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18U - 간이식 족욕기 - Google Patents

간이식 족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18U
KR20140003318U KR2020120010882U KR20120010882U KR20140003318U KR 20140003318 U KR20140003318 U KR 20140003318U KR 2020120010882 U KR2020120010882 U KR 2020120010882U KR 20120010882 U KR20120010882 U KR 20120010882U KR 20140003318 U KR20140003318 U KR 201400033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ot bath
desk
foot
apparatu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벨라건강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벨라건강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벨라건강과학
Priority to KR2020120010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318U/ko
Publication of KR201400033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6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간이식 족욕기는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된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연결되어 접혔을 때는 장치 본체의 일면을 형성하고 펼쳤을 때는 장치 본체로부터 펼쳐져서 책상면을 형성하는 책상 어셈블리와, 장치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습식 또는 건식으로 형성되는 족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족욕과 동시에 업무나 독서를 즐길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족욕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걸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관 공간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간이식 족욕기{PORTABLE FOOT BATH DEVICE}
본 고안은 간이식 족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간이 의자로 사용이 가능하고 족욕시에는 족욕과 동시에 책상 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간이식 족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웰빙 열풍으로 인해 반신욕이나 족욕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족욕은 두한족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발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혈액순환 장애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족욕은 발한을 위한 것으로서, 하반신을 따뜻하게 하고 혈액순환 장애를 초래하는 냉기를 없애는 건강 목욕법이다. 족욕은 현기증을 자주 느끼거나 열기를 견디기 힘들어하는 사용자 또는 혈압이 비정상적인 사람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
또한, 냉증이 있는 여성이나 손발 저림이 있는 환자, 또는 아동에게 족욕은 효과가 있으며, 하루에 한 번씩 잠자기 전에 꾸준하게 족욕을 하면 겨울에도 감기나 잔병치레를 하지 않을 정도로 좋은 건강유지법이다.
종래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내부에 40 ∼ 45℃의 온수를 무릎 아래까지 잠길 정도로 담은 후, 발을 담가 약 20분 정도 실시하고, 족욕 이후에는 2분 ~ 3분 정도 찬물에 발을 담가 긴장이 풀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근육이 이완되도록 함으로써 마무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족욕법은 용기 내의 물의 온도가 시간 경과에 따라 낮아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뜨거운 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용기의 내부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발열수단에 의해 족욕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건식 족욕기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족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족욕기는 족욕하는 시간 이외에는 창고에 방치되거나 적치되기 때문에 보관에 따른 장소의 제약이 있다. 즉, 족욕 시간에만 족욕기를 내와서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그 이외의 시간에는 족욕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용시마다 족욕기를 꺼내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족욕기에 책상 및 걸상의 기능을 추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의 간이식 족욕기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된 개방면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젖혀져서 책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을 개방시키는 책상 어셈블리;및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족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족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책상 어셈블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판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블럭; 상기 가동 블럭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책상판;및 상기 가동 블럭과 상기 책상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연결부재는 상기 책상판을 틸팅시켜 상기 가동 블럭의 전면과 상기 책상판이 평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가동 블럭의 전면과 상기 책상판이 수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장치 본체는 상기 개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고, 사용자의 족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가림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장치 본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에 의하면, 족욕기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걸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족욕기로 사용할 경우에는 책상 어셈블리를 펼쳐서 책상으로 사용하면서 족욕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족욕과 동시에 업무나 독서를 즐길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족욕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걸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보관 공간이 필요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를 걸상으로 이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를 책상으로 이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 내지 7d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를 펼치는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d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는 대략 장방형의 장치본체와; 상기 장치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책상면을 형성하는 책상 어셈블리와; 상기 장치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족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접혀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펼쳐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는 