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836Y1 -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 Google Patents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836Y1
KR200419836Y1 KR2020060010075U KR20060010075U KR200419836Y1 KR 200419836 Y1 KR200419836 Y1 KR 200419836Y1 KR 2020060010075 U KR2020060010075 U KR 2020060010075U KR 20060010075 U KR20060010075 U KR 20060010075U KR 200419836 Y1 KR200419836 Y1 KR 200419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ating element
planar heating
sleeping ba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0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자
Original Assignee
오경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자 filed Critical 오경자
Priority to KR20200600100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8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8Sleeping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면상발열체가 장착되어 보다 빠르고 고르게 사용자의 발을 따뜻하게 하는 발침낭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발을 포함한 무릎 이하의 신체 일부를 거치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 위에 거치된 발을 덮으며, 사용자의 발이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입구를 일측에 확보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와 결합되는 보온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보다 빠르고 고르게 사용자의 발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발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발침낭, 면상발열체, 보온, 조임단, 개폐부, 전원

Description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Foot heating bag using plane heat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온외피 110 : 지퍼
120 : 조임단 200 : 면상발열체
210 : 보호피복 300 : 단자
400 : 커넥터
본 고안은 발을 따뜻하게 하여 두한족열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발침낭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면상발열체가 장착되어 보다 빠르고 고르게 사용자의 발을 따뜻하게 하는 발침낭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일상생활은 취침시를 제외하고는 서있는 상태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발부분은 혈액의 순환시에 노폐물이 모이기 쉽게 된다.
따라서 옛날부터 발은 제 2의 심장이라고 불리고 있으며, 민간요법에서는 장수의 비결로서 머리는 차고 발은 따뜻하게 즉 두한족온(頭寒足溫) 방법이 전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발 및 아랫다리를 보온하거나 발바닥의 지압을 겸하는 보온구가 1984년 특허출원공고 제 1894호 및 1992년 실용신안출원공고 제5774호에 개시되어 있는바, 전자의 것은 장화의 내부에 가열된 액체가 순환되는 도관을 설치하고, 장화에 히터를 연결함과 동시에 히터의 케이스에 액체조를 형성하여 화학발열 카드리지로 된 발열수단으로 가열하며, 상기 액체조와 도관을 연결함과 동시에 도관에 수동펌프를 설치하여 액체조에서 가열된 액체를 수동펌프에 의하여 도관을 순환토록하여 발 및 아랫다리를 보온토록 한 것이다.
또한 후자의 것은 족온구 본체의 상면에 전열히터를 설치함과 동시에 지압판을 설치하고, 족온기 본체의 측면에 진동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것은 발 및 아랫다리의 보온은 가능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도관에 가열된 액체를 순환하기 위하여서는 수동펌프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번 잡하고 불편하며, 히터가 돌출되어 있어서 착용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열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에 열을 가하도록 구성된 보온구가 제안된 바도 있지만, 전기열선으로 히터를 구성하는 경우 가열속도가 느려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부위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지 아니하고 전기열선이 배치된 부분만 가열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것은 발바닥의 지압 및 보온은 가능하나 족온구 본체를 바닥에 설치하고 족온구 본체의 상면에 발바닥을 올려놓도록 되어 있으므로 사람의 거동이 불가능하고, 히터의 가열온도를 높게 하였을 때에는 발바닥에 화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온구 및 족온구는 수면 시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발을 따뜻하게 하는 기능만 있을 뿐이고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에너지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다 빠르고 고르게 사용자의 발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침낭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발을 포함한 무릎 이하의 신체 일부를 거치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 위에 거치된 발을 덮으며, 사용자의 발이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입구를 일측에 확보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와 결합되는 보온외피;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면상발열체는,
금속 박판을 에칭한 금속면상발열체, 카본블랙(Carbon black)과 카본섬유를 코팅하여 저항발열을 이용하는 카본면상발열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를 도금하여 도전성 도료에 통전하는 방식의 면상원적외선 방사체, 고분자 시트에 섬유 형상의 탄소를 펄프에 그물망 형태로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을 높인 탄소섬유 발열체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된다.
