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9450A - 전자 뜸기 - Google Patents

전자 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9450A
KR20110049450A KR1020090106465A KR20090106465A KR20110049450A KR 20110049450 A KR20110049450 A KR 20110049450A KR 1020090106465 A KR1020090106465 A KR 1020090106465A KR 20090106465 A KR20090106465 A KR 20090106465A KR 20110049450 A KR20110049450 A KR 2011004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eat generating
heat
shock absorbing
absorb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택현
Original Assignee
이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택현 filed Critical 이택현
Priority to KR1020090106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9450A/ko
Publication of KR2011004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9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5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emperatur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8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열용량이 커 피부온도가 급작스럽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발열수단이 참을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온도로 발열을 할 경우 발열수단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열충격흡수층, 온도선택 및 온도유지수단과 연동되며 사용자가 수시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전원개폐수단, 발열수단의 외부에 부착되어 온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색온도 라벨 등이 설치된 전자 뜸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 곳의 외피가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발열수단, 주머니의 상층은 발열수단에 고정시키고 하층은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주머니 속에 액체, 겔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충진제를 채운 열충격흡수층, 상기 열충격흡수층과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된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의 압축과 흡수 상태를 변경시켜 뜸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뜸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뜸기 {Electric Cautery Tools}
본 발명은 전자 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열용량이 커 피부온도가 급작스럽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발열수단이 참을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온도로 발열을 할 경우 발열수단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열충격흡수층, 온도선택 및 온도유지수단과 연동되며 사용자가 수시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전원개폐수단, 발열수단의 외부에 부착되어 온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색온도 라벨, 적외선이 포커싱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피부에 침투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수단 등이 설치된 전자 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해 오던 간접 쑥뜸의 형태는 건조된 쑥을 연소시켜 그때 발생하는 쑥 증기와 열기를 피부에 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열기와 동시에 연기가 발생함으로 호흡기에 안 좋은 영향을 주었고 쑥연기 냄새가 주위에 배어 불편하였다.
이러한 쑥연기를 소량 발생시키기 위하여 쑥을 1차 연소시킨 쑥탄을 사용하였으나 이 또한 화재의 위험성 그리고 타고남은 재를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쑥연기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전자 쑥뜸기 사용을 시도하였으나 쑥뜸이 이루어지는 피부온도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없이 대략 60도씨 정도나 그 이하에서 사용되어져 쑥뜸효과보다는 온열치료 내지는 찜질효과 정도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따라서 발열수단의 효과적인 제어수단, 발열수단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수단, 어떤 온도에서 뜸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 등을 통한 피부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못하고 단지 피부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온도선택 및 유지수단 그리고 발열체를 감싸고 있는 통상의 외피만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통적으로 행하여왔던 간접뜸 방법에 의한 쑥뜸시 쑥뜸효과를 얻기 위하여 임상실험을 행한 결과, 타고 있는 쑥 불씨의 온도는 350∼400도씨이지만 그 불씨에 의하여 발생된 열기로 가열된 피부온도는 60 ∼ 90도씨 정도이다. 상기 피부온도를 얻기 위하여 발열수단의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피부화상이 염려될 수준이어서 그에 따른 화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자 뜸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뜸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60 ∼ 90도씨 정도의 피부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발열수단의 효과적인 제어 수단, 발열수단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키는 이격수단, 어떤 온도에서 뜸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것, 인체의 다양한 굴곡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뜸이 가능한 전자 뜸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 곳의 외피가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의 표면온도인 60도씨 이상에서 변형이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내열성을 가지며 상층은 상기 발열수단에 고정시키고 하층은 신축이 가능한 상태로 있는 주머니 속에 액체, 겔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충진제를 채운 열충격흡수층, 상기 열충격흡수층과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된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의 압축과 흡수 상태를 변경시켜 뜸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뜸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피부온도 60 ∼ 90도씨에서 뜸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뜸의 효과가 확실하며, 상기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부화상의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어떤 온도에서 뜸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인체의 다양한 굴곡을 효과적으로 수용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전자 뜸을 시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충격흡수층의 곡률반경을 변화시켜 뜸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피부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따른 전자 뜸기는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60도씨 이상의 내열성을 갖으며 열용량이 커 피부온도가 급작스럽게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발열수단이 참을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온도로 발열을 할 경우 발열수단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열충격흡수층, 온도선택 및 온도유지수단과 연동되며 사용자가 수시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단락시킬 수 있는 전원개폐수단, 발열수단의 외부에 부착되어 온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색온도 라벨, 적외선이 포커싱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피부에 침투되는 깊이를 조절하는 수단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뜸기의 개념도로서,
외부에서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되며 그 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전원스위치(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박스(2)가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2) 내에는 설정온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선택레버(4)와 온도센서(3)를 통하여 공급되는 온도신호를 통하여 발열수단(5)에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기능이 수행되어지는 온도조절용 PCB기판 등이 있게 된다.
