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3643B1 -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 Google Patents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3643B1
KR102113643B1 KR1020180032557A KR20180032557A KR102113643B1 KR 102113643 B1 KR102113643 B1 KR 102113643B1 KR 1020180032557 A KR1020180032557 A KR 1020180032557A KR 20180032557 A KR20180032557 A KR 20180032557A KR 102113643 B1 KR102113643 B1 KR 102113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bottle
stagnation
moxibustion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741A (ko
Inventor
이의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64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caused by chemical reaction, e.g. moxa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침 치료와 뜸 치료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에 관한 것이다. 온침용 뜸봉은 침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침체에 지지되는 뜸 부재, 및 뜸 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점화 심지를 포함한다.
또한, 온침 세트는 침체와, 침병, 및 뜸봉을 포함한다. 침체는 하측 일부가 피부에 삽입된다. 침병은 침체의 상측 일부를 감싸며,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뜸봉은 침병 내부에 배치되어 침체를 감싸며, 일측에 침병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점화 심지가 연결된다.

Description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Moxibution for warming acupuncture and warming acupuncture se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에 삽입되는 침체에 연소되는 뜸봉을 올려놓아 기계 자극 및 온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침 치료와 뜸 치료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뜸봉을 감싸는 침병을 구비하여 뜸봉의 열기로 인한 화상을 예방하는 동시에 침병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에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 뜸봉을 점화시킴으로써 사용성이 증대된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의 침술에서는 경혈 부위에 침을 꽂아 자극하는 침자극 방식으로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시술방법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특히 뜸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자극을 침에 의한 자극과 병행하여 시술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높여주는 온열 침 요법이 실행되고 있다.
온열 침 요법은 대부분 침체의 첨단부를 인체의 경혈 등에 꽂아 둔 상태에서 침체에 온열을 가해주는 방식으로 시술되며, 경락 경혈에서의 기혈의 운행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각종 치료 목적에 사용된다. 특히 관절과 같이 혈행이 없는 곳은 체온이 쉽게 내려가게 되므로 통증 등을 유발하여 관절염과 같은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온열 침 요법은 이와 같이 혈행이 없거나 정체되어 있는 곳에 온열침으로 온열 자극을 주어 치료하고자 하는 모든 치료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온열 침 요법은 뜸봉을 별도로 준비하여 침체의 상단부에 결합시키고 뜸봉에 불을 붙여 태워서 가열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연기와 그을음 등으로 인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시술시 침체가 기울어지거나 침체에 올려진 뜸봉이 떨어져 항시 화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시술시 제약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7331 호(2011.07.22.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침병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에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 뜸봉을 점화시킴으로써 사용성이 증대되고, 뜸봉을 단열 소재로 형성된 침병 내부에 배치시켜 뜸봉의 연소시 연기나 그을음이 침병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치료시 뜸봉으로 인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는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침용 뜸봉은 뜸 부재 및 점화 심지를 포함한다. 뜸 부재는 침체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침체에 지지된다. 점화 심지는 뜸 부재의 일측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뜸 부재는 침체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침 세트는 침체와, 침병, 및 뜸봉을 포함한다. 침체는 하측 일부가 피부에 삽입된다. 침병은 침체의 상측 일부를 감싸며,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된다. 뜸봉은 침병 내부에 배치되어 침체를 감싸며, 일측에 침병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점화 심지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체는 침병 외부로 노출되며 일부가 피부에 삽입되는 침첨부와, 침병 내부에 배치되어 뜸봉을 지지하는 침신부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뜸봉은 침신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병은 하부 및 상부에 침체를 통과하기 위한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형성되고, 침신부의 상단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침병은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침신부를 통과하여 상측 내면이 단턱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병의 상부에는 침병 내부에 배치된 점화 심지의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홀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병은 인출 홀이 배치된 부위에 절연 코팅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병은 단열 소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침용 뜸봉은 뜸 부재와 연결된 점화 심지를 구비함에 따라, 뜸 부재로만 이루어진 뜸봉에 비하여 뜸 부재를 직접 점화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뜸 부재는 쑥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뜸 부재를 완전히 점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데, 본 발명과 같이 뜸 부재에 점화 심지를 연결하면 전화 심지에 의해 뜸 부재가 점화되므로 토치를 이용하여 직접 점화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온침 세트는 뜸봉이 감겨진 침신부를 침병이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뜸봉의 연소시 연기나 그을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좋은 환경에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병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에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 뜸봉을 점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증대된다. 