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132U -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132U
KR20190000132U KR2020170003500U KR20170003500U KR20190000132U KR 20190000132 U KR20190000132 U KR 20190000132U KR 2020170003500 U KR2020170003500 U KR 2020170003500U KR 20170003500 U KR20170003500 U KR 20170003500U KR 20190000132 U KR20190000132 U KR 201900001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using
heat
pip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505Y1 (ko
Inventor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주 filed Critical 박성주
Priority to KR2020170003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05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8Materials not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통체 구조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찜질 공간 내부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을 포함하는 족욕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족욕 장치는, 본체부의 내부 찜질 공간에 스팀을 제공하여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팀발생수단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Foot bathing apparatus of dry type with wet type}
본 고안은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공되어 건식 방식의 찜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에 스팀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제공되어 습식 방식의 찜질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웰빙에 따른 개인의 건강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바, 특히 족욕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인 다리부위를 일정온도의 물이 수용된 족욕 장치에 담근 후 일정시간 동안 찜질을 하게 되면 혈액순환촉진으로 건강 증진을 향상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는 등의 많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족욕 장치는, 적정 크기의 용기에 물을 채운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수반되기 때문에, 발열체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시키지 않고도 찜질을 가능하게 하는 건식 족욕 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건식 방식의 족욕 장치는,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통체 구조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찜질 공간 내부에 직접 전기가 도통되도록 설치되는 전선과 상기 전선의 단부에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를 변환시키는 전열코일 등으로 구성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족욕 장치는, 상기와 같이 찜질 공간의 내부에 전선과 전열코일 등으로 구성된 발열체가 구성되기 때문에, 발열체의 발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밀도차에 의해 찜질 공간의 상부에 체류하는 반면 온도가 낮은 공기는 찜질 공간의 하부에 체류할 수 밖에 없어 찜질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찜질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찜질 공간에 스팀이 공급되도록 해야 하는데, 상기 발열체가 찜질 공간의 내부에 감전 등의 위험이 발생되는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스팀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스팀을 찜질 공간에 공급하여 습식 방식의 찜질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족욕 장치는, 통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의 상측 개방부위를 개폐시키는 삽입공을 가지는 덮개패널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본체부의 상측 개방부위와 덮개패널의 해당부위에 상호간 탈부착을 위한 공지의 요철 또는 단턱 지지 구조가 적용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본체부에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된 후 덮개패널의 삽입공에 다리부위가 구속되는 상태로 덮개패널이 본체부의 상측 개방부위에 부착되도록 하는 동작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반복적인 사용에 따라 탈부착 구조가 쉽게 파손되어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덮개패널은 본체부의 상측 개방부위에 대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착석위치와 본체부의 거리가 멀리 이격되거나 사용자의 다리길이가 짧은 경우 종아리나 정강이 부위가 덮개부의 삽입공 내주면에 부딪치게 되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본체부와 덮개패널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덮개패널을 본체부에 부착시킨 상태로 유지 보관하지 않으면 덮개패널이 쉽게 분실되어 본체부의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등록실용 제20-0460431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 제20-0410307호
(특허문헌 3) 한국 등록특허 제10-1145430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가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공되어 건식 방식의 찜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에 스팀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제공되어 습식 방식의 찜질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패널이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통체 구조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찜질 공간 내부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을 포함하는 족욕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족욕 장치는, 본체부의 내부 찜질 공간에 스팀을 제공하여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팀발생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는, 상측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측 개방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사용자의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은, 소정면적의 바닥체; 바닥체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 및 기둥과 기둥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체를 포함하며, 좌측면벽체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패널은,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의 배면벽체로부터 좌측면벽체와 우측면벽체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에 대하여 회동되어 하우징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의 정면벽체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와 우측면벽체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경사판; 및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은, 파이프, 파이프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통해 발열 동작되는 발열체 및 파이프의 내부에 충전되어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열유체로 구성되는 히트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은,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금속 재질의 전열판넬 중공에 발열유체가 충전된 상태에서 진공 배기되고 전열판넬(210)에 배관되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의 내부에 발열체가 