온도센서(3)는 발열수단(5)의 외피에 홈을 파내어 부착하거나, 내열성 테이프 등으로 접촉시켜 놓아 발열수단(5)의 표면온도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한다.
발열수단(5)은 전력이 공급되면 발열하는 발열체와 이를 지지하고 감싸주는 외피로 구성되며, 발열체는 세라믹히터, 면상발열체, PTC 히터, 필라멘트 히터 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외피를 세라믹으로 하고 발열체(6)를 필라멘트 히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를 세라믹으로 한 경우 필라멘트 히터를 가열하는 온도는 쑥불씨가 갖는 350 ∼ 400도씨 정도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세라믹 외피의 표면온도는 60 ∼ 250도씨 정도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뜸기에서는 발열수단(5)의 표면온도는 60 ∼ 250도씨 정도가 요구된다.
발열수단(5)과 피부(18) 사이에는 열충격흡수층(10)이 존재한다.
종래 사용되어진 간접 쑥뜸기에서는 쑥뜸기 하단에 피부온도 조절 및 피부에 뜸기가 직접 닿아 화상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대를 두었는데 이는 쑥뜸의 열기가 공기 중으로 전달되어야 함으로 통상 ring형태로 안쪽이 뚫린 상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열충격흡수층(10)은 발열수단(5)이 피부에 밀착되어져 사용됨으로 인하여 ring형태가 아닌 판형태가 되며, 발열수단(5)의 표면온도인 60도씨 이상에서 변형이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내열성을 가져야 하며, 인체 피부의 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쿠션이 있어야 하며, 발열수단(5)의 표면온도가 60 ∼ 250도씨 정도가 되며 이 정도에서는 잘못하면 피부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열용량이 커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열충격흡수층(10)은 맥반석, 소금 등의 분말을 내부에 포함하는 주머니, 겔 또는 겔을 내부에 포함하는 주머니, 실리콘, 내열성 스펀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열충격흡수층(10) 자체에 쑥성분을 포함시키거나 또는 쑥성분을 포함하는 패드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불어 상기 열충격흡수층(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쑥을 압착시킨 것 또는 쑥 성분을 포함하 는 쑥패드(13)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발열수단(5)이 전력을 공급받는 접점으로 통상의 전구소켓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경우의 단면도로서, 손잡이(11)가 소켓을 감싸고 있는 경우이다.
뜸은 우리 몸의 여러 부분을 이동해가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손잡이(11)가 필요하며, 손잡이(11)는 공급되는 전원에 위한 감전을 막기 위하여 절연기능이 요구되며, 발열수단(5)의 뜨거움이 잡는 손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단열 기능이 요구된다. 또한 한 손으로 잡기가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스위치(1)와는 별도로 온도조절수단이 발열체(6)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라도 사용자의 피부온도가 너무 높아져 더 이상 참기 어려울 정도로 뜨거워 졌을 때는 임의로 발열체(6)에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통상 누르고 있을 때만 ON상태를 유지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발열체 전원개폐수단(8)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11)에 발열체 전원개폐수단(8)을 부착하여 사용자가 뜸을 할 경우 손잡이(11)를 잡고 있으면서 편리하게 손가락으로 발열체(6)에 인가되는 전력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발열체 전원개폐수단(8)이 손잡이(11)에 부착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발열수단(5)을 등에 대었을 경우에는 발열체 전원개폐수단(8)에 손이 잘 안 닿게 되며, 또한 옆에서 보조인이 뜸을 해줄 경우에 보조인이 뜸기 손잡이(11)를 항상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열체 전원개폐수단(8)과 병렬로 연결된 발열체 제2전원개폐수단(9)이 필요하게 된다.
도 3, 4, 5는 열충격흡수층(10)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는 개념도이다.