즉, 점화 심지가 없는 뜸봉의 경우 침병으로부터 뜸봉을 분리한 후 토치를 이용하여 뜸봉을 점화시키고 다시 침병에 뜸봉을 넣어 주어야만 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침병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가 뜸봉과 연결되어 있어 침병 내부에 뜸봉을 설치 및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침병을 단열 소재로 형성함에 따라 뜸봉의 열기가 침병 내부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어 뜸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술시 침체가 기울어지더라도 뜸봉으로 인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침용 뜸봉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침 세트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침체 및 침병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침용 뜸봉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침용 뜸봉(10)은 뜸 부재(11) 및 점화 심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침은 피부(s)에 삽입되는 침체(110)에 연소되는 뜸봉을 올려놓아 온열 자극을 가함으로써, 침 치료와 뜸 치료를 함께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뜸 부재(11)는 침체(110)에 열을 전달하여 피부(s)에 온열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침체(11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후술되는 침체(110)에 지지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뜸 부재(11)는 쑥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뜸 부재(11)는 침체(110)의 상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뜸 부재(11)가 침체(110)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뜸 부재(11)가 침체(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침체(11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뜸 부재(11)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체(110)에는 침병(12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점화 심지(12)는 뜸 부재(11)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처럼 점화 심지(12)가 뜸 부재(11)에 연결됨에 따라 토치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점화 심지(12)에 불을 붙이면, 뜸 부재(11)로 불이 옮겨 붙게 된다. 이에 따라, 뜸 부재로만 이루어진 뜸봉과 비교할 때 뜸 부재(11)를 직접 점화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뜸 부재(11)는 쑥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뜸 부재(11)를 완전히 점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데, 상기와 같이 뜸 부재(11)에 점화 심지(12)를 연결하면 점화 심지(12)에 의해 뜸 부재(11)가 점화되므로 토치를 이용하여 점화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점화 심지(12)에 의해 뜸 부재(11)가 점화되면 침체(110)가 가열되어 신체 조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체 조직의 온도는 상승하여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침 세트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침체 및 침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침 세트(100)는 침체(110)와, 침병(120), 및 뜸봉(10)을 포함한다.
침체(110)는 하측 일부가 피부(s)에 삽입된다. 이러한 침체(110)는 피부(s)에 삽입되어 기계적 자극과 온열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s)에 삽입하여도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침체(1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침체(110)의 하측 단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뾰족한 단부를 통해 침체(110)의 일부가 피부(s)에 삽입될 수 있다.
침체(110)는 피부(s)에 삽입되는 침첨부(111)와, 후술되는 뜸봉(10)을 지지하는 침신부(112)로 형성될 수 있다. 침체(110)를 구성하는 침첨부(111) 및 침신부(112)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침병(120)은 침체(110)의 상측 일부를 감싸며, 내부에 저장 공간(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침병(120)은 침체(110)보다 굵게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동시에 뜸봉(10)의 연소시 연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병(120)의 하부에는 침체(110)를 통과하기 위한 하부 개구(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침병(120)의 하부 개구(120a)가 침체(110)를 통과하면 침병(120)의 상측 내면이 침체(110)의 상단에 지지되어 침체(110)에 침병(1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침병(120)의 상부가 침체(110)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병(120)의 상부에 상부 개구(120b)를 더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침체(110)의 상측 단부, 즉 침신부(112)의 상단에 단턱(112a)을 형성하여 침병(120)의 하부 개구(120a) 및 상부 개구(120b)가 침신부(112)를 통과하여 침병(120)의 상측 내면이 침신부(112)의 단턱(112a)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침병(120)의 상부가 침체(110)로부터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시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뜸봉(10)은 침체(110)에 열을 전달하여 피부(s)에 온열 자극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침병(120) 내부에 배치되어 침체(1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뜸봉(10)은 쑥을 가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뜸봉(10)의 일측에는 침병(120)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점화 심지(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점화 심지(12)가 뜸봉(10)에 연결됨에 따라 토치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점화 심지(12)에 불을 붙이면, 뜸봉(10)으로 불이 옮겨 붙게 된다. 이에 따라, 점화 심지가 없는 뜸봉과 비교할 때 뜸봉(10)을 직접 점화하기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뜸봉(10)은 쑥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이어서 뜸봉(10)을 완전히 점화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데, 상기와 같이 뜸봉(10)에 점화 심지(12)를 연결하면 점화 심지(12)에 의해 뜸봉(10)이 점화되므로 토치를 이용하여 점화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점화 심지(12)가 없는 뜸봉의 경우 침병(120)으로부터 뜸봉(10)을 분리한 후 토치를 이용하여 뜸봉(10)을 점화시키고 다시 침병(120)에 뜸봉(10)을 넣어 주어야만 하는데, 본 발명의 온침 세트(100)는 침병(120)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12)가 뜸봉(10)과 연결되어 있어 침병(120) 내부에 뜸봉(10)을 설치 및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증대된다.