삽입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팀발생수단은, 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스팀발생기에 일단이 연장된 상태에서 타단이 본체부를 관통하여 찜질 공간에 위치되며 스팀이 찜질 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팀공급관; 및 본체부의 찜질 공간에 구성되고 스팀공급관의 타단에 연통되어 스팀이 찜질 공간에 분무되도록 하는 스팀분무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족욕 장치는, 본체부의 내부 찜질 공간에 탄소보드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가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히트파이프 발열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공되어 건식 방식의 찜질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본체의 내부에 스팀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스팀이 제공되어 습식 방식의 찜질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패널이 회동판과 경사판으로 구성되고 회동판과 경사판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이 형성됨으로서, 본체와 덮개패널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사용상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이 본체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본체의 내부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족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족욕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족욕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족욕 장치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구조의 발열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족욕 장치에 있어서 스팀발생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는, 상측면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통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내부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 등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측이 개방된 통체 형상의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족욕공간 제공수단으로서, 피톤치드를 많이 배출하는 편백나무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사람의 혈액순환을 개선시키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면역체계를 개선하고 해독기능을 제공하며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체부(100)는, 상측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사용자의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는 덮개패널(120)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소정면적의 바닥체(111), 바닥체(111)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12) 및 기둥(112)과 기둥(112)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체(113)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좌측면벽체(113a)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113b)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113c)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후술된 덮개부(120)의 경사판(123)이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덮개패널(120)은,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간편하게 하는 덮개수단으로서,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배면벽체(113c)로부터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121),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되어 하우징(110)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용이하게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122),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정면벽체(113b)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하는 경사판(123) 및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12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공(124)은, 회동판(122)에 형성되는 제1삽입공(124a)과 경사판(123)에 형성되는 제2삽입공(124b)이 각각 '3'자 형상의 곡률을 가지는 상태에서 상호간 대면시 타원형상의 개구부위가 제공되도록 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삽입공(124b)의 면적이 제1삽입공(124a)의 면적에 비해 넓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하여, 찜질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덮개패널(120)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별도로 불편한 자세에서 덮개패널(120)을 집어 올린 후 개방부위를 폐쇄시키는 것에 비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동판(122)이 하우징(110)의 상측단 벽체부위에 지지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회동판(122)과 벽체부위에 탈부착 지지 구조가 적용되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회동판(12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개방부위가 개방된 후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동판(122)이 원위치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개방부위가 폐쇄시 다리부위가 구속되어 종래에 비해 간편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123)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의 개방부위에 수직하게 삽입 및 구속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삽입공(124)의 내주면에 부딪치는 부상을 억제하고 편한 자세에서 족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패널(120)이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으로 구성되고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124)이 형성됨으로서, 하우징(110)과 덮개패널(120)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사용상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123)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족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은,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중 바닥체(111)와 벽체(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방열 또는 전열 기능을 제공하는 전열판넬(210)과, 전열판넬(210)에 구성되는 파이프(221), 파이프(221)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통해 발열 동작되는 발열체(222) 및 파이프(221)의 내부에 충전되어 발열체(222)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열유체(223)로 구성되는 히트파이프(220) 등을 포함한다.
전열판넬(210)은, 히트파이프(2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본체부(100)의 바닥체(111)나 벽체(113) 중 해당 설치 위치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가지고 해당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것이 좋다.
히트파이프(220)의 파이프(221)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통하여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거나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을 가지는 파이프로서, 내부에 충전되는 발열유체(223)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것이 좋다.
