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39B1 -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 Google Patents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39B1
KR102274839B1 KR1020190098625A KR20190098625A KR102274839B1 KR 102274839 B1 KR102274839 B1 KR 102274839B1 KR 1020190098625 A KR1020190098625 A KR 1020190098625A KR 20190098625 A KR20190098625 A KR 20190098625A KR 102274839 B1 KR102274839 B1 KR 10227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econds
section
temperatur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693A (ko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102019009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8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19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61F2007/0071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using a resistor, e.g. near the spot to be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5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contoured to fit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면의 신체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모든 신체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뜸을 실행할 수 있어 뜸 치료효율성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발열핀을 포함하는 발열 핀스크린 수단;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ELECTRICAL MOXIBUSTION THERAPEUTIC DEVICE OF PIN SCREEN TYPE}
본 발명은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의 신체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모든 신체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뜸을 실행할 수 있어 뜸 치료효율성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의원에서는 경혈을 자극하는 치료 수단으로 침과 함께 뜸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뜸은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갖음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건강관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뜸은 시술이 비교적 간편하고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갖음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건강관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뜸은 인체의 경혈, 경락, 통증부위에 열을 직접적으로 가하여 자극함으로써 질병을 치료 또는 예방할 있도록 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쑥뜸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약쑥을 이용한 쑥뜸 시술방법은 열전달 방식에 따라 간접구 방식과 직접구 방식으로 구분되며 종래의 전통적인 쑥뜸 시술시 불을 붙이기 위한 약쑥뭉치의 크기는 쌀알 절반 크기에서 쌀알 한 개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쑥뜸에 의한 화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쑥뜸에 의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열량을 발생시키면서 타는 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시간동안 열 자극을 가하는 것이다.
기존의 약쑥을 이용한 쑥뜸 시술방법은 간접구 방식과 직접구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쑥뜸 방식들은 모두 약쑥뭉치를 태울 때 연기가 발생하며, 시술시마다 매번 약쑥뭉치에다가 불을 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술중에 약쑥뭉치가 넘어져 화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었다.
그리고 시술후에는 시술 부위로부터 약쑥뭉치가 타고 남은 재를 번거롭게 청소해 내야하고, 또한 시술내내 시술자가 환자 곁에서 감시해야 하므로 시술자의 입장에서 많은 시간 낭비의 요소가 있어, 결국은 진료비 상승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쑥뜸을 이용한 치료에 있어서, 약쑥뭉치의 크기를 적게 하는 경우에는 취급이 어렵고 발열량이 적어 충분한 치료효과를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상기 약쑥뭉치의 크기를 너무 크게 하는 경우에는 발열량이 지나치게 과도하여 화상을 입을 위험성에 노출되며 약쑥이 타고 남은 재가 날리는 등 뒷처리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뜸 치료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자식 뜸 장치가 개발되어 한의원 또는 가정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전자식 뜸 장치는 뜸 치료를 위한 기구에 소정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해당 기구의 발열 부분을 피부에 직접 접촉시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1은 종래 전자식 뜸 장치를 이용한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종래의 전자식 뜸 장치는 굴곡이 있는 신체 부위에는 제대로 접촉하지 못하여 올바른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06342(2015.03.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27637(2007.06.13.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83404(2014.07.0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0-0036789(2000.07.05.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23929(2019.03.08.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면의 신체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모든 신체 부위에 고르고 확실하게 접촉하여 뜸을 실행할 수 있어 뜸 치료효율성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복수의 발열핀을 포함하는 발열 핀스크린 수단;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은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며, 복수의 발열핀 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갖고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발열핀 결합구멍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 구비되어 핀스크린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열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전력을 제공받아 발열하여 상기 발열핀으로 열전달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관형상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핀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열부재는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핀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스페이서보다 짧은 길이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발열핀 