뜸봉(10)은 침체(110)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뜸봉(10)은 침체(110)의 상부를 형성하는 침신부(112)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뜸봉(10)이 침신부(112)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침병(120)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침체(110)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뜸봉(10)이 침체(110)를 나선형으로 감싸므로 뜸봉(10)이 침체(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침체(110)는 침첨부(111)와, 침신부(112)로 형성될 수 있다.
침첨부(111)는 침체(110)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 침병(120) 외부로 노출되며 일부가 피부(s)에 삽입된다. 이처럼 침첨부(111)의 일부가 피부(s)에 삽입됨에 따라, 신체 조직에 기계적 자극이 가해져 근육이 이완될 수 있다.
침신부(112)는 침체(110)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 침병(120) 내부에 배치되어 뜸봉(10)을 지지한다. 이러한 침신부(112)는 점화 심지(12)를 통해 점화된 뜸봉(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처럼 침신부(112)가 뜸봉(1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침신부(112)는 침첨부(111)로 열을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신체 조직의 온도는 상승하여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혈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침병(120)은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침병(120)은 우레탄,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침병(120) 내부에는 뜸봉(10)이 배치되므로, 뜸봉(10)이 모두 연소된 것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병(120)을 이중으로 형성하여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침병(120)이 단열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온침 치료시 침체(110)가 기울어져 침병(120)이 피부(s)에 닿았을 때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뜸봉(10)의 열기가 침병(120) 내부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으므로 뜸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침병(120)의 상부에는 침병(120) 내부에 배치된 점화 심지(12)의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침병(120) 내부에 배치된 점화 심지(12)는 인출 홀(122)을 통과하여 침병(120)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때, 점화 심지(12)가 침병(120)에 접촉되면 점화 심지(12)의 열기에 의해 침병(120)이 녹거나 훼손될 수 있으므로, 인출 홀(122)이 배치된 부위에 절연 코팅부(123)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절연 코팅부(123)는 세라믹, 알루미늄, 유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침 세트(100)는 뜸봉(10)이 감겨진 침신부(112)를 침병(120)이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뜸봉(10)의 연소시 연기나 그을음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좋은 환경에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병(120)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12)에 불을 붙이는 방식으로 뜸봉(10)을 점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증대된다. 즉, 점화 심지(12)가 없는 뜸봉의 경우 침병(120)으로부터 뜸봉(10)을 분리한 후 토치를 이용하여 뜸봉(10)을 점화시키고 다시 침병(120)에 뜸봉(10)을 넣어 주어야만 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침병(120)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12)가 뜸봉(10)과 연결되어 있어 침병(120) 내부에 뜸봉(10)을 설치 및 분리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증대된다.