발열수단(5)에서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 곳의 외피가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상층과 하층으로 구성된 주머니 형태로 열충격흡수층(10)을 구성하고, 주머니의 상층은 발열수단(5) 하부의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곳에 부착시키고, 하층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한 상태에서, 열충격흡수층(10)의 일단에 연결호스(15)를 통하여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를 설치하고,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 연결호스(15),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 모두를 충진제로 채운다. 충진제는 유동성 있는 액체, 유동성 있는 겔 또는 2가지의 혼합물이 가능하다.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는 통상의 자바라, 피스톤형 펌프 등으로 가능하다. 이 경우 발열수단(5)의 발열체(6)는 오목한 곡률반경을 갖는 면상발열체로 한 것이다.
도 3에서와 같이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를 신장시켜 놓으면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 속에 있는 충진제가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 쪽으로 흡입되고 따라서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의 하단은 심하게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발열수단(5)의 표면온도가 60 ∼ 250도씨에서 발열을 하면 발열수단(5)에 부착된 열충격흡수층(10)도 다량의 근적외선과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적외선은 피부조직을 투과하면서 감쇄현상을 이르켜, 어느 정도 지나서는 피부조직에 흡수되어 소멸하게 된다. 침투깊이는 근적외선인 경우 5 ∼ 10mm 정도이며, 원적외선인 경우 0.05 ∼ 2mm 정도이다.
도 3과 같이 오목한 곡률반경에 의하여 방출되는 적외선이 피부의 어느 지점 으로 포커싱되어 있으면, 피부에 의한 감쇄가 일어날지라도 많은 양의 적외선이 피부(18) 깊숙한 지점으로 도달되어 뜸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4에서는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가 압축과 흡수의 중간상태에 있는 경우이며, 이때에는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의 하단은 도 3에서의 경우 보다는 덜 심하게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덜 포커싱이 되고 피부조직을 어느 정도 지나면서 감쇄에 의하여 약해지게 되며 도 3에서의 경우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깊숙한 지점으로 뜸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가 압축 상태에 있는 경우이며, 이때에는 충진제가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에서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열충격흡수층(10) 주머니의 하단은 완만한 곡률반경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방출되는 적외선은 포커싱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피부(18) 전체에 골고루 조사되어 피부조직을 거의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19)의 압축과 흡수 상태를 변경시켜 뜸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이 피부(18)에 침투하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발열수단(5) 외피에 색온도 라벨(12)을 부착시킨 경우의 사시도로서, 사용자가 어떤 온도에서 뜸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발열수단(5)의 외부에 온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색온도 라벨(12)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온도 라벨(12)은 색이 변하는 영역이 일정범위로 한정되어져 있음으로 각 온도범위에 해당되는 숫자와 함께 색온도 라벨(12)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것이다. 물론 대표적인 1개의 색온도 라벨(12)을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 다.
도 7은 열충격흡수층(10) 일단에 연결호스(15)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14)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열충격흡수층(10)을 공기가 새지 않는 주머니 형태로 하고 일단에 연결호스(15)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14)를 설치한 것이다. 이격용 압축기(14)는 신축성이 있는 고무공과 같이 구형의 형태이며 자체적으로 자연 상태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포함하고 있게 된다. 이때에는 열충격흡수층(10)의 주머니는 발열수단(5)이 갖는 무게에 의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에 있음으로 발열수단(5)의 열이 피부로 잘 전달되게 된다. 발열수단(5)이 참을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난 온도로 발열을 할 경우 이격용 압축기(14)를 손으로 누르면 이격용 압축기(14) 안에 있던 공기가 연결호스(15)를 통하여 열충격흡수층(10)으로 이동하여 열충격흡수층(10)이 도 8과 같이 부풀어 올라 발열수단(5)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어 피부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로써 본인이 직접 뜸을 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인에 의하여 뜸을 하고 있을 때, 피부온도가 너무 뜨거울 때마다 일일이 보조인에게 발열수단(5)을 피부에서 이격시키라고 주문하는 대신 본인 스스로가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열충격흡수층(10) 가장자리에 공기가 새지 않는 관형의 호스를 설치하고 일단에 연결호스(15)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14)를 설치하는 것도 발열수단(5)을 신속하게 피부에서 이격시킬 수 있어 피부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열충격흡수층(10)에 체결부(16)를 설치한 사시도로서, 발열수단(5)과 열충격흡수층(10)을 체결시켜줄 수 있도록 열충격흡수층(10)의 테두리에 체결부(16)를 부착한 것이다. 발열수단(5)과 열충격흡수층(10)이 따로 분리되어 있으면 인체에 뜸을 뜨는 위치를 옮겨갈 때 마다 발열수단(5)과 열충격흡수층(10) 각각 옮겨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부주위로 발열수단(5) 하단에 열충격흡수층(10)이 정확히 위치하지 않으면 피부가 발열수단(5)에 직접 닿게 되어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수단(5)과 열충격흡수층(10)을 체결시켜 놓는 것이 필요하다. 체결부(16)의 일 측을 열충격흡수층(10)의 테두리를 따라서 고정시키고, 체결부(16)의 열려진 입구로 발열수단(5)을 감싸고 그 열려진 입구를 벨크로, 지퍼(17), 파스너, 자석 등으로 체결하게 된다. 도 9에서는 지퍼(17)를 사용하여 체결한 것이다.