장치본체(100)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본체(100)는 대략 장방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본체(100)는 접혀진 상태에서 걸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앉았을 때 다리가 닿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본체(100)는 후판(110); 상기 후판(110)의 양 측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측판(120); 상기 두 개의 측판(120)에 연결되고,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형성되는 전판(130); 상기 두 개의 측판(120)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후판(11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폭만큼 형성되는 상판(140);및 바닥판(1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판(130)의 높이는 상기 측판(1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상판(140)의 폭도 상기 측판(120)의 상단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치본체(100)의 모서리 부분의 일부가 생략되는, 즉 전면 및 상면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면(101)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면(101)을 통해 상기 장치본체(100) 내부로 사용자의 족부를 삽입하여 족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면(101)에는 상기 개방면(101)을 차폐하고 사용자의 족부만 삽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가림막(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140)의 일부에는 상판 도어(14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후판(110)의 일부에도 후판 도어(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 도어(141)와 후판 도어(111)를 통해 상기 장치본체(100) 내부로 아래에서 설명할 트레이(310)를 출납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40)의 말단에는 상기 장치본체(100)로부터 선택적으로 책상면을 형성하는 책상 어셈블리(200)가 연결된다. 상기 책상 어셈블리(200)는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100)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101)을 차폐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200)로부터 젖혀져서 책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101)을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책상 어셈블리(200)는 상기 장치본체(100)의 상판(140)에 연결되는 가동 블럭(210)과, 상기 가동 블럭(210)과 연결되고 상기 장치본체(100)의 전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책상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동 블럭(210)은 상기 장치본체(100)의 개방된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블럭(210)은 상기 장치본체(100)의 상판(140)에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블럭(210)이 회동하여 펼쳐지면 상기 가동 블럭(210)의 일면이 상기 장치본체(100)의 상판(140)에 지지되고, 상기 가동 블럭(210)이 회동하여 접혀지면 상기 가동 블럭(210)의 일단이 상기 전판(130)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블럭(210)은 연결부재(230)에 의해 책상판(220)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책상판(220)이 접혔을 때 상기 책상판(220)을 외측으로 틸팅시켜 상기 책상판(220)과 상기 가동 블럭(210)의 전면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하고, 상기 책상판(220)이 펼쳐졌을 때 상기 책상판(220)을 내측으로 틸팅시켜 상기 책상판(220)과 상기 가동 블럭(210)의 전면이 수직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책상판(2200이 상기 가동 블럭(210)에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책상판(220)이 일정 각도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책상 어셈블리(200)가 접혀질 때에는 상기 책상판(220)이 외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장치본체(100)의 전면을 차폐하도록 하고, 상기 책상 어셈블리(200)가 펼쳐질 때에는 상기 책상판(220)이 내측으로 틸팅되어 상기 가동 블럭(210)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장치본체(100) 내부에는 족욕을 실시하기 위한 족욕 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상기 족욕 어셈블리(300)는 족욕을 실시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족욕 어셈블리(300)는 습식 족욕기로 구성되어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족욕 어셈블리(300)는 건식 족욕기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족욕 어셈블리(300)는 상기 장치본체(100) 내부에 수납되는 트레이(310)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310)에는 족욕을 위한 물이 담겨진다.
상기 트레이(310)가 설치되는 상기 장치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트레이(310) 내부의 물을 데울 수 있는 별도의 가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고안에는 상기 트레이(310) 내로 온수를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나 상기 트레이(310) 내의 물을 지속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공지된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식 족욕 어셈블리(300)는 상기 가림막(160)에 연결되는 발열 족욕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 족욕부(330)는 양말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구비된 열선(331)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을 가열시킴으로써 족욕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열 족욕부(330)도 공지된 건식 족욕기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400)를 추가로 포함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400)는 상기 장치본체(100)의 후판(100)에 구비되는 포켓부(410)와, 상기 포켓부(410)에 삽입되고 선택적으로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등받이 역할을 할 수 있는 등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판(420)은 상기 포켓부(410)에 형성되는 걸림턱(411)에 걸리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책상판(220)과 등받이(40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걸상으로 이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간이식 족욕기의 등받이(400)를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간이식 족욕기가 책상으로 이용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책상을 이용하여 독서나 업무를 볼 수 있고, 동시에 장치본체(100) 내부에 족부를 삽입하여 족욕을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는 접혀진 간이식 족욕기를 펼치는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간이식 족욕기에서 책상판(220)의 손잡이를 잡고 상부로 들어올리면, 상기 책상판(220)이 연결부재(230)에 의해 틸팅되어 가동 블럭(210)이 일체로 들어 올려진다.