히트파이프(220)의 발열체(222)는, 파이프(221)의 내부에 구성된 상태에서 외부의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발열 동작되는 발열원으로서, 양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도록 하는 공지의 플렉시블한 성질을 가지는 전도성 탄소 발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파이프(220)의 발열유체(223)는, 파이프(221)의 내부에 가득 충전되고 발열체(222)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조성물질로서, 크게, 증류수 4 내지 12 중량%, 1,2-프로필렌글리콜(1,2-propyleneglycol ; HOCH2CH3CHOH) 88 내지 9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 C6H15NO3) 0.0042 내지 0.0046 중량%, 메틸벤조트리아졸(5-methylbenzole ; C7H7N3) 0.00035 내지 0.00045 중량% 및 삼폴리인산나트륨(sodiumtripolyphosphate ; Na5P3010) 0.00028 내지 0.00032 중량%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1,2-프로필렌글리콜은 열전달 및 열교환을 위한 운반체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은 상기 조성물질들이 130℃ 이내에서 끓지 않도록 하고 약 -40 내지 130 ℃에서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221)의 내부 압력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에, 상기 트리에탄올아민의 중량% 조절을 통하여 발열 온도의 상한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열 기능을 제공하는 매트 등에 활용되는 것이므로, 피부에 직접 접촉할 수도 있는 만큼, 온열 효율을 최대화하면서 과열 등에 따른 화상 및 화재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열유체(223)가 130℃까지만 가열되어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틸벤조트리아졸은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삼폴리인산나트륨은 파이프(221)의 내주면에 이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열유체(223)에는, 상기 조성물질 이외에, 열에너지와 반응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 기능 이외에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생체세포 성장과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맥반석, 숯, 황토, 코발트, 옥 및 게르마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유체(223)의 내부에 고르게 혼합 및 분포되도록 한다. 또한, 입자크기가 1mm를 초과하게 되면 파이프(221)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질 때 직접 사용자의 몸무게 등에 의해 가압되어 부피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파이프(221)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으나,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입자크기가 1㎛ 미만의 분말 타입을 가지게 되면 장시간 미사용시 파이프(221)의 내부 하측부에 침전될 문제가 있으나, 입자크기가 1㎛ 내지 1mm인 경우 입자들 사이의 공극으로 인하여 발열유체(223)의 가열에 따른 팽창에 의해 쉽게 침전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발열유체(223)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발생량이 적어서 원적외선을 통한 찜질 효과 등이 극히 미약하게 나타나게 되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적외선 찜질 효과가 증가하게 되지만 원적외선발생결정체가 분말 형태를 가지는 특성상 파이프(221)의 중공에서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파이프(221)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질 때 발열유체(223)의 과열에 의해 고압 팽창시 파이프(221)의 팽창률이 커지게 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발열유체(223)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의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열유체(223)에는, 상기 조성물질 이외에, 발열유체(223)의 조성물질들이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돌발적으로 끓어오르는 현상(돌비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더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 기능 제공시 조성물질들이 과가열되어 파이프(221)의 내부 압력이 급팽창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이프(2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입자크기가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하여, 발열유체(223)의 내부에 고르게 혼합 및 분포되는 것이 좋고 파이프(221)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질 때 직접 사용자의 몸무게 등에 의해 가압되어 부피 변화가 발생되는 경우 파이프(221)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가 발열유체(223)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다공의 개수가 현저히 적어 발열유체(223) 조성물질들의 과가열 방지 효과가 극히 미약하게 나타나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돌비현상 억제 효과가 증가하게 되지만 끓임쪽이나 비등석이 결정체 형태를 가지는 특성상 파이프(221)의 중공에서 차지하게 되는 부피가 커지게 되어 파이프(221)가 플렉시블한 재질을 가질 때 발열유체(223)의 과열에 의해 고압 팽창시 파이프(221)의 팽창률이 커지게 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상기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발열유체(223)의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임계적 의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히트파이프(220)에 의하면, 파이프(2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발열체(222)의 양단부에만 발열 동작을 위한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하우징(110)의 내부 찜질 공간에는 전자파 발생이 최소화되어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하우징(110)의 외부까지 히트파이프(220)의 양단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각각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지고 그 부위에 절연 피복이 구성되거나,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파이프(221)만이 위치되도록 한 후 파이프(221)의 외부로부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발열체(222)에는 방수 가능한 절연 피복이 구성된 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발열체(222)의 양단부에 각각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지고 해당 부위에 또 다시 방수 가능한 절연 피복이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이프(221)의 외부로 노출되어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발열체(222)의 양단부에만 발열 동작을 위한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110)의 내부에 습식 찜질 기능을 위하여 후술된 스팀발생수단(300)으로부터 스팀이 제공되어도 감전 등의 위험이 방지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습식과 건식 겸용 찜질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에 의하면,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중 바닥체(111)나 벽체(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히트파이프(220)의 발열체(222)가 전기적으로 결선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전자파 전달이 최대한 억제되고 스팀발생수단(300)에 의한 습식 기능이 제공되어도 감전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외부에는 히트파이프(220)의 동작 시간과 온도 등의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제어패널이 더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은, 일실시예로서 전열판넬(210)의 일측면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파이프(221)가 배관되고 파이프(221)의 내부에 발열체(222)와 발열유체(223)가 모두 충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금속 재질의 전열판넬(210) 중공에 발열유체(223)가 충전된 상태에서 진공 배기되고 전열판넬(210)의 표면에 배관되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221)의 내부에 발열체(222)가 삽입 구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는, 본체부(100)의 내부 찜질 공간에 스팀을 제공하여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팀발생수단(300)을 더 포함한다.
