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215A - 폴딩 가능한 쿠션 - Google Patents

폴딩 가능한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215A
KR20180070215A KR1020160172659A KR20160172659A KR20180070215A KR 20180070215 A KR20180070215 A KR 20180070215A KR 1020160172659 A KR1020160172659 A KR 1020160172659A KR 20160172659 A KR20160172659 A KR 20160172659A KR 20180070215 A KR20180070215 A KR 20180070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portion
cushion
fi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초아
Original Assignee
정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초아 filed Critical 정초아
Priority to KR102016017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215A/ko
Publication of KR2018007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10Finishing of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은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기 제1 본체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적층 결합되며, 하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하부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메쉬망과 제2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망에는 제1 및 제2 본체부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폴딩 가능한 쿠션{FOLDABLE CUSHION}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 내의 충전재가 분리될 수 있는 폴딩이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은 사용자가 일상생활 또는 수면 시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 시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된 내피와, 그 내피를 커버하여, 내피에 오염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외피가 내피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쿠션은 수면에 필수로 이용되는 만큼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 사용 중 사용자의 땀과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오염된 쿠션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피부 발진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쿠션을 위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 사용 후 내피와 외피를 분리 후 외피만을 세척 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오염물질이 내피에 침투되며, 내피 내부에서 오염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함으로 내피를 빛에 살균하거나, 내피를 세척해야 한다.
그러나 내피는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 내부로는 빛이 원활하게 조사될 수 없어, 충전재의 살균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피를 세척한 경우에는 내피의 내부로 원활한 통풍이 어려워 내피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의 빠른 건조가 어려우며, 내피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에는 장시간 수분이 남아 있어, 수분에 의해 각종 세균이 번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피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는 세척 후 탈수에 의한 충전재의 쏠임에 의해 충전재가 내부에서 뭉쳐지게 되어, 내피를 탈 수 후에는 사용자가 쿠션을 안락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피의 재봉된 부위를 제거하여, 충전재를 내피에서 꺼낸 후 충전재를 고르게 편 후 다시 내피에 넣어 내피를 재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48004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의 세척 후 쿠션의 충전재의 뭉침을 방지하고 빠른 건조와 살균을 통해서 위생적이며, 안락하게 쿠션을 사용할 수 있는 폴딩 가능한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은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기 제1 본체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적층 결합되며, 하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하부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메쉬망과 제2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망에는 제1 및 제2 본체부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와 제2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 형태를 갖는 보조 본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본체부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1 본체부의 하부에는 제1 쿠션층이 제1 본체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2 본체부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2 구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2 본체부의 상부에는 제2 쿠션층이 제1 본체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로 상기 제1 쿠션층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 하부를 개방 및 폐쇄 시킬 수 있는 하부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로 상기 제2 쿠션층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이 외측면 상부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상부 개폐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쿠션층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홀을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층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를 구획하는 제1 및 제2 구획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쿠션층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가능한 쿠션은 제1 및 제2 본체부가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세척 시 제1 및 제2 본체부를 분리 및 회동 시켜 세척함으로, 제1 및 제2 본체부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를 제1 및 제2 본체부와 함께 세척할 수 있어, 제1 및 제2 본체부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세척된 제1 및 제2 본체부의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메쉬망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 내부로 통풍과 빛의 조사가 용이하여, 충전재의 빠른 건조와 살균이 가능하여, 충전재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쾌적하게 제1 및 제2 본체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에는 제1 및 제2 본체부 내부에 충전재를 인입 및 인출 시킬 수 있는 개폐부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를 세척 후 뭉쳐진 충전재를 고르게 펼 수 있으며, 충전재의 추가 보충이 가능하여 제1 및 제2 본체부의 안락함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 본체부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딩이 가능한 쿠션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폴딩이 가능한 쿠션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사용자가 수면을 위해 베개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 및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내부에 충전재(111)가 충전되고, 상면은 메쉬망(112)으로 형성되며, 세척이 가능한 면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111)는 사용자가 사용 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솜, 오리 털, 거위 털 등 다양한 소재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112)에는 제1 본체부(11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11)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메쉬망(112)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1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113)는 개폐 지퍼 또는 벨크로 등으로 구성되어 메쉬망(112)의 개폐가 가능하며, 개폐부(113)의 개폐에 따라 충전재(111)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쉬망(112)은 제1 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통풍성이 우수하여, 제1 본체부(11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11) 내부로 외부 공기를 통풍시켜 충전재(111)가 제1 본체부(110) 내부에서 뭉치는 것을 방지하며, 충전재(111)에서 습기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충전재(111)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면소재로 이루어져 충전재(111)와 함께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 후에는 메쉬망(112)을 통해서 충전재(111) 내부로 외부 공기가 통풍되고, 충전재(111) 내부로 빛이 조사되어 충전재(111)의 빠른 건조와 살균이 가능하여, 제1 본체부(110)와 충전재(111)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세척을 통해 뭉쳐진 충전재(111)는 메쉬망(112)에 형성된 개폐부(113)를 통해 메쉬망(112)을 개방하여 충전재(111)를 고르게 펼쳐 충전재(111)가 충전된 최초 상태로 복원 시켜 충전재(111)의 안락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1 본체부(110)의 상부에 적층된다.