결합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은 상기 발열부재가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로기판을 보호하도록 그 회로기판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절연성 재질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콘트롤 박스; 상기 콘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며, 발열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위치; 전자 뜸 장치의 사용 상태 및 발열 세기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등; 및 상기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의하면, 평면의 신체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모든 신체 부위에 고르고 확실하게 접촉하여 뜸을 실행할 수 있어 뜸 치료효율성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식 뜸 장치를 이용한 시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를 신체의 등 부위에 적용할 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의 핀스크린 구성부의 사용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를 신체의 등 부위에 적용할 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발열핀(120)으로 구성되어 발열하는 발열 핀스크린 수단(100); 상기 핀스크린 수단(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200); 및 상기 제어 유닛(20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300);을 포함한다. 도면부호 101은 발열 핀스크린 수단을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것이나, 발열 핀스크린 수단의 발열핀이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하여 커버하는 커버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100)은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며, 복수의 발열핀 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일정 간격을 갖고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140)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발열핀 결합구멍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 구비되어 핀스크린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열핀(1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대향면(내측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130), 및 상기 회로기판(130)에 구비되고 전력을 제공받아 발열하여 상기 발열핀(120)으로 열전달하는 발열부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발열핀 결합구멍은 촘촘한 간격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관형상의 스페이서(141)와 볼트(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1)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양단부가 밀착되면서 삽입되도록 하는 관형상의 구성이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의 간격은 스페이서(141)의 길이와 동일하며, 스페이서(141)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141)가 구비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판면이 수평관통되게 하므로서 스페이서(14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하며,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부터는 볼트(142)를 체결하여 스페이서(141)의 양단부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로 스페이서(141)를 개재시키고,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외측으로부터 볼트(142)를 체결시키게 되면 양측의 가이드 플레이트(110)간은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발열핀(12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플레치트(110)의 촘촘한 발열핀 결합구멍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핀스크린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발열핀(120)의 길이 중간에는 스페이서(142)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의 스토퍼(121)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발열핀 결합구멍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130)은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되면서 판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발열핀 결합구멍과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로기판(130)은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110) 중 하나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부재는 회로기판(130)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류량에 따라 발열하는 다수 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트랜지스터 이외에도 다른 발열소자(예를 들면, PTC발열체)가 채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10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두 회로기판(130)의 대향상면에는 상기 발열부재인 트랜지스터를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절연성 재질의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수지재나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 유닛(200)은 콘트롤 박스(210)와, 상기 콘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며, 발열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위치(220)과, 뜸 장치의 사용 상태 및 발열 세기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등(230), 및 상기 콘트롤 박스(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은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복수의 구간이 연속 동작되면서 일정 시간동안 발열핀(120)이 설정된 소정 온도로 가열되어, 뜸 치료를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은 제 1구간 및 제 2구간이 각각 420초씩으로 구성되어, 총 840초 동안 뜸 장치가 동작되면서 발열핀(120)의 온도가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 1구간은 0 내지 180초까지의 온도 상승 구간, 181초 내지 360초까지의 온도 유지 구간, 361초 내지 420초까지의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구간은 421 내지 600초까지의 온도 상승 구간, 601초 내지 780초까지의 온도 유지 구간, 781초 내지 840초까지의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구간 및 제 2구간의 온도 상승 구간에서는 상기 발열핀(120)의 온도가 상온에서 47℃까지 선형 상승하게 되고, 온도 유지 구간에서는 세팅(예: 세팅온도)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온도 하강 구간에서는 47℃에서 38℃ 까지 발열핀(120)의 온도가 선형 하강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의 제어에 따라 발열핀(120)의 온도상승, 유지, 하강 상태는 상기 콘트롤 박스(210)의 LED 표시등(230)에 단계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전력 케이블(300)은 일반적인 전력망에 접속되는 접속 플러그로 구성되며, 이러한 전력 케이블(300) 대신에 발열 핀스크린 수단(100)에 충전용 배터리나 교체형 배터리를 구성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에 의하면, 평면의 신체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모든 신체 부위에 고르고 확실하게 접촉하여 뜸을 실행할 수 있어 뜸 치료효율성 및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열 핀스크린 수단