스팀발생수단(300)은, 하우징(110)의 찜질 공간의 하부에 스팀을 제공하여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하우징(110)의 일측에 위치되고 외부의 동작전원에 의해 동작되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310), 스팀발생기(310)에 일단이 연장된 상태에서 타단이 하우징(110)의 벽체에 형성되는 관통공(114)을 관통하여 하우징(110) 내부 찜질 공간에 위치되며 스팀이 찜질 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팀공급관(320) 및 하우징(110)의 바닥체(111)에 구성되고 스팀공급관(320)의 타단에 연통되어 스팀이 찜질 공간에 분무되도록 하는 스팀분무체(330) 등을 포함한다.
스팀발생기(310)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크게, 저수조, 펌프, 원통, 히터 및 스팀배출포트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구성를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팀공급관(320)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위치된 스팀발생기(310)의 스팀배출포트로부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된 스팀분무체(330)까지 연결되도록 하여, 스팀발생기(310)의 스팀이 스팀분무체(330)까지 공급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플렉시블한 파이프나 호스 등으로 구성된다.
스팀분무체(330)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내부 바닥체(111)에 위치되며,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박스(331), 박스(331) 내부에 위치되고 스팀공급관(320)의 타단이 연통되며 스팀이 분무되도록 하는 분무통(332) 및 분무통(332)에 구성되고 숯이나 쑥, 허브 및 편백나무 등의 부산물 즉, 수액, 정유 및 슬라이스 등이 수용되어 스팀의 분무시 해당 냄새가 분향되도록 하여 훈증이나 습식 찜질 효과가 향상되도록 하는 분향통(333)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스팀발생수단(300)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찜질 공간에 스팀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스팀이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의 발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를 가지게 되고 이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습식을 겸용한 찜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의 전열판넬(210) 상측면에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숯 재질의 탄소보드(400)가 더 구성되어, 전열판넬(210)의 전열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보드(400)는,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중 바닥체(111)나 벽체(113) 등에 독립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소보드(400) 대신에, 또는 탄소보드(400)와 함께,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에는 맥반석, 황토, 코발트, 옥 및 게르마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어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원적외선보드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바닥체(112)나 벽체(113) 등에는 피톤치드를 발생시키는 피톤치드패널(140)이 더 구성되어 원적외선과 열에 의해 음이온과 피톤치드의 발생이 최대화되도록 하고,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이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팀발생수단(300)을 제외한 구성부를 이용한 건식 방식의 찜질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00) 하우징(110)의 찜질 공간에 다리부위를 삽입시키기 위해서,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에 고정 설치된 덮개패널(120)의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상측방으로 회동되어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이 개방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개방된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에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삽입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다리부위 중 종아리 부위가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판(123)에 형성된 제2삽입공(124b) 내주면에 구속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상측방으로 회동된 회동판(122)이 고정판(121)에 대하여 하측방으로 회동되어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부위 중앙부분이 폐쇄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다리부위 중 종아리 부위에 대향되는 정강이 부위가 회동판(122)에 형성된 제1삽입공(124) 내주면에 구속된다.
이후,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중 바닥체(111)나 벽체(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구성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찜질 공간 내부에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된다.
이때, 본체부(100)의 바닥체(111)와 벽체(113) 등에 탄소보드(400)가 더 구성되는 경우,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의 발열시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산되어 찜질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스팀발생수단(300)을 포함한 구성부를 이용한 습식 방식의 찜질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의 내부에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찜질 공간 내부에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된 스팀발생수단(30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의 하부에 제공된다.