상기 면상발열체는,
열전도가 가능하며 절연성이 있는 보호피복으로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온외피와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호 외측 끝단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온외피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면상발열체는 상기 보온외피의 저면부 내에 인입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보온외피는 발이 인입되는 공간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부가 형성된다.
상기 보온외피는 발이 출입되는 입구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조임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각각 하나의 발이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발을 포함한 무릎 이하의 신체 일부를 거치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200); 상기 면상발열체(200) 위에 거치된 발을 덮으며, 사용자의 발이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입구를 일측에 확보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200)와 결합되는 보온 외피(100); 및 상기 면상발열체(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300)와 커넥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전원과 연결된 커넥터(400)를 상기 면상발열체(200)에 마련된 단자(30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면상발열체(200)를 가열하고, 보온외피(100)와 면상발열체(200) 사이의 공간으로 발을 넣어 발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온외피(100)는 사용자의 발만이 인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발을 포함한 무릎 이하의 신체일부 즉, 종아리 부위까지 인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온외피(100)의 크기 및 형상은 사용자의 요구 및 용도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200)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공기가 보온외피(100)와 면상발열체(200) 사이의 공간 즉,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공간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온외피(100)는 사용자의 발이 출입되는 측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외측 끝단이 면상발열체(200)의 외측 끝단 또는 가장자리 부위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보온성 향상을 위해 솜이나 카시미론, 스폰지 등과 같은 보온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열을 발생하는 부재로서, 감전 및 누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성이 있는 보호피복(210)으로 감싸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호피복(210)이 석면과 같은 열전도가 거의 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200)에서 생성된 열이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므로, 상기 보호피복(210)은 열전도가 가능한 재료,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금속 박판을 에칭한 금속면상발열체, 카본블랙(Carbon black)과 카본섬유를 코팅하여 저항발열을 이용하는 카본면상발열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를 도금하여 도전성 도료에 통전하는 방식의 면상원적외선 방사체, 고분자 시트에 섬유 형상의 탄소를 펄프에 그물망 형태로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을 높인 탄소섬유 발열체 등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어떠한 면상발열체로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일반 전기열선에 비하여 온도 상승 속도가 빠르므로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공간의 공기를 보다 빠르게 데울 수 있으며,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면 전체가 고르게 가열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200)가 면상원적외선 방사체와 같이 가열 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경우,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원전외선의 효과는 이미 여러 임상실험에서 검증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2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외 피(100)가 일측에만 출입구를 갖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상기 보온외피(100)의 저면부 내에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면상발열체(200)가 상기 보온외피(10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면상발열체(2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발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보온외피(100)를 지나야하므로 열전도율이 낮아지기는 하지만, 면상발열체(200)의 저면으로 방출되는 열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면상발열체(200)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200)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미려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피복(210)의 저면부 즉, 사용자의 발이 올려지는 부위에만 인입되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상기 면상발열체(20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보호피복(210) 전체 내부에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자신의 발을 상기 보온외피(100)의 내부로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상기 보온외피(100)는 발이 인입되는 내부 공간을 외측으로 개방시키는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상기 개폐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부에는 개폐수단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110)로 적용될 수도 있고, 단추 또는 매직테이프 