101: 보호 플레이트
110: 가이드 플레이트
120: 발열핀
130: 회로기판
140: 고정 수단
141: 스페이서
142: 볼트
200: 제어 유닛
210: 콘트롤 박스
220: 조절 스위치
230: LED 표시등
300: 전력 케이블

Claims (5)

  1. 복수의 발열핀을 포함하는 발열 핀스크린 수단;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은,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며, 복수의 발열핀 결합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갖고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발열핀 결합구멍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 구비되어 핀스크린을 형성하는 복수의 발열핀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의 대향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구비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에 구비되고 전력을 제공받아 발열하여 상기 발열핀으로 열전달하는 발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은 관형상의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핀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부재는 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 유닛은, 콘트롤 박스와, 상기 콘트롤 박스에 구비되어 전원을 온/오프하며, 발열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위치와, 전자 뜸 장치의 사용 상태 및 발열 세기를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등, 및 상기 콘트롤 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 회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은 복수의 구간이 연속 동작되면서 일정 시간동안 발열핀이 설정된 소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되, 0 내지 180초까지의 온도 상승 구간, 181초 내지 360초까지의 온도 유지 구간, 361초 내지 420초까지의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성되는 제 1구간, 및 421초 내지 600초까지의 온도 상승 구간, 601초 내지 780초까지의 온도 유지 구간, 781초 내지 840초까지의 온도 하강 구간으로 구성되는 제2 구간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 1구간 및 제 2구간의 온도 상승 구간에서는 상기 발열핀의 온도가 상온에서 47℃까지 선형 상승하게 되고, 온도 유지 구간에서는 세팅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온도 하강 구간에서는 47℃에서 38℃까지 발열핀의 온도가 선형 하강하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 회로 모듈의 제어에 따라 발열핀의 온도상승, 유지, 하강 상태는 상기 콘트롤 박스의 LED 표시등에 단계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핀의 길이 중간에는 상기 스페이서보다 짧은 길이의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발열핀 결합구멍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열 핀스크린 수단은 상기 발열부재가 노출시키면서 상기 회로기판을 보호하도록 그 회로기판을 커버하여 보호하는 절연성 재질의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5. 삭제
KR1020190098625A 2019-08-13 2019-08-13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KR10227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25A KR102274839B1 (ko) 2019-08-13 2019-08-13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625A KR102274839B1 (ko) 2019-08-13 2019-08-13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93A KR20210019693A (ko) 2021-02-23
KR102274839B1 true KR102274839B1 (ko) 2021-07-07

Family

ID=7468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625A KR102274839B1 (ko) 2019-08-13 2019-08-13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8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39Y2 (ko) * 1985-12-25 1991-03-11
KR20000036789A (ko) 2000-03-29 2000-07-05 최용택 전자뜸
KR100727637B1 (ko) 2006-12-14 2007-06-13 김경일 전자 뜸 치료기
KR20110049450A (ko) * 2009-11-05 2011-05-12 이택현 전자 뜸기
KR200458137Y1 (ko) * 2010-01-14 2012-01-20 이택표 핀스크린
KR20140083404A (ko) 2012-12-26 2014-07-0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 뜸기
KR20150136281A (ko) * 2014-05-27 2015-12-07 김동희 전기 뜸 치료기
KR101506342B1 (ko) 2014-12-19 2015-03-26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뜸기
KR20190023929A (ko) 2017-08-30 2019-03-08 이동훈 전자식 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693A (ko) 202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137B2 (en) Electric heat therapy apparatus
KR102046051B1 (ko) 전기 온침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온침 장치
TWM559714U (zh) 溫灸型高溫熱輻射低壓電子艾灸器
KR102274839B1 (ko)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KR200410306Y1 (ko) 온열치료기
KR102138569B1 (ko) 스마트 전자식 뜸기
KR102138571B1 (ko) 스마트 전자식 뜸치료 시스템
KR102336894B1 (ko) 핀스크린형 포터블 전자뜸 장치
KR102386379B1 (ko) 포터블 전자뜸 장치
KR100899980B1 (ko) 전열식 뜸기구
KR100724610B1 (ko) 치료기구
US20220379135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heat and infrared energy, with dynamic temperature control and uniform heat distribution
KR200356688Y1 (ko) 침의 가열장치
KR20060085703A (ko) 전자 뜸
KR20070037576A (ko) 가열 치료 장치
KR102113643B1 (ko) 온침용 뜸봉 및 이를 포함하는 온침 세트
KR20150093136A (ko) 전기온열 뜸 장치
KR960010240Y1 (ko) 뜸 치료용 발열기
KR200192662Y1 (ko) 뜸기
CN209405241U (zh) 一种电热灸装置
KR100844048B1 (ko) 피부 미용 치료기
KR20110005606A (ko) 의료기기용 안전 스위치
KR101287864B1 (ko) 가열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에어 건
CN213048186U (zh) 一种智能高效的艾炙治疗器
CN215779891U (zh) 一种加热艾灸足底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