이후, 상기 스팀이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의 발열에 의해 소정의 온도를 가지게 되고 이어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찜질 공간 내부에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덮개패널(120)이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으로 구성되고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다리부위가 삽입 및 구속되는 삽입공(123)이 형성됨으로서, 하우징(110)과 덮개패널(120)이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해 사용상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사판(123)이 하우징(110)의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어 편안한 자세에서 족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에 의해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중 바닥체(111)나 벽체(1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열이 발생되어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고, 이때,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히트파이프(220)의 발열체(222)가 전기적으로 결선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전자파 전달이 최대한 억제되고 스팀발생수단(300)에 의한 습식 기능이 제공되어도 감전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수단(300)에 의해 하우징(110)의 찜질 공간에 스팀이 제공됨으로써, 습식을 겸용한 찜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3)

  1.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수용되는 찜질 공간을 제공하는 통체 구조의 본체부(100)와;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 내부에 구성되고 열을 발생시켜 건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내부 찜질 공간에 스팀을 제공하여 습식 찜질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스팀발생수단(3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부(100)는,
    상측이 개방된 통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상측 개방 부위에 고정 설치되어 개방부위 일부분을 개폐하고 사용자의 다리부위의 삽입 및 구속 상태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패널(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110)은,
    소정면적의 바닥체(111);
    바닥체(111)의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둥(112); 및
    기둥(112)과 기둥(112) 사이에 복수개가 요철구조로 적층되면서 정면, 측면 및 배면에 벽면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벽체(113)를 포함하며,
    좌측면벽체(113a)에서 바라볼 때 정면벽체(113b)와 해당 기둥이 배면벽체(113c)와 해당 기둥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덮개패널(120)은,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배면벽체(113c)로부터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판(121);
    소정면적을 가지고 고정판(121)에 대하여 회동되어 하우징(110) 개방부위의 중앙부분이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회동판(122);
    소정면적을 가지고 하우징(110)의 정면벽체(113b)로부터 경사진 상태의 좌측면벽체(113a)와 우측면벽체(113d) 일부분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상기 개방부위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하는 경사판(123); 및
    회동판(122)과 경사판(123)의 경계부위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부위가 구속되도록 하는 삽입공(1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은,
    파이프(221), 파이프(221)의 내부에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통해 발열 동작되는 발열체(222) 및 파이프(221)의 내부에 충전되어 발열체(222)에 의해 가열되어 열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열유체(223)로 구성되는 히트파이프(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히트파이프 발열수단(200)은,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금속 재질의 전열판넬(210) 중공에 발열유체(223)가 충전된 상태에서 진공 배기되고 전열판넬(210)에 배관되는 금속 재질의 파이프(221)의 내부에 발열체(222)가 삽입 구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족욕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발열유체(223)는,
    증류수 4 내지 12 중량%, 1,2-프로필렌글리콜(1,2-propyleneglycol ; HOCH2CH3CHOH) 88 내지 96 중량%,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 C6H15NO3) 0.0042 내지 0.0046 중량%, 메틸벤조트리아졸(5-methylbenzole ; C7H7N3) 0.00035 내지 0.00045 중량% 및 삼폴리인산나트륨(sodiumtripolyphosphate ; Na5P3010) 0.00028 내지 0.0003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발열유체(223)는,
    맥반석, 숯, 황토, 코발트, 옥 및 게르마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가지는 원적외선발생결정체를 더 포함하고,
    원적외선발생결정체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발열유체(223)는,
    끓임쪽이나 비등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체를 가지는 돌비현상억제결정체를 더 포함하고,
    돌비현상억제결정체는,
    상기 증류수,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벤조트리아졸 및 삼폴리인산나트륨이 혼합된 조성물질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스팀발생수단(300)은,
    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310);
    스팀발생기(310)에 일단이 연장된 상태에서 타단이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찜질 공간에 위치되며 스팀이 찜질 공간에 공급되도록 하는 스팀공급관(320); 및
    본체부(100)의 찜질 공간에 구성되고 스팀공급관(320)의 타단에 연통되어 스팀이 찜질 공간에 분무되도록 하는 스팀분무체(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스팀분무체(330)는,
    스팀공급관(320)의 타단이 연통되며 스팀이 분무되도록 하는 분무통(332)과;
    분무통(332)에 구성되고 분향용 부산물이 수용되어 스팀의 분무시 해당 냄새가 분향되도록 하는 분향통(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내부 찜질 공간에 탄소보드(40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욕 장치.