아울러, 침병(120)을 단열 소재로 형성함에 따라 뜸봉(10)의 열기가 침병(120) 내부에 오랫동안 머물 수 있어 뜸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술시 침체(110)가 기울어지더라도 뜸봉(10)으로 인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온침 세트(10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피부(s)에 침체(110)를 삽입시킨 후, 토치와 같은 점화장치를 이용하여 침병(120) 외부로 노출된 점화 심지(12)에 불을 붙인다. 그러면 점화 심지(12)와 연결된 뜸봉(10)에 불이 옮겨 붙게 된다. 이때, 뜸봉(10)은 단열 소재의 침병(120)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술시 침체(110)가 기울어지거나 뜸봉(10)이 침체(110)로부터 이탈하여도 뜸봉(10)으로 인한 화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뜸봉(10)이 점화되면, 뜸봉(10)의 열기로 인해 침체(110)는 가열된다. 따라서, 침체(110)는 피부(s)에 기계적 자극 및 온열 자극을 동시에 가하여 시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뜸봉
11.. 뜸 부재
12.. 점화 심지
110.. 침체
111.. 침첨부
112.. 침신부
112a.. 단턱
120.. 침병
120a.. 하부 개구
120b.. 상부 개구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하측 일부가 피부에 삽입되는 침체;
    상기 침체의 상측 일부를 감싸며,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된 침병; 및
    상기 침병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침체를 감싸며, 일측에 상기 침병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점화 심지가 연결된 뜸봉;을 포함하고,
    상기 침병의 상부에는 상기 침병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점화 심지의 일부가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홀이 형성되고,
    상기 침병은 상기 인출 홀이 배치된 부위에 절연 코팅부가 형성된 온침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체는,
    상기 침병 외부로 노출되며 일부가 상기 피부에 삽입되는 침첨부와, 상기 침병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뜸봉을 지지하는 침신부로 형성된 온침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뜸봉은 상기 침신부를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온침 세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은 하부 및 상부에 상기 침체를 통과하기 위한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침신부의 상단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침병은 상기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상기 침신부를 통과하여 상측 내면이 상기 단턱에 안착되는 온침 세트.
  7. 삭제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병은 단열 소재로 형성된 온침 세트.
KR1020180032557A 2018-03-21 2018-03-21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KR102113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57A KR102113643B1 (ko) 2018-03-21 2018-03-21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557A KR102113643B1 (ko) 2018-03-21 2018-03-21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41A KR20190110741A (ko) 2019-10-01
KR102113643B1 true KR102113643B1 (ko) 2020-05-22

Family

ID=6820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57A KR102113643B1 (ko) 2018-03-21 2018-03-21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36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58Y1 (ko) * 2005-05-04 2005-08-03 정하철 한방용 침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97B1 (ko) * 1991-08-12 1994-09-12 김진섭 다목적 미연 쑥관
KR100330517B1 (ko) * 2000-03-04 2002-03-28 신민식 화침
KR20110007331U (ko) * 2010-01-16 2011-07-22 배삼훈 환상 나선형 뜸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458Y1 (ko) * 2005-05-04 2005-08-03 정하철 한방용 침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741A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051B1 (ko) 전기 온침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온침 장치
WO2018032571A1 (zh) 一种恒温熏灸装置
CN108210318A (zh) 一种温度可调的艾灸罐
US3875944A (en) Heated acupuncture need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13643B1 (ko)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US4604088A (en) Instrument for indirect treatment with a hot air flow and moxa smoke
KR100899980B1 (ko) 전열식 뜸기구
KR101053449B1 (ko) 뜸기 받침대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KR100886386B1 (ko) 게르마늄을 이용한 쑥뜸장치
KR100494716B1 (ko) 쑥찜기
KR200347800Y1 (ko) 마사지 온구기
KR101727629B1 (ko) 뜸 기구
KR200382810Y1 (ko) 뜸 마사지기
CN209405252U (zh) 一种单式雷火灸装置
CN219896398U (zh) 一种艾条辅助固定装置
KR200382850Y1 (ko) 온구기
CN215230285U (zh) 温针灸治疗器
KR200237303Y1 (ko) 쑥뜸구
KR940004047Y1 (ko) 원적외선 전기 쑥치료기
KR100844048B1 (ko) 피부 미용 치료기
JPH07246229A (ja) 温灸器
KR102274839B1 (ko)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CN217908340U (zh) 一种艾条点燃装置
CN211301129U (zh) 一种新型温针灸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