상기 책상판(220)을 들어올려 가동블럭(210)을 장치본체(100)의 상판(141)에 안착시킴으로써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이식 족욕기로 변형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간이식 족욕기 내부에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족욕기가 삽입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 설명한 족욕 어셈블리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장치본체 160 : 가림막
200 : 책상 어셈블리 210 : 가동 블럭
220 : 책상판 230 : 연결부재
300 : 족욕 어셈블리 310 : 트레이
330 : 발열 족욕부 400 : 등받이

Claims (5)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된 개방면을 포함하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연결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고,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장치 본체로부터 젖혀져서 책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개방면을 개방시키는 책상 어셈블리;및
    상기 장치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족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족욕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간이식 족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 어셈블리는
    상기 장치 본체의 상판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블럭;
    상기 가동 블럭에 연결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일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책상판;및
    상기 가동 블럭과 상기 책상판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간이식 족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책상판을 틸팅시켜 상기 가동 블럭의 전면과 상기 책상판이 평행하도록 하거나 상기 가동 블럭의 전면과 상기 책상판이 수직이 되도록 하는
    간이식 족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개방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방면을 차폐하고, 사용자의 족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개된 가림막을 포함하는
    간이식 족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장치 본체의 일면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간이식 족욕기.
KR2020120010882U 2012-11-26 2012-11-26 간이식 족욕기 KR201400033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82U KR20140003318U (ko) 2012-11-26 2012-11-26 간이식 족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882U KR20140003318U (ko) 2012-11-26 2012-11-26 간이식 족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18U true KR20140003318U (ko) 2014-06-05

Family

ID=5244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882U KR20140003318U (ko) 2012-11-26 2012-11-26 간이식 족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31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383A (ko) * 2015-04-23 2016-11-02 코웨이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사우나기
KR20190000132U (ko) * 2017-07-06 2019-01-16 박성주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383A (ko) * 2015-04-23 2016-11-02 코웨이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사우나기
KR20190000132U (ko) * 2017-07-06 2019-01-16 박성주 습식 겸용 건식 족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430B1 (ko) 족욕기
KR101757577B1 (ko) 다용도 훈욕기
KR101744613B1 (ko) 비데 기능이 있는 유아 용품
KR20140003318U (ko) 간이식 족욕기
KR20180070215A (ko) 폴딩 가능한 쿠션
US3945058A (en) Collapsible sauna bath kit
KR20130116852A (ko) 세척과 교체가 쉬운 족욕기
KR200483550Y1 (ko) 다림판책상
KR20130046979A (ko) 개인용 반신 사우나
CN214342021U (zh) 用于洗浴装置的储热体及其具有保温功能的洗浴装置
KR20180002471U (ko) 족욕기 케이스
KR101914134B1 (ko) 다용도 건식 찜질 장치
KR200463937Y1 (ko) 화상방지 및 이동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건식 족욕기
KR200473614Y1 (ko) 온열 의자
KR20140000094U (ko) 의자 좌판구조
JP6656740B1 (ja) 浴槽で使用する顔および首の保湿用のフェイスタオル、浴用タオルまたは手ぬぐいおよび使用方法。
JP7384591B2 (ja) 健康装置及び健康装置の使用方法
CN215457511U (zh) 一种折叠足浴盆
KR20160023291A (ko) 의자 겸용 빨래바구니
JPS60185555A (ja) 手足温浴装置
CN211382683U (zh) 一种中医学用针灸床
CN212308411U (zh) 养生木桶
KR101061261B1 (ko) 다용도 의자
JP3134711U (ja) 足湯装置
KR200351634Y1 (ko) 이동식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