KR2020170003500U 2017-07-06 2017-07-06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KR20048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00U KR200489505Y1 (ko) 2017-07-06 2017-07-06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00U KR200489505Y1 (ko) 2017-07-06 2017-07-06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32U true KR20190000132U (ko) 2019-01-16
KR200489505Y1 KR200489505Y1 (ko) 2019-06-28

Family

ID=6526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00U KR200489505Y1 (ko) 2017-07-06 2017-07-06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05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07Y1 (ko) 2005-11-30 2006-03-07 송준혁 황토욕 족욕기
KR100662058B1 (ko) * 2006-02-15 2006-12-27 주식회사 웜코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20110009203U (ko) * 2010-03-22 2011-09-28 유유자 건식 족욕기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KR200460431Y1 (ko) 2011-08-10 2012-05-25 강삼열 건식 적외선 발생장치
KR101338919B1 (ko) * 2012-02-10 2013-12-10 홍대순 다기능 훈욕기
KR20140003318U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유벨라건강과학 간이식 족욕기
KR101456199B1 (ko) * 2014-04-25 2014-10-31 정춘식 무진공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온열매트 및 무진공 히트파이프용 작동유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307Y1 (ko) 2005-11-30 2006-03-07 송준혁 황토욕 족욕기
KR100662058B1 (ko) * 2006-02-15 2006-12-27 주식회사 웜코 건식과 습식을 겸용한 스팀식 족욕기
KR20110009203U (ko) * 2010-03-22 2011-09-28 유유자 건식 족욕기
KR200460431Y1 (ko) 2011-08-10 2012-05-25 강삼열 건식 적외선 발생장치
KR101338919B1 (ko) * 2012-02-10 2013-12-10 홍대순 다기능 훈욕기
KR101145430B1 (ko) 2012-03-02 2012-05-15 최성창 족욕기
KR20140003318U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유벨라건강과학 간이식 족욕기
KR101456199B1 (ko) * 2014-04-25 2014-10-31 정춘식 무진공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온열매트 및 무진공 히트파이프용 작동유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05Y1 (ko) 2019-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66B1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200488714Y1 (ko) 습식 겸용 건식 좌훈 족욕 장치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970009764A (ko) 사우나실용 방향발생 및 가습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우나목욕장치
KR100883034B1 (ko) 축열물질과 전열선을 내장한 온열매트
KR200489505Y1 (ko)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KR100679179B1 (ko) 온열치료기
KR102309340B1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102211808B1 (ko) 휴대용 좌욕 찜질 온열기
KR200488741Y1 (ko) 습식 겸용 건식 무릎 족욕 장치
KR200488713Y1 (ko) 습식 겸용 건식 사우나 장치
KR200489271Y1 (ko) 습식 겸용 건식 반신욕 장치
KR102341168B1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KR20210010743A (ko) 온열치료기
KR200380248Y1 (ko) 오일을 이용한 온열매트
KR200490396Y1 (ko) 발열구조체 및 이를 가지는 족욕/좌욕장치
JP4303255B2 (ja) 麦飯石製温熱罨法器
KR200423614Y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사우나시설
KR100700313B1 (ko) 휴대용스팀난방장치
KR200354676Y1 (ko) 미용·건강증진용 온열 보습기
KR101435097B1 (ko) 척추 조사 기능을 부가한 근육통 완화 및 혈행 개선 근적외선 온열 좌욕기
KR101113100B1 (ko) 건조기능이 구비된 좌욕기
KR200440819Y1 (ko) 반신욕 사우나기
KR102461034B1 (ko) 온열 좌훈기
KR20100009970A (ko) 건식 및 습식 온열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