도 10은 발열수단(5)의 하단에 쑥성분이 포함된 쑥패드(13)를 직접 부착한 개념도로서, 열충격흡수층(10) 없이 피부에 발열수단(5)을 접촉하여 쑥뜸효과를 주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열충격흡수층(10)이 없으므로 피부와의 밀착성이 떨어지고, 급작스런 온도변화가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는 쑥뜸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쑥패드(13)의 테두리에 체결부(16)를 설치하여 발열수단(5)과 쑥패드(13)를 체결시켜놓은 개념도로서, 체결부(16)의 일 측을 쑥패드(13)의 테두리를 따라서 고정시키고, 체결부(16)의 열려진 입구로 발열수단(5)을 감싸고 그 열려진 입구를 벨크로, 지퍼, 파스너, 자석 등으로 체결하게 된다.
도 12는 하부가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갖는 발열수단(5)의 개념도이다.
인체의 표면은 볼록하기도 하고 오목하기도한 아주 다양한 굴곡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굴곡을 수용하기 위하여, 또한 인체의 피부는 쿠션이 있어 평평한 형태의 판을 대고 누르면 주로 중앙부분보다는 가장자리가 많이 밀착되며 따라서 중앙부분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 12에서와 같이 발열수단(5)의 하부가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발열수단(5) 대신에 열충격흡수층(10)의 하부가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가져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뜸기의 개념도
도 2는 발열수단이 전력을 공급받는 접점으로 통상의 전구소켓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경우의 단면도
도 3, 4, 5는 열충격흡수층의 곡률반경을 변화시키는 개념도
도 6은 발열수단 외피에 색온도 라벨을 부착시킨 경우의 사시도
도 7은 열충격흡수층 일단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열충격흡수층 일단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는 열충격흡수층에 체결부를 설치한 사시도
도 10은 발열수단의 하단에 쑥성분이 포함된 쑥패드를 직접 부착한 개념도
도 11은 쑥패드의 테두리에 체결부를 설치하여 발열수단과 쑥패드를 체결시켜놓은 개념도
도 12는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갖는 발열수단의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컨트롤박스 3. 온도센서 5. 발열수단 6. 발열체 8. 발열체 전원개폐수단
10. 열충격흡수층 12. 색온도 라벨 13. 쑥패드 14. 이격용 압축기
19.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

Claims (16)

  1. 외부에서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전원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박스;
    전력이 공급되면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상기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어 발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발열수단의 표면온도를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시켜주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전원스위치와는 별도로 상기 온도조절수단이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라도 임의로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발열체 전원개폐수단;
    상기 발열수단의 표면온도인 60도씨 이상에서 변형이나 변질이 발생하지 않는 내열성을 갖고, 분말, 겔, 실리콘과 같이 쿠션이 있고 열용량이 큰 소재로서 일정두께를 갖으며, 상기 발열수단과 피부사이에 설치되는 열충격흡수층;
    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2. 외부에서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전원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박스;
    발열체가 내장되어 있는 곳의 외피가 오목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전력이 공급되면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상기 발열수단의 표면온도인 60도씨 이상에서 변형이나 변질이 발생하지 않 는 내열성을 가지며 상층은 상기 발열수단에 고정시키고 하층은 신축이 가능한 상태로 있는 주머니 속에 액체, 겔과 같이 유동성이 있는 충진제를 채운 열충격흡수층;
    상기 열충격흡수층과 연결호스를 통하여 연결된 곡률조절용 압축흡입기;
    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3. 외부에서 전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것을 결정하는 전원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컨트롤박스;
    전력이 공급되면 표면 온도가 60 ∼ 250도씨로 발열하는 발열수단;
    상기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어 발열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발열수단의 표면온도를 일정한 범위내로 유지시켜주는 온도조절수단;
    단열 및 절연이 가능한 소재로 되며, 상기 발열수단 외피의 일부에 구성되며 한 손으로 잡기가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한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부착되며, 상기 전원스위치와는 별도로 상기 온도조절수단이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라도 임의로 발열체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으며, 발열수단의 외피에 설치되는 발열체 전원개폐수단;