상기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는 메쉬망(122)이 형성되어, 제1 본체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메쉬망(112)과 상호 접촉된다.
즉, 상기 제2 본체부(120)는 하면이 제1 본체부(110)의 상면에 적층되므로,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과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2)이 상호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본체부(120)는 통풍과 세척이 용이한 면소재로 이루어지며, 메쉬망(122)에는 제2 본체부(12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1)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메쉬망(122)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23)는 개폐 지퍼 또는 벨크로 등으로 구성되어 메쉬망(122)의 개폐가 가능하여, 개폐부(123)의 개폐에 따라 충전재(121)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121)는 사용자가 사용 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솜, 오리 털, 거위 털 등 다양한 소재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상면에는 제2 본체부(120)로 외부의 오염 물질 및 사용자의 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 본체부(120)를 커버하는 커버 시트(130)가 결합 된다.
이때, 상기 제2 본체부(120)의 상면에는 벨크로(124)가 형성되며, 커버 시트(130)의 하면에는 제1 본체부(120)에 형성된 벨크로(124)에 대응되는 벨크로(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시트(130)는 오염물질과 사용자의 땀을 흡수할 수 있는 면소재로 이루어지며, 통기성을 높일 수 있는 통기홀(13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쉬망(122)은 제1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어, 통풍성이 우수하여, 제2 본체부(12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21) 내부로 외부 공기를 통풍시켜 충전재(121)가 제2 본체부(120) 내부에서 뭉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충전재(121)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2 본체부(120) 내부에서 충전재(121)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본체부(120)는 면소재로 이루어져 충전재(121)와 함께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 후에는 메쉬망(122)을 통해서 충전재(121) 내부로 외부 공기가 통풍되고, 충전재(121) 내부로 빛이 조사되어 충전재(121)의 빠른 건조와 살균이 가능하여, 제2 본체부(120)와 충전재(121)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내부에서 뭉쳐진 충전재(121)는 메쉬망(122)에 형성된 개폐부(123)를 통해 메쉬망(122)을 개방하여 충전재(121)를 고르게 펼쳐 충전재(121)가 충전된 최초 상태로 복원 시켜 충전재(121)의 안락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1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제2 본체부(120)의 하부 테두리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결합 지퍼(1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40)의 결합 지퍼(141)가 제1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제2 본체부(120)의 하부 테두리의 일부 영역만 분리하게 되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회동된다.
반면에, 상기 결합 지퍼(141)가 제1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제2 본체부(120)의 하부 테두리의 전체 영역을 분리하게 되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는 상호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 지퍼(141)는 양면 지퍼로 이루어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뒤집어 고정이 가능하여,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과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3)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 시 메쉬망(112)(132)을 통하여, 세탁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충전재(111)(121)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가 충전되며,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망(112)(122) 및 그 메쉬망(112)(122)에 형성되는 개폐부(113)(123)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14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으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가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벨크로(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벨크로(143)는 제1 본체부(110)의 상면 내부 테두리와 제2 본체부(120)의 하면 내부 테두리에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사시도이다고, 도 10은 도 9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상기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가 충전되며,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망(112)(122) 및 그 메쉬망(112)(122)에 형성되는 개폐부(113)(123)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사이에는 보조 본체부(150)가 결합된다.