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온외피(100)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발이 출입되는 입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온외피(100)의 입구측에는 입구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조임단(120)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임단(120)은 사용자의 발이 상기 보온외피(100) 내부로 인입되었을 때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밀착됨으로써 보온외피(100)의 입구와 사용자의 종아리 사이로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두 발이 모두 들어갈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하나의 발이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하나의 발침낭에 두 발이 모두 들어가는 경우에는 발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침낭이 한 쌍으로 마련되면 사용자가 다리를 벌리거나 움직이는 동작이 자유로워지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발침낭은, 전원인가를 위한 단자(300) 및 커넥터(400)가 두 개의 발침낭 각각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전선으로 두 개의 발침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하나의 발침낭에만 단자(300) 및 커넥터(400)를 구비시키더라도 두 개의 발침낭 모두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발침낭은, 보다 빠르고 고르게 사용자의 발에 열을 가할 수 있고, 따뜻한 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발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발을 포함한 무릎 이하의 신체 일부를 거치시킬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는 면상발열체(200); 및
    상기 면상발열체(200) 위에 거치된 발을 덮으며, 사용자의 발이 내외부로 출입될 수 있는 입구를 일측에 확보하도록 상기 면상발열체(200)와 결합되는 보온외피(1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금속 박판을 에칭한 금속면상발열체(200), 카본블랙(Carbon black)과 카본섬유를 코팅하여 저항발열을 이용하는 카본면상발열체(200),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스를 도금하여 도전성 도료에 통전하는 방식의 면상원적외선 방사체, 고분자 시트에 섬유 형상의 탄소를 펄프에 그물망 형태로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을 높인 탄소섬유 발열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열전도가 가능하며 절연성이 있는 보호피복(210)으로 감싸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외피(100)와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상호 외측 끝단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외피(100)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면상발열체(200)는 상기 보온외피(100)의 저면부 내에 인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외피(100)는 발이 인입되는 공간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개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외피(100)는 발이 출입되는 입구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조여지는 조임단(12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발이 인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침낭.
KR2020060010075U 2006-04-14 2006-04-14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KR200419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75U KR200419836Y1 (ko) 2006-04-14 2006-04-14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075U KR200419836Y1 (ko) 2006-04-14 2006-04-14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836Y1 true KR200419836Y1 (ko) 2006-06-26

Family

ID=4448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075U KR200419836Y1 (ko) 2006-04-14 2006-04-14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8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92Y1 (ko) 2008-11-03 2011-03-03 (주)포근한세상 봉제완구형 족온침낭
WO2020184957A1 (ko) * 2019-03-11 2020-09-17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492Y1 (ko) 2008-11-03 2011-03-03 (주)포근한세상 봉제완구형 족온침낭
WO2020184957A1 (ko) * 2019-03-11 2020-09-17 임경섭 보온성이 향상된 침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408B2 (en) Bus bar interfaces for flexible heating elements
HK1089350A1 (en) Radiant therapeutic heater
KR20100004391U (ko) 휴대용 축열 찜질장치
KR200419836Y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발침낭
JPH10165521A (ja) 治療用及び美容用の温熱器
KR200410058Y1 (ko) 회전전자파 방사를 이용하여 인체의 혈액순환을 개선하는휴대용 온열치료기
KR20190068842A (ko) 발열 기능을 가지는 교정조끼
KR200426372Y1 (ko) 외부에서 온도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온열기
CN207869430U (zh) 一种具有养生保健作用的石墨烯电热毯
KR20090000554U (ko) 휴대용 축열 찜질장치
KR20140088478A (ko) 온열 찜질기
KR200401928Y1 (ko) 휴대용 찜질기
KR20180001053U (ko) 온열 목도리
KR200428270Y1 (ko) 온수순환매트
KR101009368B1 (ko) 다기능 찜질기
CN204618545U (zh) 一种电热护颈
KR200413334Y1 (ko) 건식 및 습식 두부 사우나 장치
KR200350753Y1 (ko) 하체보온용 건강매트
CN213192169U (zh) 用于暖宫的护理仪
CN217057687U (zh) 一种移动取暖器
KR200277590Y1 (ko) 의료용 침대매트
KR200323799Y1 (ko) 세라믹탄소섬유(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방한복
KR20180112498A (ko) 면상 발열체를 구비한 안대
KR100385337B1 (ko) 의료용 온열기 제조방법
CN114947336A (zh) 一种干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