜸 장치
US6783508B1 (en) Moxa and other medicament application devices for delivery of heated moxa or other medicaments and for use to deliver pressure at acupuncture points
CN219354665U (zh) 一种治未病科康复用针灸设备
CN2552533Y (zh) 足部蒸疗保健桶
CN208405350U (zh) 一种艾电透灸理疗装置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200440662Y1 (ko) 뜸기
CN207886528U (zh) 一种坐薰炙腰蒸脚三用远红外保健仪
KR101053449B1 (ko) 뜸기 받침대
KR101371207B1 (ko) 일회용 쑥뜸 장치
HUANG et al. To understand moxibustion from the biological effect of local thermal stimulation
KR100714371B1 (ko) 증기를 이용한 쑥봉 제조방법.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CN208114822U (zh) 一种中医内科针灸辅助装置
KR101727629B1 (ko) 뜸 기구
JP3035543B1 (ja) 電気温灸器
KR20210052840A (ko) 혈행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KR200275491Y1 (ko) 뜸, 온열, 침 및 부항 치료를 위한 다목적 한방치료보조기구
KR200347800Y1 (ko) 마사지 온구기
KR102113643B1 (ko)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KR200423444Y1 (ko) 기능성 뜸의 구조
CN213219115U (zh) 一种艾灸仪
KR102222486B1 (ko) 일라이트와 쑥을 이용한 이비인후과 질환 치료보조용 뜸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