상기 보조 본체부(150)는 제1 본체부(110)의 상부와 제2 본체부(120)의 하부에 결합부(140)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충전재(151)가 충전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151)는 사용자가 사용 시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솜, 오리 털, 거위 털 등 다양한 소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본체부(150)는 주름 형태로 이루어져, 보조 본체부(15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51)의 양에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변형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 본체부(150)는 세척이 가능한 면소재로 이루어지며, 상면과 하면은 외부의 공기의 통풍성을 높일 수 있도록 메쉬망(1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본체부(150)의 메쉬망(152)에는 충전재(151)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메쉬망(152)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153)는 개폐 지퍼 또는 벨크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제2 본체부(120)의 하부 테두리에는 보조 본체부(150)의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가 상호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140)가 형성되어, 결합부(140)를 통해서 제1 본체부(110)의 상부 테두리와 보조 본체부(150) 하부 테두리가 각각 결합되고, 제2 본체부(120)의 하부 테두리와 보조 본체부(150)의 상부 테두리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40)는 결합 지퍼(141)로 이루어져 제1 본체부(110)와 보조 본체부(150) 및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본체부(150)의 메쉬망(152)은 통풍성이 우수하여, 보조 본체부(15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51) 내부로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충전재(151)가 보조 본체부(150) 내부에서 뭉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충전재(151) 내부에서 습기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충전재(151)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본체부(110)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획부(114)를 통해 구획된 제1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제1 쿠션층(160)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제1 본체부(110)에 의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고, 구획된 제1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제1 쿠션층(160)이 삽입되고, 구획된 제1 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충전재(111)가 충전된다.
한편, 상기 제1 구획부(114)는 세척이 가능한 면소재로 이루어지며, 제1 본체부(110)의 내부로 통풍성이 우수하도록 복수 개의 통기홀(11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110)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제1 구획부(114)에 의해 구획된 제1 본체부(110)의 하부로 제1 쿠션층(160)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제1 본체부(110)의 일단의 외측면 하부를 개방 및 폐쇄 시킬 수 있는 하부 개폐부(1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개폐부(115)는 개폐 지퍼로 형성되어 하부 개폐부(115)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0)를 세척 시 하부 개폐부(115)를 통해서 제1 쿠션층(160)을 제1 본체부(110)에서 분리하여, 제1 본체부(110)와 충전재(111) 만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쿠션층(160)은 사용자의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층(160)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16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홀(16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2 본체부(120)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2 구획부(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구획부(125)를 통해 구획된 제2 본체부(120)의 상부에는 제2 쿠션층(170)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제2 구획부(125)를 통해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고, 구획된 제2 본체부(120)의 상부에는 제2 쿠션층(170)이 삽입되고, 구획된 제2 본체부(120)의 하부에는 충전재(121)가 충전된다.
한편, 상기 제2 구획부(125)는 세척이 가능한 면소재로 이루어지며, 제2 본체부(120)의 내부로 통풍성이 우수하도록 복수 개의 통기홀(12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제2 구획부(125)에 의해 구획된 제2 본체부(120)의 상부로 제2 쿠션층(170)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의 외측면 상부를 개방 및 폐쇄 시킬 수 있는 상부 개폐부(1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개폐부(126)는 개폐 지퍼로 형성되어 상부 개폐부(126)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며, 제2 본체부(120)를 세척 시 상부 개폐부(126)를 통해서 제1 쿠션층(170)을 제2 본체부(120)에서 분리하여, 제2 본체부(120)와 충전재(121) 만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쿠션층(170)은 사용자의 쾌적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모리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쿠션층(170)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17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홀(172)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에 삽입되는 제1,2 쿠션층(160)(170)에는 내부로 함몰되는 지지홈(161)(171)이 각각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 중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뒤집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낮은 쿠션을 선호하며,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분리하여,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별도로 사용함으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 쿠션층(160)(170)에 형성된 통기홀(162)(162)과 제1 및 제2 구획부(114)(125)에 각각 형성된 통기홀(114a)(125a)은 보조 본체부(150)의 메쉬망(152)과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메쉬망(112)(12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통풍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 사용자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사용 중 발생하는 땀을 최소화 시켜, 사용자에게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상기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가 충전되며,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망(112)(122) 및 그 메쉬망(112)(122)에 형성되는 개폐부(113)(123)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은 상호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벌어져 회동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결합 밴드(144)가 형성되며, 결합 밴드(144)의 내측에는 벨크로(14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타측에는 결합 밴드(144)의 벨크로(144a)가 탈 부착되도록 결합 밴드(144)의 벨크로(144a)와 대응되는 벨크로(144a)가 구비되어, 벨크로(1441a)의 결합에 의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킨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과 제2 본체부(120)는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뒤집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 밴드(144)의 벨크로(144a)와 제2 본체부(120)의 타측에 구비된 벨크로(144a)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즉,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뒤집어 고정할 경우에는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과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3)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 시 메쉬망(112)(132)을 통하여, 세탁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충전재(111)(121)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상기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가 충전되며,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망(112)(122) 및 그 메쉬망(112)(122)에 형성되는 개폐부(113)(123)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은 상호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벌어져 회동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에는 결합링(1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타측에는 결합링(145)이 결합되도록 결합 단추(146)가 구비되어, 결합링(145)와 결합 단추(146)의 결합에 의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킨다.