    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4. 제 1, 2항에 있어서, 단열 및 절연이 가능한 소재로 되며, 상기 발열수단 외피의 일부에 구성되며, 한 손으로 잡기가 용이한 형태를 갖도록 하는 손잡이가 부 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상기 발열체 전원개폐수단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6. 제 1, 2, 3,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 외피에 색온도 라벨을 부착시킨 것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7. 제 1, 2, 4,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흡수층 자체에 쑥성분을 포함시키거나 또는 상기 열충격흡수층의 상부, 하부에 쑥을 압착시킨 것 또는 쑥 성분을 포함하는 쑥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8. 제 1, 4, 6항에 있어서, 열충격흡수층을 공기가 새지 않는 주머니 형태로 하고 일단에 연결 호스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9. 제 1, 4, 6항에 있어서, 열충격흡수층 가장자리에 공기가 새지 않는 관형의 호스를 설치하고 일단에 연결호스를 통하여 이격용 압축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0. 제 1, 2, 4, 6항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흡수층의 테두리에 발열수단과 열충격흡수층을 체결시켜줄 수 있도록, 벨크로, 지퍼, 파스너,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1. 제 3,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의 하단에 쑥성분이 포함된 쑥패드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쑥패드의 테두리에 발열수단과 쑥패드를 체결시켜줄 수 있도록 벨크로, 지퍼, 파스너,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3. 제 1, 2, 3,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의 발열체를 세라믹히터, 면상발열체, PTC 히터, 필라멘트 히터 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4. 제 1, 4항에 있어서, 상기 열충격흡수층의 하부가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5. 제 1, 3,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수단의 하부가 아래로 볼록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16. 제 1, 3, 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전원개폐수단과 병렬로 연결된 발열체 제2전원개폐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뜸기.
KR1020090106465A 2009-11-05 2009-11-05 전자 뜸기 KR20110049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465A KR20110049450A (ko) 2009-11-05 2009-11-05 전자 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465A KR20110049450A (ko) 2009-11-05 2009-11-05 전자 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9450A true KR20110049450A (ko) 2011-05-12

Family

ID=4436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465A KR20110049450A (ko) 2009-11-05 2009-11-05 전자 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9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93A (ko) * 2019-08-13 2021-02-23 이동현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693A (ko) * 2019-08-13 2021-02-23 이동현 핀스크린 방식의 전자 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538021U (zh) 保温负压治疗热疗罐装置
CN205458000U (zh) 一种多功能烹调锅
US201501902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an endondontic instrument by infrared radiation
KR100955876B1 (ko) 전열 찜질기
KR100883034B1 (ko) 축열물질과 전열선을 내장한 온열매트
KR20110049450A (ko) 전자 뜸기
KR200426372Y1 (ko) 외부에서 온도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온열기
US20220362571A1 (en) Device comprising a heat source
KR20140088478A (ko) 온열 찜질기
KR200467635Y1 (ko) 하반신용 세라믹 온열기
KR20170000414U (ko) 온열 방석
KR102205434B1 (ko) 신체 다부위 찜질 방석
JP3112041U (ja) 温熱治療器
CN209405255U (zh) 一种单式雷火灸装置
KR101691765B1 (ko) 착용이 간편한 축열식 구조의 목과 어깨겸용 온열찜질기
KR20041983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KR101649266B1 (ko) 원적외선 방사 축열식 찜질기
KR101679817B1 (ko) 안전성이 개선된 찜질기
KR200235480Y1 (ko)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휴대용 찜질기
JP2007014679A (ja) 温灸器
KR20010026337A (ko) 부항컵
KR200489505Y1 (ko)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JP7464490B2 (ja) 電気調理器
KR200489953Y1 (ko) 이종의 열전달부를 갖는 핫팩
JP2011194194A (ja) Ptc線状温熱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