한편, 상기 제1 본체부(110)과 제2 본체부(120)는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뒤집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에 형성된 결합링(145)은 제2 본체부(120)의 타측에 구비된 결합 단추(146)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뒤집어 고정할 경우에는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과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3)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 시 메쉬망(112)(132)을 통하여, 세탁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충전재(111)(121)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의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상기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형성하며,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가 충전되며, 제1 본체부(110)의 상면과 제2 본체부(120)의 하면에 형성되는 메쉬망(112)(122) 및 그 메쉬망(112)(122)에 형성되는 개폐부(113)(123)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같으며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은 상호 연결되며, 타단으로부터 벌어져 회동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 내부와 제2 본체부(120)의 타측 내부에는 제1 스냅 단추(147)가 각각 형성되어, 제1 스냅 단추(147)의 결합에 의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킨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110)의 타측 하단 측과 제2 본체부(120)의 타측 상단 측에는 제2 스냅 단추(148)가 형성되어, 제1 본체부(110)과 제2 본체부(120)를 뒤집어 고정시 제2 스냅 단추(148)의 결합에 의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상호 결합 시킨다.
즉,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뒤집어 고정할 경우에는 제1 본체부(110)의 메쉬망(112)과 제2 본체부(120)의 메쉬망(123)이 외부로 노출되어, 세탁 시 메쉬망(112)(132)을 통하여, 세탁수의 유입이 용이하여,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의 내부의 충전재(111)(121)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1 본체부(110)(120) 내부에 각각 충전재(111)(121)를 충전한다.
이때, 상기 충전재(111)(121)는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개폐부(113)(123)를 통해 메쉬망(112)(122)을 개방하여, 충전재(111)(121)를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에 각각 충전시킨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는 결합부(140)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본체부(120)의 상부에 커버 시트(130)를 부착 시킨 후 사용자가 수면 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베개로 사용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에 형성된 메쉬망(112)(122)은 통풍성이 우수하여, 외부 공기를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로 통풍 시켜, 충전재(111)(121)가 뭉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사용 시 쾌적하고 안락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망(112)(122)을 통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로 통풍되는 외부 공기는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사용 중 발생하는 땀을 최소화 시켜, 사용자가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밑 제2 본체부(110)(120)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에는 결합부(140)를 통해 결합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일부 영역만 분리함으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20)를 회동 시켜 세척하거나,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전체 영역을 분리시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각각 별도로 세척할 수 있다.
그런 후, 세척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와 충전재(111)(121)를 건조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는 메쉬망(112)(122)을 통해 충전재(111)(121) 내부로 외부 공기가 통풍되고, 충전재(111)(121) 내부로 빛을 조사되어 충전재(111)(121)의 빠른 건조와 살균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건조 후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에서 뭉쳐진 충전재(111)(121)는 메쉬망(112)(122)에 형성된 개폐부(113)(123)를 통해 메쉬망(112)(122)을 개방하여 제1 및 2 본체부(110)(120)의 충전재(111)(121)를 고르게 펼쳐 충전재(111)(121)가 충전된 최초 상태로 복원 시켜 충전재(111)(121)의 안락감을 유지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수의 실시예에 따른 폴딩이 가능한 쿠션(100)은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가 회동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 세척 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분리 및 회동 시켜 세척함으로,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11)(121)를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와 함께 세척할 수 있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세척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각각의 상면과 하면에는 메쉬망(112)(122)이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111)(121) 내부로 통풍과 빛의 조사가 용이하여, 충전재(111)(121)의 빠른 건조와 살균이 가능하여, 충전재(111)(121)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며, 쾌적하게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망(112)(122)에는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 내부에 충전재(111)(121)를 인입 및 인출 시킬 수 있는 개폐부(113)(123)가 형성되어,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를 세척 후 뭉쳐진 충전재(111)(121)를 고르게 펼 수 있으며, 충전재(111)(121)의 추가 보충이 가능하여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안락함을 제공하며, 제1 및 제2 본체부(110)(12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폴딩이 가능한 쿠션 110: 제1 본체부
111: 충전재 112: 메쉬망
113: 개폐부 114: 제1 구획부
114a: 통기홀 115:하부 개폐부
120: 제2 본체부 121: 충전제
122: 메쉬망 123: 개폐부
124 벨크로 125: 제2 구획부
125a: 통기홀 126: 상부 개폐부
130: 커버 시트 131: 통기홀
132: 벨크로 140: 결합부
141: 결합 지퍼 143: 벨크로
144: 결합밴드 144a: 벨크로
145: 결합링 146: 결합 단추
147: 스냅 단추 150: 보조 본체부
151: 충전재 152: 메쉬망
153: 개폐부 160: 제1 쿠션층
161: 지지홈 162:통기홀
170: 제2 쿠션층 171: 지지홈
172: 통기홀

Claims (5)

  1.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1 본체부;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고, 상기 제1 본체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에 적층 결합되며, 하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되는 제2 본체부; 및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 테두리와 상기 제2 본체부의 하부 테두리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메쉬망과 제2 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메쉬망에는 제1 및 제2 본체부의 내부에 충전된 충전재가 인입 및 인출되도록 개폐 가능한 개폐부가 형성된 폴딩이 가능한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상부와 제2 본체부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통해 연결되며, 내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름 형태를 갖는 보조 본체부를 더 포함하는 폴딩이 가능한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본체부의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1 구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1 본체부의 하부에는 제1 쿠션층이 제1 본체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2 본체부의 내부에는
    내부 중심을 기준으로 제2 본체부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제2 구획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제2 본체부의 상부에는 제2 쿠션층이 제1 본체부 내부에 삽입되는 폴딩이 가능한 쿠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1 본체부의 하부로 상기 제1 쿠션층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 하부를 개방 및 폐쇄 시킬 수 있는 하부 개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 본체부의 상부로 상기 제2 쿠션층이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이 외측면 상부를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상부 개폐부가 형성되는 폴딩이 가능한 쿠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층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1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통기홀을 형성되고,
    상기 제2 쿠션층은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함몰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2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순환될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를 구획하는 제1 및 제2 구획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의 메쉬망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쿠션층으로 공급할 수 있는 통기홀이 형성되는 폴딩이 가능한 쿠션.
KR1020160172659A 2016-12-16 2016-12-16 폴딩 가능한 쿠션 KR20180070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59A KR20180070215A (ko) 2016-12-16 2016-12-16 폴딩 가능한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659A KR20180070215A (ko) 2016-12-16 2016-12-16 폴딩 가능한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215A true KR20180070215A (ko) 2018-06-26

Family

ID=62788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659A KR20180070215A (ko) 2016-12-16 2016-12-16 폴딩 가능한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2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09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78107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베개
KR102078108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US20220142383A1 (en) * 2020-11-06 2022-05-12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with variable cushioning characteristics
US20230172376A1 (en) * 2021-11-25 2023-06-08 Emmanuel Reisman Pillow with adjustable pocket for pouch insert promoting enhanced comfo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45B1 (ko) 2013-12-03 2015-01-15 민일석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변형 가능한 쿠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045B1 (ko) 2013-12-03 2015-01-15 민일석 신축성 소재를 이용한 변형 가능한 쿠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109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102078107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베개
KR102078108B1 (ko) * 2018-10-23 2020-02-17 엄원당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US20220142383A1 (en) * 2020-11-06 2022-05-12 Purple Innovation, Llc Pillow with variable cushioning characteristics
US20230172376A1 (en) * 2021-11-25 2023-06-08 Emmanuel Reisman Pillow with adjustable pocket for pouch insert promoting enhanced comf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215A (ko) 폴딩 가능한 쿠션
KR101557129B1 (ko) 펫 드라이 룸
KR101710184B1 (ko) 먼지털이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 옷장
KR101350354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수납박스
KR20120015788A (ko) 건강베개
US10413442B2 (en) Support cushion having a disposable absorbent layer
KR20170050473A (ko) 에어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KR100935799B1 (ko) 건강베개
KR20060040641A (ko) 세탁이 용이한 베개속
KR20210104612A (ko) 메쉬부재를 구비한 침대 매트리스
KR102078109B1 (ko)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JP2013244274A (ja) 布団
GB2308297A (en) Ventilated mattress for child
KR20140003148U (ko) 피톤치드 베개
NL1035928C (nl) Matraselement en matras.
JP3221594U (ja) 寝具カバー
KR20190002265U (ko) 송풍식 에어매트
KR102078108B1 (ko) 세탁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140003318U (ko) 간이식 족욕기
JP2015119767A (ja) 敷布団
KR102417727B1 (ko) 다기능 패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빈백
KR102078107B1 (ko) 세탁이 가능한 베개
ES1208311U (es) Higienizador anti-ruido para colchones
KR101851619B1 (ko) 필로우탑 매트리스 어셈블리
KR20220145432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